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 중심의 한국 특수교육: 역사, 현상, 쟁점

        김병하 ( Byung Ha Kim ),이근용 ( Kun Yong Rhee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광복 후 초기의 한국 특수교육은 뜻 있는 민간인들이 앞장서 그 발전의 주역을 담당하였으며, 이들 선구자의 중심에 대구대학교와 그 부속 특수교육기관들을 설립한 이영식(李永植 1894-1982)과 이태영(李泰榮 1929-1995)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 두 사람이 주도하여 추진해 온 특수교육 사업(대구대학교 특수교육과 그 부속기관들)이 한국 특수교육 발전에 어떻게 기여해 왔는가를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영식 목사는 광복기념 사업으로 1946년에 대구맹아학교를 설립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특수교육의 개척자가 되었다. 이어 이영식 목사의 장남인 이태영은 1956년에 오늘의 대구대학교 전신인 한국 이공학원을 설립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961년에는 정규 4년제 대학과정에 의한 특수교사 양성과정을 개설하기에 이르렀으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대학수준 특수교사 양성의 효시가 되었다. 그 후 대구대학교는 특수교육 분야 전문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1975년 대학원 박사과정에 특수교육학과를 개설하였으며, 그 후 우리나라에서 특수교육 전문 인력배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현재 대구대학교는 5개 장애 영역별(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정서장애)의 특수학교와 재활과학대학을 운영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장애인 교육과 재활의 ‘총합성’(總合性)을 단일 기관 내에서 독특하게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대구대 특수교육은 1977년에 특수교육진흥법이 제정되는 과정에서 정부를 계도하고 입법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1980년대 이후 세 차례에 걸쳐 국가수준의 특수학교 교육과정을 위탁받아 개발하기도 했다.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들며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그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이제 달라진 시대적 요구에 따라 대구대와 그 부속학교들의 특수교육이 그동안 축적해온 역사성에 걸맞게 그 리더십을 어떻게 발휘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省察)이 절실한 때이다. 특히, 한국에서 통합교육의 정착, 장애학(disability studies)의 입장에서 본 특수교육 전문성의 재정립, 그리고 세계화 시대에 상응한 한국 특수교육 정체성 정립등에 걸쳐 새로운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구대 특수교육은 심각한 자기반성과 더불어 새로운 리더십의 발휘가 요청된다. This paper present the history, phenomenon, and issues of Daegu Univers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of Korean special education. The early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n our country was led by private institutes or organization. Daegu University developed the first program of special education 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in Korea. The University and attached special schools have played the important roles, such as the pioneer practice in educ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eparation of the professionals in special education, urging law-makers to establish the Special Education Acts, and developing the n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such important roles as a pioneer higher education, Daegu University need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and to show leadership agai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urther, the University must be able to cope with new problems and issues of special education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국특수교육의 역할과 쟁점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1

        이 연구는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국특수교육의 역할과 쟁점을 다음 세갈래로 논의하였다. 첫째는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의 역사적 함의를 유럽과 미국중심의 세계화에 대응하는 정족론(鼎足論)의 입장에서 평화의 간절한 메시지로 제기하였다. 그러나 우리에게 동아시아 공동체는 여전히 ‘신화와 현실’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어, 특수교육분야만이라도 동아시아 네트워크 복합체 구축에 적극 기여하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로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ㆍ중ㆍ일의 역할과 과제는 서로 다르면서 같다. 21세기의 통합교육 지향시대에 동아시아 3국의 특수교육은 ‘이원적 일원화’(二元的一元化)의 공통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특별지원교육’ 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통합교육에 한 발앞서 있는 반면에, 중국은 분리교육으로서의 특수학교교육과 일반학교 내의 통합교육을 ‘동시발전’ 모형으로 압축해서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이원적 일원화’ 체제로서의 한국특수교육은 일본과 중국의 중간쯤 어디에서 자기 정체성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동아시아 공동체의 무늬를 띤 세계 속의 한국특수교육 정체성 정립을 위해 필자는 ‘화이부동(和而不同), 법고창신(法古創新),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한국특수교육론을 제기하였다. 우리는 이제 남이 알아듣고 읽을 수 있는 담론으로 ‘한국특수교육론’을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무대에 당당히 발설(發說)해야 한다. This paper presents three critical aspects on the role and issue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or building an East-Asian special education community. First, I discuss the historical implications for building an East-Asian community in special education. Particularly, for three different regional areas (Korea, China, and Japan) building an East-Asian community of special education is an important goal to accomplish in the future. One of the key essences is a collaborative work among the three countries throughout sharing partnership for building an East-Asia community network in special education. Second, I discuss about issues on a common focus of the above three countries. It is successfully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lthough all three countries’ ultimate goal is accomplishing inclusive education, these countries’ common reality is that special education is still separated from gener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of Japan has been developed by taking a ‘supportive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ince 2007, which presents a relatively progressive attempt for accomplishing inclusiv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China seems to be in the early stage of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given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educat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special schools although they also try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Last, I suggest that we need to establish the discourse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based on our tradition, history, and philosophy for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build an East-Asian community of special education. I emphasize that we need to discuss about establishing a ‘Korean special education’ using the discourse in the way that everyone can hear, read, and understand.

      • KCI등재

        통합교육의 선호요인, 통합교육 장면 및 특수학급 효율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권선미 ( Sun Mi Koun ),정용석 ( Yong Seok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3

        통합교육을 주장하는 관점은 매우 많은 갈래에서 비롯되었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연구에서 주장하는 다양한 이유나 요인들이 오늘날 한국의 특수교육을 통합교육으로 유도하였다. 이러한 가치 있는 연구에서 주장한 요인들이 특수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 선호요인으로서는 어떤 모습을 가지는가? 통합교육이 실천되는 교육현장의 관점에서 한국의 통합교육을 선호하는 요인에 대한 정보를 밝히는 것이 첫 번째 연구문제이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통합교육 장면은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통합교육 장면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적 관점에서 통합교육의 주 장면인 특수학급의 효율성을 장애영역 및 교육내용별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설문지를 통한 교사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특수학교 교사,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등의 교사집단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첫째, 통합교육에 기여하는 요인들은 한국의 집합주의 문화, 법과권리, 혜택, 접근성, 차별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교육을 선택한 이유가 교과나 사회적기능 영역에서의 혜택이나 차별의 감소 등의 요인보다는 집합주의 한국문화 요인과 법과 권리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통합교육 장면인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에서, 사회적 적응기능과 교과 영역에서는 특수학급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고, 차별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일반학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특수학급의 효율성과 관련해서, 특수학급은 정신지체,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영역이 지체장애 영역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세 가지 연구문제의 상당부분에서 재직형태별 교사집단에 따라 반응점수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facto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inclusive settings, and the efficiency of partial special class. We used questionnaire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and we analysed 324 teacher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received. Through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tions on facto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re different to the teachers’ groups such as special school, partial special class, and regular class. Second, there exist differences in teachers’ recognitions on partial special class and regular class as inclusive settings. Third, differences are teachers’ recognitions on the partial special class, according to disability fields, and to the teacher groups. And there exist differences in teachers’ recognitions on the efficiency of the content realm such as curriculum, discrimination, and benefit, to the teachers groups. Throug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explore parents’ recognition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lated inclusive education. Second, continuously we need to improve curriculum and environment to meet uniquen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논쟁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상위학문으로서 사회학문의 정체성을 문제 삼았고, 이어 우리나라에 ‘한국 특수교육론’이 과연 존재하는지 어떤지, 그리고 한국 특수교육론 정립을 위한 주요과제는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여타 사회학문 분야에 비해 특수교육학은 학적 연륜이 일천한 가운데 해외종속적인 수입학문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소위 ‘한국 특수교육론’의 정체성은 극히 불투명한 면이 있으나,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역사정립을 위한 몇몇 주목할 만한 연구가 수행되어 오기도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한국 특수교육론’ 정립을 위한 과제로 한국의 역사성과 현실성에 천착한 다양한 연구를 기대하며, 세계 속의 한국 특수교육론 정립을 위해 유럽이나 미국중심의 특수교육 담론과 겨루면서 차별성을 드러내는 아시아 특수교육 학술담론 형성을 제안한다. Korean special education has relatively short history as an established study comparing with the other discipline in social science. Further, Korean special education greatly depends on theory and discourse of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e identity of ``theor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is extremely ambiguous at present although have been remarkable studies for establishing historic identit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or a few decades.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scholastic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Specifically, three issues related to scholastic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were mainly addressed: a) identity of social science as a meta-theory, b) realit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and c) essential efforts for establishing Korean discourses o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stimulate a variety of studies on the basis of history and reality of Korea as an essential effort of establishing theory and discourse of special education.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play a leading role of making distinctive scholastic network and discourses about Asian special education which can be competitively comparing with European or American based scholastic discourses.

      • KCI등재

        장애인 야학의 전개와 운영상의 쟁점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두 야학을 중심으로

        김용욱 ( Yong-wook Kim ),하상근 ( Sang-geun Ha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3

        본 연구는 장애인 야학의 전개와 운영상의 쟁점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특수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야학은 민중교육을 담당하며 110년 이상 이 땅에 존재해 왔다. 노들장애인야학과 질라라 비장애인야학은 장애인 운동이 당사자주의로 전환하게 되던 시기에 장애인 운동 활동가들의 진보적인 운동의 축적과정에서 1993년과 2000년에 각각 설립되었다. 배움에 대한 끊임없는 열망으로 학업을 이어가던 중, 두 야학은 2001년 오이도역 사건을 계기로 장애인 이동권 운동을 전개하며 한국장애인 운동의 구심점으로 활동해 왔다. 이들은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실시된 문화체험을 통해 지역사회와 법제도의 변화 등을 이끌어내며 새로운 삶을 꿈꾸는 공동체로 거듭나고자 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30여 개의 장애인 야학이 운영되고 있는데, 이들은 장애인 야학의 운영난 문제 해결 및 활로를 모색하기 위하여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를 결성하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의거하여 평생교육 시설로의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그 명맥을 유지하면서 사회와 제도권 교육에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모색해 온 장애인 야학은 특수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첫째, ‘존재’ 그자체만으로도 특수교육의 제도적인 취약함을 드러낸다. 둘째, 학령기를 지난 장애성인을 위한특수교육적인 노력이나 실천이 그동안 부족했다는 것을 반증한다. 셋째, 학생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관계를 맺고 교육이 가능하다는 희망과 함께 탈학교적인 상상력을 자극해준다. 오늘날 우리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매우 부각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도권 교육에서 교육받을 기회를 갖지 못하고 성인으로 자란 장애인들이 가지는 배움과 삶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새로운 교육을 기획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이기도 하다. 장애인야학의 일련의 교육활동과 노력은 그동안 학령기 장애인을 주요 대상으로 학교교육을 실시해온 기존의 특수교육체제에 대해 그 외연과 전문성을 확장시킬 중요한 기회를 제공해 준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major issues related to operation of Yahak for the disabled and to suggest their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Yahak have provided education to the grass-roots over 11 decades in our country. In movements for the disabled, the slogan “Nothing about us without us” became prevailing, and Nodle Yahak and Jillalabi Yahak for the disabled were established respectively in 1993 and 2000 when activists conducted a series of progressive movements for the disabled. Disabled people were eager for learning, and the two Yahaks played a central role in Korean movements for the disabled by conducting a campaign for disabled people’s right to mobility when the Oeido station incident took place. The Yahaks offered hands-on culture programs as part of their extra curriculumto step up the change of the legal system and local community, and tried toserve as communities that could create a new life. Currently, there are about 30 Yahaks for the disabled in our country, which organized the National Association of Yahak for the Disabled to find a way out of their operating difficulties and attempt to turn in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under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Yahaks for the disabled have posed problems to our society and institutional education and sought after possible alternatives against all odds, and they have some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First, the existence of Yahaks is evidence of the institutional vulnerability of special education. Second, there haven’t been full-fledged efforts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to disabled adults who are past the legal school age. Third, they offer hope for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place and make it possible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school. Today, we are living i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is highly emphasized. In the situation, it is an undeniable requirement to provide new programs and contents of education for meeting the desires to learn and lead a new lif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grown into adults with few opportunities even in public education. Yahak’s criticism of public education and their concept of alternative suggest challenging tasks to planning and practicing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which has educated school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until now, and provide important opportunities for expanding its denotation and expertise.

      • KCI등재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의 재구조화 : 한국적 상황과 딜레머

        김병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 No.2

        우리나라의 경쟁적 학력중심 학교문화 속에서 특수학급 교육은 그 연륜이 쌓여짐에 따라 더욱 심각한 자기 정체성 혼란에 빠지고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에서 “특수학급은 특수교육 요구학생(대상자)에게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일반학교에 설치된 학급”으 로 규정하고 있으나,우리네 학교문화에서 특수학급은 분리(격리)된 교육의 장으로 따돌림 당하고 있다 정잭과 법규정의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현실적으로 우리나라 초ㆍ중등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은 2원적 분리구조의 틀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에 그 모순과 갈등이 내재해 있다. 그러나 진정 통합교육이 하나된 교육곰동체를 건설하기 위한 품위있는 교육적 노력이라면,단연코 우리는 하나의 과정(過程)으로서 통합교육을 줄기있게 추구해 가야한다. 왜냐하면,통합교육은 끊임없이 희망하고 노력하는 만큼 현실에서 가능한 실재인 반면에,할 수 없는 것으로 포기하면 여전히 하나의 이상으로 남을 뿐이기 때문이다. lnclusive education is a kind of school restructuring that implements high quality of education for all students. ln Korea, special classes in regular schools confront with a dilemma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between ex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self-contained special classes were pull out from regular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l994) in Korea, special classes in the primary & secondary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for operating the inclusive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end to maintain a sub-track system in public regular education setting. Restructuring special classes for inclusive education is a dilemma that should overcome the gab between ideological views and practical situation in Korea. In spite of this dilemma, we should put great efforts o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s a proces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 당사자의 특수교육 관련 법률 제ㆍ개정 참여에 대한 의미 연구

        유재연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starts from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in 1997. The time when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was established, only minor professions were interested in special education while people’s perception and knowledge were below the standard. Experts established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by persuading government in 1977. However, the law which were only influenced by minor specialists, showed passive attitude toward government’s role. Since then, the efforts to build a law were strengthened, as awareness of the people involved in special education. Therefore, the special education laws developed gradually to reinforce the government role, free education, and compulsory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some conflicts between government and disabled people, it brought us to have the law containing much of higher contents. In conclusion, cooperation is needed to establish a law that can be trusted, in order to bring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for government and also, for disabled people.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본격적인 발달은 1977년에 제정된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에서 비롯된다. 「특수교육진흥법」은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이 없던 시기에 특수교육에 적극적이었던 소수의 전문가들과 정부의 노력에 의한 정부 주도형 법률이다. 이후 군사정부에서 문민정부로 정권이 바뀌면서 시민의식의 성숙과 함께 1994년에는 특수교육 당사자가 법률 과정에 참여하여 「특수교육진흥법」의 전면 개정을 이루게 된다. 이후 장애 당사자 권리의 신장에 힘입어 2007년에는 「특수교육진흥법」이 폐지되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새롭게 제정된다. 이 과정에서 특수교육 전문가와 장애 당사자 간에 관련 법률 제정의 주도권 다툼에 따른 갈등이 표출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특수교육 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장애당사자의 입법 활동은 특수교육 의무교육과 무상교육의 확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 강화, 그리고 보호자의 의무규정 신설 등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 냈다. 하지만 특수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법률 내용을 실천해야 하는 구성원들의 신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특수교육 발전을 위하여 관련 법률의 제ㆍ개정에 참여한 조직과 구성원 모두는 신뢰형성을 위하여 함께 노력할 의무가 있다. 또한 법률 제ㆍ개정의 주도권 다툼이 긍정적인 특수교육 발전의 동인(動因)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으로 특수교육 관련 법률을 연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공동 협의체를 통하여 정보를 공유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한국과 일본의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지역 실천 사례 연구

        박경란 ( Kyung Ran Park ),박미정 ( Mee Jung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지역 실천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활성화 및 특수교육 지원의 고도화를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특수교육의 센터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을 각각 하나씩 선정하여 실천하고 있는 지원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네 관점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원대상으로 한국은 모든 장애 영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지원이 이루어지나, 일본은 장애 영역별로 구분되며, 학교 컨설팅을 통해 일반학교 교원의 전문성 함양에 기여한다. 둘째, 지원 내용으로 한국은 ‘진단.평가’와 ‘순회교육’의 기능에 주력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학교교육 담당인력에 대한 전문가적 지원을 더 강조하고, 이와 함께 아동 및 보호자에 대한 취학지원이나 상담에 비중을 둔다. 셋째, 인력 구성의 전문성으로 한국은 특수교사와 치료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본은 특수교사, 전문 상담사, 대학 교수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자료관리 측면에서 한국은 센터 운영 자료 등의 관리가 다소 미흡하나, 일본은 센터 개설 이후부터 관련 자료가 꾸준히 보관되어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cal practical cases of supports for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to invigorate the operatio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Korea and to sophisticate the supports for Korean special education. One center from each country was selected and each of their application contents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at of the other to deduct implications from four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in terms of the eligibility, the supports for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Korea are equal regardless of the types of disabilities, while the supports are determined by the types of disabilities in Japan. School consulting system in Japan contributes to the professionality of faculty in regular schools. Secon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supports, Korean system focuses on the functions of ‘assessment’ and ‘itinerant education’, while Japanese system emphasizes the need for professional workers in school education and for supporting admission and consultation for students and their guardians. Third, in terms of professionality of faculty organization, Korean system is composed of special instructors and therapists, while Japanese system is composed of special instructors, professional consultants, and university professors. Lastly, in terms of database management, the data stored as a record of center operations in Korea is quite insufficient, while related data is well maintained since the foundation of the center in Japa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특수교육공학의 방향

        김용욱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1

        The acceleration of social change i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s requiring stronger changes in education than before. The arrival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utilizes the Interne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has brought about an overall chang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direction of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cannot be irrelevant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presently somewhat inadequate to cope with the changing social and educational paradigm. Particularly, even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where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fully utilized, there is little specific discussion. Therefore, this study deals with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review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change, the sub-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counter measures of special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mmarizes educational philosophy and goals, curriculum,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welfarein consider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aper, proposes the direc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by critically reviewing the flow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In this process, it is a limitation that can’t point out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which is a subcategory of education but is a upper 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It is recommended that the future study should focus o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hierarchy and continuity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This study will be considered as a foundation of a series of studies.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사회적 변화의 가속화는 교육에서의 변화를 이전보다는 더욱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교육 분야에서의 전반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현재 교육환경, 교육과정, 교육내용과 방법 등에 걸쳐 교육의 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반면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절대 무관할 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사회적, 교육적 패러다임에 견주어 다소 미흡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온전하게 활용될 수 있는 특수교육공학 분야에서조차도 구체적인 논의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특수교육공학의 방향을 다루었다. 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개관해 보고, 이에 따른 교육 변화의 방향을 가늠해보고, 특수교육의 하위범주이며,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특수교육공학의 대응방안을 논의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진행된 관련 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교육철학 및 목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복지의 방향을 정리하며 교육방향의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변화 방향이라는 큰 틀에 맞추어 컴퓨터를 중심에 놓고 한국 특수교육공학의 흐름을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특수교육공학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육의 하위 영역이면서 특수교육공학의 상위 범주인 특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 점은 한계임을 인정하며 향후 연구는 교육, 특수교육, 특수교육공학의 위계성과 연속성에 기초하여 체계적인 특수교육공학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으면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연구에 대한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 조사

        권현수 ( Hyun Soo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4

        본 연구는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과 특수교육 전공과목 수강 선호도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편의표집된 294명의 일반 유, 초,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일반교사가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이 없었고 일반교사 대상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기회가 부족하다고 하였으며 전문지식 습득을 위해 특수교육관련 연수를 받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연수를 통해 전문성 신장 및 업무력 향상을 기대 한다고 답한 교사가 가장 많아 통합교육이 확대 실시됨에 따라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수교육 전공 교과목의 선호도를 살펴본결과, 가장 수강하고 싶은 과목으로 심리 및 상담을 선택하였고 진단 및 평가, 행동수정 등의 교과목이 장애아동을 교육하는데 필요한 과목이라고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연수기회의 대폭적인 확대와 함께 특수교육 관련 기술인 치료, 의사소통기술, 교수법 수정 등을 습득할수 있는 협력학습 형태의 실질적인 경험 중심의 과목을 강화하여 아동과 교사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The 294 general education teachers from kindergarten to highschool responded the survey about perceptions about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preference about special education cour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because of lack of opportunities, most of the teachers did not take the inservice training courses about special education however, they were eager to take the programs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e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support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e respondents also reported that the most favorable special education courses were psychology and counseling, teaching strategies, and assessments. They mentioned that they liked to learn about practical skills to use in their inclusive classrooms but did not want to take foundational knowledge courses such as teaching philosophy,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or understand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a conclusion, several guidelines were suggested for teac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improve the inservice training opportunities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service programs for beginning teachers, middle school teachers, high school teachers, as well as inclusion teachers are recommended. Second, the practical courses for inclusion such as behavior management, communication skills, and adapting the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s collaborative ways so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get benefit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