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기반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교육과정을 자율화하기 위한 학교와 국가 두 차원의 기반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지역(시도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 차원에서는 새교육-열린교육-혁신학교 운동을 해 오는 동안 교사들이 차시나 단원을 재구성하고 개발하는 경험을 축적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을 자율화 하는데 필요한 로컬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해서 실천할 만한 준비를 어느 정도 갖추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국가 차원에서는 그 동안의 교육과정 정책을 교육과정분권화-교육과정 지역화 및 교육과정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어느 정도 조성해 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은 교육청과 지원청의 역할 초점을 정하고, 교육과정을 자율화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oundation of two dimensions: school and country to autonomou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 role that can be played at the local level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education support offices) for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First of all,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have accumulated experiences in reorganizing and developing through new education, open education, and innovation school campaigns, And teachers are somewhat prepared to develop and implement local curricula needed to autonomy of the curriculu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policy foundation for autonomy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and diversification of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that the region should focus on the role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upport, and play a role in creating and operating a new system that autonomy the curriculum.

      • KCI등재

        Schwab의 the practical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이해와 오해

        정광순(Jeong, Kwa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본 연구는 Schwab의 the practical 관련 국내 연구 논문 10편을 리뷰하여, Schwab의 the practical에 대한 국내 연구 논문들이 갖고 있는 경향성과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점들을 밝혔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Schwab 연구의 경향을 두 가지, 하 나는 Schwab의 the practical을 리뷰하여 의의, 시사점을 찾는 소개형과 한계 및 비판점을 고찰하고 대안을 제시하거나, 확산적 논의를 한 연구형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국내 Schwab 연구 논문을 통해서 Schwab의 the practical을 접하는 독자들에게 이를 잘못 알도록 할 여지가 있는 점을 두 가지 찾았다. 독자들은 첫째, the practical을 이론과 대비적으로 잘못 알게 될 가능성, 둘째, 절충, 숙의 등의 개념에 대한 Schwab의 설명에 부족하고 모호하다고 여길 가능성이 있었다. This study reviewed studies done in South Korea regarding Schwab’s the practical, explored common misunderstandings made by readers, and then explained what are the misunderstandings based on Schwab’s papers (1969, 1971, 1973, 1983). The subjects of this were dominant 10 papers of Schwab. The results was two following. First, tendencies of dominant studies about Schwab were a introductory which reviewed the practical of Schwab and then suggested his purpose or meanings, or research which explored from critical point of view and then suggested third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or discussed with extended views. Second, this paper found two most possibile misunderstandings that were made by readers who encountered Schwab’s the practical from dominant studies about Schwab. One is that the practical is contrasting with the theory, and the other is that there are not enough explanations or given accounts are too obscure to fully understand the key concepts such as eclectic of art or deliberation.

      • KCI등재

        교육과 놀이의 관련성에 대한 발생학적 탐색

        정광순 ( Jeong Kwangso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Peddiwell(1939/1995)의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을 통해서 원시시대교육이 발생한 시점에서 교육과 놀이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학교교육에서 교육과 놀이 간의 관련성을 논의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원시시대, 새 주먹은 부족의 미래를 그리면서 교육을 구상하고, 자신이 구상한 교육을 하기 위해서 먼저 부족의 성인과 아이들이 생활하는 모습을 관찰한 것을 기반으로 ‘맨손으로 물고기 잡기, 몽둥이로 말 때리기, 불로 호랑이 몰아내기’라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아이들에게 적용했다. 이런 점에서 교사는 사색가이면서 실천가로서 ‘실천하는 지성인’임을, 교육과정은 ‘일이면서 놀이’임을, 수업은 아동의 삶의 모습인 ‘놀이의 모습’임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아동기 학교교육에서 교육과 놀이를 구분하기 힘들다는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is inquiring relations between Education and Play in schooling. I began with searching for what kind of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play and education back in a primitive society through reviewing ‘The saber-Tooth curriculum’by Peddiwell(1939/1995). Based on this result, I discussed issues of play in School Education today. I have reached to conclusion, First, viewing New Fist(새주먹) as a educator in a primitive society, New Fist designed education while thinking future of their society. To accomplish education, he watched how adults and their children live their daily life. Through his observation, he could create plays such as hunting fish with bare hands, training horses with a whip, driving out tigers from their residence for kids to play. Obviously, play had no difference from Education. And I discussed three. One is play as educating, two is play as curriculum or educational contents, three is play as instruc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통합교과서 개발에 대한 기술

        정광순 ( Kwangsoon Jeong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 통합교과서를 어떻게 개발하였는지를 개관하고, 그 취지와 의도를 밝혔다. 연구 결과, 첫째, 국정도서로서 통합교과서 개발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취지 반영과 통합교과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는 요구를 반영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청한 핵심역량 함양의 취지를 통합교과서에서는 단원별 1개의 교과 역량을 중점 함양하도록 개발하였다. 핵심 개념 중심으로 내용을 정선하라는 요구를 통합교과에서는 소주제를 33개에서 16개로 줄이고 한 주제를 1단원으로 개발하고 한 달 동안 집중학습을 할 수 있게 했다.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주제별교과서 체제를 유지하고, 책 수는 4권에서 2권으로 줄이고, 주제 학습 호흡은 2주에서 4주로 늘이고, 학생 참여형 수업 여건을 위해서 80분 단위의 차시 수업을 개발하는 등 현행 교과서의 약점들을 해소 완화하였다. 둘째, 새 통합교과서는 기존의 주제별교과서를 유지함으로써 주제 중심 통합학습이 현장에 안착하도록 의도하였고, 구성차시를 도입하여 학생의 수업 참여 방식을 전환하고, 참여 정도를 강화했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first, we developed text books. Especially, when we were in progress, there were demands to meet the intent and purpose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make it dedicate to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ield. Therefore, the new version of the integrated textbook includes 1 core competency, required by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er unit, and reduced 33 small themes into 16 in order to reflect requirements to focus on key concepts. The new version of the integrated textbook also was remained to be textbook based theme, the number of the books were reduced from 4 to 2, length of the intervals were changed from 2 weeks to 4 weeks, and 80 minutes student-participation-class was newly introduced. Second, the new version of the integrated textbook remained its format as textbook based theme in order to set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class down in the practice. On the other hand, we introduced blank lessen(구성차 시) to transform and strengthen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 KCI등재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인식하는 관점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어떻게 이해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는데, 특히 전제와 구심점을 밝혔다. 이를 위해서 전이 현상에 대한 이론적 패러다임과 국내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인식 해 온 관점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이를 인식하는 패러다임은 전이를 문화 적응 과정, 생활세계의 확대에 따른 관계 및 심리 특성,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를 잇는 징검다리 놓기로 이해하도록 안내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국내 연구는 유치원의 전이 활동을 ‘준비’, 초등학교의 전이 활동을 ‘적응’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하도록 이끌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유치원에서의 전이활동과 초등학교에서의 전이활동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 초점, 개념 구분이 필요하며, 이런 방향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잇는 징검다리 규명과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의 전이활동에 대한 정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regard ‘How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study explored theoretical paradigms and domestic prior studies of the transition, then discussed 4 distinct viewpoints of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ies about the transition guided us to cultural adaptation process(cultural approach), particular psychological phenomenon accordingly to life world expansion(psychological approach), and living as a member of a new society(sociological approach). Also, domestic prior studies described transition to kindergarten as ‘preparation’ and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s ‘adaptation.’ Thus,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needs to be understood as a honeymoon, and then as a cultural shock or crisis in the elementary school, which these shock and adaptation would rather be real than a mere maladjustment. Secondly, the transition can be observed mainly as a transition during the kindergarten years and a change in the elementary school. Thirdly, the studies needed to discover a switching frame integrating two dimensions after exploring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nsitions. Lastly, the study made it clear that approach to kindergarten transition was positive sentiment and congratulating perspective protecting excitements and expectations toward the school life.

      • KCI등재

        교육적인 것의 의미 고찰 -van Manen의 해명을 중심으로-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van Manen이 해명한 ``교육적인 것``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어떤 사람인지, 교사가 하는 교육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래서 교사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고, 교육학이 축적해야 할 지식이 어떤 지식인지 등의 질문을 van Manen이 어떻게 해명하는지를 밝혔다. 연구 결과, van Manen의 ``교육적인 것``은 교육이 분위기를 타는 활동이며, 교육학 및 교사교육은 교육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교사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데 필요한 교육을 해야 한다고 논의하였다. 이에 본 고찰을 통해서 현상학적 해석학자로서 van Manen의 교육적인 것은 교육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일이며, 이것을 그는 Pedagody에 대한 해명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the interpretation of pedagogy by van Manen. This study investigated van Manen`s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phenomenology regarding who teacher is, what teaching is, how to educate teachers, and what educational knowledge is. As a result, first, it discussed that van Manen`s pedagogical is atmosphere activity that guides teachers how to think and behave in learning situations. van Manen as a phenomenological interpreter suggested what we should research, what educational(pedagogical) knowledges are through explaining teacher`s intervention in place where teaching and learning are in progress. And it was recognized that pedagogical atmosphere is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edagogy.

      • KCI등재

        자유학기제 도입과 중학교 수업 개선 방안

        정광순(Jeong, Kwa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이 연구는 수업의 입장에서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살펴본 결과, 자유학기제가 중학교 수업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탐색했다. 그리고 중학교 교육의 정체성 관점에서 중학교 수업이 초등이나 고등학교와 어떻게 차별화하고 있는지를 중학교 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교과통합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중학교 교사에게 ‘단일 교과 축약형 수업’, ‘느슨한 형태의 교과 통합형 수업’, ‘기존의 개별 학교 모형을 정교화 정형화하는 수업’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ion of instructions’ form and method during the free semester in middle school. To this aim first it is meaning of the free semester in middle school that change to instructions’ form and method. Second It inquired the na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middle level school based on middle school movement in United States. Based on both Third it suggested an alternative idea as a teaching unit of several subjects integrating. And it was suggested three. First middle school teachers have curriculum literacy and could compacting textbooks lessens. Second they could be loosly threaded several their instructions apply to Fogarty’s threaded model. And they can be intentionally implementing and designing a integrated day by one subject. Last school can develop as a self model through school based curricula elaborate and standardize.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계 및 현장의 개선 요구에 대한 해명

        정광순 ( Kwangsoon Jeong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5 통합교육과정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바, 슬, 즐 교과 교육과정 고시 이후, 학계에서 쟁점이 된 논의와 현장으로부터 나온 의견들을 살펴보고 한 하나의 해명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초등학교 통합수업의 관점에서 2009 개정 바, 슬, 즐 교과 교육과정을 보면, ‘바, 슬, 즐 시간에 바, 슬, 즐 교과서 가르치는 수업’을 ‘테마가 있는 주제중심 통합수업’으로 전환을 위한 것임을 밝혔다, 연구 결과, 첫째,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항은 크게, 세 가지였다, 하나는 바, 슬, 즐 교과는 독립 교과인가 혹은 통합교과인가 하는 문제, 둘은 2009 개정 바, 슬, 즐 교과 교육과정이 탈학문적 접근이 맞는가 하는 문제, 마지막으로 유-초교육과정 연계 관점에서 누리과정보다 바, 슬, 즐 교과 교육과정 내용 수준이 낮거나 역행 한다 것이었고, 본 연구는 이 각 쟁점에 대해 해명하였다, 둘째, 2013학년도 이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 교과서를 적용 하면서 바, 슬, 즐 교과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한 현장의 요구는 두 가지였다, 즉 이 연구는 바, 슬, 즐 구분을 없애 달라는 요구와 1학년과 2학년의 주제를 달리 해달라는 요구에 대해 해명하였다, This paper studied and explained issues that has been disputed in the research field after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and suggestions from the school field. For this purpose, first,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grated subjects teaching an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s to shift the landscape of the normal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learning and teaching from ‘teaching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at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time’ to ‘Theme based’ After the research, Consequently, first, issues that has been disputed in the research field can be defined into 3 categories; 1) Are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independent or integrated subjects? 2) Did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have trans-disciplinary approach? 3)Explained the critics regarding K-1st grade that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is lower or reverse in its content level than Nu-ri curriculum. Secondly, since 2013,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as understood in a full scale as an application to a new textbook, and thus this study explained 2 requests from school, that is 1) remove the boundaries of each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and 2) differentiate the themes of 1st from 2nd grade.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해설: 개발자의 관점과 사용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바른 생활과, 슬기로운 생활과,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 과정을 따라 개정한 내용을 개발자의 관점에서 의도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가교육과정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관점(현장의 통합교과 수업의 관점)에서 개정한 내용이 가지는 의미를 해설하였다. 개발자의 관점에서 의도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2022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과정을 탐색하였다. 탐색 결과, 주제 개발권을 현장으로 이양한 의도, 통합교과 교육의 지향(지금-여기-우리 삶)과 역량(지금-여기-우리 삶을 살아가는 힘)을 설정한 이유, 이 지향과 역량과 관련해서 바 슬 즐 교과의 성격-목표(총괄목표1개, 하위목표3개)-영역(4개)-핵심아이디어(8개)-성취기준(48개)을 개발한 사실과 총론의 요구 사항들(입학초기 적응활동, 안전한 생활, 연계 강화, 신체활동 강화 등)을 바 슬 즐 성취기준에 반영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에서 학교에서 통합교과 교육(수업)이 어떤 모습이며, 이 과정에서 2022 통합교과 교육과정 제 요소들이 하는 역할을 해설하였다. In this study, the intention and meaning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were examined from the developer's point of view. In addition, the meaning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 Unit development viewpoint) using the national curriculum was explained. For this,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draft-development research process was explored.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empowered schools by distributing the rights to develop the subject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to schools and developed the direction (jigeum-yeogi-uri(now-here-our) life), the competency (the capability to live ‘jigeum-yeogi-uri life), and the nature-goals(one general goal, three sub-goals)-areas(48)-key ideas(8)-achievement standards(48). Based on these results, we explained what roles the elements of the 2022 integrated curriculum play in integrated subjects class.

      • KCI등재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정광순(Kwangso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이 연구는 시⋅도 교육청에서 개발 고시하는 ‘지역교육과정’이 교육과정으로서 정체적으로 존재 할 가능성을 논의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미국 캘리포니아 주와 독일 베를린 주 교육과정 사례를 검토하고, 향후 우리나라 지역교육과정을 개선하는데 시사하는 점을 세 가지(국가교육과정과 지역교육과정 일원화, 국가-지역-학교교육과정이 의미상 동일한 교육과정으로 연계, 국가-지역-학교 교육과정이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 현장에 공존할 수 있다는 가능성) 찾았다. 결과 이 연구를 통해서 다음 세 가지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교육과정을 시⋅도교육과정으로 그 이름을 바꿀 것, 둘째, 지역교육과정을 총론 중심에서 각론 중심으로 개발할 것, 셋째, 지역교육과정은 국가교육과정이나 학교교육과정과 구분되는 역할로 교실교육과정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각자가 거주하는 지역(시⋅도 교육청과 지원청, 학교, 교실 등)에서 개발해서 실천하는 로컬교육과정을 안착시키는 것이 우리나라 교육과정 미래를 열 수 있는 열쇠 중 하나라는 결론을 얻었다. Objectives The paper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Local Curriculum,’ which is developed and officialized by local education offices, to exist with an identity as a curriculum. Methods For this, the curriculum cases of California State, USA and Berlin, Germany were reviewed, and three implications were drawn for the Korea’s local curriculum reform in future: Unifiying the national and local curriculum; aligning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curriculum identically by definition;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national, local, and school curriculum as a curriculum in classrooms. Results Three result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local curriculum should be renamed as municipal-provincial curriculum. Second, the focus of local curriculum should move from general curriculum to subject curriculum. Third, local curriculum should find its own role to support classroom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long with the national and school curriculum.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stablization of local curriculum developed and enacted in local places(i.e. local education offices, schools, and classrooms, etc.) is one of the keys to open up Korea’s educational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