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의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SBCD) 유형특징의 연구 : "재량활동"에 있어서의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을 중심으로 A Point of Teacher`s Curriculum Activity in the Optional Activities

        정영근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을 국가 교육과정 기준완화에서 보여지는 한국의 SBCD의 유형특징을 제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에 주목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데 있다. SBCD의 실천에 따라 교사의 여러 가지 교육과정 활동을 지적할 수 있지만, 본 고에서는 특히 교육과정 요소와 관련한 활동을 나타낸다. 또한 SBCD는 그 실천에 있어서 국가 및 학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되는데, 본 고에서는 한국의 경우는 어떠한가를 검토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한국의 사정을 생각하면서 갖게 되는 다음 2가지 의문에 주목하고 있다. 하나는 국가 교육과정 틀 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SBCD는 어떤 유형으로 파악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한국적 SBCD에 따라 교사들은 교육과정 활동을 행하고 있으며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고에서는 다음의 4가지 사항을 다루고 있다. 첫째, 논의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SBCD의 아이디어와 유형에 대해서 고찰한다. 둘째, Coodlad의 교육과정 공통요소에 기반을 두고 다룬 Brady의 교육과정 요소에 따른 모형을 검토하여 교사의 교육과정활동을 검토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의 기준완화에서 보여지는 한국적 SBCD의 동향을 검토하여 그 특징을 구명한다 넷째, '재량활동'의 계획수준에서 교사들이 행하는 교육과정 요소에 따른 교육과정 활동의 특징을 학교자료 및 질문지 조사를 통해서 밝힌다. 위와 같은 사항에 따라 검토한 결과 다음의 사항이 밝혀졌다. 첫째, 국가 교육과정에 의해서 도입되고 있는 한국적 SBCD에서 그 기본적인 틀을 중앙에서 연구·개발되어 마련되고 있고, 그 틀 내에서 교사는 교육과정 활동을 행하고 있다. 재량활동에서 보면 재량활동의 기본적 영역까지는 중앙에서 결정하고 그 영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행할 것인가는 각 학교가 정하고 있는 이분화(二分化)의 특징이 보여졌다. 둘째, 한국적 SBCD의 실천에 따라 교사가 정말로 교육과정을 다루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교과영역에 대해서는 이직 논의의 여지가 있고, 재량활동에 대해서는 제한적이긴 하지만 교사 스스로 교육과정 활동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셋째, 재량활동 계획에서 볼 수 있는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에는 상당히 목표지향의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BCD(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eacher's curriculum activity during the Optional Activities in Korea where the criteria of national curriculum is loosening. Teacher plays diverse roles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SBCD. This study focuses on teacher's activity relating curriculum elements. The major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dea and type of the SBCD have been reviewed. Second, the trend of the SBCD after 6th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in Korea has been reviewed. Third, teachers'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plan level of the Optional Activities have been analyzed to find how the SBCD has been applied in each in Korea. For this study, annual education plan for the Optional Activities has been collected form 33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analyzed. And 169 teachers in 25 elementary school in Busan have been surveyed using the scale that is revised from Brady's CMQ to match with plan situation of the Optional Activities, and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Traditionally, school curriculum has been decided by the Course of Stud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because the Ministry of education carries legal restrictive force. The Course of Study has been revised seven times according to strengthening and loosening curriculum. The idea of the SBCD has been included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6th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and it is strengthened at th 7th revision. The Optional Activities becomes an area of the Course of Study, in which schools construct and implement their curricula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The Optional Activities was introduced to 3rd, 4th, 5th, and 6th grades in the 6th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and expanded to 1st, 2nd, and 7th thru 12th grades in the 7th revision. Conclusions based on the purposes and research questions of this are as follows: The idea of the SBCD is consider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curriculum, and it has been developed under the slogan of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in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The terms, `curriculum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in school level, have been used from the 7th revision of Course of Study, and now it is easy to find teachers' curriculum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BCD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framework of the SBCD is provided by nation in Korea because the SBCD is introduced by national curriculum. Teachers perform curriculum activ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curriculum. Korean government decides the basic area of the Optional Activities, and each school decides sub-areas, contents and methods.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teachers perform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Optional Activities in Korea. However, it is still under discussion whether or not teachers perform curriculum activities in subject areas. Third, as a result of the facto analysis, there was goal-oriented tendency in the plan of the Optional Activities as teachers' curriculum activity.

      • KCI등재

        교육과정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2011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 Okhan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정 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과정연구 논문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330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10년 전(2000-2010) 연구 동향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경우 총 59편(18%), 교육과정 이론은 총 65편(20%), 둘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문헌 또는 이론연구가 총 209편(63%)으로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총 85편(26%), 양적 연구가 총 36편(11%)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과거 10년(2000년~2010년)과 현재 10년(2011년~2020년)을 비교한 연구 동향은 전체 논문 편수는 10년 전총 365편에서 10년 후(2011-2020) 총 330편으로 35편(10%) 감소하였다. 연구주제별로 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분야가 총 64편(52%) 감소하였다. 문헌 및 이론연구의 경우 총 34편(14%)이 감소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경우 총 12편(50%)이 증가하였고, 질적연구의 경우 총 12편(12%) 감소하였다. 향후 교육과정연구 학회지뿐만 아니라 한국통합 교육과정학회, 교육학회 등 인접 학회지와 비교 연구와 더불어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등도 함께 살펴볼 필요도 있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330 curriculum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and compare these with research trends 10 years ago to stud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ends by subject for 10 years were 59 articles (18%)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and 65 articles on (20%). Second, in the same 10-year period of the curriculum journal research trends relating to methodology were most frequently identified with 209 articles (63%) on the literature and theoretical studies, 85 articles (26%) involving qualitative studies, and 36 quantitative studies (11%). Third, another research trend emerged when comparing the past 10 years and the current 10 years of the curriculum journal. In the first decade examined, 365 articles were published, whereas 10 years later 330 were, indicating a decrease of 35 (10%).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not only journals for curriculum research, but also books,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s well as comparative studies with adjoining journals such as that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김대현 ( Dae-hy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2

        이 연구는 2015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에서 거버넌스 체제가 어떠했는지를 탐색하고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13년 10월부터 2015년 9월 사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생성된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앙 정부의 간섭과 통제를 받는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와 같은 기구로는 권한, 조직, 예산 등의 이유로 국가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국가교육과정정책자문위원회와 국가교육과정개정자문위원회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위원회의 권한, 역할, 책임 등을 명확히 해야 한다. 셋째, 국가교육과정각론조정위원회가 의미있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위원회 구성, 회의 개최 시기, 일회 회의 시간과 횟수, 논의 결과의 반영 경로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국가교육과정 포럼 운영이 생산적인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포럼 개최 이후 포럼 운영자와 개발진, 교육부 담당자가 참여하는 협의회의 운영이 필요하며, 공청회는 시행 시기와 운영 방법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학교 현장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국민적인 공감대를 얻기 위해서는 공론조사 방법이 권장된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심의회(운영위원회)는 법적으로 의결기구로 격상시키고, 심의 시기, 심의 시간, 전문위원 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overnance system for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to find out its limits. For this, we analyzed the published literature referring to the 2015 curriculum from October 2013 to September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stitutions such as Curriculum Reform Research Committee which are under the influence of government has limitations in developing national curriculum due to lack of authority, organization, budget, etc. Second, National Curriculum Policy Advisory Committee and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dvisory Committee should clarify their powers,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order to function with its purpose. Thirdly, in order to do its role, Subject Matter Curriculum Mediation Committee should improve its managing aspects such as the constitution of the committee, the timing and the frequency of meeting, and the whole amount of time in each meeting, etc. Fourthly, for the productive operation of national curriculum forum, it should be followed by the operation of the council with forum operators, development tea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s. Finally, Curriculum Review Committee needs to be upgraded to a legislative organization along with the extension of the meeting hour and the facilitation of expert committee system.

      • KCI등재후보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개선 방향 :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조난심 한국교육과정학회 2004 교육과정연구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1997년에 개정 고시되어 현재 각급 학교에서 적용되고 있는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글에서는 교과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과정에 대한 검토와 피드백이 필요함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으로 인성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인지적 접근에서 통합적 접근에로의 변화, 도덕과 교과목 편제의 재구조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특징들은 도덕과 교육이 사회적 요구, 교과 자체 내의 요구 등을 감안하여 새 교육과정 구성에서 반영한 사항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문제와 미해결의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먼저, 제 7 차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도덕 교과목 편제로 인해서 발생하는 중등 도덕과 교육의 문제를 살펴보았고,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서도 도덕과 교육의 실효성 논쟁, 한국 윤리 대 보편윤리간의 논쟁, 교육 내용 구성 원리인 생활영역 대 도덕적 주제간의 논쟁 등 도덕과 교육의 쟁점들이 미해결인 상태로 남아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이러한 점토를 바탕으로 향후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덕과 교과목 편제를 가능한 범위에서 조정하도록 하고,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학적 개선을 위해 앞에서 제기된 미해결의 쟁점들에 대한 연구 검토와 아울러. 도덕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교사들의 도덕과 교수학적 지식을 수집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problems which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t. Based on this analysis, I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Especially,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and feedback of each subject matter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development of a subject matter education.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7th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re adap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to moral education, changing focus of moral education from cognitive approach to integrate approach, and re-structuring the time allotment standards of moral education. These characteristics reflected that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sed according to the social and academic needs concerning on school moral education. Meanwhile,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as implementing in the schools, several problems were revealed. First, there is short of time for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ecause just one school time period was alloted for moral education per week. Second, it is necessary to take two elective courses of moral education in high school if a student wants to select moral education on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college entrance. Third, there still remains unsolved important moral education issues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ose are low effectiveness of school moral education, controversy between Korean ethic and universal ethic a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nd introduction of moral themes as the major stream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stead of domains of moral life.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I propose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ange time allotment standards of moral education, to discuss about unsolved moral education issues, and to gather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of school mor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아비투스를 통한 교육과정 실행 행위와 현상 해석

        이윤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behavior and phenomenon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through habitus, which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us, I examined teachers' behavior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explored habitus, which is a fundamental system of propensity and principle of calculation that triggers such behavior. As a result,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consumer habitus’ and ‘producer habitus’, which are the habitus that exist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at the behavior and phenomenon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he view of these two habituses, in the view of habitus of teachers, what appears to be the same behavior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could be interpreted as a middle ground created by a combination of consumer and producer habit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discussions were discussed: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view that all teachers who teach according to textbooks are regarded as teachers who lack curriculum expertise, or that the level of expertise is undervalued. Second, in order to achieve qualitative growth away from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which is close to the reconstruction of textbooks or other teachers' classes, the 'curriculum' needs to be identified and a clear term should be used accordingl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존재하는 아비투스를 통해 교육과정 실행 행위와 현상을 해석하는 데 있다. 이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행위를 살펴보고, 행위를 유발하는 근본 성향체계이자 산출원리라 할 수 있는 아비투스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존재하는 아비투스로 ‘소비자적 아비투스’와 ‘생산자적 아비투스’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아비투스를 통해 교육과정 실행 행위와 현상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아비투스에 비추어 교육과정 실행 행위를 보면 같은 행위로 보이는 것도 다르게 해석할 수 있고, 교육과정 재구성은 소비자적 아비투스와 생산자적 아비투스가 결합해 만들어 낸 하나의 중간지대로 해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행위 그 자체만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시각은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둘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의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이 가리키는 실체를 구분하고, 그에 따라 명확한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부분·수시 개정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김재춘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3

        이 글에서 연구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부분 · 수시 개정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최근 들어 교육과정의 부분 · 수시 개정 담론은 전통적인 전면 · 일시 개정 담론을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연구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부분 · 수시 개정 논리의 타당성을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이전의 교육과정 개정을 주기적, 전면적, 일시적 개정으로 특징화하는 것이 올바른가를 살펴보았고, 둘째, 전면 · 일시 개정의 문제점이 부분 · 수시 개정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이전의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방식을 주기적, 전면적, 일시적 개정이라고 특징화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전면 · 일시 개정으로 인하여 발생한 문제들이 부분 · 수시 개정을 한다고 해서 없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분 · 수시 개정의 경우 또 다른 부작용들이 발생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부분 · 수시 개정하기보다는 국가 교육과정은 최대한으로 대강화 · 요강화하고, 학교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의 권한을 단위 학교로 대폭 이양하는 접근법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이럴 경우, 국가 교육과정은 부분적으로 수시로 개정될 필요가 없어진다. 왜냐하면 국가 교육과정을 부분 · 수시 개정하자는 담론은 국가 교육과정이 이전처럼 앞으로도 계속 세세한 것까지 규정할 것을 전제하는 논의 양식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현재 우리에게 절실한 것은 전면 · 일시 개정 방식을 부분 · 수시 개정 방식으로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교육과정을 대강화 · 요강화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권을 강화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discourse of partial and constant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The discourse of partial and constant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has recently been circulating widely in Korea, on the one hand, gaining an increasing impetus as an alternative way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on the other hand, blaming the traditional way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for its periodic and/or wholesale nature. In the former par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critics' characterization of the traditional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as being periodic and wholesale is relevant. It is found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has not always been revised periodically or wholesale. In the past 50 years,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several times revised partially and/or non-periodically. And curricular problems, which are supposed to be caused by periodic and wholesale revisions, could not be resolved just by substituting partial and constant revision. In the latter part,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and/or side-effects which an alternative way of revision, partial and constant revision, can cause, if it is being introduced. The partial and constant revision would turn ths school into a place of big chaos where teachers and students are going to be confused with too many changes taking place in the schoo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ase of periodic and wholesale revision versus partial and constant revision is not a good problematics educators have to deal with at this time in Korea. Rather, Korean educators had better tackle with such urgent issue in Korea as how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schools can share power over school curriculum. The central government's power over school curriculum should be increasingly getting smaller, whereas the power of local government and/or schools over school curriculum should be gradually getting larger.

      • KCI등재

        뇌과학 연구 성과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진호 ( Jinho Han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오늘날 진일보를 거듭하는 신경과학기술의 수혜로 규명된 뇌 관련 지식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적용될만한 원리나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학에 적용될 수 있는 뇌의 주요 특성을 ‘가소성, 층위 포위성, 다양성, 사회성, 통합성’의 5가지로 정리하고, 문헌연구를 토대로 뇌기반 교육과정 개발 단계별 지침을 ‘교육목표 수립, 교육내용 선정, 교육내용 조직, 교육평가, 잠재적 교육과정’ 등 5개 영역의 틀로 총 84개의 항목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후 뇌과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교육학자 25명을 패널로 구성하여 이들을 통한 내용타당도비율(CVR) 검증을 거쳐 2개 항목을 제외하고 최종 82개 항목을 교육과정 개발에 유관한 것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기법을 활용하여 항목별로 교육적 필요성의 우선순위에 대한 의사결정 토대를 구축하였으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잘못 실행되거나 실행되지 않는 항목 23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실행지침 부분에 이들을 반영할 필요를 권고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장차 교육과정기준 문서의 개발에 줄 수 있는 시사점으로, ① 개별 학생의 독특한 뇌의 특성 존중, ② 역량을 뇌의 관점에서 해석, ③ 이성 뇌의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으로서 안전 및 정서 함양 강조, ④이성 뇌의 효율적인 활용 강조, ⑤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⑥ 뇌(신경)기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학교와 전문기관의 협업 등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뇌 작동원리와 학습기제에 적합한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의 관점을 강조하며, 뇌기반 교육연구를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종합하여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활동 수행에 구체적이고 풍부한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icit the principles or implications applicable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by using the brain-related knowledge. For this first, the major features of brain which can be applied to a study of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brain plasticity, enveloping of layer, variety, sociality, and integrity. From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eveloped and presented total 84 items of guidelines in each stage of developing the brain-based curriculum through the five-domain fram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oal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evaluation, and latent curriculum. After going through the verification of CVR by 25 panels composed of educationalist who tries to link brain science research to education, this study finally extracted total 82 items related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Also, using the IPA technique, established the decision-making foundation regarding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cessity in each item. And as the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standards develop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discussed ① the honor for unique brain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student, ② the interpretation of competency in the perspective of brain, ③ the emphasis of safety and cultivating the emotion as an environment for the activation of rational brain, ④ the emphasis of efficient use of rational brain, ⑤ the presentation of guidelines for latent curriculum, and ⑥ the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specialized institution for the improvement of brain(nerve)-based problem behavi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oncrete and abundant guideline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performance of educational activities by emphasizing the perspective of plann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suitable for the brain operation principles and learning mechanism of students, and then reinterpreting and putting together the brain-based education researches in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 KCI등재

        교사들이 형성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탐색

        김종훈 ( Jongh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체제를 따르는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은 국가에 의해 개발된 교육과정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교실의 상황과 맥락,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 교사의 신념과 가치 등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고려할 때,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학교와 교실에서 실행되는 양상은 저마다 다른 모습을 취할 수밖에 없다. 교사는 주어진 교육과정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 맥락에 적합하도록 이를 변경하거나 수정하게 된다. 교육과정 연구 및 실천 분야에서 이와 같은 교사의 실천 행위는 흔히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일컬어져 왔다. 이 글은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을 통해 교사들이 형성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해 온 두 명의 초등학교 교사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이 그들에게 있어 어떤 의미인지를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교사의 경험과 교수 실천의 의미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함으로써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할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In Korea, which follows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system, teacher curriculum implementation is based on the curriculum developed by the nation. However, given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schools' and students' needs and levels, as well as teachers' beliefs and values, the way in which the national curriculum is implemented varies. A teacher does not deliver the given curriculum exactly as it is, but modifies it to fit the context of their teaching practice. In the field of curriculum research and practice, this has often been referred to as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meaning-making through their experien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o do this, the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o teachers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based on the story of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practiced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This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basis for exploring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by examining the meaning of teachers' experiences and teaching practice.

      •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종건 ( Jong Gun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

        이 연구는 지난 50여 년 동안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에 적용되었던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① 개정 주기 ②개정 동기 ③ 결정 체제 ④ 개정 주체 ⑤ 성격 ⑥ 유형 ⑦ 실행 여건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 특색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① 제 4차-제7차 교육과정은 개정 `5년 주기설`에 따라 5년마다 개정되었지만 최근에는 `부분·수시 개정`의 원칙에 따라 개정되고 있으며, ② 주로 교육 외적 요인이나 동기에 의하여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왔었고, ③ 교육과정 결정 체제는 항상 중앙 집중 체제였지만 6차 교육과정 이후에 다소간 분산체제로 변화되었으며 ④ 주로 관(官) 주도에 의하여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왔고, ⑤ 항상 공급자 중심 교육과정이었으며, ⑥ 교육과정 유형은 `복합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⑦ 개정된 교육과정의 실행 여건이 미비하였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미래의 교육과정은 혁신적인 패러다임, 새로운 체제에 의하여 개정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The study intended to review critically the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terms of ① revision period ② motive of curriculum revision ③ curriculum decision system ④ initiating group of curriculum revision ⑤ nature of curriculum ⑥ types of curriculum ⑦ provisions for curriculum application. The study argued such as: ① recently, curriculum is revised by the principle of `part & irregular`, while curriculum had been revised by the principle of ⑤ years regular revision from the period of the 4th curriculum to 7th curriculum, ② curriculum has manly been revised by extrinsic motives of education, ③ decision making system for curriculum revision has always been centeralized one, ④ curriculum revision has usually been supervised by government officials, ⑤ curriculum has always been revised in the point of `supplier` of education. ⑥ the type of curriculum was always complex one, ⑦ poor provisions were made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futur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based upon an innovative paradigm and development system.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특성을 반영한 양질의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 광주교대 사례를 중심으로

        황윤한 ( Yunhan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자격무시험검정령의 개정으로 인한 새로운 요구를 반영하고 입학사정관제 도입으로 인해 특성이 다양해진 예비교사들에게 양질의 초등 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교육의 세계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선진국들의 초등교사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사교육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두 종류의 질문지를 활용하여, 먼저 광주교대 전체 학생들의 학업생활 특성들을 분석·확인하고, 교육과정을 대부분 이수한 4학년 학생들과 이미 이수하고 현장에서 3~4년 근무한 초등1급정교사 자격연수생들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교육 패러다임의 동향과 선진국들의 초등교사교육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서 얻은 시사점들 활용하여 예비교사들과 현장교사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적 교육과정 모델을 강구하고자 하였다.이 연구는 교사교육의 패러다임을 역량/수행에 기반한 21세기형 수업전문가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초등교육 현장 중심 교육과정이자 예비교사들의 요구에 순응하는 교육과정을 교육과정 개정방향, 편성지침, 교육과정 체제 순으로 제안하였다. Due to the introduction of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teachers show great diversity;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for earning teacher certificates have changed.These two factors dem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reconstruct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er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raises four research questions: 1) How have teacher education paradigms been changed?; 2) What do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a in advanced countries look like? 3)How do students admitted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differ from their counterparts admitted via regular admission, and what are their needs fo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4) How does the new constructiv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look like? To answer each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changes in teacher education paradigms and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a in advanced countries to extract implications that can then be used to set the direction of new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change South Korea. Second, the study analyzes the needs of prospective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using two different kinds of surveys. Finally, reflecting all the implications extracted from the analysis of teacher education paradigm changes and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a in foreign countries, and the needs of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a model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high-qual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