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현황 분석을 통한 학생평가 내실화 방향 탐색

        김현미(Kim Hyun Mi),김태환(Kim Tae 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고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2025년에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방법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학생평가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제시한 ‘2020학년도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계획’의 중점 운영 과제(안)의 ‘학생평가 내실화’ 영역에 기초하여 ‘과정 중심 평가 활성화 및 학생부 기재’, ‘성취평가 내실화’, ‘최소학업성취수준 보장을 위한 책임 지도’를 분석의 틀로 도출하고 설문 조사 도구를 만들었으며, 일반고 연구학교 1~3년차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학생평가 운영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 및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학교에서 과정 중심 평가가 활성화되고 있었고, 서⋅논술, 실험⋅실습,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방법을 평가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반 이상의 학교들이 교수⋅학습계획서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교수⋅학습계획서에 평가 계획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다. 학생들이 수강신청을 하는 시기에 교수⋅학습 계획서를 제공하는 학교보다 그렇지 않은 학교가 많았으며 선택 과목이 확정된 후에는 절반이 넘는 학교에서 교수⋅학습계획서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절반 정도의 연구학교들이 최소학업성취수준보장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 학교들은 최소학업성취수준 설정의 어려움, 프로그램 운영 시간 부족, 대상 학생 선정의 어려움 등을 제시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경우 학업 성취도를 학생 선정의 핵심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었으며, 국어, 영어, 수학 등 주요 과목 내용 복습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었다. 결론 고교학점제에서 학생평가가 내실화되기 위해서는 과정 중심 평가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그러한 평가가 생기부에 생생한 기록으로 남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제대로 보장될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가 담긴 교수⋅학습계획서와 평가계획서가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고교-대학-지역사회와 기업과 같은 연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에서 학생들의 최소한의 성취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교육 당국에서는 최소학업성취수준 보장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학교 차원에서는 개별 학교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내실화 있게 운영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student assessment statu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performed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were analyzed in order to obtain the implications for the subtantialization of student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will be introduced earnestly in 2025. Methods To identify the student assessment statu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activation of process-based evaluation’, ‘writing on school life record’, ‘substanti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and ‘responsible guidance to guarantee the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were drawn as the frame of analysis based on ‘student assessment substantialization’ area of the major operation tasks of ‘2020 academic year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and leading school operation plan’ suggested by Ministry of Educ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tool was mad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first to third-year general research schools and its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on the school assessment statu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s activated in the most research schools, and diverse methods such as narrative and essay, experiment and practice, portfolio, etc. are used in assessment. Second, more than half of the schools provide the teach and learning plans, and the case that the assessment plan is includ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more than the case that it is not. There are more schools that provide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during the period of signing up for subject than the schools that do not, and after the selective subjects are determined, more than half of the schools provide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ird, about half of the research schools were represented to operate separate program to guarantee the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schools that do not operate the program appealed th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the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sufficient time to operate the program, difficulties in selecting target students, etc. In case of the schools that operate the program, they established the academic achievement as a core criteria to select the student and operate mainly the program focusing on the revision of major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etc. Conclusions To substantialize the student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rocess-based evaluation should be activated, and such evaluation should remain as vivid record in the school life record. And in order to guarantee the student s right to choose the subject, it is necessary to furnish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and the assessment plan containing the appropriate information and to expand the connection like high school-college-local community and the enterprise. Finally, to guarantee the students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educational authority should provide diverse supports for the operation of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guarantee program, and the school should prepare the measures to operate the program conformed to the situation of individual school.

      • KCI등재후보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한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연구

        조윤영,조호제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3 방과후학교연구 Vol.10 No.3

        방과후학교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재조명되는 상황에서 각 단위학교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잘 운영하며 정책적 기대효과를 잘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책무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에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평가 및 환류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시의성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프로그램의 평가모형으로 여러 이점을 갖는 CIPP 평가모형을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과 함께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전문가 패널에 의한 2차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였다. 전문가 패널은 정책 연구자부터 현장 전문가까지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일방향적, 상부하달식의 평가지표가 아닌 현장 및 현실을 잘 고려한 평가지표를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문헌고찰에 기반하여 초안으로 마련되었던 총 24개 평가 영역, 55개의 평가지표는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전문가 패널에 의해 내용타당도가 입증된 총 21개 평가 영역, 41개 평가지표로 정리되었다. 델파이 조사 과정에서 얻은 전문가 패널의 다양한 의견은 한편으로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듣는 기회가 되기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는 추후 실질적인 평가 도구 개발이 함께 이루어질 때 단위학교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모든 국면을 고려하며 관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고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olicy interest in after-school programs being reconsidere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program accountability to ensure that each school operates the after-school program well and achieves the expected policy effects.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timely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on and feedback of after-school programs in individual schools. The after-school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was the subject of research, and the evaluation model was based on the CIPP model.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a literature review and then a Delphi survey by an expert panel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By having a diverse panel ranging from policy researchers to field experts, we aimed to create an evaluation index that takes into account the field and reality rather than a unidirectional, top-down evaluation index.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21 evaluation areas and 41 indicators whose content validity was proven derived. The diverse opinions of the panel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hear lively opinions from the field about after-school programs, letting implications for the school field being discussed. The evaluation indicators considering all aspects of after-school program would help improve the program and achieve its goals by effectively provid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stakeholders.

      • KCI등재

        전국 시‧도교육청 학교평가 현황과 유형 분석을 통한 발전과제 탐색

        이상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This study aim to elucidate the agenda of the school evalu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us and types of the school evaluation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concept and transition of school evaluation, the significance and principle of school self-evaluation were examined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chool evaluation of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of school self-evaluation, the phenomenon - maintained type, the partial change type, and the total change type. First, the maintenance type maintains the relative evaluation by the external evaluation committee, which is a key element of the existing school evaluation. The evaluation index is based on the indicators developed and provided by KEDI. Second, the partial change type converts the evaluation method to absolute evaluation and conducts the school self-evaluation. The evaluation index is based on the indicators developed and provided by KEDI, but it is partially reconstructed and utilized. Third, the total change type converts the evaluation method into absolute evaluation and conducts the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The evaluation index is composed of the main education policy index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indicators developed and provided by KEDI.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school self-evalu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o achieve the purpose of 'self-evaluation', the school self-evaluation should be a 'evaluation that feels significant burden' rather than a 'burden-free eval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현황과 유형을 분석하여 학교평가가 나아가야 할 과제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평가의 개념과 변천, 학교자체평가의 의의와 원리 등을 먼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국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는 학교자체평가로의 변화 정도에 따라 현상 유지형, 부분 변화형, 전체 변화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현상 유지형은 기존 학교평가의 핵심 요소인 외부 평가위원에 의한 상대평가를 유지하고 있으며, 평가지표는 KEDI에서 개발하여 제공하는 지표를 중심으로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둘째, 부분 변화형은 평가방식을 절대평가로 전환하여 학교자체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평가지표는 KEDI에서 개발하여 제공하는 지표를 중심으로 하되 부분적으로 재구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셋째, 전체 변화형은 평가방식을 절대평가로 전환하여 학교자체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평가지표는 해당 교육청의 주요 교육정책 지표와 KEDI에서 개발하여 제공하는 지표를 종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자체평가의 발전과제로 ‘자체평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시행, 일각에서 우려하는 ‘부담없는 평가’가 아니라 ‘의미있는 부담을 느끼는 평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평가방안

        김경성(Kim, Kyeong Sung),정선영(Jeong, Seon 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6 방과후학교연구 Vol.3 No.2

        2006년부터 전면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방과후학교는 양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지도강사 및 인적자원 확보, 적절한 공간과 시설 및 기자재 확충, 안전사고 대책, 학교급별에 따른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 담당 교사의 업무 과다 등의 장애요소가 방과후학교의 활성화를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강한 책무성을 바탕으로 하는 평가가 필요하다. 국내 방과후학교의 평가에 대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 학부모 및 학생의 만족도 평가, 운영 조직의 평가, 강사(전담교상)의 평가, 프로그램 운영의 평가, 예산 운영의 평가, 시설(공간) 및 환경과 교구의 평가, 기타 내용의 평가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의 방과후학교 운영 사례를 통하여 본 결과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프로그램,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 다양한 기관에 의해 개발하는 프로그램, 다양한 재정 마련 방법, 정규 수업과 긴밀한 관계, 탄력적인 시간운용, 진로 및 적성 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 등이 방과후학교 운영에 고려되고 평가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 방과후학교 평가를 위하여 첫째,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평가모형 확립, 둘째, 평가의 준거 절정, 셋째, 질적인 방법과 양적인 방법이 동시에 고려된 프로그램 평가, 넷째, 책무성(accountability)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평가, 다섯째, 종단적 평가, 여섯째, 학교급 또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Since 2016 full scale impl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 there are many barriers to providing a quality After-school programs, i.e. difficulty in recruiting qualified instructors, shortage of proper space for the programs, ample and appropriate materials, lack of customer-centered programs and excessive duties for teachers in charge. According to Hong et al (2005) the following domains have to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an After-school program, i.e. program satisfaction, management organization, instructor, programs’ administration, budget, facilities, environment and learning materials. The way to overcome these problems requires evaluation on the basis of stro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In 2005 Kim et al and in 2007 Lim developed an administration evaluation for After-school programs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However, we still do not have a sufficient amount of research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After-school programs or its effectiveness. After-school program research in America, England, Japan, and France have shown that there are many impeding factors and program design such as: programs on the basis of students’ academic levels, community programs developed by various institutes, public and private financial support, connected with formal class instruction, flexible time and operation, and the use of various educational personnel.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the following for After-school evaluation: · First, create a proper evaluation model for Korean After-school programs, · Second, establish an evaluation criteria which should keep pace with the building evaluation model, · Third, utilize a research design model that includ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 Fourth, program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under the proposition of accountability, · Fifth, the evalu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should not be done one time but longitudinal.

      • KCI등재

        특수학교 평가지표 사례 분석: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중심으로

        김양화,김남순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When questions for evaluation of special school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Law of Special Education for Disabilities」, schools can evaluate performances of special education activities more practically. 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mmon evaluation indexes of special schools presented by Gwangju Education Office have been realized and based on the results, will present effective directions for special school evaluation. This study set the questions to achieve goals of special education as follows: 1) to identify history of school evaluation in Korea and legal base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for disabilities; 2)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common evaluation indexes of normal schools and special schools; and 3) to analyse how the spirit of special education law for disabilities has been realized.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e study are presented with four different areas and this study gives suggestion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uture evaluation. 특수학교 평가문항이「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근거로 구성 될 경우, 학교평가는 더욱 더 특수교육활동 수행 정도를 실질적으로 평가해 낼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교육청 특수학교평가 공통지표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정신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향후 특수학교교육발전을 꾀 하는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 나아가 특수교육의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1) 우리나라 학교평가의 역사와 특수학교 평가의 법적 근거를 알아보고, 2) 일반학교와 특수학교평가 공통지표의 차이점을 살펴보며, 3) 특수학교 평가지표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정신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는 네 가지 평가 영역별로 제시되었으며, 마지막에 향후 특수학교평가가 발전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몇 가지 보완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공업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학습을 위한 평가실제와 학교의 학업낙관성과의 관계: 교사의 평가자율성, 평가효능감 및 평가태도의 매개효과

        이태경 ( Lee Tae-kyoung ),유신복 ( Yu Shin-bok ),손원숙 ( Sohn Wonsoo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2

        최근 발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의 과정을 강조하는 과정중심 평가 방안이 제안되었고, 적정화된 학습내용을 질 높은 수업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개선을 위한 교사의 평가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학습과 연계된 평가 활동에 주목하여 교사의 내·외적요인이 학습을 위한 평가실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먼저 교사 외적요인으로는 학교의 학업 낙관성, 교사 내적 요인으로는 교사의 평가태도, 평가효능감 및 평가자율성을 가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공업계열 공립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12개에 재직 중인 240명의 교사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학교의 학업낙관성은 학습을 위한 평가실제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나타냈고, 또한 교사의 내적요인인 평가자율성, 평가효능감 및 평가자율성을 매개로한 간접효과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의 학업 낙관성과 학습을 위한 평가실제의 관계에서 평가자율성은 평가태도와 평가효능감에 선행하는 이중 매개효과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Assessment for Learning(AFL) and teacher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industrial high school setting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40 teachers of 12 industrial high schools located in K Metropolitan City.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optimism of schools regarded as teachers' external variab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FL, assessment attitude, assessment autonomy and assessment efficacy. Second, teachers' assessment attitude and assessment efficac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optimism of schools and assessment for learning, and also had direct effects on assessment for learning. Third, assessment autonom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eachers' assessment attitude and efficacy. These teachers' internal variables ser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s academic optimism and AFL. This impli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assessment autonomy in the classroom assessment. Fourth, about 52.9% of the total variance of AFL was explained by the structural model designed by this study that both teacher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played important roles in determining teachers' AFL practice. Finall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bout the necessity of improving classroom environments to focus on teachers' assessment for learning practice in industrial high schools.

      • KCI등재

        고등학교 화학 I 과정 “물” 단원에서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백성혜,이은준,김정수,송영욱,김용진,정정인,한재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1

        학교 교육에서 평가는 교육목표 달성 확인 및 교수 계획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높은 내용타당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학업성취도 문항은 수업목표에 비추어 적절하고 학습한 내용을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 평가 문항의 타당도는매우 중요한 반면, 실제 학교에서 사용되는 고등학교 화학 과목의 평가 문항들이 어느 정도 내용타당도를 가지고 있는지 조사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 실시되는화학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이 행동차원과 내용차원에서 어느 정도의 내용 타당도를 가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대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하여 개발된 동일한 화학Ⅰ 교과서를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5개 학교의 ‘물’ 단원에 대한 1학기 중간고사 평가문항이었다. 내용타당도 분석을 위한 과정은 첫째,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에서 34개의 수업목표를 내용차원과 행동차원으로 이원 분류하였다. 둘째, 5개 고등학교의 평가문항에서 121개의 평가문항을 행동차원과 내용차원으로 이원 분류하였다. 셋째, 행동차원과 내용차원별로 각각 수업목표와 평가목표의 비율차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5개 학교에서 사용된 학업성취도 문항은 행동차원에서의 내용타당도는낮았지만 내용차원에서의 내용타당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에서 실시하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있어서 행동차원의 내용타당도를 높이는 노력이 좀 더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행동차원 중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 등 고등정신기능을 기르는 평가 문항의 개발에 노력을기울여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평가 문항 제작에 대한 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연수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n school education, the evalu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accomplishment ofeducational goal and for the planing of education. Thus, the achievement evaluation itemshould have high validity. The achievement evaluation items should appropriate for theeducational goal and include all the learning contents. Although the validity of achievementevaluation items is very important, little research was performed on how much the evaluationitems of high school chemistry course really have the content valid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alidity of the chemistry achievement evaluation items used in schools in thedimension of behavior and content. For this, 5 different high schools were selected that used the same publisher's chemistry I textbook, and the middle semester achievement evaluation items were gathered. First, 34 instructional objectives were classified into the behavior domain and the content domain from the 'water' chapter in the textbook and the teacher's guide. Second, 121 evaluation items were classified into the behavior domain and the content domain. Third, the analysis of the ratio difference method were performed betwee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the evaluation objective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tent validities of the behavior domain were low, but those of the content domain were high. These results implies that more effort should be paid to raise content validities of the behavior domain in achievement evaluation of high schools. Especially, the test items should be developed on the high level thinking skill such as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his study tel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raise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s on the evaluation items.

      • KCI등재

        자체평가 전환 이후 학교평가의 실행 양상 분석: A 교육청을 중심으로

        김용,이승연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3

        이 연구는 자체평가로 전환된 이후 학교평가의 실제적인 실행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학교 자체평가가 학교교육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여 학교 자체평가 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 및 면담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학교평가가 ‘전시’, ‘긴장’, ‘관리’, ‘감독’으로 상징되던 것과 대비되어 학교 자체평가 전환 이후로는 ‘학교평가의 필요성 인지’, ‘학교 간 공유 실천’, ‘교육행정의 역할 변화’로 정책 실행 양상이 변화하였다. 둘째, 기존의 학교평가가 무의미하다는 평을 받은 것과 달리 학교 자체평가로 전환된 이후에는 학교평가의 의미가 공유의 기회, 소통의 매개, 교사 성찰의 시작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자체평가 정책에 대해 공유와 소통, 종합적 정책평가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school evaluation after conversion into self-evaluation, check what school self-evaluation means in school education, and propose ways to improve school self-evaluation polic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chool evaluation, which was represented by exhibition, tension, management, and supervision, after the transition to school self-evaluation, changes in policy implementation patterns such as sharing between schools,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school evaluation, and changes in the rol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re revealed. Second, it was derived that the meaning of school evaluation is changing to an opportunity for sharing, a medium of communication, and the beginning of teacher reflection after conversion to school self-evaluation, in contrast to the previous evaluation of school evaluation as meaningl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aring,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ve policy evaluation were suggested for the school self-evaluation policy.

      • KCI등재

        주요국의 학교평가 동향과 발전 과제 탐색

        김희규 ( Hee Kyu Kim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이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의 학교평가 동향 분석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평가체제를 재조망 해 보고 그에 따른 발전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최근 학교평가는 학교의 개선 차원을 넘어 학교교육 책무성을 강화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다. 미국은 NCLB법 및 주 수준의 교육성취 평가시스템으로, 영국은 OFSTED의 평가체제를 통해서, 독일과 일본은 국가수준 및 학교자체평가 활성화를 통해 학교 개선과 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학교평가는 성과위주의 책무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 예로 평가 목적의 불명료화, 획일적인 평가방법, 학교평가에 따른 교원의 업무과중, 형식적인 학교평가 결과 활용, 학교 개선을 위한 평가지표개발 미흡, 평가결과의 불신, 평가위원 및 평기기관의 전문성 부족을 들 수 있다. 그에 따른 발전 과제로 시?도교육청과 연계한 통합평가체제 구축, 성과중심의 평가에서 시스템적 평가 관점 중시, 학교자체 진단을 통한 자체평가 강화, 평가결과 활용의 후속 컨설팅 활성화, 평가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전문평가기관 설립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developmental tasks and trend on school evaluation system in Korea, in five Countries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viding relevant suggestions. The resent the school evaluation system has been changed to emphasize school accountability and school improvement. The educational outcomes are standardized and tested by the evaluation system. The evaluation system is establi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all four countries. Also, The school evaluation system in Korea emphasize on educational outcomes. The Problems of school evaluation system appeared indistinctness in the evaluation aim, unify evaluation method and indicators of the evaluations, burdens of individual schools task, formal use of results of the evaluation, insufficiency of evaluation professional etc. his study suggests followings: (1) th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sustainable improvement efforts led by individual schools; (2) indicators and processes of the evaluations have been simplified to reduce burdens of individual schools; (3) evaluation experts should be available to give professional in service. (4) an independent institution should be built to execute school evaluation.

      • KCI등재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자체평가도구 개발

        김진수,우상호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자체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은 자체평가도구의 시안을 개발하고 사전조사, 예비조사 그리고 본조사를 거쳐 자체평가도구를 타당화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에 따라 개발된 자체평가 도구의 시안은 공업계열 특성화고의 본원적 활동으로 4개 평가영역과 하위 54개 평가준 거 그리고, 지원적 활동으로 4개 평가영역과 하위 55개 평가준거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자체평가도구의 시안은 사전조사, 예비조사 1차와 2차 그리고 본조사 과정을 설문지를 통해 응답자의 중요도 인식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술통계, 내용타당도, 안 면타당도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자체평가도구를 타당화하 였다. 최종 개발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자체평가도구는 본원적 활동으로 교육경 영계획, 교수-학습, 일과 학습의 연계, 교육 성과의 평가영역 4개와 하위 평가준거 40개 그리고 지원적 활동으로 교원의 역량강화 지원, 학생의 동기유발 지원, 교육환경의 최적 화 지원의 평가영역 3개와 평가준거 34개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evaluation instrument for technical-specialized high schools and validate it. Specialized high schools have performed a specialized education field from 1996.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ent through the steps of preparatory survey, preliminary survey and the regular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ffective evaluation methods about original activities of self-evaluation instrument for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developed through the validity process. Namely, 4 evaluation areas were classified into educational management plan, teaching-learning, connection of work and study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nd 40 evalu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Second, effective evaluation methods about supportive activities of self-evaluation instrument for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developed through the validity process. Namely, 3 evaluation areas were classified into support reinforcing capacity of teacher, support motivation of students and support optimiz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34 evalu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