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활동과 심장자율신경계 활동

        송상협,이혁종,이호성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func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on cardiac rhythm, the relationship between endurance training and cardiac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chronobiologic studies in heart functions. [METHOD] Data collected by keywords that cardiac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evaluation of the cardiac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cardiac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and endurance training, and chronobiologic studies in heart functions. [RESULT] To evaluate cardiac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y, the time-domain and frequency area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hronotropismus, and these analysis are evaluates electric stability in cardiac rhythm.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heart rate is increased during exercise and is decreased following exercise. These changes are regulated by cardiac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Recently, it is reported that parasympathetic activity is higher in endurance athletes, and endurance training improves parasympathetic activity and also increases cardiac electric stability in patient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nd myocardial infarction .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reflects body fatigue state and could be an index of athletes conditioning. However, more researches are needed to confirm the detraining effects on these studies in healthy subjects Moreover, reexcitability on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may be improved by exercise training.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ircadian rhythm and exercis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sports activities may closely be related with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in heart. Further studies for the mechanism of exercise response on cardiac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서론] 이 연구는 심장자율신경계 활동의 평가와 의의를 알아보고 지구성훈련과의 관련성 및 시간생물학적 연구에 대해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심장자율신경계, 심장자율신경계 활동의 평가, 심장자율신경계 활동과 지구성 훈련 및 심장자율신경계의 시간생물학적 연구의 주요어를 가진 문헌을 토대로 자료를 정리하였다. [본론] 심장부교감신경계의 활동수준의 평가방법에는 심박변동 해석을 위한 시간영역 해석법과 주파수영역 해석법이 있으며, 이들 해석법은 심장의 전기적 안정성을 평가한다. 심박수는 운동 시에는 증가하고 운동 종료 후에는 감소하는데 이러한 변화에는 심장자율신경계 활동이 관여하고 있다. 지구성 운동선수의 심장부교감신경계 활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혈압, 당뇨병 및 심근경색과 같은 유질환자의 지구성훈련은 심장부교감신경계 활동을 개선하고 심장의 전기적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심장자율신경계 활동은 생체의 피로상태를 반영하고 운동선수의 컨디셔닝을 위한 지표로서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탈훈련 및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심장자율신경계 활동의 변화에 대해서는 향후 검토가 필요하다. 심장부교감신경계 활동의 회복응답은 운동훈련에 의해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운동 종료 후에 하루주기리듬의 차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결론]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 활동과 심장자율신경계 활동과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에는 운동부하에 따른 반응성 등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완전몰입 가상현실이 건강한 성인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복합 연구

        강종호,김충유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완전몰입 가상현실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가상현실 장비를 접하지 않은 17명의 20대 남성으로 하였다. 대상자에게 완전몰입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았고, 적용 전과 후에 5분 동안의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획득한 심전도 신호는 교감신경계의 활성을 반영하는 LF, 부교감신경계의 활성을 반영하는 HF, 자율신경계의 전반적인 활성을 반영하는 TP, 그리고 자율신경계의 활성 균형을 반영하는 LF/HF로 분석하여 자율신경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완전몰입 가상현실을 적용한 후 대상자의 HF와 TP는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LF/HF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완전몰입 가상현실은 자율신경계에 스트레스를 제공하지만, 그 변화는 건강한 성인의 정상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완전몰입 가상현실은 건강한 성인에게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ull immersion virtual reality (VR)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7 men in their 20s. The subjects were given full immersion VR content, and electrocardiogram (ECG) signals were measured for five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full immersion VR.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LF, HF, TP, and LF/HF ratio of the ECG signal. The obtained data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paired sample t-test. After applying full immersion VR, the subjects’ HF and TP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ir LF/HF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ull immersion VR provided stress to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but the chang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of healthy adults. Therefore, full immersion VR can be safely applied to healthy adults.

      • KCI등재

        프로그램-광고 맥락에서 자율신경계의 반응과 측정에 관한 연구

        양병화(Byung Hwa Ya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3

        광고에 대한 인지반응은 주의와 각성을 포함하는 자율신경계의 반응으로부터 시작한다. 특히 자율신경계의 반응은 의식적으로 통제되지 않는 생리적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정서경험이 사고과정과 독립적으로 어떻게 광고에 전이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따라서 광고반응이란 일차적으로 수용자들의 생리적 변화를 수반할 뿐만 아니라 광고시청 이전에 발생한 정서가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TV 프로그램의 정서적 맥락에서 형성된 각성수반의 자율신경계 변화와 그에 따른 광고반응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맥락의 정서적 유인가를 나타내는 영화클립(부적/정적)을 선정하고 조건별로 각 40명의 대학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과 광고 동안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관찰하고 다양한 생리적 측정치들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기저선 측정치를 공변인으로 한 프로파일분석에서 프로그램 맥락에서 유발된 자율신경계의 변화는 정서적 유인가(부적/정적)에 따라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변화는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유지되고 차별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에서보다는 부적 정서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에서 정신생리학적 변화가 대체로 크고 광고반응에서의 지속성도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자율신경계의 변화 가운데 생리적 반응으로서 피부전도수준(SCL)이 프로그램 맥락의 정서적 유인가에 따른 신경계의 반응변화를 설명하는 데 유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consumers` response on advertising is primarily derived from physiological changes including attention and arousal. Because these physiological changes reflect unconscious respons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emotional experiences can be transferred to advertising responses in the context of TV progra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on advertising in the context of TV programs.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0 subjects each in two experimental conditions (negative/positive emotional programs)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of physiological responses in ANS during watching TV program and advertising. We used the profile analysis controlling for the baseline measure as a convariate. Results indicate that physiological responses in ANS during watching the TV program influence consumers` responses on advertising. Moreover, negative emotional valence of TV program is more effective and continuable than positive valence in physiological responses of subjects.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compared with various measures of ANS, Skin Response Level (SCL) is a significant and prospective measure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emotional contexts in the TV program-advertising paradigm.

      • KCI등재

        일시적 근력 운동 후 동맥경직도 증가와 자율신경계 변화의 관련성

        안의수 ( E. S. Ahn ),윤은선 ( E. S. Yoon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3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근력운동은 동맥경직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그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자율신경계 기능 저하는 동맥경직도 증가와 관련 있으며, 근력운동 직후에는 자율신경계 기능이 일시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시적인 근력 운동 후 동맥경직도와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살펴보고 두 지표간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평균 연령 21세의 남성 14명으로 하였다. 연구 설계는 한 피험자가 근력운동과 통제 처치를 두 번 모두 받는 교차설계로 하였다. 근력운동은 최대근력의 60%강도에서 8종목의 전신운동을 15회 반복, 2세트 실시하였으며, 통제 처치는 운동과 동일 시간 동안 누운 자세에서 휴식을 취하였다. 심박수, 혈압 및 동맥경직도 지표로서 경동맥-대퇴동맥 맥파전파속도와 대동맥 증폭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자율신경계 기능 검사로서 심박수 변이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변인은 처치 전과 처치 후 20분에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근력 운동 후 20분에 안정시 심박수, 대동맥 수축기 혈압, 경동맥-대퇴동맥 맥파전파속도 그리고 심박수 75박에서의 대동맥 증폭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부교감신경계 활성도의 지표인 RMSSD, NN50, pNN50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근력운동 후, 동맥경직도와 자율신경계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경동맥-대퇴동맥 맥파전파속도 변화값과 RMSSD 변화값이 유의한 음의 상관을 보였다(r=-0.39, 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일시적 근력운동 후 증가된 동맥경직도는 자율신경계 변화, 즉 부교감신경계 활성도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acute and chronic resistance exercise is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arterial stiffness, the underlying mechanisms are not completely understood.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is associated with arterial stiff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acute resistance exercise would increase arterial stiffness and this increased arterial stiffness would be related to chang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Using a randomized cross over design, 14 healthy young subjects(age 21±2 yrs, BMI 23.4±1.9 kg/m2) completed a resistance exercise session and a sham control session(rest in the exercise room) on two separate days. Carotid-femoral pulse wave velocity(PWV) and aortic augmentation index(AIx) were used as indices of arterial stiffness. Heart rate variability was used to assess autonomic function. Vascular and autonomic measures were made at baseline and 20 minutes after resistance exercise(8 exercises, 60% of 1 repetition maximal).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resting heart rate(59.2±2.6 to 80.4±3.1bpm), aortic systolic blood pressure(96.6±2.4 to 102.4±2.1mmHg), carotid-femoral PWV(6.07±0.3 to 6.36±0.2m/s), and AIx@75bpm(-15.3±3.4 to -0.07±3.3%)(all p<.05) after resistance exercise compared with sham control. The root-mean square of successive differences(RMSSD), number of RR intervals differing by greater than 50 ms(NN50), and percentage of NN50(pNN50) as an indices of parasympathetic modul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resistance exercise(p<.05). Also, change in carotid-femoral PWV after resistance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changes in RMSSD (r=-0.39, p<.05) after resistance exercise. These data indicate that arterial stiffness is increased following acute resistance exercise and changes in arterial stiffness a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heart rate variability. This would suggest that increases in arterial stiffness following resistance exercise a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autonomic tone.

      • KCI등재

        드러밍 운동이 과체중 여성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권정인,이재훈,조준용,오유성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1 No.2

        이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와 드러밍 운동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30-50대의 성인 여성10명을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집단(Low BMI, LBMI <23kg/m2)과 과체중 이상인 집단(High BMI, HBMI>23kg/m2)으로 나누어 드러밍 운동을 실시하였다. 드러밍 운동은 1회 50분,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후 신체조성과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심박변이도는 선형분석인 시간 영역 분석과 주파수 영역 분석을 통해 SDNN(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RMSSD(Root Mean Square of the Successive Differences), HF(High Frequency), LF(Low Frequency), TP(Total Power)를 측정하였다. 비선형분석인 푸앵카레 플롯(Poincaré plot)을 통해SD1(Standard Deviation of the distance of each point from the y = x axis), SD2(Standard Deviation of each point from the y = x + average R–R interval), SD2/SD1을 측정하였다. 자율신경계 지수로 부교감신경계지수(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Index; PNS Index)와 교감신경계지수(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Index)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 전 심박변이도에서 HBMI 집단과 LBMI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8주간의 드러밍 운동 후에는 HBMI 집단이 LBMI 집단에 비해 체중(p=0.034), 체질량지수(p=0.044), 체지방량(p=0.032), 허리둘레(p=0.013)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심박변이도에서 HBMI 집단은 LBMI 집단에 비해 선형 분석에서 RMSSD (p=0.018)와 TP(p=0.033), 비선형분석에서는 SD1(p=0.018), 자율신경계지수에서는 PNS Index(p=0.040)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RMSSD, SD1 및 PNS Index는 부교감신경계의 활동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드러밍 운동이 과체중 이상 여성의 자율신경계 중 부교감신경계의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body mass index (BMI) and drumming exercise on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in adult women. Ten adult women (aged 30-50)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BMI: a normal BMI group (Low BMI, LBMI < 23 kg/m2) and an overweight BMI group (High BMI, HBMI > 23 kg/m2).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drumming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50-minute sessions, three times a week, for a duration of 8 weeks. Body composi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8-week exercise period. Heart rate variability was evaluated using linear analysis in the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Additionally, non-linea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Poincaré plot.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dex was determined by measuring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index and sympathetic nervous system index. Following the 8-week intervention, the HBMI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weight (p=0.034), BMI (p=0.044), body fat mass (p=0.032), and waist circumference (p=0.013) compared to the LBMI group. Furthermore, the HBM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s in RMSSD (p=0.018) and TP (p=0.033) in linear analysis, as well as SD1 (p=0.018) in non-linear analysis and PNS Index (p=0.040) compared to the LBMI group. RMSSD, SD1, and PNS Index serve as indicators of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in linear and non-linear analyse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rumming exercise significantly enhances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in overweight women.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시행이 교감신경계 활성도에 끼치는 영향 : 심전도 스펙트럼 분석

        윤탁,박해정,김의중,정도언,Youn, Tak,Park, Hae-Jeong,Kim, Eui-Joo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0 수면·정신생리 Vol.7 No.1

        목 적: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일반인구의 $2{\sim}5%$ 정도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한 질환이며, 특히 심혈관계 질환이 병발되는 경우가 많아 치료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질환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심혈관계 질환간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으나 자율신경계가 매개 작용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의 교감신경계 활성도가 증가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방법인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이 자율신경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치료 전후에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측정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결과도 일정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환자의 심전도를 분석함으로써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전후의 자율신경계 변화를 고찰하였다. 방 법: 임상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수면 다원검사실에 의뢰된 환자들 중 병력청취, 이학적 / 신경학적검사와 야간 수면다원검사 시행결과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 된 1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기본 측정일과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시행일 모두 디지털 수면다원검사기로 기록을 저장하였으며, 양압술 시행일에는 무호흡 해소를 위한 처방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면다원기록 시행 전 시간에 걸쳐 양압술을 시행하였다. 수면다원기록 판독은 국제판독기준에 따랐다. 그후 기본 측정일과 양압술 시행일 각각의 2단계 수면, 렘수면에서 잡음이 없는 300개의 연속된 심박동 기록을 선택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한 스펙트럼 분석에서 VLF(very low frequency) power, LF(low frequency) power, HF(high frequency) power, LHR(LF/HF ratio) 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심박동 변량(R-R variance)과 심박동 평균값도 산출하였다. 기본 측정일과 양압술 시행일 모두에서 수면다원기록과 동시에 혈중산소포화도($SaO_2$)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제 변인의 값은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 과: 모든 대상군에서 양압술 시행으로 무호흡이 해소되었다. 양압술 시행일의 2단계 수면에서 기본 측정일의 2단계 수면에 비해 VLF power(p<0.05), LF power(p<0.01) 그리고 R-R variance(p<0.05)가 감소하였다. 렘수면의 LF power도 감소하였다(p<0.05). 최저 혈중산소포화도(p<0.01)와 평균 혈중산소포화도(p<0.01)의 증가도 관찰되었다. HF power, LHR, 심박동 변량 그리고 심박동 평균값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처방압력 결정을 위한 양압술 시도 중에도 교감신경계 활성도가 즉각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 변화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수면무호흡증에서 나타나는 혈동력학적인 변화가 교감신경계의 활성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을 처음 사용하는 날부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교감신경계 활성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고려할 때, 임상적으로는 지속적 상기도 양얍술을 장기간 적용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뿐 만 아니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병발하는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에 도움을 줄 가능성도 시사된다.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nCPAP) treatment was found to correct abnormal ANS changes in OSAS but it remains to be further clarified. We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nCPAP on ANS manifested on electrocardiogram, using spectrum analysis in the subjects with OSAS. Methods: Digital polysomnography was performed in 18 patients with OSAS(mean age $43.7{\pm}16.6$ years ; 17 males, 1 female ; mean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48.6{\pm}20.9$) for one baseline and another CPAP nights. From each night, 300 continuous beats of ECGs without artifact were chosen from both stage 2 sleep and REM sleep and they were used for power spectrum analysis. We compared between baseline and CPAP nights the heart rate variability including VLF(very low frequency power), LF (low frequency power), HF(high frequency power), R-R means, R-R variance, and LF/HF ratio, using Wilcoxon signed ranks test. Results: In all patients, nCPAP proved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apneas and snoring. During nCPAP night compared with baseline night, decreases in VLF(p<0.05), LF(p<0.01), and R-R variance(p<0.05) were found in stage 2 sleep, and decreased LF(p<0.05) was found in REM sleep.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leep stage were found in other variables between the two night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OSAS increases the activity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and nCPAP application effectively decreases the activity. And nCPAP does not appear to influence the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y in OSAS.

      • KCI등재후보

        다감각환경(스노즐렌) 적용이 인체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용준환,이지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감각환경의 효과성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감각환경의 적용이 인체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 3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0분간 스노즐렌 적용을 하였으며 측정도구로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도구와 CANS 3000 도구의 심전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스노즐렌 적용 전과 후에 심전도 검사를 통하여 mean HRV, SDNN, 스트레스 저항도, 신체 각성도, 자율신경계 밸런스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다. 결과 : mean HRV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SDNN, 스트레스 저항도, 신체 각성도, 자율신경계 밸런스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성별과 스트레스 점수에 따르는 자율신경계의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스노즐렌의 적용이 인체의 자율신경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스노즐렌이 정신건강예방 분야에서 이완 방법 및 스트레스 예방 관리법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하며 임상적 가치를 증명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sensory environments(Snoezelen)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Methods : 32 college students received a session of Snoezelen for 30 minutes. participants were evaluated with the Campus Life Stress Scale in the pretest and ECG was evaluated in the pretest & post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Independe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 The autonomic nervous system(Mean HRV, SDNN, stress endurance, physical arousal, balance of ANS) was chang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P<0.01) after Snoezelen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n/women and stress score on ANS. Conclusion : We realized that the use of snoezel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NS. Thus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e potential for future research into stress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측두하악장애를 보이는 부정교합 환자의 심박변이도를 통한 자율신경계의 활성도 분석

        김윤지(Yoon-Ji Kim),복규석(Gyu-Seok Bok),김대성(Dae-Sung Kim),조형준(Hyung-Jun Cho),홍지숙(Ji-Suk Hong),안재목(Jae-Mok Ahn),박양호(Yang-Ho Park)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부정교합을 가지는 환자에서 측두하악장애에 따른 HRV (heart rate variability)의 차이 및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관찰하여 스트레스와 측두하악관절 장애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부정교합 환자의 육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만 20세 이상 40세 미만의 성인 부정교합자 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은 실험군으로 분류하였고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 성인 교정환자들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모든 환자에서 HRV를 5분간 측정하였다. 시간 영역 분석 결과 자율신경계의 인체 조절 능력을 반영하는 SDNN (standard deviation of the averages of NN intervals), RMSSD (The square root of the mean of the squared), pNN50(NN50 count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all NN intervals)이 실험군에서 낮게 나타났고 주파수 영역 분석결과 자율신경계의 활성도를 반영하는 TP (total power), LF (PSD in low frequency), HF (PSD in low frequency) 역시 실험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자율신경계의 균형도를 나타나내는 R (ratio of LF/HF)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RV를 이용한 자율신경계 분석은 자율신경계의 활성도 및 균형도를 평가하여 측두하악장애를 보이는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 접근 시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ymptoms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and analyze the validity and clinical relevance from 5-minute HRV data in assessing the psychosocial factors that may contribute to the etiology of the TMD. 74 patients with malocclusion aged from 20 to 40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MD-related symptoms (Group A consists of malocclusion patients who had TMD symptoms and group B has malocclusion patients with no symptoms), and in both groups 5-minute HRV was measured. As a result of time-domain analysis, SDNN (standard deviation of the averages of NN intervals), RMSSD (The square root of the mean of the squared) and pNN50 (NN50 count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all NN intervals) were lower in group A, and the frequency-domain analysis also showed lower PSD values of TP (total power), LF (PSD in low frequency) and HF (PSD in low frequency) in group A. R (ratio of LF and HF) was in the normal range in both groups. HRV is a useful diagnostic tool that can be used to assess the psychosocial factors of TMD in malocclusion patients. (Korean J Str Res 2010;18:41∼49)

      • KCI등재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청소년의 자율신경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윤은선 ( E. S. Yoon ),박수현 ( S. H. Park ),정수진 ( S. J. Jung ),제세영 ( S. Y. Ja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2

        자율신경계 장애는 심혈관계 질환 발생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비만과 운동이 자율신경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만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만그룹 20명(13±0.5세, 30.09±2.75 ㎏/㎡)과 정상체중그룹 10명(13±0.5 세, 20.16±2.87 ㎏/㎡)을 모집하였으며,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만 그룹 20명을 운동그룹 10명과 통제그룹 10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운동그룹은 12주간 주 3회, 1회 운동시간 60~90분으로 구성된 방과 후 운동 프로그램에 참가하였으며, 통제그룹은 동일기간 동안 평소 생활양식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모든 연구 참여자는 신체조성, 혈압, 혈중지질, 심폐체력 그리고 자율신경계 지표로 심박수 변이도와 최대운동후 1분대, 2분대 회복시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심박수 변이도는 빈도 도메인 분석으로 HFnu(High frequency normalized units), LFnu(Low frequency normalized unit), LF/HF ratio를 구하였으며, 시간 도메인 분석으로 RMSSD(Root Mean Square of the Difference of Successive R to R Intervals), NN50(Number of successive NN intervals which differ by more than 50 ms), pNN50 (Percentage of consecutive R to R Intervals differing by more than 50 ms)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비만그룹은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심박수 변이도 검사에서 HFnu이 낮고, LFnu은 높았으며, LF/HF ratio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pNN50이 유의하게 낮게나타났다. 12주 운동 후, 운동그룹은 통제그룹에 비해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둘레가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심폐체력이 향상되었다. 심박수 변이도 지표 중 부교감신경계 활성도를 나타내는 NN50, pNN50, RMSSD, HFnu는 모두 운동후 개선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대운동 후 1분대, 2분대 회복시 심박수도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운동 그룹에서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해 보면, 비만 청소년은 정상체중 청소년에 비해 부교감신경계 활성도가 저하되어 있었으며, 12주간의 방과 후 운동프로그램은 비만 청소년의 자율신경계 개선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지 못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is related with increasing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obesity and exercise on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in obese adolescents. Twenty obese adolescents(13±0.5 year, 30.09±2.75 ㎏/㎡) were compared with 10 heathy normal weight subjects(13±0.5 year, 20.16±2.87 ㎏/㎡), twenty obese adolesc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ercise group(n=10) and control group(n=10). Exercise group participated in a 12 weeks school-based exercise program(60-90 min/day, 3 days/week).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heart rate variability(HRV) and heart rate recovery, Heart rate recovery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heart rate at peak exercise test and 1, 2 minute later. Frequency domain(HFnu:High frequency normalized units, LFnu:Low frequency normalized units, LF/HF ratio and time domain(RMSSD:Root Mean Square of the Difference of Successive R to R Intervals, NN50:Number of successive NN intervals which differ by more than 50 ms, pNN50:Percentage of consecutive R to R Intervals differing by more than 50 ms) of HRV were calculated. Obe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HFnu and increase LFnu, LF/HF ratio which of the HRV compared to normal weight group. pNN50 was significant decrease in obes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p=0.001), % body fat (p=0.004), waist circumference (p=0.001) and increase in cardiorespiratory fitness (p=0.001) after 12 weeks exercise program. NN50, pNN50, RMSSD, HFnu which component of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increased in exercise group, but changes of between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data indicate that obese adolescents had decreased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and 12 weeks exercise program dose not affect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improvements in obese adolesc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