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현병 환자의 재기태도와 약물태도의 관계: 인지적 병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봉건,박경호,이철원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ossible to explanation of the effects of drug attitude with recovery attitude among schizophrenic inpatients in a meaningful way. The study is especially aim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insight on the recovery attitude with drug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 schizophrenic inpatients of C hospital in the Chungcheong area.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a recovery attitude scale, Beck cognitive insight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drug attitude inventory. 42 copies of surveys in total were analyzed with the following method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s. As a result, both recovery attitude and cognitive insight showed as significant correlation to drug attitude positively. The degree of cognitive insight of low recovery attitude group had influences on drug attitude, but those of higher recovery attitude group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effect to drug attitude. It suggested that current medication methods, which try to improve medication compliance through enhancing insight may not be effective on schizophrenic patients who show a high degree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o illness. It raised needs to be recommended such as a patient's level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o illness should be considered when practicing medication methods, which could help to improve medication compliance through enhancing insight where applied.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재기태도가 약물태도를 설명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재기태도가 약물태도에 영향을 줄 때 인지적 병식이 조절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C병원의 폐쇄병동에 입원한 조현병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재기태도 척도, Beck의 인지적 병식 척도(BCIS), 한국판 약물태도 척도(KDAI-10)를 실시하였다. 총 55개의 설문이 수집되었고, 그 중 42개의 설문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재기태도와 약물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기태도의 약물태도에 대한 영향은 인지적 병식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인지적 병식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재기태도가 높을 때에는 인지적 병식의 수준에 따른 약물태도의 두드러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재기태도가 낮을 때에는 인지적병식의 수준에 따라 약물태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재기태도가 낮고 인지적 병식이 높은 집단이 약물태도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 자신이 질환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질환에 적응하지 못한 환자들이 병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약을 선택하며 약물태도가 긍정적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병식을 높여 조현병 환자의 치료 참여를 증진시키려고 하는 약물치료순응프로그램이 재기태도에 대한 고려가 없다면 조현병 환자가 재기태도가 낮은 경우에만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순응 증진 프로그램은 조현병 환자의 재기태도 및 인지적 병식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구성하고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의 자연매력성이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옥(Jin Ok Kim),김남조(Nam Jo Kim)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5 觀光硏究論叢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자연에서 이루어지는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이크게 증가하여 자연매력성이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의 태도와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연매력성을 외적요소인 유인성과 내적요 인인 추진성으로 구분하였고, 태도는 인지적 태도와 감정적 태도로 구분하였다. 실증분 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국내의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중에서 가장 크게 증가한 오토캠핑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연매력성의 유인성은 인지적 태도와 감정적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추진성은 인지적 태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나 감정적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인지적 태도는 정서적 태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치고, 인지적 태도와 감정적 태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자연 기반의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은 자연매력성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자연의 유인성이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의 의사결정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attractiveness of nature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outdoor recreation as outdoor recreation based on natural environment has increased. The attractiveness of nature has been subdivided into a pull factor as an external factor and a push factor as an internal factor. Attitude has also been subdivided into cognitive attitude and affective attitude. For achieving the aim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of auto camp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at the attractiveness of nature has an influence on cognitive and affective attitude. However, while push has an effect on cognitive attitude, it does not have an effect on affective attitude. In addition, cognitive attitude affects affective attitude and cognitive and affective attitude have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the attractiveness of nature has a crucial effect on attitude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in outdoor recreation.

      • KCI등재

        기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CAB 경제적 태도 분석

        박영석,신혜원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ttitude of students toward an enterprise. We measured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questionnaire, which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open description and the scale displa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the enterprise was positive but the affective attitude was negative. There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that responded to students' attitudes to enterprise. It was ‘making money’, ‘corruption’ and ‘contributing to economic development’ that the frequency is high as a description of the cognitive attitude. It was ‘scary’, ‘unbelievable’ and ‘bad’ that the frequency is high as a description of the affective attitude. Also, it was ‘I purchased and used the products of the enterprise’, ‘I visited the enterprise’, and ‘I got services at the service center’ that the most frequent description in the behavioral attitudes. This study represents that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was not negative in general, but that there is a need to be interested in the negative attitude formation factors because it still shows us both attitudes as positive and negative.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method including the open-ended questionnaire abundantly provided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respondent regard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 We expec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e learning methods of the attitude study that is relatively weak. 본 연구는 학생들의 기업에 대한 태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태도에 대해 개방형 서술과 척도 표시를 함께 할 수 있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기업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에 대한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정의적 태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기업에 대한 태도를 응답하는 서술에서는 긍정적 서술과 부정적 서술이 함께 나타난 경우가 많았다. 기업에 대한 인지적 태도를 표현한 서술로 빈도수가 높은 것은 ‘돈 버는 곳이다’, ‘부정부패, 비리가 심하다’,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등이었다. 기업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표현한 서술로 빈도수가 높은 것은 ‘무섭다’, ‘믿을 수 없다’, ‘나쁘다’ 등이었다. 기업에 대한 행동적 태도를 표현한 서술로 빈도수가 높은 것은 ‘기업의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해 봤다’, ‘기업에 견학 가 보았다’, ‘서비스센터에 가서 서비스를 받았다’ 등이었다. 이 연구는 우선, 고등학생들의 기업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지 않았으나,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가 함께 나타난 경우가 많아서 부정적 태도 형성 요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태도 측정 방법으로서 개방적 기술을 포함한 방식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와 관련한 응답자의 구체적인 태도 근거를 풍부하게 제공함을 보여주었다.

      • 딥러닝을 활용한 아파트 청약가점 커트라인 예측 모델 설계

        이상훈(Sang Hun Lee),김영상(Yeong Shang Kim),김철희(Cheol Hee Kim),강정화(Jung Hwa Kang),김재현(Jae-Hyun K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본 논문은 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사용하여 아파트 청약점수 커트라인을 예측하는 모델을 설계한다. 딥러닝 모델은 입력변수로 집의 평수, 인근 역까지의 거리, 강남까지의 소요시간, 도급 순위, 단지의 세대 수, 공급 세대 수, 경쟁률 등의 정형화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아파트의 청약점수 커트라인을 예측하는 모델을 설계한다. 10평 미만구간부터 40평 이상구간까지를 5구간으로 나눈 모델들을 예측해본 결과 평균적으로 98.544 %의 정확도를 보인다.

      • KCI등재

        스마트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강민채(Min-Chae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특수교사들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졸업 후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2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예비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 총 38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예비 특수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와 사후검증 방법인 Tukey 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특수교사들의 스마트교육 태도 수준은 전체 ‘보통이다’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행동적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의적 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학년이 1학년보다 태도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실습 이수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유형별로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attitude toward smart education of preliminary special teachers who major in special education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support strategy for preliminary teachers after graduation for applying smart education to their students. To this end, 230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programs were studied.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attitude toward smart education of preliminary teachers consisted of a total of 38 questions including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o calculated general statistic analysis such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t-test, ANOVA and a post-verification method, Turke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variabl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smart education behavior of prospective special teachers was ‘moderate’, and behavioral attitud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behavior, and the affective attitude was the lowe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 is significant and attitude scores of seniors is higher than freshmen’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as sub-factors of attitude by whether the practice teaching was conducted.

      • KCI등재

        음악축제의 방문 동기와 태도가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인천 펜타포트 락 페스티발을 중심으로-

        김성조,임재문,유창근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nts motivaton, attitude and satisfaction, loyalty component of music festival through SEM(Structured Equation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0 to August 12, 2012.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314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experience & entertainment factor of participants motivation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affective attitude, however,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cognitive attitude, in the second place, concern for musician and sense of place factors of participants motivation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cognitive attitude, bu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affective attitud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attitude and satisfaction, bu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loyalty.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affective attitude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본 연구는 음악페스티발 구성요소인 참여동기, 태도 그리고 만족도와 충성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은 2012년 8월10일부터 12일까지 이루어졌고, 총 350부의 설문이 수거되었고 그 중 314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페스티발 방문 동기의 축제의 경험과 오락성요인은 정서적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지적 태도에는 아무런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방문동기의 출연 뮤지션의 관심도와 개최지의 장소성요인은 인지적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정서적 태도에는 아무런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두 번째로, 인지적 태도는 통계적으로 정서적 태도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충성도에는 아무런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태도는 만족도과 충성도에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환경성적표지의 신뢰성이 친환경 호텔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이남희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22 여가관광연구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redibility of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on affective attitudes, cognitiv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the pro-environmental hotel focusing on the millennial generation. The data collection for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762 millennial generations who were potential hotel consumers through an online survey research firm. Survey results found that the credibility of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indeed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affective and cognitive attitudes toward pro-environmental hotels. in addition, both affective attitudes and cognitive attitudes toward pro-environmental hotels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pro-environmental hotels. This research particularly found that while the credibility of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had a stronger effect on cognitive attitudes than affective attitudes, affective attitudes had a greater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an cognitive attitudes in the context of pro-environmental hote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spread and development of eco-friendly management through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in the field of hotels.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환경성적표지의 신뢰성이 친환경 호텔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온라인 전문업체를 통해 호텔 잠재고객 중 밀레니얼 세대 7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환경성적표지의 신뢰성은 친환경 호텔에 대한 정서적 태도와 인지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호텔에 대한 정서적 태도와 인지적 태도 모두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환경 호텔 맥락에서 환경성적표지의 신뢰성과 태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신뢰성은 정서적 태도보다 인지적 태도에 더 강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태도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정서적 태도가 인지적 태도보다 더 크게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호텔분야에서의 환경성적표지를 통한 친환경 경영의 확산을 위한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색이 메타인지적 과정을 통해 상품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윤재(Yoon Jae Lee),박기완(Ki Wan Park)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색의 연상이 메타인지적 과정을 통해 상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정을 예상하였다. 화장품 광고 맥락에서 빨간색은 성적매력과 관련한 의미를 점화시키며, 이에 활성화된 의미는 성적매력과 관련된 대상을 더 쉽게 처리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의 쉬움과 관련한 메타인지적 경험, 즉 처리 유창성은 상품태도에 호의적으로 반영될 것을 예상하였다. 이의 확인을 위해 실험 1에서는 브랜드 로고의 색(빨간색 vs. 초록색)과 상품 특성(성적매력과 높은 상품 vs. 성적매력과 낮은 상품)을 적용한 실험을 통해 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나타난 효과가 메타인지적인 과정에 의해 일어났음을 확인하기 위해, 광고의 색(빨간색 vs. 초록색)과 성적 연상의 연결 관계를 의식적으로 인지하게 하는 간섭, 즉 개입(있음 vs. 없음)에 따라 소비자 태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개입은 실험참여자들에게 실험 자극의 특성이 참여자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상품에 대한 태도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미리 알려주어, 메타인지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 않게끔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실험 2에서는 개념적 유창성에 대한 척도를 도입해 개념적 유창성의 매개효과를 직접적으로 테스트하였다. 실험 3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소비자가 지니고 있는 색에 대한 연상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다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빨간색과 성적 매력 연상의 점화(연상 단서 제공 vs. 연상 방해) 조작을 통해 빨간색에 의한 성적매력 연상에 대한 접근성에 차이를 두어 상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 1의 결과 빨간색 로고를 접한 소비자들은 초록색 로고를 접한 소비자들 보다 성적매력과 관련이 높은 상품(마스카라)에 대해 더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성적매력과 관련이 낮은 상품(수분크림)에 대해서는 더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실험 2의 결과로는 개입과 광고 색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는데, 개입이 없는 경우 실험 1에서와 같이 성적매력과 관련이 높은 상품에 대한 빨간색의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지만, 개입이 있는 경우 색의 효과는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후 개입이 없었던 집단에 대한 매개분석을 통해 개념적 유창성이 이 과정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3의 결과 빨간색의 성적매력 연상에 대한 접근성을 낮춘 집단에서는 성적매력과 관련이 높은 상품과 관련한 빨간색의 긍정적 효과가 사라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개의 실험을 통해 색과 관련한 연상이 소비자의 상품태도 형성에 소비자들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더라도 메타인지적 과정을 통해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마케터의 입장에서는 상품 패키지에서부터, 광고의 색, 기업의 CI(Corporate Identity)에 이르기 까지 색과 관련한 연상의 이해를 통한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Color is ubiquitous in consumers` everyday life. Color has its own aesthetic value and at the same time delivers a specific meaning, carrying specific information to consumers. Therefore, color is assumed to have a functional as well as an aesthetic value. In marketing, color is delivered to consumers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product design, product packaging, advertisements, and the store environment. Studies on the effects of color have focused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impact of color, and have revealed that color can bring on specific autonomous biological reactions, can evoke specific emotional responses, and can influence consumers` decision making and behavior. Early studies on color proposed that red is experienced as stimulation and unsympathetic and makes consumers focus on the outward environment, whereas blue and green are experienced as calming and sympathetic and turn consumers` focus inward. These studies posited that these effects are based on the wavelength of the color. However, recent studies on the effects of colors suggest that the underlying process involves colors` associations. The red color, which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is associated with happiness, warmth, prohibition, and sexual attractivenes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that when color associations are primed, they may affect consumers` decision making through metacognitive processes, especially conceptual fluency. Consumers` decision making is accompanied by metacognitive experiences such as ease of accessibility, and ease of processing. These can affect consumer judgment as consumers take prior experiential information into account and arrive at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target stimuli. Research on metacognitive experiences suggests that processing fluency can be perceptual or conceptual in nature. Perceptual fluency describes the ease with which consumers can recognize a target stimulus on subsequent encounters, and involves the processing of physical features. Conceptual fluency pertains to the processing of meaning, and describes the ease with which the target stimulus comes into the consumer`s mind. The conceptual ease of processing the target on favorable attitude is based on the effect of semantic priming. Therefore, conceptual fluency models have been explained by semantic priming that prior exposure to a target increases favorable attitude with target-related product by activation of related associations. Drawing on conceptual fluency, in this research, we determine the metacognitive influence of color, red in particular, on product attitude. As red has been proven to be associated with sexual attractiveness, we predict that red (versus green) will increase consumers` attitude toward a cosmetic product, for which sexual attractiveness is highly relevant. Red primes meanings related to sexual attractiveness and, as a result, heightens the ease of processing products related to sexual attractiveness. Specifically, we hypothesize; H 1: Red versus green brand logo will increase consumers`attitude toward mascara, for which sexual attractiveness is relevant, but not the attitude toward moisture cream. H 2: The red effect, observed in H1, will be eliminated when the incidental nature of the color effect is salient. H 3: The red effect, observed in H1 will be mediated by conceptual fluency for sexual attractiveness. H 4: The red effect, observed in H1 will disappear when the red-sexual attractiveness link is made less salient by associating red with other associations. In three experimental studies, we find that the conceptual fluency process underlies how red versus green increases product attitude, but only for mascara not for moisture cream, which appears to be because mascara is more closely related to sexual attractiveness than moisture cream. In study 1 we manipulated brand logo`s colors (red versus green) in product advertisements for two cosmetic products (mascara and moisture cream), which were ostensibly

      • KCI등재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상태,장홍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0

        The study sought to reveal the impact of focusing attitude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for adolescent athletes with trauma experience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215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in the S city and K provinces. The impact of focusing attitude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was verified using validat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for the purpose and method of study are as follows. Focusing attitude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f adolescent athletes affect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reappraisal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followed b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ware, acceptance, accept, reflect and positive refocusing. In order to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verall understanding and tactics of focusing attitude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erefore, effective psychological training methods will be needed to positively control the level of focusing attitude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mong adolescent athletes. 이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와 K도 지역에 위치한 중, 고등학교 운동선수 21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 결과,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적재평가요인과 알아차리기, 수용, 받아들이기, 되새겨보기 및 긍정적 초점변경요인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와 기전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에 대해 포괄적으로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포커싱적 태도 수준을 제고하고 인지적 정서를 긍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심리적 훈련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모바일게임 이용자의 게임 태도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선애,임천혁,정형원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모바일게임 이용자의 게임 태도와 게임 지속사용 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태도는 어떤 대상이나 사태에 반응하는 행동을 말하는 것으로 보편적으로 일관성 있는 행동을 하게 되고 또한 이후의 반응 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20세 이상 성인 모바일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20.0을 사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게임 태도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남자일수록, 대한민국 국적이 아닐수록(중국 국적일수록) 지속사용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게임 이용자의 게임 태도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적 태도, 행동적 태도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aming behaviors by mobile game users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games. A behavior is a reaction against some subject or event, and in general, it brings consistent action and predictable reaction. For this study, the survey has been performed to adult mobile game users over 20 years old in Korea and China, and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used i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s a result of study, if gaming behaviors are not concerned, more male not from Korea (from China) showed higher intention of continuous use. Furthermor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effect of gaming behaviors of mobile game users on intention of continuous use, cognitive behaviors and behavioral attitudes also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