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매개에 따른 뉴미디어 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연 ( Suyeon Park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급진적으로 성장하며 그 중심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있다. 이로 인해 새로운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생겨난다. 그러나 뉴미디어가 생겨난다고 해서 기존의 미디어가 전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모든 미디어는 끊임없이 다른 미디어에 영향을 주고받아 변화한다. 즉 어떤 미디어도 고립되어 존재할 수 없고, 상호 관계 속에서 기존의 미디어와 뉴미디어가 서로 다양한 재매개의 방법으로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재매개는 공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나아가 공간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안겨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의 재매개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현시점에서 뉴미디어와 재매개의 본질적인 부분과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뉴미디어가 적용된 공간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뉴미디어 공간에서 나타나는 재매개의 표현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뉴미디어 공간과 재매개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뉴미디어와 재매개의 전반적인 이론을 고찰한다. 이를 토대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뉴미디어와 공간의 상관성을 통해 연구에서 사용될 뉴미디어 공간의 정의를 확립하고자 한다. 앞서 정의된 뉴미디어 공간과 재매개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 볼터와 그루신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간의 재매개의 특성을 재해석한다. 재 매개에 따른 뉴미디어 공간의 표현특성을 밝히기 위해 체계성을 띤 접근방법으로 도출한다. 접근방법으로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과 공간을 매개로한 재매개의 특성을 분석하여 표현특성을 찾아냄으로써 결론에 도달한다. (결과) 기본적인 이론 고찰을 토대로 뉴미디어 변화에 따른 공간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였고, 뉴미디어 공간에서 재매개가 이루어지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인 상호작용, 경험, 확장의 연속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공간을 매개로 한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의 특성을 재해석한 공간의 재현, 공간의 확장, 공간의 개조, 공간의 흡수를 뉴미디어 공간의 3가지 특성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뉴미디어 공간에서 재매개가 표현되는 12가지의 표현특성을 도출해 유형화하고 공간에 적용해 개념화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뉴미디어 환경의 현시점을 기준으로 한 이론 고찰과 뉴미디어 공간에서 재매개의 표현특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공간 디자이너가 뉴미디어를 활용한 재매개적 공간계획에 있어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society grows rapidly, bringing with it rapid development of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New media keeps emerging, although all the existing media does not completely disappear overnight. Each media change affects another. In other words, no media can exist in isolation, and the existing media and new one must coexist in some form of remediation (bidirectionally interchangeable) if progress is to continue. Therefore, remediation has a great effect on space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s well. Furthermore, it would also change the paradigm of pace.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parts and flow of new media and remediation at the point when remediation of new media is active. In addition, it examines the space where new media is applied, and, based on its application, suggests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shown in new media space. Thus, it aims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new media space and remediation in modern society. (Method) This study first contemplates the overall theory of new media and remediation that the researcher is trying to explain. It also establishes a definition of new media space that will be used in the study: the relativity between new media that has recently been catching attention and space. The study then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erly defined new media space and remediation, and, based on the theories of Bolter and Grusin, re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remediation.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new media by remediation, the study deduces its conclusion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Results) Viewed against the framework of new media theory and Bolter and Grusin`s remediation theory, the study interpreted the interaction between new media space and interaction, experience, and extension. It also applied the representation of space that was a re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by representation (fidelity, refashion, absorb) to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space. As a result, it was categorized by deducing the twelv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remediation expressed in new media space. (Conclusions) This study regards that spatial designers consider the relative impermanence of every generation of new media, and plan for change. They should consider the ever-changing new media environment and provide a basis for a remediation space plan, as new media will be used by space designers in the future. Keywords Expressional

      • KCI등재

        재매개의 특수한 현상으로서 '성찰적 재매개'의 개념적 탐색

        오원환(Won Hwan Oh)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인간의 확장된 감각, 변화된 지각 방식, 그리고 마비된 감각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이른바 "성찰적 재개매(reflective remediation)"의 현상을 통해서 재매개의 논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있다. 벤야민(Benjamin)을 비롯해 매클루언(McLuhan)과 볼터와 그루신(Bolter & Grusin)이 제기한 매체기술의 발달과 지각 방식의 변화가 주로 진보의 방향에서 논의 됐다면, 이 글은 과거의 매체기술을 접했을 때 요즘 수용자가 느끼는 지각 방식의 혼란을 "성찰적 재매개"의 현상이라는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성찰적 재매개" 현상에 대한 초보적 수준의 개념적 탐색이며, 이를 위해서 70여 년전의 무성영화 스타일을 매우 뛰어나게 복원한 영화 〈아티스트(The Artist)〉(2011)가 요즘 관객의 마비된 감각 비율을 일시적으로 깨우는 미세한 충격과 낯선 경험이 주는 미학적 효과를 분석한다. 미디어의 계보학적 차원에서 볼 때, 〈아티스트〉는 과거의 영화 형식을 통해서 현재의 표준화된 영화 형식에 길들여진 관객의 감각 비율을 "일시적(temporary)"으로 출렁이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자극적(stimulating)"이다. 뿐만 아니라 무성영화적 자극을 통해서 그 당시 관객의 지각 방식을 느끼게 하고, 또한 현재 관객 자신의 감각 비율을 변화시켰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과거의 감각 방식을 느끼고 현재의 감각 비율이 변화되는 것을 감각적, 의식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미학적 경험을 "성찰적(reflective)"이라고 제안한다. 아울러 "성찰적 재매개"는 과거의 기술적, 미학적 복원을 시도하지만 "현재화된 과거"의 재현 방식을 통해서 수행된다고 주장한다. 한편, 재매개의 특수한 현상으로서 "성찰적 재매개" 현상에서는 비매개보다는 "하이퍼매개" 전략이 우월하게 작동하며, 표준화된 지각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체 미학적 동인으로서 사라지지 않고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rich the concept of Bolter and Grusin"s remediation and to extend the media theory through the "reflective remediation." Some distinguished scholars (e.g., Benjamin, McLuhan, Bolter, and Grusin) in media philosophy have argued that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influenced the ways of human perception. In line with this approach,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extinct old media could also influence the human perception. Furthermore, this study argues that along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the representation of extinct old media will impact on audience"s perception at least at an aesthetic level. In comparison with Bolter and Grusin"s "retrograde remediation," the hypothetical concept of "reflective remediation" is that an older medium is imitated and even absorbed by an newer one. To explore such a new concept, this study performed aesthetic analysis of 〈The Artist〉 (2011) imitating the silent movie style to see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influence on the audience"s percep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ve remediation" would be "representing the presented past", "stimulating" the human sensory ratio or the paralysis of human sense system, "temporary" in effect, "reflective in cognition level", and "hypermediate" rather the immediate.

      • KCI등재

        콘텐츠의 재매개를 통한 구조변화 -그레마스의 의미생성모델의 적용-

        이동진(Lee, Dongjin),남기범(Nahm, Keebom)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4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매체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이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수용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현대의 디지털 미디어는 콘텐츠를 창조하고 이를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창작자와 수용자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콘텐츠의 재매개(remediation)가 된다. 본 연구는 라디오 콘텐츠의 재매개 과정의 설계과정을 제시하고, 문화기호학적 분석 도구인 의미생성모델이 설계에 유용함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 재매개에서 발생하는 특성, 즉 비매개(immediacy) 혹은 하이퍼 매개(hyper-mediacy)가 재매개 콘텐츠의 기획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재매개 콘텐츠를 문화기호학의 분석도구인 의미생성모델을 통해 재구성하였다. 둘째, 의미생성모델의 3단계 구조분석이 매개의 어떠한 특성을 반영하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재매개 콘텐츠의 특성과 의미생성모델의 분석을 통해 재매개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레마스의 모델을 통해 재구성해 본 ‘tbs eFM 디지털 매거진’의 기획과정은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콘텐츠 수용자의 어학실력 향상과 콘텐츠 제공자인 tbs eFM의 인지도 향상이라는 핵심 가치가 심층구조이다. 둘째, 이를 기반으로 수요자가 선호할 수 있는 미시 콘텐츠들을 추출하여 상호작용적 스토리텔링 요소들을 구성하는 서사구조이다. 셋째, 이러한 서사구조를 활용하여 다양한 이미지와 시각적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낸 표층구조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콘텐츠를 새로운 콘텐츠로 재매개할 때 나타나는 하이퍼 매개성이 지속적으로 관철되고 개성적인 요소로 작동하였다. 디지털 미디어의 다양성과 급속한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콘텐츠 유통양식이나 단순한 확장방식에서 탈피하여 방송콘텐츠의 재매개와 새로운 매개방식을 활용한 구조변화를 기대한다.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nd acceptance behavior of consumers entail the changes in content. Utilizing the Generative Model of Signification,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methods of concept design in the content remediation process. More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the immediacy or hyper-mediac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would have any differential impacts on the planning process of the remediation content, focusing on the smart media application, ‘tbs eFM digital magazine volume 4’, which was remediated from the FM radio content of tbs eFM. Firstly, the paper reconstructed the remediated content which is one of the nice tools in cultural semiotics. Secondly, investigating the three-phase structure analyzing model’s strength, las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ediation of content. The planning process of ‘tbs eFM digital magazine volume 4’ using Greimas’s Generative Model of Signification can be divided as three-phase structure. The deep structure represents the core values are the improving English skill and the loyalty of the program. The discourse structure depicts the appropriate arrangements of interactive story-telling discourse structures by extracting various micro content. The surface structure is the visual storytelling focusing on image and multimedia and interactivity. This research showed the applicability of the Generative Model of Signification in the remediation process.

      • KCI등재

        TV영상미디어의 역행적 재매개

        송필순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6

        라디오, 신문, 잡지와 함께 4대 전통매체 중 하나인 텔레비전은 단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추구하는 대표적인 매체였으나,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의 등장과 함께 소통 방식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마리텔>은 뉴미디어인 인터넷 방송을 모방 및 개조하여 역행적 재매개를 지상파 방송에 적용한 것이다. 이에 볼터와 그루신(Bolter & Grusin)은 한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에 표상하는 것을 재매개로, 그리고 전통 미디어가 뉴미디어를 재매개 하는 것을 역행적 재매개라 명명했다(1999). <마리텔>의 역행적 재매개 방식을 살펴보면, 실시간으로 진행자와 시청자가 온라인 대화창을 통해 소통하는 인터넷 1인 방송 형식으로 생방송을 진행하고, 그렇게 녹화된 영상을 편집하여 텔레비전으로 다시 방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매개 과정을 통해 <마리텔>은 인터넷이 가진 쌍방향성, 수평성, 개방성, 융합성, 이종결합성 등의 특성을 이식받음으로써 새로운 TV포맷을 만들어냈다. 본 연구는 TV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낸 <마리텔>의 ‘역행적 재매개’ 표상과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TV영상미디어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그 흐름을 인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마리텔>은 인터넷 미디어의 상호작용성과 라이브(live)성, B급 정서, 서열과 게임 장치 등을 재매개했으며, 인터넷 생중계 영상에 채팅내용과 자막을 첨가하는 편집 방식을 통해 <마리텔>만의 독특한 영상스타일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마리텔>은 미디어 환경 내에서 지상파와 인터넷 TV라는 위계질서에 놓여 있던 고급과 저급(B급) 문화에 대한 편견과 형식을 전복시켰다는데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급격한 성장과 다매체·다채널 시대의 도래에 따른 텔레비전의 위기를 재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As a type of old media, TV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a form of one-way communication. However, in today’s ever-changing media-scape, it is necessary for TV to transfer its original format and change its method of communication. There is an exemplary TV program which was the first trial of a main broadcast in Korea by MBC called My Little Television. To be specific, My Little Television attempted a textual and technical transition as a reciprocal transfer between Internet TV and public broadcasting. In this media-saturated environment, new media such as the Internet generally remediated old media such as TV and radio in terms of the format and content, as suggested by Bolter & Grusin (1998), who use the term remediation. However, My Little Television derives from Internet TV, which refashioned and reformed its initial means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It is true that there are few studies of retrograde remedi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cept of retrograde remediation through My Little Television, ask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ow was My Little Television generated from Internet TV and what characteristics drew audiences’ attention.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text and visual analyses of both the Internet and TV as well as articles on the topic of My Little Television ― this study shows that My Little Television mainly utilized interactivity, liveness, B-culture from the Internet so as to cultivate real-time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In other words, retrograde remediation allows an extension of the senses to interact with sender-audiences in terms of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as articulated with double logic in the process of remediation.

      • KCI등재

        한국 웹콘텐츠의 동향 및 유형 연구

        한혜원,김유나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5 No.-

        본 논문은 웹 공간에 나타난 새로운 서사 양식들에 주목하고, 다양한 웹 콘텐츠 서사의 유형 및 양상을 분석했다. 웹콘텐츠의 경우, 대중들이 콘텐츠 창작 및 소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기존의 인쇄문학과는 차별적인 특징들이 나타나게 된다. 웹콘텐츠는 그 서사적 문법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뉴미디어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기존의 서사체들을 재매개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만화를 재매개한 웹툰, 드라마를 재매개한 웹드라마, 소설을 재매개한 웹소설 등이 있다. 웹툰의 경우, 한국 웹 콘텐츠의 효시이자 원형이라 할 만하다. 이는 만화의 아류에 머물지 않고, 영화, 연극,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로 멀티유즈 되고 있다. 한국의 웹툰은 북미 및 일본의 그래픽 노블 및 망가와 차별적인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웹툰의 경우, 형식적으로는 글과 이미지가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현대 도시인의 일상과 소시민의 비애를 대변하고 있다. 웹드라마의 경우, 현재 로맨스 장르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이제까지 공중파 TV에서 다루지 못했던 판타지, 호러, SF 등 환상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장르들을 포괄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형식적으로는 러닝타임 10분 내외 분량으로, 수용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웹소설의 경우, 그 전신을 한국 온라인 팬픽에 두고 있다. 이는 기존의 대중문학 내지 장르문학을 재매개하고 있었으며, '누구나' 작품을 창작하고 선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쇄문학과 차별적이다. 특히 한국 웹소설의 경우 주요한 서사 소비 및 생산의 주체가 여성이라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이처럼 한국의 웹콘텐츠는 웹 공간을 토대로 대중에게 잉여 시간에 소비할 수 있는 유희적 서사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상호작용하면서 유기적 관계를 맺고 확장된다. 무엇보다도 웹콘텐츠는 다양한 서사 양식과 장르의 특징들을 혼융적으로 반영한다. 웹이라는 대안적 공간에서 이처럼 다양한 서사체가 나타난 이유란, 전적으로 디지털 시대 대중들의 요구 때문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emergence of a new narrative forms the based on web space, and analyzed the types and aspects of these various narrativ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web content, the public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and consumption of narrative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narrative meaning of the web contents. In the process of building narrative grammar, web narratives were remediating the existing narratives in addition to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s typical examples, there are Webtoon which remediates the traditional comics, Web drama which remediates the existing TV series, and Web novel which remediates the traditional fiction. This paper analyzed the specificity appeared in three narrative forms. Webtoon is regarded as the pioneer of web contents. Webtoon is not only composed of text and images like traditional comics, but also multi-used into film, theater, TV series, and so on. Especially Korean webtoon has a distinctive identity form North America of Japan. The text and images were combined into a complementary form and it also shows the sorrow over the life of the petit-bourgeois of the modern city. For web drama, the romance genre was one of the mainstream. However it also covered Fantasy, Horror, SF, and other genres which were not typical in public TV series. It also appeared in the form of as a 10-minute-TV drama. Web novels are originated from its predecessor, fan fiction. The notable point was that the subject of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were mainly women. It also remediating the existing public literature. It is also notable that "everyone" can creates and shows their own works to others. Web contents have a common object to provide the public a narrative which is capable of being consumed in the surplus time on web space. So rather than being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media, they extend out the narrative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addition, web contents reflected a variety of forms and enres of narrative features. This paper analyzed that these various aspects of the creation and consumption of narrative in web space derived from the needs of the digital public. Also it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the web space were functioning as an alternative narrative to the public of the digital era.

      • KCI등재

        소설 보기, 영화 읽기 - 문학의 영화화와 영화의 문학화

        김요한 세계문학비교학회 201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1 No.-

        According to their book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by J. David Bolter and Richard A. Grusin, a medium is that which remediates. It is that which appropriates the techniques, forms, and social significance of other media and attempts to rival or refashion them in the name of the real.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notion of ‘remediation'. Remediation is the mediation of mediation. Each act of mediation depends on other acts of mediation. Media are continually commenting on, reproducing, and replacing each other, and this process is integral to media. Media need each other in order to function as media at all.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fil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mediation'. Literature and film, that have become old media now, remediate each other and modify their own unique media characteristics. As a result literature shows cinematic characteristics and film literary characteristics. The german novel 『Das Zimmermädchen』 by Markus Orths and its film adaptation 「The Chambermaid Lynn」 by Ingo Haeb is the good example for the remediated literature and film. 미디어 학자 볼터와 그루신은 미디어를 ‘재매개하는 그 무엇’으로 정의하며 ‘재매개’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계보적 미디어 이론을 주장한다. 계보적 미디어 이론에서 중요한 것은 미디어들 간의 ‘관계적 맥락’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목되는 관점은 관계되는 각 미디어들 사이에 주고받는 상호 영향이 특정 미디어의 고유한 속성을 어떻게 변화(개조)시키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본 논문은 볼터와 그루신이 주장하는 ‘재매개’의 관점에서 ‘문학과 영화’라는 문제설정을 다시 고찰해 본다. ‘재매개’의 이론에 따르면, 빠르게 진화하는 현재의 미디어 환경 아래 영화가 문학을 재매개하기도 하지만 문학도 영화를 재매개한다. 그 결과로 영화는 텍스트적인 특성을 영상에 담아 사건을 재현하고 반대로 문학은 영화의 영향을 받아 시각적인 서술을 시도한다. 이 논문은 문학과 영화가 자기의 고유한 미디어적 속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어떻게 상대 미디어의 속성을 수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사례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독일의 신세대 작가 마르쿠스 오르츠(M. Orths)의 소설 『침대 밑에 사는 여자』(2009)와 이를 원작으로 제작된 영화 「호텔메이드 린」(2014)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화라는 두 ‘올드 미디어’가 ‘재매개’의 관점에서 어떻게 서로 교차하고 충돌하면서 이야기를 재현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 KCI등재

        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난 예술작품의 재매개 연구 - BTS(방탄소년단)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안혜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디지털 시대의 예술작품 연구는 순수예술 그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 예술작품이 대중매체와 융합되어 소비되는 현상에 더 많은 초점이 맞춰진다. 본 연구는 예술작품이 영화, 광고,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로 재매개되는 특 성을 살펴보고, 전 세계적으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아이돌 그룹 BTS의 뮤직비디오<피, 땀, 눈물>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 여 전통적 방식으로 제작된 예술작품이 미디어 콘텐츠로 재매개되는 방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콘텐츠에 재매개되어 나타나는 예술작품이 단순히 조형적 특성에만 한정되어있지 않고, 예술작품 속에 내재되어있는 창작적 예술성 을 규명하고 화가에 의해 해석된 이차적 경험과 감정까지도 즉흥적이고 직관적으로 재매개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예술작품이 미디어 콘텐츠에 재매개되는 과정에서 언어적, 문화적, 관습적 특성이 표상되어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 요 소로 작용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미디어 콘텐츠에 재매개 된 예술작품은 올드미디어 본연의 특성을 드러내거나 또는 감추고 새로운 미디어로 스스로 개조되어 전혀 다른 에너지를 발산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예술장르로서의 무한한 확장 성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how the artistic works are remediated to media contents such as movies, advertisement, animation and music video and also analyzes the process and strategy by which the traditional artistic works are remediated to the media contents based on the text analysis of the music video “Blood Sweat & Tears” of the world popular boy band B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artistic works remediated in the digital media are not just limited to simple formative features but used to find out the creative arts embedded in the artistic works and even remediate the secondary experience and emotion interpreted by the painters in an extemporaneous and objective manne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rtistic works express linguistic, cultural, and cultural practices in the process of being remediated to the media contents and convey the message effectively. Revealing or hiding their original features as old media, the artstic works remediated to the media contents are modified into new media by themselves and release totally different energy. So it is expected that they make the incessant expansion as the new type of artistic genre.

      • KCI등재

        역행적 재매개를 통한 TV영상미디어의 새로운 변화 배경과 함의 연구

        송필순(PilSoon So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애니메이션연구 Vol.12 No.4

        이 논문은 인터넷 미디어를 재매개하는 새로운 형식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 보여주는 역행적 재매개의 원인과 그 함의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미디어가 새로운 미디어를 차용하고 개선, 개조하는 방식을 말하는 역행적 재매개(Bolter & Grusin, 1999)를 활용한 사례는 미디어의 발자취를 훑어봤을 때 그리 흔치 않다. <마리텔>은 인터넷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영상을 편집하여 TV로 다시 송출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인터넷 생방송시 실시간 채팅으로 방송진행자와 네티즌과의 쌍방향 소통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그래픽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적극적인 TV영상언어를 구사함으로써 TV미디어의 새로운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마리텔>의 역행적 재매개 현상에는 시청자들에게 익숙한 TV라는 틀 안에 새로운 인터넷 미디어의 다양한 콘텐츠를 담고 더불어 인터넷 미디어 사용자층을 흡수하여 TV 광고시장을 확대하려는 의도가 들어 있다. 미디어의 역사를 돌아보면 미디어도 탄생과 소멸의 과정을 거친다. <마리텔>은 새로운 미디어와의 투쟁과 경쟁이 아닌 “공존”의 디지털 정신을 구현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즉, 올드 미디어는 뉴미디어를 통해 개조(refashion) 되고, 뉴미디어는 올드 미디어를 통해 제도권 방송에 성공적으로 진입함으로써 지상파TV와 대등한 관계를 이루어 냈다. <마리텔>에서 인터넷 생중계 때 활용되는 채팅공간은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상의 공동 놀이공간이다. 여러사람이 동시에 게임을 하는 일종의 “온라인 롤 플레이 게임”과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촉각을 활용함으로써 이뤄지는 감각의 확장은 맥루언이 언급했던 전자 미디어 시대의 공동체 문화를 연상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and implications of retrograde remediation of TV media, focused on the MBC TV program, <My Little Television>. There are not many cases of retrograde remediation except <My Little Television>. Through the Internet chatting room, the viewers are able to communicate with BJs of <My Little Television> while they are on the air. It is a new significant change for the one-way commnication TV media. This study shows that the retrograde remediation of <My Little Television> is to utilize Internet contents and to expand the TV advertising market by absorbing Internet users in more comfortable media, TV. And the producer of <My Little Television> tries to add new styles of TV language not only superimposed dialogues but also webtoons, animations and paintings. And this study is also noted that <My Little Television> shows “coexistence” with Internet media rather than struggle and competition with new media. The TV media is refashioned through the retrograde remediation and the new Internet media successfully reaches the equal position with TV media.

      • KCI등재

        SNS 시인들과 싱고의 작품에 나타난 소셜미디어의 재매개 양상

        강정구(Kang, Jeonggu)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8 No.-

        이 글의 문제의식은 소셜미디어가 전통적인 문자미디어인 수기물 · 인쇄물의 역할을 보완 · 대체하는 2000년대 이후의 상황에서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주요 시의 재매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이환천 · 최대호와 글배우의 시, 싱고의 웹툰과 소스 시를 대상으로 해서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론을 참조해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주요 시를 분석했다. 첫째, 이환천 · 최대호는 낙서 형태의 수기 시를 SNS로 반영 · 복원하는 ‘재현’의 방법으로 재매개했다. 이환천 · 최대호의 SNS 시에서는 낙서 형태의 수기 시와 비교해볼 때에 시인 자격과 촬영 · 편집기술의 비전문성으로 인한 친밀성이라는 형식적인 특성을, 그리고 20대의 청년이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현실적 · 존재론적인 문제를 공론화하는 내용적인 특성을 소셜미디어에서 전략적으로 보여주는 ‘재현’의 방법을 사용한 것이었다. 둘째, 글배우는 벽시를 전자적 버전으로 확실하게 업그레이드하는 ‘개선’의 방법으로 재매개했다. 글배우의 SNS 벽시는 수기된 벽시에 비해서 촬영 · 편집기술이 있고 소통 · 보존의 영구성이 있다는 형식적인 특성, 그리고 청년세대 격려 · 위로 · 자성하기와 용기주기라는 테마의 중심화소가 있다는 내용적인 특성을 지녔다. 셋째, 싱고는 34편의 시에 나타난 다양한 정서 · 상황을 새로운 스토리텔링으로 만드는 ‘흡수’의 방법으로 재매개했다. 소스 시와 비교해 볼 때에 싱고의 웹툰은 만화의 칸틀 배열과 글 · 그림의 상호의존 결합이라는 형식적인 특성, 또한 소스 시의 다양한 정서 · 상황을 독특한 만화 캐릭터가 등장하는 스토리로 재구성하는 내용적인 특성을 보여줬다. 이렇게 볼 때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주요 시는 시의 수기 · 인쇄된 형태를 ‘재현’, ‘개선’과 ‘흡수’의 방법으로 재매개했음이 확인된다. 뉴미디어인 소셜미디어는 올드미디어인 전통적인 문자미디어와 별개의 환경에서 놓인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문자미디어를 매개하는 양상을 적절하게 드러내거나 은폐함으로써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매개 관계는 올드미디어의 여러 속성이 뉴미디어의 시대에 다양한 방법으로 스스로 새로운 문화적 의미를 획득함을 뜻하고, 뉴미디어의 사회적 · 역사적 · 문학적인 의미와 영향관계를 재인식하게 만든다. This article analyzes aspects of the remediation of major poems on social media. In this article, we target the poems of Lee Hwan-cheon, Choi Dae-ho, and Geulbaeu and the webtoons and source poems of Sing-go. First, Lee Hwan-cheon and Choi Dae-ho roughly represented graffiti us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heir social media poetry is considered unprofessional in terms of the poems’ quality and their shooting and editing skills. However, in their SNS poems, they explored realistic and existential issues that every young man in his twenties worries about. Second, Geulbaeu upgraded poems written on the wall to an electronic version. His SNS poems written on the wall display more filming and editing skills than poems written on the wall and have greater permanence in communication and preservation. In addition, through his SNS poems written on the wall, he encouraged and comforted the younger generation while reflected himself. Thirdly, Sing-go recreated various stories and emotions from 34 poems as new stories. Compared to the source poems, Sing-go’s webtoon followed the rules of comics, and Sing-go’s webtoon features a unique cartoon character who reconstructs various emotions and situations in the source poem. In this way, the major poems appearing on social media have been remediated by representing, improving, or absorbing traditional text media. SNS poems, SNS poems written on the wall, and Sing-go’s webtoon with source poetry bear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text media.

      • KCI등재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미메시스와 재매개의 관계

        김영호 ( Young Ho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텍스트를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미메시스와 재매개(remediation)가 어떻게 구동되고 또 어떠한 특수성을 가지는가에 관한 관계를 밝히는 구조적 연구이다. 연구는 거브너의 커뮤니케이션 모델과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 그리고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이론을 중심으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커뮤니케이션과정을 탐구하였다. 미메시스는 단순한 복제의 의미가 아닌 새로운 창작의 과정이며 재매개 역시 매개된 사건을 재구성하는 일이다. 미메시스는 창작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정으로서의 의미와 그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결과로서의 미메시스를 포함한다. 재매개는 비매개(immediacy)와 하이퍼매개(hypermediacy)라는 이중의 논리로 유지되는데 이 역시 미메시스와 함께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커뮤니케이션을 구성하는 중요한 기제이다. 하이브리드텍스트는 이질적 기호들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에서 미메시스와 재매개는 필수요소로 상호 ‘인과적 순환 관계’, ‘총체적 상보 관계’, ‘창발적 협력 관계’를 가진다. 특히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재매개를 통한 미메시스의 창조적 활동은 세대에 따른 지식의 축적과 사고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디자인에 있어서 미메시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유도하고 미메시스 이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이끌어 낼 것이다. This paper structurally analyzes how mimesis and remediation comes into play and with what characteristics,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using hybrid text. The research centers on George Gerbner`s communication model, Paul Ricoeur`s mimesis theory, and Jay David Bolter & Richard Grusin`s remediation theory in explor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hybrid text. Mimesis is a process of creating something new, as opposed to simply making a copy, and remediation also implies a creativ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mediated event. The concept of mimesis includes both the process of creation and the product resulting from the said creative process. Remediation is maintained through the double logic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and is also an important principle behind communication using hybrid text, along with mimesis. Hybrid text is creat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heterogeneous symbols, and mimesis and remediation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its resultant communication process. In this process, mimesis and remediation hold various types of relationships - ‘circular causal-relationship,’ ‘total complementary-relationship’, and ‘emergent cooperation-relationship.’In particular, for hybrid text using digital a medium, the creative activity of mimesis through remediation allows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expansion of perspective for each generation. The present paper aims to assist in developing a new interpretation of mimesis in terms of communication design using digital mediums and a new approach for mimesis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