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및 제3국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과 한국 사회의 문화 적응

        오원환(Won Hwan Oh) SBS 2015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3 No.2

        이 연구는 탈북청소년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 탈북청소년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미디어에 의한 ‘현실의 사회적 구성’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한국 대중문화가 북한청소년과 제3국 체류 탈북청소년에게 한국 사회의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게 만들고, 탈북동기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봤다. 또 한국 사회의 객관적 현실을 경험하면서 주관적 현실 인식이 어떻게 재구성되는지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 한국 사회에 대한 탈북청소년의 주관적 현실 구성은 한국 사회의 객관적 현실 경험 없이 한국 미디어 콘텐츠가 제공하는 상징적 현실에 주로 의존한 탓에 기형적으로 구성됐다. 미디어 속 한국 사회가 북한 사회와 이질적으로 재현될수록 한국 사회의 실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믿는 탈북청소년에게 한국 미디어의 상징적 현실은 한국 사회에 대한 탈북청소년의 주관적 현실을 환상적으로 구성하는 요인이었다. 특히 한국 TV드라마나 영화가 재현하는 현실이 거시적이고 추상적인 사상이나 이념으로 채워지지 않고, 평범한 일상의 미시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이야기를 통해서 전달되기에 재미와 공감을 유도하면서 환상을 키웠다. 무엇보다 한국의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풍요로운 삶의 모습은 탈북청소년을 매혹시켰고, 한국의 경제적 현실을 상상하게 만드는 각종 전언(傳言)과 단서들도 한국에서의 삶에 대한 막연한 기대를 품게 했다. 이는 한국 사회에 대한 객관적 현실 경험의 부재, 한국 현실에 대한 제한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한국 미디어의 상징적 현실에 대한 과잉 의존에 따라 구성된 결과다. 그래서 한국에 입국 후 한국 사회의 객관적 현실을 경험하면서부터 한국 사회에 대한 기존의 주관적 현실 인식은 급격히 수정되고 재구성됐다. 그 과정에서 기대와 환상은 좌절과 절망으로 이어지기도 했고, 한국 사회에 적응을 더디게 만들기도 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탈북청소년의 한국 사회에 대한 왜곡된 주관적 현실 구성과 함께 한민족 신화와 언어공동체에 대한 기대감 등이 한국 향(向) 탈국경적 이동의 주요 동인이었다면, 한국 사회에서의 힘겨운 삶의 조건과 민족과 언어의 공동체적 기대감의 상실, 그리고 전지구화된 선진국 미디어의 상징적 현실에 의한 서구 세계의 주관적 현실 구성이 탈북민의 특수한 ‘탈국경적 상상력’을 자극하여 더 나은 삶을 찾아 한국을 떠나게 만든 탈남 현상의 동인이 아닐까에 대한 학문적 탐색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way in which North Korean youths consume South Korean popular culture(movies, TV dramas and popular music), and experience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of subjective social reality about South Korea.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model is composed of two dimensions ? type of reality and distance of social elements from direct experience(Adoni & Mane, 1984). The types of reality are divided into objective, symbolic, and subjective reality. The concept focused on the role of the mass media in the process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media. In the present article, I suggest that young North Korean construction of subjective social reality about South Korea is organised with the limit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culture and media because the consumption of and the conversation about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are illegal in North Korea. Besides, young North Koreans have to imagine the South Korea without their direct experience of South Korean objective social reality. As a result their distorted construction of subjective social reality is organized with somewhat fantastic and excessive expectation depending on symbolic social reality of Korean popular culture. After living in exile in South Korea, they meet the objective social reality which is very strange and harsh to them. And then they experience radical changes of subjective social reality about South Korea. And these experiences often make them to have hard time getting used to new lives in South Korea. Facing an radical reconstruction of subjective social reality in South Korea is utterly inevitable for young North Koreans. This experience might be bound to happen that some people sought to flee the country for a better life just as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migrated to the U.K. or Canada through the route of China and of South Korea after they had fled from North Korea.

      • KCI등재

        소설 〈밀레니엄〉의 영화로의 재매개 현상 분석

        오원환(Won-Hwan Oh),오종환(Jonghwan Oh)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6 No.-

        이 글은 동일한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두 영화가 서로 다른 재매개의 전략적 수행을 통해서 원작의 문제인식과 성적 응시의 문제를 다양하게 개조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스웨덴 소설 〈밀레니엄〉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스웨덴 영화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미국 영화 〈밀레니엄: 용문신을 한 소녀〉의 서사 구조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미국 판은 스웨덴 판에 비해서 하이퍼매개적 욕망을 보다 많이 추구했고, 그로 인해서 원작소설의 문제인식이 영화 세계 안에 가둬지는 ‘틀’과 ‘닫힌 형식’의 영화로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스웨덴 판은 소설의 문제인식이 영화적 공간을 벗어나 현실의 문제로 인식되도록 확장하는 비매개적 욕망이 보다 많이 추구된 ‘창’과 ‘열린 형식’의 영화로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남녀주인공을 표상하는 영화적 맥락과 구조를 분석했을 때, 미국 판이 원작소설이나 스웨덴 영화와 다르게 남성 중심의 성적 응시를 통해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구성하고, 여주인공 리스베트를 독립적인 행위 주체가 아닌 남성의존적인 동시에 남성의 조력자로 재현함으로써, 사회적 약자로서의 이미지를 여주인공에게도 부여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미국판이 스웨덴 판에 비해서 원작소설을 보다 충실하게 옮긴 것처럼 보이지만, 원작의 정서적 무게감은 스웨덴 판에서 더 잘 전달된다고 지적한다. 결국 이 연구는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질 때, 제작 주체의 미학적 선택에 따른 재매개의 전략적 수행의 양상이 원작의 문제인식, 성적 응시 그리고 영화적 정서에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wo adapted films originated from a Swedish novel, 〈Millennium〉 in the concept of remediation. This study is concerned on (1) how the films used differently the double logic of remediation-immediacy and hypermediacy-to chang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original, (2) how the gendered gaze was constructed in the films, and (3) how the film styles influenced audience’s perception on the issues in the novel. Results suggest that the Hollywood version represented faithfully the narrative elements of the original, but the film did not reverberate on levels of meaning and subject matter of the original. Even though the Swedish version scenarized the novel somewhat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it represented affective sides and subject matters of the novel more closely to the original, compared to the Hollywood version. This paradox is related with the double logic of remediation, which influenced film styles. As a ‘window’ and ‘the open’ form, the film seeks to the desire of immediacy while as a ‘frame’ and ‘the closed’ form, the film seeks to the desire of hypermediacy. In a closed film like the Hollywood version, however, the world of the film exists for itself. In an open film like the Swedish version, the world of the film is a temporal visual around an ongoing reality. Meanwhile, the male gaze of the Hollywood version is even stronger than that of the original and the Swedish film. In the Hollywood version, Lisbeth is represented as the object of gaze through mise-en-scene and controled by Mikael who is a leading character solving the core motif, while Lisbeth in the Swedish version leads the relationship with Mikael and plays a role as a hero in the filmic adventure. These different remediations shown in the two films from the original impose the different structures of perception on audience.

      • KCI등재

        망중립성에 관한 이용자 인식 연구

        오원환(Won-Hwan Oh),고흥석(Heungseok Koh) 한국정보사회학회 2018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9 No.2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망중립성에 관한 이용자 인식 유형과 그 특성을 살펴봤다. 5세대 통신망 투자를 앞두고 제기된 망중립성 논의에서 일반 이용자는 무엇을 중요하게 인식하는지를 탐색했다. 총 4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29개의 Q진술문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했고, PQMethod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했다. 그 결과 최종 4개의 유형을 발견했다. 제1유형은 ‘공공성 기반의 자유민주형’, 제2유형은 ‘시장중심의 혁신추구형’, 제3유형은 ‘비용분담의 형평성 추구형’, 제4유형은 ‘이용자 보호와 콘텐츠의 공정경쟁 추구형’ 등으로 명명했다. 제1유형이 다른 유형과 가장 구별되는 지점은 평등하고 자유로운 인터넷 이용을 위해서 망중립성이 강하게 보호돼야 한다고 믿고, 망중립성을 유지하는 것이 공공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제2유형은 5G 네트워크 투자를 통해서 일자리 창출과, 경기부양, 글로벌 시장에서의 선점 등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업체에게 망사용료를 청구하는 것은 정당한 요구라고 믿는다. 제3유형은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업체에 비용을 청구해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 시대에 5G 통신망 구축은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콘텐츠 기업도 망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제4유형은 특정 콘텐츠나 개인의 트래픽 자료를 공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망중립성이 인터넷을 통한 민주주의 실현에 중요한 원칙은 아니지만, 망중립성의 폐지로 콘텐츠 혁신이 억제될 것이고, 스타트업의 진출 의지가 작아져 인터넷 생태계 전반을 위협하게 될 거라고 우려한다. 이 연구는 복합적, 위계적으로 구성된 망중립성 개념에 대해 현실화 되고 있는 구체적인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Q진술문을 토대로 이용자의 주관성 유형을 밝혀냄으로써 망중립성과 관련한 정책적 고려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미를 지닌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et users’ subjectivity on net neutrality, which is a significant and controversial issue in fifth-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In this study, 29 Q-statements were sorted by 40 P samples for Q distribution by the PQMethod program. Results show four types of user subjectivity: “a liberal democratic type based on publicness,” “a type of market-oriented innovation”, “a type of equity of cost-sharing,” and “a type of user protection and fair competition of contents.” The first type conced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net neutrality and agrees to maintain the policy of net neutrality for public welfare. The second type points out that the network-friendly policy results in increases in the job market and expansions in the Internet economy. The third type argues that the content-producing companies should pay for network fees based on their content traffic. Furthermore, they acknowledge that current policy is unequal between international and national Internet content players because global companies have no legal obligation to pay their taxes in the Republic of Korea. Finally, the fourth type, the content-friendly group, means that net neutrality must be understood in the perspective of new media content, such as VR or AR content, which causes heavy traffic. All four types of subjectivity show that the conflict of net neutrality arises among various media industry players. The issue of net neutrality will be raised in various types continually, especially in the media ecosyste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us, we suggest that, in the aspect of governmental policy, a balance must be sustained between two prospects of net neutrality, namely, developing public welfare and promoting Internet-related industries. Such policies should also be intended to establish a virtuous cycle among the players, such as network sectors, content providers, and the public audience, in the media ecosystem.

      • KCI등재

        드라마 <시그널>의 서사적 시간성과 극적 긴장의 조성에 관한 분석

        오원환(Oh, Won Hwan)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6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TV 드라마 <시그널>의 주요 모티브인 과거, 현재, 미래가 상호작용하는 서사적 시간 구성이 극적 긴장을 조성하는 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도구로 페터 퓌츠(Peter Pütz, 1977)가 제시한 서사물에서의 극적 긴장 조성 기법들을 활용한다. 그리고 서사적 시간성에 대한 오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온 쥬네트와 채트먼의 논의를 퓌츠와 비교한다. 이 글의 목적은 TV 드라마 <시그널>의 서사형식을 밝히는 것이다. 특히 서사적 시간성을 뒤흔들어서 극적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는 서사적 변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시그널>의 시간성과 시간을 통한 극적 긴장의 조성 기법이 <시그널>의 극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활용됐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서사적 시간성 문제에 대한 이론적 지평을 확장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 목표라고 할 수 있다. 페터 퓌츠가 제시한 극적 긴장을 조성하는 기법들인 서사적 시간 구성의 다양한 요소들이 <시그널>의 전편에서 복합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연속’과 ‘선취’, ‘역전’이라는 긴장 조성의 기법들은 <시그널>의 과거와 현재 혹은 현재와 미래라는 이중적 서사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있었다. 이러한 극적 긴장 조성의 기법들은 <시그널>의 모티브인 무전기를 통해서 과거와 현재가 만난다는 서사적 설정에 매우 적합한 재현도구로 쓰였다. <시그널>은 극적 긴장을 조성하는 기법들을 통해서 서사와 시간을 복합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는 데 성공했다. 즉 <시그널>의 대중적 성공과 높은 작품성은 서사적 시간의 구조화와 그에 따른 극적 긴장의 성공적 조성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아울러 주요 캐릭터역시 그러한 시간적 구조화에서 극적 긴장 조성의 기법적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캐릭터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최근 늘고 있는 독특한 시간성 혹은 멀티타임의 시간성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되는 영화나 TV 드라마에 대한 연구와 분석에 있어서 극적 긴장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 퓌츠의 논의는 더욱 더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narrative time or narrative temporality influenced on the construction of dramatic tension in TV drama <Signal>. The narrative theories of Peter Pütz Gerald Genette, and Seymour Chatman are used as text analysis too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narrative form and narrative transmission of <Signal> which constructs the dramatic tension.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the work of Peter Pütz cataloging the technique and manner by which the time element interacts to become the major means of producing the inner tension that is the core of dramatic sty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arrative temporality functions very elaboratively to construct the dramatic tension in the <Signal> which is motivated by supernatural situation connecting the past and the present. It also suggests that the narrative theory and methodology of Peter Pütz could be useful to analyze the narrative temporality.

      • KCI등재

        캐릭터를 지원하기 위한 IoT 플랫폼 서비스

        오원환(Won Hwan Oh),남강현(Kang Hyun Nam),박상현(Sang Hyon Pa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3

        본 서비스는 BLE 기술이 적용된 비콘을 이용하고, USER APP는 위치 인식 및 장치를 보안 하는 Anchor IPS와 우선적으로 연동된다. 이후 관광지별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캐릭터 비콘 들과 연동된다. 서비스 인정된 캐릭터 비콘은 LBS CMS 서버의 API Key를 통하여 사용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UESR CMS 서버의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받게 된다. 서비스망은 캐릭터비콘, Anchor IPS, USER APP, LBS CMS 서버, 그리고 USER CMS 서버로 구성되고, 서비스의 목적은 지역고유 캐릭터를 통해서 지역 관광과 지역의 고유문화를 관광객들에게 홍보하는데 있다. This service uses beacon with BLE technology, and USER APP has priority with Anchor IPS which secures location and device. Since then, it has been linked with character beacon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The character beacon which is recognized as a service is able to confirm the user s location through API key of the LBS CMS server, and receives various contents services of the UESR CMS server. The service network consists of character beacon, Anchor IPS, USER APP, LBS CMS server, and USER CMS server. The purpose of the service is to promote local tourism and local culture to tourists through local unique characters.

      • KCI등재

        ‘소프트 다큐멘터리’ 장르의 영상미학 연구

        오원환(Won Hwan Oh),허철(Chul Heo) SBS 2010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8 No.4

        방송을 둘러싼 경제적 기술적 변화는 방송 프로그램의 미학적 스타일의 변화를 가져왔다.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과 외환위기로 인한 프로그램 제작비 삭감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는 KBS의 <VJ특공대>의 영상미학은 효율적 제작의 표본이 되면서 한국 방송계에 ‘소프트 다큐멘터리’라고 불리는 유사-하위 장르적 개념을 낳았다. 이 장르는 현실의 재료들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시적, 설명적 그리고 참여적인 재현양식을 활용하고, 현란한 촬영과 빠른 편집, 독특한 내레이션 등을 통해서 기존 다큐멘터리와 구분되는 스타일을 구축했다. 이 논문은 소프트 다큐멘터리의 미학적 분석을 통해서 속도 있는 리듬감, 공간적 듣기의 분열을 통한 공간과 청각의 모순적 관계 형성, ‘낯섦’의 효과를 통한 이색적 소구, 그리고 시청각의 분리를 통한 이미지와 소리의 수평적 구성 강화 등을 <VJ특공대>의 높은 시청률 유지 이유로 주장한다. 이 논문은 미디어 경제조건의 변화가 나은 새로운 VJ영상미학 스타일에 대한 분석적 연구이다. Technological and economic changes in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has caused various stylistic transformations of the look and sound of Korean television programs. In particular, this paper pays an attention on the visual and aural aesthetics of “VJs on the scene” of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that has been a trend-setter to define the notion of “soft documentary” genre in Korea. Utilizing rapid editing and uncanny use of narration, this television documentary creates an unique aesthetic style leading a series of shocks amidst of fast rhythm, a schizophonia in spatial listening experience for the audience, and an awkward separation between visual and aural perception. As an output of the economic crisis in South Korea, this television program sets a new experimental style in documentary production.

      • KCI등재

        재매개의 특수한 현상으로서 '성찰적 재매개'의 개념적 탐색

        오원환(Won Hwan Oh)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인간의 확장된 감각, 변화된 지각 방식, 그리고 마비된 감각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이른바 "성찰적 재개매(reflective remediation)"의 현상을 통해서 재매개의 논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있다. 벤야민(Benjamin)을 비롯해 매클루언(McLuhan)과 볼터와 그루신(Bolter & Grusin)이 제기한 매체기술의 발달과 지각 방식의 변화가 주로 진보의 방향에서 논의 됐다면, 이 글은 과거의 매체기술을 접했을 때 요즘 수용자가 느끼는 지각 방식의 혼란을 "성찰적 재매개"의 현상이라는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성찰적 재매개" 현상에 대한 초보적 수준의 개념적 탐색이며, 이를 위해서 70여 년전의 무성영화 스타일을 매우 뛰어나게 복원한 영화 〈아티스트(The Artist)〉(2011)가 요즘 관객의 마비된 감각 비율을 일시적으로 깨우는 미세한 충격과 낯선 경험이 주는 미학적 효과를 분석한다. 미디어의 계보학적 차원에서 볼 때, 〈아티스트〉는 과거의 영화 형식을 통해서 현재의 표준화된 영화 형식에 길들여진 관객의 감각 비율을 "일시적(temporary)"으로 출렁이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자극적(stimulating)"이다. 뿐만 아니라 무성영화적 자극을 통해서 그 당시 관객의 지각 방식을 느끼게 하고, 또한 현재 관객 자신의 감각 비율을 변화시켰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과거의 감각 방식을 느끼고 현재의 감각 비율이 변화되는 것을 감각적, 의식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미학적 경험을 "성찰적(reflective)"이라고 제안한다. 아울러 "성찰적 재매개"는 과거의 기술적, 미학적 복원을 시도하지만 "현재화된 과거"의 재현 방식을 통해서 수행된다고 주장한다. 한편, 재매개의 특수한 현상으로서 "성찰적 재매개" 현상에서는 비매개보다는 "하이퍼매개" 전략이 우월하게 작동하며, 표준화된 지각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체 미학적 동인으로서 사라지지 않고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rich the concept of Bolter and Grusin"s remediation and to extend the media theory through the "reflective remediation." Some distinguished scholars (e.g., Benjamin, McLuhan, Bolter, and Grusin) in media philosophy have argued that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influenced the ways of human perception. In line with this approach,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extinct old media could also influence the human perception. Furthermore, this study argues that along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the representation of extinct old media will impact on audience"s perception at least at an aesthetic level. In comparison with Bolter and Grusin"s "retrograde remediation," the hypothetical concept of "reflective remediation" is that an older medium is imitated and even absorbed by an newer one. To explore such a new concept, this study performed aesthetic analysis of 〈The Artist〉 (2011) imitating the silent movie style to see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influence on the audience"s percep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ve remediation" would be "representing the presented past", "stimulating" the human sensory ratio or the paralysis of human sense system, "temporary" in effect, "reflective in cognition level", and "hypermediate" rather the immediat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