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독일 담시의 특성에 대한 고찰 -크리스토프 멕켈의 시 「산초판자의 유산」과 「세상사에 관한 담시」의 구조분석

        최병제 ( Byung Je Choi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0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27 No.-

        독일문학에서 발라드(역: 담시 譚詩)는 작가들에게 가장 선호되는 문학 장르 중 하나이다. 담시는 19세기를 기점으로 `민속담시`와 `예술담시`로, 또한 20세기를 전후로 `전통담시`와 `현대담시`로 구분된다. 지난 1970년대에 독일문학에서 `담시는 죽었다.` 라는 명제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예전 전통 담시가 갖고 있던 형식, 주제 혹은 소재 등의 문학적 요소들이 사라지고 새로운 요소들을 갖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담시 형태들이 등장하였다는 근거에서 비롯되었다. 독일담시에 관한 초기의 연구들은 민속담시-전통담시-현대담시라는 용어와 더불어 시기구분에 따라 각 시대별 담시들의 특성들을 밝히려 노력하였다. 그런데 이들의 연구는 모두 이데올로기와 세계관을 토대로 장르의 역사적 발전과 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전통담시에는 주로 영웅적이며 민속적인 주제나 소재 혹은 민족적이고 애국적인 세계관 등이 자리 잡고 있거나, 직접성이나 혹은 `노래`의 운율성이 포함되어 있었던 반면, 현대담시에는 이러한 이데올로기적인 색채와 세계관 등이 퇴색되거나 도외시되었고, 사건묘사에 거리감이나 혹은 서술성이 강조되었다고 보았다. 특히 1964년 하인츠 피온텍 Heinz Pionteck에 의해 새로이 사용된 "`이야기시` 혹은 `화시(話詩)` Erzahlgedicht"는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담시(발라드)와는 다른 개념으로 수용되면서 독일문학에서는 새로운 연구용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하인츠 그래페, 칼 리하, 발터 힌크, 하로 뮐러 등의 현대 담시 연구자들은 피온텍의 용어에 관해 그 정당성을 확보하려 노력하였다. 그렇지만 현대적 이야기시의 여러 요소들이 전통 담시들과 -예를 들어 뷰르거, 괴테, 하이네 등의 담시들과 -구별되는 결정적 요인은 되지 못한다. 왜냐하면 전통담시들에도 다양한 현대적 요소들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세기 이야기시를 특징짓는 사회적, 정치적 비판의식의 증대와 비판적 주제의 다양화, 서사적 거리감, 조소성 등은 현대의 이야기시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문학 장르에서도 -현대극과 소설 등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담시가 20세기 이후부터 사라졌다는 카이저나 뮐러 자이델의 주장이나, 혹은 20세기에는 과거의 담시와는 다른 시의 형태들로 변형되어 나타났기 때문에 새로운 이야기시의 용어사용이 필요하다는 피온텍, 그래페, 뮐러, 등의 현대담시이론가들의 주장에는 많은 허점이 내포되어 있다. 모든 문학 장르는 역사적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수많은 변형과 이형들이 생성되기도 하고 소멸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러한 변형들과 이형의 작품들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요소들이 있다. 이것이 바로 문학 장르를 규정하는 요건이 된다. 시대에 따른 이데올로기와 세계관 혹은 전통적 소재와 주제는 결코 탈 시대적 요소들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문학 장르를 규정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발전과정의 탐구로부터 수많은 작품들에 존재하는 공통점을 찾아야 한다. 여기에서는 피온텍이 시화집 『새로운 독일 이야기시 Neue deutsche Erzahlgedichte』에 수록했던 크리스토프 멕켈 Christoph Meckel의 담시작품들을 분석하였다. 그럼으로써 `이야기시`라는 새로운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더불어 현대담시의 특성을 밝히기 위한 작업의 단적인 예를 제시한 것이다. 크리스토프 멕켈의 글쓰기 기법은 주로 언어적 시각화, 장면화, 상징화, 추상화 및 서사화로 설명될 수 있다. 「산초판자의 유산 Das Erbe des Sancho Pansa」와 「세상사에 관한 담시 Ballade vom Lauf der Welt」에서와 같이 멕켈은 독특한 단어들의 사용을 통해 독자들이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도록 하였다. 어린이들이 가질 수 있는 환상과 동화의 세계 그리고 꿈속의 세계가 그것이다. 이러한 동화적인 세계를 통해 멕켈은 현실에 대한 모순과 상상력의 결핍으로 인한 현실세계의 불합리를 지적하고자 했다. 물질과 이성이 지배하는 현실세계가 어린이들에게서나 가능한 동화적이며 환상적인 세계를 자꾸 위협하게 되었다. 이성적 활동, 부와 행복의 추구라는 현실상황에서 미래의 세계는 어둠에 휩싸인 불확실성의 세계였다. 그래서 그가 보고 경험하는 현실세계는 항상 황무지이고, 무감각한 대상들로 가득 차 있으며, 그곳에는 외로움과 고독감, 공허와 허무함에 사로잡힌 인간만이 존재할 뿐이었다. 컨테이너와 같이 꽉 막히고 균일화 된 사회, 기술적 발전과 문명화라는 미명하에 아무런 존재가치도 없이 무의미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이 멕켈의 전체 작품을 관통하고 있다. 그러나 멕켈의 담시에서 가장 중요한 장르적 특성은 현실비판이나 새로운 이상향의 창조에 머물러 있지 않다. 오히려 멕켈이 사용한 묘사기법에서 현대적 담시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즉, 독특한 시어들의 사용, 사건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 형상의 퇴조, 인물들의 내적 상황에 대한 묘사, 인물시점으로의 변화, 유희적이며 단순한 대화체와 극적인 상황전개, 조소와 풍자의 효과적 장치 등이 멕켈의 시가 갖고 있는 현대성이다.

      • KCI등재

        세계문학과 문학적 세계 1 -국내 세계문학 담론의 수용 양상과 세계체제론

        이은정 ( En-jung Lee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5 No.-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계는 국가 간의 경계가 자본의 순환에 의해서 무너지고 지구라는 하나의 단일 시장으로 통합되어 가고 있다. 세계문학 담론의 등장과 이를 둘러싼 지역연구와 다양한 학제간 연구의 발달은 한 편으로는 지구적 평등성을 실현하기 위한 모색이라고 여겨질 수도 있지만, 다른 단편으로는 세계시장을 위한 문화자본의 성격을 띠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세계문학’에 대한 국내학자들의 논의가 어떤 흐름을 갖고 있으며, 자국문학과의 관계에서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그리고 괴테의 ‘세계문학’ 구상을 당시의 시대적인 변화와 문화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그것의 함의가 순전한 세계주의나 평화주의로만 해석될 수 없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의 세계문학 담론이 우월적인 서구문학의 통찰과 승인을 여전히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닌지, 타자로서의 서양에 대한 선망이라는 이국취향을 지니고 있지는 않은지 지적해 볼 것이다.)마지막으로 최근 국내에서 주목받고 있는 파스칼 카사노바와 프랑코 모레티의 세계문학체제론이 지니는 위험성을 지적해 볼 예정이다. 특히 모레티가 주장하는 진화론적 모델은 사회진화론과 결합한 제국주의적 세계이해라는 점에서 문학을 인간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자본의 역학관계로 치환함으로써 특정 문화적 중심국들의 지구적인 패권정치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뿐이라는 점도 지적할 것이다. Today, the world we live in integrated into a single global market and borders between nations are collapsed by the capital circulation. Appearances of world literature theories, area studies and diverse interdisciplinary studies are, on the one hand, considered as a attempt to accomplish global equality, but the other hand, they hav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apital for world market. In these respects, my study exams influences of Goethe``s world literature concept on korean literature discourse and how much domestic discussions on world literature depend on Core rhetoric of the Western Canon as a basis for guarantee their legitimacy. In this, I point out that world literature discourse in domestic studies is still looking for superior western literature``s discernment and approbation and has an envy to resemble the western as an exotic other. Also world literature discourse in domestic studies summarize two ways, one way is political acquisition of rights and other is ethical hostility of the other. These two ways discussions have common desire to be integrated to the west-centric world literature topography, and thus they more focused on external factors than literature itself. These problems expose the danger of re-approbation of itself as an exotic other. In last, this study points out the risk of theories of world literary systems or world republic of letters in Franco Moretti and Pascale Casanova. In particular, Moretti``s Darwinian bricolage is 21 century version``s imperialistic world-understanding combining with social Darwinism by substituting literature as an human act with cultural capital. Thus it just help to reinforce the system of capitalism and power politics of U.S. hegemony in to the world.

      • KCI등재

        “탈인격화(la depersonnalisation)” 개념을 통해 본 뒤라스의 작품세계 연구

        최현무 ( Hyunmoo Choi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5 No.-

        본 논문은 탈인격화의 개념이 뒤라스의 작품세계에서 어떻게 일관되게, 또 다각적인 양상과 가치를 주장하며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뒤라스는 이 탈인격화를 일찍이 그의 작품 『롤 V. 스타인의 황홀Le ravissement de Lol V. Stein』의 주인공 롤의 존재적 상태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는데, 뒤라스 작품에 나타나는 바에 따르자면 이 개념은, 자아가 자신을 비우는 것, 혹은 자신의 고통이나 감정을 망각하고 자아를 다른 어떤 것에 내어주는 것, 혹은 자신과 타자와의 차이의 벽을 무화하는 일련의 존재적 상태나 시도를 지칭한다. 뒤라스의 초기 작품부터 이 개념은 처음에는 다소간 잠재적인 상태로 나타나다가, 이후 60년대의 작품, 특히 위에 언급한 작품부터는 작가의 작품 속에 상존적으로 여러 단계의 발전을 거치면서 구체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고는 탈인격화의 조명하에서 뒤라스에게 매우 핵심적인 주제인 욕망이나 고통의 메카니즘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어 뒤라스적인 광기의 본질적인 의미가 무엇인지를 탈인격화에 대한 뒤라스의 전망에 기대에 접근해 보았다. 뒤라스적인 욕망의 근저에는 타인과 합일하려는, 즉 나를 비우며 타인과 같이 되려는 일련의 동기화가 존재하며 그것이 뒤라스적인 사랑의 개념으로 확대되는 것을 『모데라토 칸타빌레Moderato Cantabile』, 『사랑L’amour』, 『밤의 선박Le navire Night』같은 작품을 통해 관찰 할 수 있었다. 탈인격화는 뒤라스의 작품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광인들과 파괴에 대한 사건적인 해석을 뛰어넘게 해준다. 탈인격화는 어떤 관점에 서서 고려하는 가에 따라 일종의 광기의 상태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만큼 탈인격화는 존재의 전격적인 변화를 동반하기 때문이고 그것이 뒤라스의 인물들에게서 발견되는 파괴의 양상을 설명해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뒤라스의 작품을 사건적이거나 형식적인 시선으로 접근할 때의 한계를 넘어 작품의 가치관적인 깊이를 적합하게 드러낼 수 있다. 탈인격화는 근대적 개인성의 벽과 한계, 작가가 파국적으로 인식하는 현재의 세계에 대한 비판적인 대안처럼 제시되며 개별작품들은 부분적 범주에서 그 가능성을 타진한다. 더 나아가 탈인격화는 작가의 글쓰기의 지평이 된다. 특히 작가의 말년의 저작들이 보여주는 탈장르적인 글쓰기의 양상과, 공백과 침묵이 지배하는 단문화된 문장, 시적 리듬을 지닌 절제된 문장들은 작가 자신의 글쓰기에 대한 많은 언급에 나타나는 것처럼 탈인격적인 양상을 현현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re are several main themes that appear recurrently and constantly in Marguerite Duras’ works from her early years to the end such as desire, love, destruction or madness. The concept of ‘dispersonnalization’ that this article brings focus on could explain very deeply the real signification of these important themes beyond of their narrative level. In Duras’ works, dispersonnalization appears in her novels such as Moderato Cantabile, Le ravissement de Lol V. Stein or Dix heures et demie du soir en ete, something like an ravishment, an emptiness of ego, a desire to be in complete fusion with others at the risk of loss of self etc. This concept is developping in Duras’ works widely and progressively, regardless of their genres: at the beginning very carefully but from the 60s more actively and extensively. More and more concretly, Duras’ works reveal under diverse forms dispersonnalized persons and situations where the difference of singularity or identity of each person is bannished. This state of annihilation of each person demonstrates the destruction or madness, very positive values in Duras’ literary universe. But paradoxically it’s the essence of Duras’ idea of love. Thus the characters in L’amour or the film La femme du Gange are similar, physically fused, called ‘insanes’ by the narrator, sharing the painful memories of their past. Duras presents this idea of the dispersonnalization as an alternative ontological value to resist the limit and wall of modern mythical personnality that imprisons humanity and lowers its dimension. Reflecting her idea of dispersonnalization, Duras’ writing change at the end of her period : there is not only apparent deconstruction of genres, recurrent silence or short poetic phrases but also this dispersonnalization in writing because it becomes a principe of her writing itself.

      • KCI등재

        『과학의 나무』에 나타난 삶과 행복에 관한 철학적 성찰

        조민현 ( Cho Minhyun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4 No.-

        오르테가 이 가세트와 바로하 사이의 소설에 관한 논쟁에서 오르테가는 인간의 삶과 같은 구체적인 현실을 가득 담은 바로하의 소설을 비판했다. 바로하의 소설을 이전 시대에 지배적으로 나타났던 사실주의 소설의 연장으로 보았던 것이다. 하지만, 그의 소설을 외부 현실이 고스란히 반영된 소설적 경향이라고 한정하는데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가 소설에서 담으려고 했던 것 중에는 삶과 현실에 대한 평면적인 반영이 아닌 칸트와 쇼펜하우어 등에서 비롯된 세계와 인간의 삶에 대한 변화된 철학적 성찰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 예를 바로하의 대표작 『과학의 나무』를 분석하며 살펴보았다. 이 작품에는 칸트 철학을 이어받은 쇼펜하우어 사상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그는 인간이 바라보는 세계는 세계 그 자체가 아니라 세계에 대한 각 개인의 표상이라고 주장했으며, 그러한 표상의 원인을 의지로 보았다. 바로하는 『과학의 나무』에서 이러한 전망을 바탕으로 주인공 안드레스의 삶을 이야기하면서 인간이 마주하는 삶의 본질은 무엇이며, 그 속에서 각 개인은 어떠한 방식으로 행복을 추구할 수 있을지에 대해 성찰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는 철학적 사유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면서 바로하가 생각하는 현실과 인간의 삶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려고 하였다. In the debate between Ortega y Gasset and Baroja about the genre of novel, Ortega y Gasset criticized Baroja’s novels for being full of anecdotic experiences taken from the life of individuals. He viewed Baroja’s narrative works as an extension of the realist novel, which had prevailed in the previous era. However, we should question whether his novels were just mere imitations of realistic novels which pursue the faithful reflection the external reality as their main target. This is because, among the very things he tried to include in his novels, there is an aspect based on a changed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world and human life that originated in the works of Kant and Schopenhauer, not a flat reflection of life and reality. Such aspect can be clearly perceived through the analysis of Baroja’s most representative work, The Tree of Science. In this work, the influence of Schopenhauer’s thought, which inherited Kant’s philosophy, is greatly expressed. He considers that the world that humans see is not the world itself, but their individual representation of the world, which is built up on everyone’s own will. Based on this perspective in The Tree of Science, Baroja reflects on the nature of life human beings face and how each individual can pursue happiness in it, narrating the life of the protagonist. In this way,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broaden the range of understanding of reality and human life according to Baroja by looking at the literary configuration of his philosophical thoughts.

      • KCI등재

        사무엘 베케트의 연극글쓰기와 현대 서사의 리좀적 구조

        이영석 ( Yong Seog Lee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9 No.-

        무질서의 형이상학적 형식에 근간을 둔 베케트의 부조리극의 등장은 연극과 문학의 존재양식과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오늘날 인문학의 영역에서 베케트의 부조리극 서사기법이 가져온 이야기 장치의 무수히 많은 변화는 고전극의 탄생만큼이나 혁명적인 것이다. 고전극의 서사기법에서 현대 부조리극으로의 변화는 단순히 연극의 기술적인 차원에서만 아니라 연극과 인간에 대한 인식의 구조에 있어서도 혁명적인 변화를 동시에 가져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추종한 고전극이 이성중심의 로고스를 상징한다면, 베케트가 창조한 부조리극의 세계는 탈중심적인 사유, 해체주의적인 사고를 다양한 기법으로 생산한다. 이러한 부조리극의 세계는 다양성의 원리와 단절의 원리로 구성된 리좀의 세계와 동일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들뢰즈(Gilles Delueze)와 가타리(Felix Guattari)는 『천개의 고원Mille plateaux』에서 선적인 수목적(樹木的) 구조 혹은 이항에 의한 대립적 구조에 근간을 둔 전통적 사유에 대비되는 리좀적 구조에 근간을 둔 새로운 철학적 사유를 정립하고 있다. 철학의 목표를 무엇보다 새로운 철학 개념을 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했던 들뢰즈와 가타리는 리좀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서구의 현실과 사유를 지배해온 억압적이고 위계적인 나무 구조를 비판하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의 세계는 단지 혼돈과 혼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기술이 아날로그 방식과는 전혀 다른 차원으로 존재하는 것처럼 리좀은 이성의 원리에 지배를 받는 기존의 질서로 정의되지 않는 다른 질서이다. 동일한 것이 아닌 이질적인 배열이나 연결을 통해 정의되는 리좀은 그렇게 때문에 무엇보다도 기존에 제시된 의미에 대하여 전복적이고 저항적이다. 베케트가 부조리극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시간과 서사의 양상과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리좀의 개념은 서로 닿아있다. 들뢰즈와 가타리에 따르면, 리좀은 시작도 끝도 갖지 않고 언제나 중간을 가지며, 중간을 통해 자라고 넘쳐난다. 리좀은 일종의 반계보이다. 단절적 기억 또는 반기억을 실천하는 리좀은 변이, 팽창, 정복, 포획, 고정을 통해 나아간다. 문자표기법, 그림, 사진과 달리, 또한 사본과 다르게 리좀은 부조리극의 사건처럼 생산되고 재구성되어야 하며, 언제나 분해 가능하고 연결 가능하며 전환 가능하고, 수정될 수 있는 지도와 관련되어 있으며, 다양한 출구들과 관련되어 있으며 자체의 탈주선을 갖고 있다. 리좀은 이질적인 모든 것에 대해 새로운 접속 가능성을 자유롭게 허용하고, 다양체 원리로 인해동일자인 주체 안으로 회귀하는 통일성이 없고, 주체도 객체도 없다. 리좀의 세계는 단일한 의미생산에 통일화 되지 않는 다양체인 것이다. 이런 식으로 다양체 안에서 차원들이 늘어난 것이 리좀으로 만들어진 ‘구성체(assemblage)’이며,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연결 지점이 아니라 그 사이에 작용하는 선이다. 부조리극의 탈서사의 탄생 원리가 이곳으로부터 온다. 하나의 리좀은 어떤 곳에서든 끊어지거나 깨질 수 있으며, 자신의 특정한 선들을 따라 혹은 다른 새로운 선들을 따라 복구되기도 한다. 리좀은 베케트의 서사 배치의 기법처럼 언제나 열려 있고, 많은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있다. 서사의 기법을 리좀으로 바라보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입장은 베케트의 극텍스트를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독법의 전망을 제시할 수 있다. 베케트의 연극은 혼돈에 어울리는 형식과 우연에 따라 연결되고 배치되는 사건을 보여주기 때문에 일관된 이야기를 포착할 수 없다. 그는 미학의 현대성을 연극글쓰기를 통해 극명하게 보여준다. 베케트는 담화의 시간성, 특히 시간의 선조성이 파괴되고 공간의 연극성이 중시되는 다중 서사의 세계를 구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와 『놀이의 끝』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밀한 분석을 통해서 들뢰즈와 가타리가제시한 리좀의 세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e aim of my study is to analyze in depth the rhizomatic structure in Samuel Beckett`s theatrical writing. Indeed, the heterogeneous speeches of his plays, obeying various multiple orders, are places to aggregate dramatic signs. The writings of Samuel Beckett`s theater, which illustrate techniques of intertextuality,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of the rhizomatic writing in the theater of the absurd. In Samuel Beckett`s plays, the concept of rhizome returns on each level of the course of events: the fragmentation, juxtaposition, rupture, leaking conjunction, repetition and paradox. Deleuze and Guattari use the terms "rhizome" and "rhizomatic" to describe the kind of theory and research that allows for multiple, non-hierarchical entry and exit points in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The Deleuzian and Guattarian conception of the nomadic rhizome and machinic assemblages has enabled readers to see Beckett in a different light. So, what is the rhizome? What is the rhizomatic writing? According to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a rhizome is a descriptive and epistemological model in which elements are not organized in a hierarchical subordination line - with a base or root for several connections depending on a well-known model - but in the way any element can affect or influence any other. In particular, a postmodern perspective of the text is strongly supported by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s textual analysis which examines the role of the rhizome in the issues of literary creation. The rhizome has many faces and takes different aspects. The unique and modern aesthetic thought in the absurd theater is expressed by rhizomatic writing. In Samuel Beckett`s absurd theater, it deploys a real rhizomatic structure with different dramatic languages. From Waiting for Godot to Endgame, Beckett`s dramatic works are subtle and troubling evocations of time and space not conceived of as a continuum, but rather as something like an empty space. The figure of the rhizome operates on a palne of aesthetic consictancy in Beckett`s absurd theater. I seek to examine the formal specificity of Samuel Beckett`s theatrical writing in terms of the rhizomatic structure of modern narrative.

      • KCI등재

        막스 프리쉬의 『호모 파버』에 나타난 내면의 풍경으로서의 공간

        서유정 ( Seo Yujung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6 No.-

        50세에 들어선 엔지니어인 발터 파버는 존재적 삶이 아닌 기능적 삶을 살아온 전형적인 서구적 현대인이다. 그의 일상은 기계와 기술문명에 둘러싸여 있고, 그의 의식은 확률과 숫자로 대변되는 과학적 합리주의에 물들어 있다. 인간관계에서는 철저히 개인화되어 있으며, 고독과 건조함은 그의 정서의 주조를 이루고 있다. 시각적 인간인 그는 일을 통해 남성으로서의 자기존재를 증명하려 한다. 파버의 내면은 이제껏 억압된 (여성적) 무의식이 의식의 세계로 범람하면서 갈등과 혼란을 겪게 되는데, 이러한 의식과 무의식의 역동적인 내면의 풍경은 끊임없이 이동하는 공간을 통해 묘사된다. 뉴욕이라는 대도시에서 파버는 계산적이고 합리적이고 기계적인 의식의 일상을 산다. 그곳에서의 아이비와의 관계 역시 기계적이고 비인간적인 면모를 갖는다. 하지만 타마울리파스 사막, 캄페체와 팔렌케의 밀림, 이탈리아와 그리스의 고대유적지와 해변과 같은 공간에서 무정형의 세계, 에로스의 세계, 감정, 열정과 같은 여성적 무의식의 요소들, 기억과 존재의 합일을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은 덧없음, 부패, 죽음과의 대면으로 이어지며 결국에는 삶과 죽음의 동일성을 목도하게 된다. 공간과 시간은 현대에서 고대로, 문명에서 자연으로 점점 이동한다. 더불어 시각에서 청각의 세계로, 의식에서 무의식으로, 현재에서 기억으로 나아가며 존재의 근원 내지는 ‘자기 (Selbst)’의 핵심으로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아바나에서 비로소 파버의 내면의 경직은 깨어지고 실존적 경험과 함께 미국을 위시한 현대문명사회에 대한 문화비판적 시각을 갖게 된다. The main character Walter Faber, an engineer entering at the age of 50, is a typical western modern man, living not as a being but as a function. His everyday life is surrounded by machines and technology, and his consciousness is infected with the scientific rationalism, represented by probability and the number. His personal relationships is characterized by rugged individualism, and loneliness and dryness are his emotional traits. He, a man of visual sense, tries to prove his manly existence through work. With the flooding of the suppressed (feminine) unconsciousness into the realm of consciousness Faber``s inner world gets into conflict and confusion, and this dynamic inner landscap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s depicted through the restless change of location. In a metropolis, New York, his life is dominated by the calculating, rational, and mechanical consciousness. His relationship to Ivy whom he gets to know there has also a mechanical and inhumane aspect. But in tamaulipas desert, in the rainforest of Campeche and Palenque, and on ancient sites and beaches in Greece and Italy he experiences the world of amorphousness and eros, elments of feminine unconciousness such as emotion and passion, and the unity of memory and existence. These experiences lead him to the confrontation with vanity, decay, and death, at which end he witnesses the identity of life and death. Space and time move gradually from modern to ancient times, from civilization to nature. And he also proceeds from the visual toward the aural world, from consciousness toward unconsciousness, and from presence toward remembrance, and enters into the basis of being or the core of the ``Selbst``. Finally, Faber``s inner rigidness breaks up in Havana, and he acquires, besides an existential experience, a critical view about the modern civilization including America.

      • KCI등재후보

        여성문학과 여성의식 - 장제(張潔), 장신신(張辛欣)과 천란(陳染)을 중심으로

        김경남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0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15 No.-

        本文着重記述了新時期文壇中張潔, 張辛欣以及陳染三位女作家筆下的女主人公們在現代都市文明與自我世界極端對立當中的行動意識以及觀念形態. 其中, 張潔繼承了丁玲的女性意識以及思想觀念, 幷在這個基礎上讓自我世界與客觀世界保持距離, 從而進一步與其區別開來. 我們之所以把丁玲看做現代文學中女性文學的先驅, 嚴格地說, 不僅僅是因爲從저的筆端中流出的女性形象本身已經確保了女性充分的色彩與個性, 也是因爲저的女主人公們在現代文明中確立了自我世界, 就在這個基礎上저們自覺地認識到저們自身與世界有着不可分割的關系. 如察看以上所述的張潔, 張辛欣以及陳染的共通點, 也可以縮略成世界與自我之間的對立關係. 雖然三位作家都是從女性的立場來感受世界的, 然而저們各自的感想與表現出來的反應又稍稍有所不同. 具體地說, 雖然三個作家都在不約而同地爲女性在現代中國社會中的現實處境而苦惱, 張潔對現實社會的問題意識及問題提起方式却圍繞着這樣一些問題的揭露, 批判及對女性自身的覺醒爲中心的描寫, 因此저反映出來的內容大都有關女性對社會鬪爭, 促使社會革新對女性觀念的一種女性文學, 卽直接與强調女權的擁護及强調聯系在一起, 從而旣使저創作出有强烈個性的女性形象來, 但與現實世界對立中構築着女性自我的內面化了的世界的情況却幷不多見. 與此相比, 張辛欣注重突出問題的主人公, 把主人公的性格形象表現得更明顯, 更强烈, 更淋리盡致, 比起張潔筆下的主人公, 相對來說稍微確保了個人領域的存在空間乃至具體心態. 也就是說, 張潔在女性與世界相對立緊張的關係當中, 一味注重單方面的對立鬪爭, 而沒給主人公留下自我深思的餘地幷疏忽了對主人公心態的具體描會, 然而張辛欣則通過自我對社會價値的實現和對愛情的確認過程而與世界保持一定的距離, 進而自然而然地擴大了主人公立地的空間餘地. 而從陳染筆下的主人公們身上,我們可以不難發現出與此不同的諸多面貌. 現實世界中他人的不可고, 不可信, 尤其是現實生活規律及機制更强迫着저們逃避現實, 幷與此拒絶妥協, 從而進一步與之頑强對抗. 然而저們身處的現實空間和實際力量, 又使得저們對社會的反抗加深, 而這種反抗又相應地給저們帶來一些壓力, 限制和監視着저們的一擧一動. 就在這種自我與社會緊張對立的格局當中, 獨自構築和享有個人世界的自我才得以誕生, 這樣的自我從在某種意義上來看, 不僅表現出了女主人公頑强的, 主體的性格特微, 同時又反映了現實是社會的必然的産物而女性又是悲劇的犧牲者. 陳染筆下所描繪的無處立脚的自我, 無論是男性還是女性, 其實在現代社會中都是無法得以生存的. 從某種意義上可以說, 陳染的文學追求與文學的普遍主題和課題是聯系在一起的.

      • KCI등재

        예쓰(也斯)의 문학 속에 나타난 홍콩의 지리공간과 도시문화 연구

        박남용 ( Park Namyong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5 No.-

        이 논문에서는 홍콩 작가 예쓰(也斯)의 문학세계를 중심으로 홍콩의 지리공간과 도시문화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포스트식민 시대의 음식과 사랑에 대한 관계를 밝히며 홍콩이란 도시공간 속의 도시문화를 연구하였다. 예쓰는 도시의 산책자와 만유자가 되어 홍콩의 숨겨진 과거와 현재를 돌아보며 탐정의 모습처럼 홍콩의 거리와 음식, 그리고 문화적 명사들의 세계를 탐구하고 있다. 예쓰는 그의 시세계에서 홍콩의 거리 이름들을 시 제목으로 직접 제시하며 홍콩의 근대화 과정 속의 개발과 해체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는 문학작품 속에서 다양한 홍콩의 지리공간 속에서 살아가는 홍콩인들의 일상풍경을 제시하였다. 그의 시는 살아있는 풍경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홍콩의 역사기록이 되었다. 또한 그의 소설세계에서도 홍콩의 포스트식민의 음식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표현하였다. 그는 홍콩의 식민지 역사와 음식에 대한 조명을 통해 포스트식민 시대의 홍콩의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였다. 결론적으로, 홍콩에 대한 예쓰의 자유로운 문학적 상상은 홍콩의 현실에 대한 끊임없는 자기 탐구이자 과거 역사에 대한 기억이며 홍콩의 미래에 대한 자유로운 외침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 the urban culture in the geographic space of Hong Kong, exploring post-moderni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post-colonial er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ng-Kong's geographical space and urban culture centering on Ye-si's literary world in Hong Kong. In conclusion, Ye-si's free literary imagination on Hong Kong is a constant self-exploration of Hong Kong's reality, a memory of past history, and a free cry for Hong Kong's future. He is not only contemplating the desires and illusions of the metropolis of East Asia, but also explores the landscape of Hong Kong's disappearing urban memory with its walkable, detective-like and slow steps.

      • KCI등재

        리온 포이히트방어의 역사소설 『못생긴 공작부인』에 나타난 "권력과 정신"의 모순성

        류용상 ( Yong Sang Lyu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4 No.-

        “권력과 정신”, “아시아와 유럽”, “행함과 무위” 등과 같은 개념쌍은 초기 포이히트방어의 창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당시 그는 인도 철학과 세계관의 영향 속에서 힘과 권력에만 맹신한 나머지 몰락의 증후를 보이는 유럽의 시민사회를 위해 동양의 관조와 무위의사상을 통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러한 그의 작품의 경향은 1914년에서 1925년 사이, 즉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해부터 역사소설 『유대인 쥐스』(Jud Suß)가 출판된해까지 약 11년간의 기간 중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그는 특히 1차 세계대전 기간 중 『인도총독 워렌 해스팅스』(Warren Hastings, Gouverneur von Indien, 1916), 『바잔타세나』(Vasantasena, 1916), 『왕과 무희』(Der Konig und die Tanzerin, 1917) 등 총 3편의 인도드라마를 연속적으로 발표했으며, 그 외에도 1925년까지 『토마스 벤트』(Thomas Wendt,1920), 『유대인 쥐스』(1922/25), 『못생긴 공작부인 마르가레테 마울타쉬』(Die haßlicheHerzogin Margarete Maultasch, 1923) 등 총 3편의 역사소설 등에서 동양 및 불교철학에 대한 논쟁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본 논고에서 리온 포이히트방어의 역사소설 『못생긴 공작부인』은 부정적이고 나쁜 권력에 대한 비판, 즉 유럽의 권력과 행동 원칙의 극복이 절실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Feuchtwanger``s main literary works are recognized as most popular among the historical novel. His early drama works include various historical topics. As Feuchtwanger often remarked, he wanted to treat present phenomena and problems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So thought Feuchtwanger that historic literary works are most appropriate in understanding present situations with greater objectivity. He always saw the present situations through the history background. The main theme of the novel “The Ugly Duchess” is based on the ugliness. Feuchtwanger wanted to show in his novel, as a woman is forced by her ugliness, to unfold all slumbering in their talents. He has succeeded in that it provides the heroine of his works with valuable assets that it brings in the subconscious desire to gain a satisfactory compensation for their ugliness, the full development. So the author demonstrates in his novel, especially the lives of historic heroine Margarete Maultasch that fails tragically to their unusual ugliness. This representation of a people fighting his physical handicap, Feuchtwanger treated the ugliness, which occurred repeatedly in his early work which ques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and passivity or power and renunciation. The disabled person can not do all the things he wants to do. He must learn to give up his power. Feuchtwanger tried to treat the basic idea of the novel “The Ugly Duchess” once poetically in the Petroleum Islands, which is written in 1925.

      • KCI등재

        쉬르레알리즘 연극 - 숀 오케이시의 『요술수탉』 -

        손동호 ( Sohn Dong Ho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1 No.-

        아일랜드 극작가 숀 오케이시의 『요술수탉』은 그의 초기 사실주의 희곡과 다른 성격의 비사실주의 양식의 연극이면서 새로운 극미학을 개척한 작품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안토냉 아르토의 잔혹극 이론을 이용하여 오케이시가 구축한 기호의 건축학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비사실주의 예술은 가시적 외부세계의 모사를 배격하고 물질세계 너머의 존재의 신비와 우주의 비밀을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칸딘스키 같은 쉬르레알리즘 화가가 의도적으로 이미지를 불분명하고 모호하게 만드는 것은 적어도 예술에서만큼은 물질 세계로부터 과감히 벗어나고 싶은 강렬한 욕망의 결과이다. 그림 감상자는 상형문자와 같은 모호한 상징과 이미지를 보며 일상의 세계를 초월하여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자유를 얻는다. 『요술수탉』의 상형문자는 작품 서두에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수탉이다. 수탉은 단순한 동물이 아니라 주인공이 등장하는 나이아드나나베라는 마을에 생명 에너지를 전달하고 생의 기쁨을 회복시키기 위해 나타난 신의 메신저이다. 완고한 도미니어 신부에 의해 추방 당할 때까지 수탉은 로렐린이라는 젊은 여성의 모습으로, 또 마이클의 중절모로 변신을 거듭하며 사람들에게 편협한 종교관에서 벗어나 자연의 에너지를 되찾도록 돕는다.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 수탉정신을 가진 모든 여성과 메신저 로빈이 마을을 떠날 때까지 마을의 남성들은 잠시 동안이나마 갈등과 슬픔이 없는 아름다운 순간을 경험한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artistic effects of Sean O’Casey’s Cock-a-doodle Dandy as a poetry in space with reference to Antonin Artaud’s theory of cruelty. O’Casey’s 1949 play is equipped with a new set of dramatic techniques that are very different than the dramatic techniques in traditional Aristotelian dramas. O’Casey was one of the playwrights and directors who took bold steps to innovate theatre performances by experimenting with new ways to create on stage a three-dimensional architecture of signs made possible b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oncrete set, lighting, music, and properties during the performance. All the elements in the text and the things on the stage are signs to weave the web of signification on the satge. In Cock-a-doodle Dandy, the rooster that appears prior to the human characters in the beginning of the play is the central symbol and the immanent hieroglyph that defines the spiritual world of the people of Nyadnanave throughout the whole action. The rooster appears and disappears as a mysterious message about the joy of life which ironically disturbs the peace and quiet of the villagers, transforming itself into a young girl, or a silk hat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human character who represents the rooster is Loreleen who has come to visit her parents after living some time in England. Her visit is a chance for the villagers to revive the repressed joy of life that has been latent in the psyche because of the oppression of free expression of the human instinct by the conservative Catholic church. The male characters including Michael and Mahan have been educated by the clergy of the Catholic church to antagonize women and all the sexual behavior. They see evil spirits in the body parts of women such as their legs, or in their dresses of bright colors. Only once in Act 2 the male characters had a chance to restore the joy of life with the assistance of the female characters, who tempts them to have a drink and dance with the women. Their joy of life reconizing their human instinct does not last long. It is cut short by the appearance of pastor Domineer who is all out to banish not only the rooster and Loreleen from the village and also any other anti-Christian elements. The village becomes the place of death after the departure of the female characters and the messenger Rob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