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적용한 문해교육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주도력과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선주,전병운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4

        Following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literacy education which adapted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can affect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of their determination and literacy leve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ree 6th year students at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given to these participants using the self 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With implementation of this new educational approach by the researcher, subjects were sought to set goals and plans, as well as to revise and execute them. The multiple prove design across subjects method was chosen among the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result, 3 subjects showed improved levels of self-determination and literacy after implementation of the new approach, All the scores of the Literacy -Achievement Test, which was held during the revision period, have also increased. The aforementioned results were maintained as the time elapsed. This research encouraged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to gain inclination which allowed them to set and execute their own goals by guiding them with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Also,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self -determined study strategy was able to make positive impact on the literacy of the individuals by offering them an educational guide. 본 연구는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적용한 문해교육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주도력과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6학년 경도지적장애학생 3명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적용하면서 학습에 대한 목표설정, 계획 및 실행, 목표 및 계획 수정을 하였고 연구자는 이를 위한 교수적 지원을 하였다. 그 결과, 국어 수업에 자기결정학습모델을 삽입시키면서 학교 및 가정, 지역사회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자기주도적인 행동을 나타냈으며, 학습가이드를 제시하여 학생 주도적으로 다양한 학습전략을 활용하여 학습함으로써 문해력이 향상되었다. 아울러 참여 학생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하고자 하는 의지를 키울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절차는 수업 시간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인 국어 학습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언어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연결어미 산출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김영태,김정아,심현섭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1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nguage intervention by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ree effects were addressed: (1) the effect of grammar morpheme intervention of the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 accuracy on preschooler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2) the generalization effect on untrained picture stimuli, and (3) the maintenance effect of improved ability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Methods: Three children with SLI, with difficulties in using connective endings as a semantic concept were examined.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weekly, for 40 minutes each session. Each session comprised a 10-minute test and then 30-minute training.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accuracy of the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 improved in the intervention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in all of the target children. Second, the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 accuracy was higher in the generalization phase than in the baseline and the intervention phase. Third, all the children maintained the improved expression ability of connective endings even after three week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anguage intervention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Io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LI. The findings suggest that IoT-based application could be useful as well as effective as a language intervention device.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언어중재를 실시했을 때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연결어미 산출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훈련하지 않은 문항에 대한 일반화 효과,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향상된 연결어미 산출 능력이 유지되는지에 대한 유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의미관계의 연결어미 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주 2회 40분씩 연결어미 중재를 실시하였다. 목표 연결어미는 ‘대조’의 ‘-는데’, ‘-지만’, ‘조건’의 ‘-면’이며, 매 회기마다 실시한 평가에서 연결어미 산출 정확도가 연속 3회기 동안 80% 이상 유지될 경우 다음 목표 연결어미 중재로 넘어가도록 종결 준거를 설정하였다. 결과: 중재 결과, 3명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모두 연결어미 산출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일반화 평가 항목의 연결어미 산출 정확도도 증가하였다. 또한 대상 아동 모두 중재가 종료된 후 3주간의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중재를 통해 향상된 연결어미 산출 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언어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연결어미 산출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점을 감안할 때, 중재 도구로서 활용 가능하다는 임상적인 의의를 시사한다.

      • KCI등재

        자기점검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받아쓰기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받아쓰기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정다이,손승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목적] 초등학교 고학년 지적장애학생은 저학년 때부터 반복되어 온 받아쓰기 활동으로 인하여 학습된 무기력 또는 동기 부족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쓰기 활동이 확장되는 상급학교 진학 이전에 받아쓰기에 대한 자발적 학습 태도와 흥미를 갖출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의 받아쓰기를 위하여 자기점검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를 실시함으로써 받아쓰기의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경기도 G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소속 지적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로 설계하였다. 중재자는 연구자 1인으로 교내 개별 공간에서 학생과 일대일로 10주간, 기초선은 대상자별로 3~5회기 수집하였고 중재는 회기당 20분씩 총 20회기 실시하였으며 중재 종료 후 3회기 유지를 수집하였다. 중재충실도는 평균 95.8%이었고, 사회적 타당도는 평균 98.1%로 나타났다. 받아쓰기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를 수치화하여 시각적 분석을 하였고 NAP와 Tau-U 값을 산출하였다. [결과] 대상자 3명 모두 받아쓰기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가 기초선 구간과 대비하여 중재와 유지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중재 효과 크기는 과제수행행동의 경우 세 학생 모두 1.00으로 매우 컸고, 성취도의 경우 학생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A= .97, B= .81, C= .87). 유지 효과 크기는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 모두 1.00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기점검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받아쓰기 중재는 지적장애학생의 받아쓰기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Purpos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re likely to develop learned helplessness or lack of motivation due to repeated dictation activities since lower grades,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voluntary learning attitudes and interest in dictation before entering middle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ctation on task performance and practice by conducting interventions using Self-monitoring and Application for dict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was designed on 3 students with integrated disabilities belonging to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nd was designed with multiple-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A researcher provided 3 to 5 sessions of baseline, 20 sessions of interventions(20 minutes per sessions), and provided 3 sessions of maintenance for 10 weeks. This study was one to one intervention and provided in individual spaces of elementary school. The average of intervention fidelity was 95.8%, and the average of social validity was 98.1%. The researcher quantified the On-task behavior and Dictation performance, performed visual analysis for each student, and calculated NAP and Tau-U values. [Results] Both On-task behavior and Dictation perform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compared to the baseline. The size of the intervention effect was very large at 1.00 for all On-task behaviors, and Dictation performance was somewhat different for each student (A=.97, B=.81, C=.87). The size of the maintenance effect was found to be very large at 1.00 for both On-task behavior and Dictation performance. [Conclusion] Dictation Intervention with Self-Monitoring And Appl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n-task behavior and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윌리엄스증후군 아동의 의사소통기능 향상을 위한 AAC 중재의 사례 연구

        노희연,송기범,최양규 한국재활심리학회 2016 재활심리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윌리엄스증후군 아동의 의사소통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윌리엄스증후군으로 진단되고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는 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주 3회씩, 매회 30분씩, 총 30회에 걸쳐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컴퓨터를 활용한 의사소통판의 그림상징을 클릭하면 그림상징에 해당하는 문장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훈련 전략으로 대상아동들에게 친숙한 세 가지 의사소통 활동 상황(도형 놀이, 비눗방울 놀이, 샌드위치 만들기)을 선정하여, 요구표현, 감정 및 견해 표현, 사회적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이용하여 중재한 결과, 세 아동 모두 기초선 단계에 비해 의사소통기능이 향상되었으며, 습득된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대형마트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권용덕 ( Yong Deok Kwon ),장혜성 ( Hae Song Ch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컴퓨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는 장애학생이 실수하였을 때 학생의 반응을 기다려주므로 학습에 매우 효과적이며, 멀티미디어 자체가 장애학생에게 흥미롭고 신선한 자극이므로 동기유발에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3명에게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대형마트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장소에서 일반화되고 유지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교실중재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여 대형마트 이용기술을 교수하고, 지역사회중재는 최소촉진법과 시간지연법을 이용하여 실제 지역사회 대형마트에서 교수하였다. 연구 결과,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모든 대상학생들은 대형마트 이용기술을 습득하였으며, 습득된 기술은 학습하지 않은 지역사회 대형마트에서 일반화되었으며,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자극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자료가 지적장애 학생에게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주의를 집중하여 활동에 참여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교실에서 실제 지역사회환경에 최대한으로 근접한 환경을 구성하여 사실적이고 자연적인 자극인 사진과 움직이는 이미지 등을 포함시킨 멀티미디어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에 일반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A purpose of the study is to know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can maintain their learned knowledge and community skills through multimedia resources after passing over 4 weeks. To be specific, the study wants to know whether 3 students who had been educated by community-based instruction to shopping can use these skills again at the same retail chain stores and do that by themselves. Meantime,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had been used as an experimental design in the study. From this study, the result ``community-based instruction with multimedia data``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of rate with fulfillment of skills were increased. Second, the skills of students that educated in classrooms became generalized when they had been experienced new environment. Lastly, the skills that used in retail chain stores had been maintained after four weeks later. To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with multimedia resources is an effective and useful method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o obtain retail chain stores or other places using community skills independently.

      • KCI등재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최경숙 ( Choi¸ Kyeung-sook ),정현희 ( Chung¸ Hyun-h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3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D 광역시에 소재한 J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5명이다. 연구를 위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baseline across participants)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단계로 7주간 총 2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매회기마다 대상학생들의 사회적 행동 발생 빈도를 부분간격기록법(partial interval recording)으로 측정하여 행동관찰기록표에 기록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특수학급에서 주 2~4회 40분씩 1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유지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종료 2주 후 3회기에 걸쳐 행동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일반화 단계에서는 통합학급에서 쉬는 시간 10분 동안 대상학생들의 행동 발생률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습득과 유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일반화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 시키기 위해서는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에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중재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training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ive students taking part-time classes at a special class at J elementary school in D City. The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utilized as the method of investigation, and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through the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stages. The social interaction of targeted students was observed in the special class during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eriod. Each session was organized as a 30-minute intervention and a 10-minute play. The 10-minute play was observed by recoding video clip.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roblem solving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the interaction skills for the five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 Second, the social problem solving training program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generalization of the interaction skills for the five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 abou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results.

      • KCI등재

        CSA(구체물-반구체물-추상물) 단계에 따른 기억전략 및 자릿값 교수가 수학학습장애아동의 받아내림 뺄셈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승희,김애화 대한사고개발학회 2021 사고개발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nemonic strategy and place value instruction through CSA sequence on subtraction with regrouping of the students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Three 4th grade students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The interventions in 20 to 23 sessions were conducted 3 to 4 times per week for approximately 40 minutes for each student. As a result, all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ubtraction with regrouping. Also,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maintained after interven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educational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intervention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CSA(구체물–반구체물–추상물) 단계에 따른 기억전략 및 자릿값 교수가 수학학습장애아동의 받아내림 뺄셈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4학년 수학학습장애아동 세 명이었으며, 실험 효과의 검증을 위해 연구 참여자 별로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2020년 9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주 3~4회로, 매회 약 40분간 이루어졌으며 대상학생 별로 20~23회기의 중재가 진행되었다. 총괄평가지를 사용하여 기초선.중재. 유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시각적 분석과 PND로 중재 및 유지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든 참여자의 받아내림 뺄셈 점수가 기초선 대비 중재 기간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지 기간에 모든 참여자의 받아내림 뺄셈 점수가 중재 단계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s of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on problematic behavior of a child at risk with ADHD

        구효진,신행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on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of ADHD. Three children with ADHD tendencies were involved as participants. A multiple-probe across subjects was designed and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mmon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e social interactions of the children were observed during a fifteen-minute, free playtime. During the intervention, embedded activities were implemented five times a week with context and routine in mi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anecdotal accounts of the events that unfol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effectively reduced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at risk of ADHD. Second, the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was effective in decreasing aggressive behavior in children at risk of ADHD. Third, the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was effective in decreasing hyperactivity in children at risk with ADH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may equip kindergarten and preschool teachers with the tools to assist children at risk of ADHD in their classrooms.

      • SCISSCISCIE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