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수업에 대한 외국인학생들의 인식과 경험 분석 :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최성호,장경원,박나리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 and experience on good teaching and to derive implications on necessary conditions and action plans for good instruc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implemented with four international students at a university in Korea. They expressed opinions on good teaching during the interview. Researchers put the contents together after discussing opinions about their perceptions and previous experiences in their classe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are consideration for students, adaptive learning contents and deeper learning, class buddies (from the teachers’ lecture) and authentic team work, active communication and practical activities (from the students’ activity). Second, international students wanted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professors and Korean students. By realizing international students’ suggestions, there should be quite a few roles to be filled by professors, Korean colleague students, and administrative offices. Therefore, the instructor should analyze the a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provide supplemental materials, and implement various learning activities to provide good teach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ir students to support international students by providing information and guidance on instructional contents, team project activities and assignments. On the administrative side international students need to be supported with various schemes such as online lectures, tutoring, mentoring, and counselling programs. 이 연구는 좋은 수업에 대한 외국인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국적의 외국인학생 4명을 대상으로 4회에 걸쳐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은 교수자 강의와 학습자 활동 영역에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교수자 강의 측면에서는 학생에 대한 배려,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눈높이교육, 학습 내용을 충분히 익힐 수 있는 심화학습,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국인학생 지정(수업 Buddy)을 포함한다. 학습자 활동 측면에서는 다양한 상호작용과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진정한 팀학습, 학생들 간의 소통 기회, 학습내용을 활용해 볼 수 있는 실습 활동으로 구성된다. 둘째, 좋은 수업의 특성과 관련하여 외국인학생들이 경험한 긍정 사례는 주로 교수자가 외국인학생을 배려하여 질문하고, 자료를 제공하고, 격려하고, 먼저 말을 걸어주고, 학생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등 학생과 교수자 간 1:1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경우이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학생들 간에 친해지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한 경우이다. 종합해보면 외국인학생들이 인식하고 경험한 좋은 수업이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특히 한국인학생과 외국인학생) 간에 진정성 있게 상호작용을 하는 수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학생을 위한 좋은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자는 외국인학생들의 특성 파악, 학습 자료 제공, 다양한 학습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한국인학생들은 외국인학생들에게 학습내용 설명, 프로젝트활동 및 과제 안내를 제공하고 이들을 신뢰하는 것이 필요하다. 행정차원에서는 외국인학생들의 학습을 돕는 온라인 강의 제공, 다양한 튜토링과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6년간 동일한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을 경험한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유형 분석

        우수정,김수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년간 동일한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을 경험한 일반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G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6학년 통 합학급 학생 28명이었다. D초등학교는 한 학년이 2개 학급으로 이루어진 소규모 학교로 28 명의 일반학생들은 동일한 장애학생 7명과 6년 동안 함께 공부하였다. 연구대상 학생들의 장 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주관적 연구 방법인 Q-방법론으로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1)나는 장애인에 대해 적극적인 옹호와 지원제공자이다, 2)장애인은 사회적 지 원이 필요한 지역사회 구성원이다, 3)장애인은 개인적인 노력이 필요한 지역사회 구성원이다.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특이한 점은 세 유형 모두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가 매우 긍정적이라는 점에 있다. 이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시기에 동일한 장애학생과 소규모 학급에서 장기간의 통 합교육을 통해 집중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과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면에서 분명히 차이가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에 대한 남자 중⋅고등학생의 인식 조사

        최지아,오수학,권영문,김영욱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8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6 No.3

        학교체육에서 건강체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개선은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건강체력평가 (PAPS)에 대한 남자 중고등학생의 인식과 관심도, 결과활용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 자료는 인천광역시 의 남자 중학생 566명, 남자 고등학생 462명, 총 1,028명에 대해 설문조사 방법으로 수집하다. 자료 분석은 신뢰도(Cronbach‘s α), 독립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고 분석하다. 전반적 으로 남자 중·고등학생들은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다. 건강과 체력에 대해 전체 학생은 비교적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PAPS에 대한 관심도, PAPS 측정 결과의 활용도와 만족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낮았다. 특히 학년의 상승과 PAPS 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관련이 없었다. PAPS에 대한 고등학생의 낮은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등학생 에게 알맞은 평가 결과의 제시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 PAPS를 위한 학교 여건 및 PAPS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improving students' perception on health-related fitnes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making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be a beneficial program of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ale secondary school students about PAPS. The subjects for data collection are 1,028 male students, 566 students from middle school and 426 students from high school in Incheon, Korea using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Cronbach's α,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post hoc. In general, male secondary school students have showed positive responses in all factors. It was indicated that most of them have perceived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fitness and then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health and fitness was insignificant, but high school students showed lower interest in PAPS, utilization of PAPS examination result and satisfac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grade level and the perception of PAPs.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lower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o PAPS, it is necessary to suggest evaluation results to high school students, and efforts to improve school environments and P.E teachers' perception about PAPS.

      • KCI등재

        지체장애학생과의 통합체육수업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현수(Hyun Su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지체 장애학생과의 통합체육교육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생활, 개인생활, 사회생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통합체육교육이 비장애학생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 교육 가치를 제공 할 수 있는 통합체육교육 발전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지체장애등급을 부여받은 장애학생과 통합체육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남녀공학 10개 학교, 10개 학급 비장애학생 338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fms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통합체육수업 관여도가 학교생활, 개인생활,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LISREL 8.30을 이용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체 장애학생과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통합 체육수업 관여도 및 학교생활, 개인생활, 사회생활 인식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학교, 고등학교에서의 통합체육수업에서 성별에 따른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연구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학생과의 통합체육수업은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생활, 개인생활, 사회생활인식에 인식에 긍정적인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체육수업이 지체장애 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보다 촉진 시킬 수 있는 학문적 후행연구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physical disable student affects a disable student`s school life, privacy, social activity in relation to non-disable student. In order to be better satisfied with this purpose, the resercher makes use of purpose sampling which includes 338 normal students which come from disabled student with grade of handicap and 10 coeducational school, 10 classes. Based on the above sampling method, t-test for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gender, and path analysis with LISREL 8.30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life, privacy, social activity a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of all, male students have a higher recognition rat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non-disable student`s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life, privacy, social activity regarding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of the physical disable student. In addition, the need for the study of recognition regarding disable student for non-disable student by gender is apparent. Secondly,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physical disable student affects positively the recognition of non-disable student regarding a disables `s school life, privacy, social activity and further study is also needed to provide positive education experience for non-disable student as well as physical disable student in the field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학교 학생생활기록 관련 규정 비교 연구

        정지선(Jeong, Ji-Sun),장진희(Jang, Jin-Hee),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학생생활기록은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학생 개인에 대한 학습, 태도, 행동의 모든 측면을 종합적으로 담아내어 학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하는 자료이기에 기재사항, 관리 지침, 정보 공개 면에서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학생생활기록 상황을 살펴보고, 일본과 미국의 초등학교 학생생활기록 관련 규정을 통해 학생들의 학교생활기록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생활기록의 기록 내용 측면에서 학생에 관한 정보와 학습 진전 상황, 발달상의 특징, 학생의 특기에 관한 내용들 이외에 학생의 개인정보와 관련된 내용은 최소화하여야 한다. 둘째, 교과학습발달상황에 대한 기록은 학생생활기록의 지도자료적 측면, 보존적 측면을 위해 현재의 문장기술식 방법을 보완해야 한다. 셋째, 학생생활기록이 학생에게 필요한 자료로 활용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학생생활기록의 보존 기간을 단축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생활기록의 관리에 있어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철저한 예방과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본인의 동의 없이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결과적으로는 학생생활기록에 있어서 교육적 활용의 측면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그로 인한 사생활침해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한 조치를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 record is documented in Korea and, by observing relative regulations of student cumulative record in elementary schools in Japan and the US, suggested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cumulative record, document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except for basic information of a student, his learning progres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his talent should be kept minimum. Second, current sentence description method when recording student's attainment should be changed to suit the purposes of the record: the guidance material purpose and the retention purpose. Third, the retention period of the document should be cut considering its point of time when the record would be needed by the student. Lastly, step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cord is highly required. It is essential to review the cases when such information is provided without personal consent. Consequently, the most significant aspect of the student cumulative record is an educational use. Therefore a debate to implement a strong measure to prevent invasion of privacy originated from such uses is necessary.

      • KCI등재

        학생 목소리 연구로 본 배운 교육과정 연구 가능성 논의

        김수진 ( Soojin Kim ),이찬희 ( Chanhee Lee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1

        최근 학생 주체성 개념에 다시 주목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영미권의 학생 목소리(student voice)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학생을 교육과정 개발자로 보는 배운 교육과정을 드러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먼저 학생 목소리 연구결과를 종합 검토하여 배운 교육과정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 목소리 연구는 학생의 의견을 학생에게서 직접 듣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연구들을 통칭하는 분야였고 학생 목소리를 듣는 궁극적인 목적을 중심으로 세 가지(학교 개선, 교사발달, 학생 성장)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학생 목소리를 들음으로써 공동체로서 학교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어떤 방식으로든 교사 발달에 기여하며, 무엇보다 학생들이 스스로 성장을 체감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둘째, 이 세 가지 관점은 곧 배운 교육과정을 탐구해야 하는 정당성 및 근거로 논의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운 교육과정을 탐구함으로써 전체 교육과정 현상을 이해하는데 좀 더 실제성을 높일 수 있고, 국가교육과정이나 가르친 교육과정과 배운 교육과정 간 상호 호환성 및 순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국가교육과정이나 가르친 교육과정처럼 배운 교육과정도 그 실체를 탐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hile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has been extensively revisited in recent years, this paper explores the results of student voice literature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learned curriculum research, viewing students as curriculum developers. This study reviews student voice literature to draw implications for learned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s show that (1) student voice studies pursue direct access to students' perspectives by listening to them, and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listening: school reform, teacher development, and student development. Hence, student voice contributes to reforming schools practically,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ly, and enabl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ir growth more personally. (2) The three identified perspectives on student voice justify learned curriculum research, and provide the grounds for its further discussion. Learned curriculum research is expected to enhance the practicality in understanding the whole curriculum phenomenon; increase the intercompatibility and circulation existing among the national curriculum, taught curriculum, and learned curriculum; and raise the feasibility of more substantial learned curriculum research in the manner of the national curriculum or taught curriculum research.

      •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김동현(Dong-Hyun Kim),김형균(Hyung-Gyun Kim)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敎育論叢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를 분석하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는 전국 17개 시·도 지역 중 충청권의 3개 지역(대전, 세종, 충남)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306명을 임의로 표집하였고, 진로포부 검사와 진로성숙도 검사를 학년 및 학생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이용하였으며, 지도교수와 경력교사들의 검토 등을 거쳐 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통계 자료는 2020년 12월 1일부터 12월 11일까지 온라인 및 직접 배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3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 회수하였다. 활용 불가능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6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유효율 98.7%). 본 연구에 활용된 설문지는 SPSS 21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유의수준 p<.05에서 t-test, F-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포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인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6학년 학생들이 5학년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그 하위요인들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소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진로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진로교육에서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수준을 높여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현재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및 진로성숙도와 관련한 학습 및 체험 프로그램이 미비하므로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rade and gender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mong the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30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3 regions (Daejeon, Sejong, and Chungnam) were randomly selected and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test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grade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tatistics were collected online and directly from 1 to 11 December 2020, and a total of 3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Except for unavailable questionnaires 30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the effectiveness 98.7% efficiency The questionnaire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 21 program with significance levels p<.05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test, F-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p<.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aspiration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ixth-grade students higher than fifth-grade students. Fourth,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it was analyzed that groups with high levels of career aspirations and their sub-factors also have high career maturity. Sixth,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un a program that can raise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as a way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learning and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 KCI등재

        개벽사 잡지 『학생』의 성격 연구

        김현숙(Kim, Hyunsook)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이 논문의 목적은 『학생』의 성격 파악이다. 이를 위해 당시 학생이 누구인가를 물었고, 『학생』에 나타난 학생 당사자의 진술과 『학생』의 구성을 통해서 그 답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학생』은 기본적으로, 발행자 측인 지식인 기성세대가 중등과정 수학자인 학생에게 방향을 부여하고 사회의 예비 주체로서 역량을 신장시키는 향도자를 자처한 잡지로 파악된다. 한편 『학생』은 학생 당사자들의 자기 표현의 장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자기 현실에 응전하는 주체로서의 면모를 드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학생』의 면모들은 학생이 당시 사회에서 특별한 위치를 점한 존재라는 점에서 야기된 것이다. 따라서 『학생』을 두고 성인과 아동 사이에 자리한 청소년용 잡지로 판별하는 기존의 연령별 접근은 재고를 요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학생』의 계도성이 어떤 맥락과 특질을 가졌는지 파악하고자, 『학생』 발간 주체인 개벽사의 잡지 발간 추이를 검토하고, 이어 개벽사의 모집단인 천도교청년당이 1920년대 현실에 보인 반응을 더듬어보았다. 1920년대 내내 개벽사는 시사 정론지 확보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학생』은 『개벽』 폐간으로 발생된 시사 정론지의 부재 상태를 우회적 제한적으로 메꾸려는 의지의 산물로 파악했다. 즉 사회를 이끌 예비 주체인 학생의 역량 신장과 계도 과정에서 사회에 대한 발언을 확보하겠다는 것이 『학생』 발간의 숨은 목표였던 것이다. 한편 『학생』 발간은, 실력양성을 주장하면서 제 세력과 길항 관계를 이루었던 천도교천년당이 당대 흐름의 지속적 선도를 위한 주요 동력원으로 학생을 주목한 결과로도 이해해 보았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k-Saing』. 『The Hak-Saing』 is a magazine in which the older generation of intellectuals self-proclaimed to be a leader in giving direction to students who are secondary school mathematicians and enhancing their capabilities as preliminary actors in society. The reason Gaebyeoksa publishes such 『The Hak-Saing』in 1929 was to provide circumstantial and limited provision to secure current affairs journals that were absent. Also, 『The Hak-Saing』is the result of a new focus on students by the Chondogyo Youth Party, which tried to lead the current trend in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its own power while insisting on nurturing skills.

      • KCI등재

        일반학생이 지각한 장애 중학생의 학교적응력과 태도와의 관계

        정옥연 ( Ok Yeon Jung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은라 ( Eun R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는 일반학생이 지각한 장애 중학생의 학교적응력과 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를 살펴보고, 두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한 공립중학교 중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내 일반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이 지각한 장애 중학생의 학교적응력의 전체 평균은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며, 하위 영역 중 학교환경 적응, 학교만족, 학교규칙준수의 영역의 평균은 높게 나타난 반면 친구 및 교사관계, 수업참여 영역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 중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는 평균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학생이 지각한 장애 중학생의 학교적응력과 일반학생의 태도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학생의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가 장애 중학생의 학교적응력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생에게 장애학생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실천적 의지를 함양시킴으로써 태도를 변화시킨다면 장애 중학생의 성공적인 학교 적응뿐만 아니라 나아가 통합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scenes of inclusive education. Also its purpose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 these ends, 287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 the average level,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teachers were low along with their participation in lessons. Second, the attitudes of common student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ended to be neutral with their behavioral and cognitive attitudes scoring low points. Final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attitudes of common students. There were especially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of common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facilitate the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chieve the given goal of inclusive education by improving positive attitudes of non-disabled students.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희웅,박상우,이수란 한국코칭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6 No.2

        본 연구는 개인의 소명의식이 자신뿐만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타인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대한민국 고등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생의 안녕감의 관계가 정서적 지지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정서적 지지를 매개하여 학생의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정서적 지지를 매개하여 학생의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지지는 학생의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하여 학생의 안녕감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이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적 지지(매개변인 1)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매개변인 2)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 및 실무적 함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