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최신 국내 연구동향 분석

        차재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at-risk young children, and to seek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at-risk young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a total of 79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1 to 2022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and examine overall research trends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quantitatively the most studies related to at-risk young children were conducted in 2016 and have been steadily carried out until recently. Second,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at-risk young children were the most. Third, there were the most studies on at-risk young children, while there were a few studies on parents. Fourth, most of them were quantitative studies, among which survey studies were the most. Fifth, the subjects of the survey research were mainly teachers, an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also centered o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also about teachers’ awareness and demands for at-risk young children as a teacher factor. Sixth, experimental studies targeting at-risk young children were the most common, with a focus on single-subject design. Also, behavioral support for at-risk young children and intervention programs related to teaching strategies were the most common independent variables, while variables related to behavior and sociality of at-risk young children were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systematic early intervention and support for at-risk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79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전반적인 연구동향과 양적연구의 구체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연구는 2016년에 양적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실시되었고 최근까지도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장애위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중 발달지체 위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분포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중 조사연구와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다섯째, 조사연구의 연구대상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연구내용 역시 교사요인으로써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교사인식 및 요구에 관한 내용 중심이었다. 여섯째, 실험연구의 연구대상은 장애위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독립변인은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행동과 교수전략 관련 중재프로그램이 가장 많았고 종속변인은 장애위험 영유아의 행동과 사회성 관련 변인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를 위한 교사 안내 자료 개발 연구

        강은진,최일선,김형미,김영아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hing guide for children at ris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The guide was developed through an extensive process involving literature reviews, focus group interviews(FGIs), and consultations with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ix profession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n analysis of the demands for a teaching guide to intervene with children at risk revealed the necessity of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efinitions and criteria for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observation methods and assessment too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well as counseling approaches for parents. When composing the contents of the guide, it is crucial to consider the appropriate usage of technical terms such as "children at risk"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ovide fundamental terms and procedure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services, and offer detailed teaching guidelines for children at risk. Secondly, the guide consists of knowledge and practices. Specifically, the contents cover the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children at risk and provide instructional and behavioral support for these childr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teaching guid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emands of teachers working with children at ris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를 위한 교사 안내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초점집단면담(FGI) 및 자문회의 등의 개발과정을 거쳐 교사 안내 자료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를 위한 교사 안내 자료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결과, 내용으로는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개념 및 판단기준, 장애위험 영유아 발견을 위한 관찰 및 검사도구 자료,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장애위험 영유아 부모와의 상담 등을 제시하였다.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자료 구성 시 고려사항으로는 신중한 장애위험 영유아 용어 사용, 기본적인장애 관련 용어나 절차 제공, 구체적인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 가이드라인 제시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를 위한 교사 안내 자료의 구성 체계는 지식과 지원방안 실제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이해,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교수지원, 장애위험 영유아를위한 행동지원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현장교사들의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에 필요한 실제적인 교사 안내 자료를 개발하여 장애위험 영유가 지도에 대한 교사 역량 강화 지원 자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반 영유아 대상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문제 행동 연구동향의 비교분석: 2010년-2017년 5월

        김태영 ( Kim Tae Yo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에서 2017년 5월까지 일반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문제행동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일반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학술지 유형, 연구대상자, 연구유형, 연구주제 등에 대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문 155편(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 121편,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 34편)을 분야별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은 2010년부터 다양한 학술지에 꾸준히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게재되어 온 반면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은 연도별로 꾸준히 게재되었으나 학술지 분야가 협소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의 연구 참여자는 주로 교사와 부모였으며,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은 주로 영유아와 교사가 참여하였다. 영유아의 연령은 두 분야 모두 영아보다는 유아가 전반적으로 많았다. 연구유형은 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에서는 조사연구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에서는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지역 및 장소는 두 분야 모두 서울 및 경기지역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 동향은 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에서는 부모나 영유아의 변인과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에서는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았다. 독립변인은 일반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 모두 긍정적 행동지원이 가장 많았으며, 종속변인은 모두 문제행동이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ynthesis on a total of 155 studies of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at risk (34 studies) and without disabilities (121 studies) from 2010 to May, 2017. These studies were analyzed with trends of academic journals,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districts/settings, research topics, and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The outcomes of research synthesi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both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without disabilities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2010. However,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have been published in quite different types of academic journals while studies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published in limited types of academic journals. Second, participants of the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mainly teachers and parents while those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mainly themselves and their teachers. Participating children were mostly preschool age in both areas of studies.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mainly used survey research while studies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mainly used single subject design research. Districts of both studies were mostly Seoul and Kyeonggi-do. Third, topics of research studies of young children were mainly young children or their parents' variables related while these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positive behavior supports. Finally,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mainly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problems behavior were mainly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both studies.

      • KCI등재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과 지원 요구

        최자영,이순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on the prevalence of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their educational supports for the children at risk, and their support needs. Survey was conducted with 273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early childhood centers, for which the preceding survey questions were analyzed and reconstruc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ir general perceptions on children at risk, the teachers believed there were more children at risk than before. The teachers’ most common diagnostic basis on children at risk was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Second, when they noticed children at risk,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nsulted with their coworkers or supervisors before all else, checked the degree of children’s disabilities through the ‘teacher observation,’ and conducted parent counseling and home-connected education to provide education supports. Those who did not provide the proper supports pointed out the lack of proper supporting environments and human resources. They were also concerned about parent denial and the conflicts with them. A lot of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ain source of having difficulties with instructing children at risk was the lack of confidence in their professionalism. Third, the main support needs were to lower the ratio of teacher vs. children, to establish cooperation and advisory system with special education experts, to reduce teachers’ workload and provide assistants, and for the par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to have better disability awareness and offer active cooper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현장에서 느끼는 장애위험 영유아의 출현율 및 이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 현황, 그리고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지원 요구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있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7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인 질문지는 선행연구의 것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한 한 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장애위험 영유아의 출현이 증가추세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대상유아가 장애위험 유아라고 인식하는 이유로는 언어발달영역의 지연을 가장 많이 들고 있었다. 둘째,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될 경우, 가장 먼저 교사들은 원장 및 동료교사와 상의하고, 교사관찰을 통해장애위험 영유아의 위험정도를 확인하며, 교육지원 방법으로 부모와 의논하고 가정과 연계교육을 하는 것, 적절한 교육지원을 하지 못한 이유로 지원환경 및 인력이 없는 것을 가장 많이 들고 있었다. 그리고 부모가 자녀의 문제를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는 점, 그로 인한 부모와의 갈등 발생을 우려하고있는 점, 장애위험 영유아를 지도할 때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의 주된 요인이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및 지도방식에 대한 확신 부족’ 때문이라는 점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다. 셋째,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에 대한 지원 요구로는 교사 대 유아 비율의 축소, 특수교육 관련 전문가와의 협력 및 자문 시스템구축, 현실적인 업무경감 및 보조인력 제공, 비장애 영유아 부모의 장애 인식 개선 및 적극적인 협조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

        권은주,남미경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day care centers and it aims to notify people of the need to provide systems and policies for the provis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services for at-risk young children. For this, it made a survey after precedent literature was studied and reviews were conducted by child education experts and conducted that survey on 237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general day care cent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day care centers showed that there was great need for the individualized 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and that perception levels were high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ed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and that they were also high regarding difficulties that have to be resolved. Second, survey results on the demand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showed the need for the expanded placement of specialized teachers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day care centers, assistant staff support, support with physical environments, and systems and policies that can resolve financial difficulties and also, the need to construct a system that can conduct individualized childcar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eacher to child ratio by age in classes where there are at-risk young children appeared to be high. 본 연구는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고, 장애위험영유아에게 특수교육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도와 정책마련의 필요성을 알리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237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 고찰과 유아교육 전문가 검토를 거쳐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은 장애위험영유아를 위한 개별화 보육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고, 장애위험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에 대한 긍정적 효과에 대해서 높게 조사되었고, 해결해야 할 어려움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장애위험영유아의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요구 조사 결과 일반어린이집에도 전문성을 갖춘 장애위험영유아 전담교사 배치를 확대하고, 보조인력에 대한 지원, 물리적 환경을 갖추기 위한 지원과 재정적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제도와 정책 마련의 필요성, 장애위험영유아가 소속된 반의 교사 대 아동 비율을 연령별로 적합하게 조절하여 개별화 보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구축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이상희 ( Sang-hee Lee ),이연우 ( Youn-woo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천안ㆍ아산 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중 다문화가정 영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보육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장애위험 영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와 없는 교사 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영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정도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언어발달을 또래 유아에 비해 느리게 발달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장애위험 영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경우, 다문화가정 유아의 기본생활 능력이 또래보다 느리게 발달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장애위험 정도 확인에 있어서 장애위험 영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교사 관찰과 체크리스트 사용이 효율적임을 보고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교육 지원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특성과 가정환경, 교사특성과 보육환경에 따른 제한점등을 보고하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 및 실제 적용에 관해서 교사의 전문적 기술발달, 전문가와의 협력관계 형성, 교수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 등을 요구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실행과 교사와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abou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upports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 The modifi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eachers who had teaching experiences in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Asan and Chunan city areas. A total of 14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dividing teachers with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s in at-risk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sults: First, regarding to the gener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most of teachers perceived that language development is slow compared to their peers. Second,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use of the effective method to identify at-risk child. Third, daycare center teachers responded that the difficulties in educational supports were related to communication problems with parents, parent characteristics, teacher and daycare center environ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 were suggested in terms of developing programs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s for at-risk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해외 연구동향: 2011-2018년 10월

        김태영 ( Kim Tae-yo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에서 2018년 10월까지 일반과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외국연구 동향(연도별 학술지, 연구 참여자 및 연구유형, 주제 및 연구유형별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같은 주제로 이루어진 국내연구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논문은 총 124편으로 모두 영문이었으며, 대부분이 미국 전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연도별 학술지 동향을 살펴보면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21%)와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15.3%)에 영유아 대상 문제행동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또한 2011년에서 2016년까지 영유아 대상 문제행동 관련 연구가 꾸준히 활발하게 이루어지다가 2017, 2018년에 다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일반과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가 함께 참여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교사와 부모 및 가족의 참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의 연령은 유아기의 아동들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유형은 자폐범주성과 정서ㆍ행동장애가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은 조사연구(35.5%)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단일대상연구(13.7%)와 실험연구(12.9%)가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 동향은 중재, 특히 긍정적 행동지원(PBS)을 활용한 연구가 37.9%로 가장 많았으며, 문제행동이 영유아의 발달이나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제(13.7%)도 비교적 많았다. 실험연구와 단일대상연구의 독립변인은 모두 PBS가 많았는데, 특히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에서 총 17편 중 12편이 PBS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인은 모두 영유아의 문제행동이었는데, 일부 교사나 부모의 중재실행이 포함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ynthesis(trends of academic journals,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s, and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of foreign countries on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rom 2011 to October, 2018. Results of the research synthesis of foreign countries was compared with them of domestic research synthesis on the basis of commonness and differences. A total of 124 studies, which were all written by English was analyzed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published in peer-reviewed academic journals of USA. The outcomes of research synthesis we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First,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s were mainly published in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21%) an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15.3%). The studies were actively researched from 2011 to 2016, however turned to decrease in 2017 and 2018. Second, participants of the studies were mainly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cluding those at risk and their teachers and parents. Participating children were mostly preschool age. Amo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emotional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highest rate of the studies. The studies mainly used survey research(35.5%), single subject design(13.7%), and experimental research(12.9%). Third, topics of the studies were mainly about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s, particularly positive behavior supports(37.9%) and effects on development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13.7%). Finally, studies of SSD(12 of a total of 17 studies) and experimental research mainly used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se studies all used challenging behavior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many of them used treatment fidelity of teachers or parents.

      • KCI등재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을 위한 법과 전달체계의 현황 및 개선 방안

        강은진,최윤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4

        Recently, the number of infants and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y such as developmental delay has increased, and the difficulties for daycare and kindergarten teachers are also escalating. The need for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in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y is recognized, but not implemented. This study collected literature and operational plan data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disability risk and the delivery system, which is the main body of service suppor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rrent legislation does not have a separate law provision for "children at risk". However, the Welfare Support Act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tate that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necessary for children under a certain age. Second, it the legislation provides related services from comprehensive childcare support centers,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but in reality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and a shortage of specialized personnel.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deploy professional personnel to support infants and children at risk and establish a system to provide related services even before disability registration. 최근 발달지연 등 장애위험 영유아가 늘어나며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장애위험 영유아의 조기발견과 조기개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지만, 실행에는 어려움 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장애위험 관련 법의 체계와 서비스 지원 주체인 전달체계의 현황 및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 및 운영계획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보완이 필요한 자료는 설문조사와 담당자 면담을 통해 수집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법은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별도의 개별법을 두고 있지는 않으나,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특정 연령 이하의 아동에 대하여는 발달재활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었다. 둘째, 육아종합지원센터,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인 복지관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지역적 차이와 전문 인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위험 영유아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인력의 배치와 장애 등록 이전에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에 관한 실행연구: 일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를 중심으로

        김승현(Kim Seung Hyeun),이병인(Lee Byoung 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을 실행연구로 진행하여,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지원체계를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 조기발견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 6개소 어린이집 영유아 221명이며, 맞춤형 양육지원의 대상은 조기발견에서 선별된 31명의 영아 중, 부모가 참여를 수락한 4명의 영아와 부모, 담임교사이다. 맞춤형 양육지원은 장애위험 영아의 부모와 교사, 연구자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며 계획-실행 및 관찰-반성의 과정을 순환적인 절차로 반복되는 실행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위험 영아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 계획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 예비 실행, 전문가 검토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기 발견은 3회기로, 맞춤형 양육지원은 12회기로 지원 절차를 계획하였다. 둘째,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 발견은 모든 영유아의 발달과 양육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셋째, 장애위험 영아를 위한 맞춤형 양육지원은 실행 및 관찰-반성-계획의 나선형 절차가 반복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매회기 일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여 가정과 어린이집을 방문하였다. 양육자와 담임교사는 방문이 없는 일상에서도 실행기록지로 활동-중심 중재를 실천하고, SNS로 소통할 수 있었다. 넷째, 맞춤형 양육지원을 통해, 영아, 부모, 담임교사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대상 영아는 발달이 촉진되었으며 부모와 담임교사는 영아의 일상에서 발달촉진을 위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역량이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는 참여한 대상과 참여하지 않은 대상 모두에게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장애위험 영아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이 장애위험 영아의 발달을 촉진하거나 장애가 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기 발견은 장애위험 영아를 선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영유아의 발달 및 양육을 지원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장애위험 영아 조기개입으로 영아의 친숙한 성인인 양육자와 담임교사가 주체가 되어 전문가 협력을 실행하는 지원체계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support systems as an implementation study on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Method: early identification targets 221 infants and toddlers at six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targets of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are 4 young children,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among 31 young children selected by early identification. The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was conducted as an implementation study in which parents, teachers, and researchers of young children at risk maintain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the processes of planning-implementation and observation-reflection were repeated in a cyclical procedure. Result: First, the process of reviewing prior research, preliminary implementation, and expert review was conducted for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plans. Through this process, the application process was planned in 3 session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12 sessions for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Second, the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include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and rearing of all children. Thir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for young children at risk was implemented and repeated the spiral procedure of observation-reflection-plan. To this end, the schedule was managed efficiently for each session and visited families and childcare centers. The caregivers and the classroom teachers were able to practice activity-centered mediation with the performance record sheet even in everyday life without visits and communicate through SNS. Fourth, through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infants, parents, and classroom teachers changed positively. Young children’s development was promoted, and parents and classroom teachers were reinforced in their capacity to seek opportunities to promote development in their daily lives. Finally, the social validity of early identification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showed high results in both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ted subject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arly identification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for young children at risk’ can contribute to normalizing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t risk or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disability. Early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was an opportunity t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rearing of all children as well as screening children at risk.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early interven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has suggested a support system that is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experts, led by caregivers and classroom teachers who are familiar adult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장애위험 영유아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지원 요구

        류혜진,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4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at-risk young children, targeting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of public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16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And using SPSS 29.0,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at public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llected information on at-risk young children through regular observation and anecdotal records, and then diagnosed them using a screening tool. Second, participants mainly recognize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as well as developmental delays a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t-risk young children. Third, participants are aware of the need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but the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lack of related knowledge and differences in views between parents and public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urth, participants requested support from special education experts, training to strengthe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reduced teacher-to-child ratio, an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institutional support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at-risk young childr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 system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at-risk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S시 G구와 K도 A시에 소재한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장애위험영유아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된 설문지는 총 116부로 SPSS 29.0을 이용하여 문항의 특성에 따라 빈도분석, 다중응답 빈도분석,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보육교사들은 정기적인 관찰 및 일화기록을 통해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뒤 선별 도구를 사용하여 진단하였다. 둘째,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장애위험 영유아의 행동특성으로 지연된 발달과 함께 자폐성 장애아의 행동 특성을 주로 인식하였다. 셋째,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관련 지식의 부족과 부모와보육 기관의 견해 차이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지원으로 특수교육 전문가의 지원, 보육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연수, 교사 대 아동 비율 축소,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제도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유아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