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계열 ARIMA 모델을 통한 한국의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 성장의 관계 분석

        이은경(Lee Eun 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교육과 경제발전의 관계에 대해 종단 연구로서,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성장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와 고등교육 특성이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의 사례를 통해 밝히고자 설계되었다. 한국의 경제성장의 귀인을 교육에 두는 논의는 국내외적으로 지속되어 왔으나, 교육이 그 중에서도 특별히 고등교육이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은 미미한 상태이다. 한국(1965-2014)의 고등교육과 경제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해당 기간(50년) 동안의 한국의 거시경제지표(일인당 국내총생산, 산업영역별 국내총생산, 주가지수 등)들과 고등교육 관련 통계(대학 졸업생 수, 전공별 졸업생 수 등)를 통합하여 변인을 구성하였다. 경제 및 고등교육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시계열 분석의 한 종류로 종적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들의 변화추이를 추척하여 패턴을 예측하는 ARIMA(자동회귀통합이동평균)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의 경제지표에서는 ARIMA (1,0,0) 모델이 경제성장을 가장 잘 예측하였고, 모델 패턴 이후에 주가지수와 대학 졸업생 수 여전히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한 명의 대학 졸업생 증가가 해마다 한국에서는 1.6센트의 1인당 GDP 증가를 이끌었다. 또한, 고등교육 증가와 경제발전 사이에 양자 간에 정적인 순환적 관계가 발견되었다. 순환의 고리에서 고등교육 증가가 경제발전을 설명하는 정도보다는 경제발전이 고등교육 증가를 설명하는 양이 더 컸다. 전공영역과 관련하여, 한국의 모든 전공영역이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전공별로 산업구조에 따라 다른 관계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고등교육이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단위의 유익에 기여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고등교육 비용에 대한 공공부담에 대한 적극적 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고등교육 투자를 위해서는 고등교육 구조와 경제발전의 세부적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concept of linking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growth was diffused throughout the world in the 20th century. Responding to the needs of industries during that period, higher education expanded approximately 200 times beyond the enrollment level in 1900 (Schofer & Meyer, 2005). Empirical studies dealing with the individual benefit of higher education have flourished but little was known about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on economic growth. This research investigates contributions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 institutional sector and major -- to the growth of national wealth. This study chose South Korean case that exemplify rapid growth in the economies through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The study collected the panel data about higher education and the economies from 1965 to 2015 for South Korea and applied an ARIMA model regression for time series analysis. The effect of four major groups on GDP per capita and GDP sectors(agriculture, industry, service et al.) on overall economic growth were examined. In result,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conomic growth, and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of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was examined in South Korea's industrialization periods. all of the four major group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ir GDP value added by industry and service et al., In South Korea, the humanity and social science major groups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through affecting on the increase of their industrial and service GDP. For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and economic growth,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stitutional levels as well as major composition in higher education on economic growth.

      • KCI등재

        묵자(墨子) 경제 사상의 경제교육적 함의 탐색

        김상규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3

        This study presents the economic uncertainty through analysis of the economic thought of Mozi(墨子), who was a Chinese philosopher during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period (early Warring States period, ca. 475∼221 BC). Mozi advocated universal love(兼愛), which stresses that people should care for everyone equally. This principle is in accord with the sustainable economy, such as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 eco-friendly consumption education, and fair trade education. His emphasis on frugal consumption education, equalitarian welfare economic education and anti-war economic education, also can be applied to modern economy. However, his overemphasis on frugality should be reconsidered because it may cause paradox of thrift, such as consumption contraction, investment shrinkage, and production decline. To conclude, this research on economy in humanities is significant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본 연구에서는 전국시대(戰國時代)라는 난세(亂世)에 뚜렷한 혜안을 제시한 묵자(墨子)의 경제사상을 집중 분석함으로써 오늘날의 불확실성 문제에 대처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분석․검토한 겸애(兼愛)를 바탕으로 한 묵자의 경제사상은 착한 소비교육, 친환경 소비교육, 공정무역 경제교육 등의 경제교육과도 잘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또 묵자의 절용(節用) 사상의 경제교육적 적합성, 평등주의적 후생 사상의 경제교육적 함의, 비공(非攻) 사상의 경제교육적 함의 등은 현대 경제교육에서도 그 유용성이 충분하다. 그러나 지나친 검약 강조는 절약의 역설에 빠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나아가 본고의 경제로 만나는 인문학은 학제간 연구(學際間 硏究)로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하겠다.

      • KCI등재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시도된 통합과 주제 중심 고등학교 경제교육과정

        김경모 한국경제교육학회 2022 경제교육연구 Vol.29 No.2

        In the [Common Social Studies] of the 6th curriculum, the 2007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Social Studie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conomic curriculum, not the typically concept-oriented of economics, was attempted in high school economic education. These attempts, which can be called a topic, problem, or issue-oriented economic curriculum,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subject in mind, more narrowly, the general social studies. Nevertheles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grouping these four economic curriculum into one category. In this study, these four high school economic curriculum were evaluated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revis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content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he analysis of economic-related content. Through thi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se curriculum were reviewed as economic curriculum in which the concept of economics was not emphasized relatively or integrated topic-oriented economic curriculum. 제6차 교육과정의 [공통사회],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에서는 고등학교 경제교육에서 전형적인 경제학의 개념 중심이 아닌 경제교육과정이 시도된 바 있다. 주제, 문제 혹은 쟁점 중심 경제교육과정으로 불릴 수 있는 이러한 시도들은 범 사회과 혹은 사회과 더 좁게는 일반사회 내의 통합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공통점이 있다. 그럼에도 이들 네 가지 경제교육과정을 하나의 범주로 묶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교육과정의 내용 및 경제 관련 내용의 분석에 기초해서 이들 네 가지 고등학교 경제교육과정에 대한 경제교육적인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경제학의 개념이 강조되지 않은 형태의 경제교육과정, 혹은 통합지향적인 주제 중심 경제교육과정으로서 이들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 KCI등재

        敎育投資의 經濟的 效果 分析- 經濟成長에 대한 寄輿度 測定을 中心으로 -

        이근영(Keun Young Le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2 No.2

        이 연구는 교육투자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특히, 인적자본론에 기초하여 한국에서 교육투자를 통한 인적자원의 증가가 경제성장에 미친 기여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제성장 기여도의 측정방식은 Denison 모형의 잔여요인접근방식을 사용하였고, 대상기간은 우리나라에서 제6차 교육과정이 수행되었던 1993~2001년 사이의 9년간 한국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교육이 어느 정도 기여했는가를 측정·분석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 측정된 결과는 교육의 노동생산성 향상에 대한 기여도가 0.16%이고, 취업자 노동생산성의 GNP 향상에 대한 기여도는 2.81%였으며, 교육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6.14%로 나타났다. 이러한 측정결과의 시사점은 첫째, 경제성장과 교육투자와는 밀접한 상관를 가지며 둘째, 교육투자를 통해 인적자원을 형성하는 것은 국가경제의 성장·발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셋째, 따라서 국가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교육발전을 위한 과감한 교육투자가 선행되어야 할 것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vestment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contribution rate of educational investment to economic growth in Korea over the period between 1993 and 2001.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it was found that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improved labor productivity was measured at 0.16%, and the contribution rate of labor productivity per employed person to the increase of GNP was measured at 2.81%. 2) Based on the result of measurement, an attempt was made to measure the contribution rate of educational investment to economic growth in Korea over the period between 1993 and 2001. As a result, it was found to be 6.14%.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empirically proved that active educational investment ha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ustained economic growth of more than annual average 5.7% 999in Korea over the same period and this contribution rate is similar to that of major OECD countries.

      • KCI등재

        194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친 미국 경제교육 운동에 대한 이해

        김진영 한국경제교육학회 2022 경제교육연구 Vol.29 No.2

        Econom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an be said to have started in the 1930s by economic organizations such as the The National Association of Manufacturers and the US Chamber of Commerce. In response to the labor movement and the New Deal practiced by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these economic organizations insisted on the economic role of enterprises in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free enterprise system or the capitalist system. Economic foundations such as the Foundation for Economic Education and The American Economic Foundation, pursuing liberal ideology also actively promoted and educated the free market economic system in order to oppose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market.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economic education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has begun and proceeded in earnest between the 1940s and 1960s. In the United States, civic education has traditionally been the study of history,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rights and duties of citizens. In the 20th century, when economic problems became more important, the argument that civic education was needed to enhance citizens' economic understanding was raised. On the other hand, economists at research institutes and social leaders have recognized that the United States, which had the world's strongest economic power after World War II, needs citizen with high economic understanding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and win socialism and systemic competition. Through bilateral cooperation, the Joint Council on Economic Education was formed in 1949, and economic education was actively promoted. 미국의 경제교육은 1930년대 경제단체에 의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경제단체는 노동운동과 뉴딜에 대한 반발로 국가 경제에서 기업의 경제적 역할과 자유기업제도나 자본주의 제도를 주장하였다. 자유주의 이념을 추구하는 경제재단들도 정부의 시장개입을 반대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자유시장 경제체제를 홍보하고 교육하였다. 그러나 미국에서 경제교육 운동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1940년대부터 1960년대 사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시민교육은 전통적으로 역사, 정치제도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공부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경제문제가 중요해진 20세기에는 시민들의 경제이해력을 높이는 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세계 최강의 경제력을 갖게 된 미국이 지속적인 성장과 사회주의와 체제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경제이해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연구재단 경제학자들과 사회지도자들이 인식하고 있었다. 양자 협조로 1949년 경제교육협의회가 구성되고 경제교육에 대한 전방위적인 노력이 이루어진다. 경제단체나 여러 재단의 재정지원이 쏟아지고, 경제교육을 경시하던 미국 경제학회의 저명학자들이 적극적으로 경제교육에 참가하고 미국 의회가 경제교육 청문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경제교육 운동의 출발은 자유기업제도를 주장하는 경제계였지만 꽃을 피운 것은 경제학자들과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교수법을 개발한 교육 전문가들의 협업이었다. 물론 사회 지도자, 정부관리 그리고 정치인들의 노력도 중요한 요인이었다.

      • KCI등재

        경제교육협회의 기능과 목적

        월리엄보스하르츠 ( William Bosshardt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3 경제교육연구 Vol.20 No.1

        미국경제교육협회는 경제교육을 홍보하고 경제교육 자료를 출판하고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미국경제교육협회는 경제교육을 확산시키기는 원하는 다른 국가들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기도 한다. 경제교육체제는 국제적으로 매우 다양하지만, 경제교육에 대한 요구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교육에서 나타나는 많은 문제점들이 다른 나라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경제이해력이나 금융이해력의 개선을 추구하는 국가들은 자국의 경제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교육, 자료개발, 연구활성화, 홍보 등과 관련해 미국경제교육협회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CEE remains a strong voice in advocating for economic education, and continues to publish materials and sponsor programs. The Council for Economic Education provides a model for entities in other countries that wish to promote economic education. While the educational systems vary across the world,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does not. Many of the deficiencies of the U.S. system in the area of economic education are found in other countries. Those in other countries who seek to improve economic and financial literacy can turn to the CEE for an example to guide their own national economic literacy efforts in training teachers, providing materials, encouraging research, and advocac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속 미국 온라인 경제 교육 플랫폼 현황 분석 - AP Classroom 및 EconEdLink를 중심으로

        최윤경 ( Yoonkyung Choi ),조영달 ( Youngdal Cho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 상 경제 교육 현황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두 가지 경제 교육 온라인 플랫폼, AP Classroom과 EconEdLink를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기능 차원의 분석과 내용 측면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기능 차원에서는 두 가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주요 교수학습 기능과 이 플랫폼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역할 분석에 중점을 두고, 내용 차원에서는 미국 CEE가 개발한 Voluntary National Contents Standard 및 경제 사회 변화 내용 적용에 중점을 두어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능적 측면에서 두 개의 경제교육 관련 온라인 링크에서 모두 교육 내용 제공, 학생 관리, 평가, 각종 수업 자료 등을 제공하는 ‘다기능’적 역할이 이루어지며 경제교육 플랫폼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었다. 둘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미국 CEE가 개발한 내용 요소들의 반영과 함께 코로나 시대의 내용을 반영한 경제 교육 자료 등 넓은 스펙트럼의 교육 내용 제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두 플랫폼 모두 기능적인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 교육에 끼칠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며, 앞으로도 시대의 변화에 주목하여 이를 반영하는 경제 교육 분야의 개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exploring the status quo of economics education in the U.S. in post COVID 19 era based on two distinguished online platforms-AP Economics Classroom and EconEdLink. The analysis of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link was based on main teaching and learning tools as well as functional roles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aspect was based on contents relation with Voluntary National Content Standard provided by CEE and adoption of contents related to changes of economic society. The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the functional aspect, it could be found out that ‘multi-functional’ platforms enable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be engaged in economics education more efficiently through various functions provided. Secondly, from the contents aspect, there was a wide-spectrum of contents provision, especially dealing with topics related to current world-wide situations. Overall, it is clear that the forms of economics education depend on the contexts of society. Therefore, showing interest in new forms of economics education for providing optimized education in this fast changing society is needed.

      • KCI등재

        경제교육의 정체성과 문제점

        최종민 한국경제교육학회 2019 경제교육연구 Vol.26 No.2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identity of economic education to see if the current school and out-of-school economic education were operating according to its identity, and based on that, we sorted out the problems surrounding economic education and then looked for solutions. The ultimate purpose of economic education is to foster economic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rough the process of economic socialization. Thus, the identity of economic education can be defined as economic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e fundamental cause of confusion in economic education to this day is that the Education Ministry has been overly engrossed in the connection of economic education and has organized a content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s of economics at univers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current state of economic education, out-of-school economic education was better than school economic education. And the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solutions to address three problem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udy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identity of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used as a criterion or framework for judgment related to economic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경제교육의 정체성을 탐색하여 현행 학교 및 학교 밖 경제교육이 그것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경제교육을 둘러싼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향을 모색하였다. 경제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경제사회화 과정을 통한 경제적 민주시민성의 함양에 있다. 따라서 경제교육의 정체성은 경제적 민주시민성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오늘날까지 경제교육에서 발생하고 있는 혼란과 혼선의 근본 원인은, 교육부가 그동안 과도하게 경제교육의 연계성에 매몰되어 대학의 경제학원론에 준해서 그 내용체계를 편성해 왔기 때문이다. 현행 경제교육의 실태를 정체성에 입각해서 파악해 본 결과, 학교 밖 경제교육이 학교 경제교육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학교 경제교육은 한 학년에 집중적으로 몰려있거나 한 학기에 마치기 힘든 내용체계, 교사와 학생들의 경제영역 및 과목에 대한 부정적 인식,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는 현실적인 제약조건 등이 복합적·중층적 작용하여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학교 밖 경제교육은 사회경제적인 변화까지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로 경제교육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상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도출된 문제점은 교육과정과 콘텐츠의 문제, 교사와 강사의 문제, 협력체계 구축의 문제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와 관련한 시급한 과제는 2015 개정의 내용체계를 정체성에 맞춰 대폭 축소·개편하는 것이고, 두 번째 문제와 관련한 시급한 과제는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을 경제적 민주시민성의 관점에서 개편하는 것이며, 세 번째 문제와 관련한 시급한 과제는 학교 경제교육을 하루빨리 정상화하여 그것이 중심축이 되고 학교 밖 경제교육은 평생교육 차원에서 언제든지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는 경제교육과 관련한 판단의 준거나 틀로 경제교육의 정체성을 적극 활용해 줄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사회교과서 경제영역 분석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향 : 제7차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용조 한국경제교육학회 2002 경제교육연구 Vol.- No.8

        본 연구는 제7차 사회과 경제영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초등학교경제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먼저 사회과 교육과정의 수업 시수 확보가 재고되어야 한다. 고학년의 경우, 타 교과의 생성과 유입으로 인해 연간 수업 시수가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 민주시민의 자질을 배양하는 데 필요한 연간 수업 시수를 늘리지는 못하더라도 축소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수업 시수의 원상회복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교과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와 미시개념은 충실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거시, 국제, 측정개념과 방법들은 소홀히 취급되고 있었으며, 둘째, 가격론과 가격이 결정되는 변수인 수요와 공급은 미시경제에서, 국민소득론의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생산은 거시경제에서 핵심적인 개념들인데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학생들의 눈 높이 수준에서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여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학습의 장에 개발이 부족하여 올바른 경제마인드를 심어주기에 미흡하다. 넷째, 소비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다수의 기업가가 조기에 길러질 수 있는 생산 위주의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시기부터 경제기본개념들을 고루 접할 수 있도록 교재내용을 구성하되 생산중심의 경제교육을 지향해야 하며, 한국경제의 미래를 위해 선진경제들의 일반적인 추세처럼 학교교육에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행·재정적 지원이 더 필요하고 민간단체나 기구들의 창립과 협조가 요구된다. 그리고 경제전문가와 학자들은 학생들에게 올바른 경제마인드와 가치를 심어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연구·개발에 가일층 노력 할 때, 우리 나라의 경제는 그 장래가 밝게 될 것이다. Recently the problem in our economy is to be sustained economic growth through national competition power and entered at the advanced economic block. For these the duty of school economic education understands objective and systematic economic elementary concepts, principles, actual economic problems and implant an analysis power to economic phenomenon, rational consumption life, responsible decision-making skill etc., sound economic consciousness. On the ground of these cognitions, this study is an significance that analyzes the curriculum and textbook of the 7th social studies economic area and extracts the point at issue and presen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ground of these cognitions, this study is an significance that analyzes the curriculum and textbook of the 7th social studies economic area and extracts the point at issue and presen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First of all, the security of teaching hours number should be reconsidered an occasion of the 5th, 6th grade, on account of the creation and inflow of other a course of study, a yearly teaching hours number in inclined to diminish. To cultivate responsible, citizenship and civic competence in a democracy, the restoration of a yearly teaching hours number is needed. The next, the result of textbook analysis is as following. The first, the basic and micro concepts is treated faithfully, but macro, international economy, measurement concepts and way is treated negligently. The second, the price theory and demand & supply in variable of price at micro economic, GDP & GNP of national income theory at macro economic are core concepts, nevertheless these are treated negligently. The third, due to short of development about programs and fields of experiences learning, it is insufficient to plant right economic mind to our children. The fourth, to get out of consumer & consumption-centered education, our school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changed with the producer & production-centered education to cultivate a number of enterprisers in the early stage. In conclusion, for the purpose of Korea economy of future like that general orientation of the advanced economic, our government must give positive interests and administrative, financial aids at school economic education, further the foundation and assistance of civil bodies and organizations are requested. The economic experts and economists should be made an exertion to be planted right economic mind and value to our students through the R&D of software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생 경제이해도 평가 결과를 통해 본 경제이해도 및 평가 도구 비교 분석

        오영수,박상은 한국경제교육학회 2012 경제교육연구 Vol.19 No.2

        Korea and U.S. are the two countries which have national test results for econom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we can hardly compare students' economic literacy level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e test tools(U.S.-TEL, Korea-KAEE TEST), test sample(U.S.-7,243, Korea-9,442), and testing period(U.S.-2000, Korea-2010).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economic literacy level of Korea and U.S. students by connecting 2010 KAEE score with TEL score. For this indirect comparison, we administered both TEL and KAEE TEST simultaneously for the 2,127 students sample group selected from 59 high schools in Korea from June 26 to July 10, 2012.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quite big differences up to 16 points in the econom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two countries, i.e. U.S. students are superior to Korean students in economic literacy in every range of scores. However, in case of students under general track in high school, the difference reduces within 5 points at most. Regarding the difficulties of test kits, it turns out that TEL appears to be easier than KAEE TEST to most Korean students except some students group with lower score ranges. 본 연구는 2010년에 한국경제교육협회(KAEE) 주관으로 이루어졌던 고등학생의 경제이해도 평가 점수를 미국의 TEL 점수와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미국 학생들의 경제이해도 수준과 양국의 평가도구의 난이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서로 다른 시점과 평가도구로 이루어졌던 양국의 평가 결과를 연계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에 전국의 59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127명의 2학년 학생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여 양국의 평가 문항으로 동시에 테스트하였다. 2012년 표본집단의 2010년 KAEE 테스트 결과는 2010년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특히 일반계 고등학생의 평가 결과는 거의 일치하였다. 또 미국의 TEL은 한국의 KAEE 문항에 비해 중상위권 학생들에게는 다소 쉬운 것으로, 하위권 학생들에게는 다소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도구의 난이도 조정 후 비교 결과, 한국 학생들의 경제이해도는 중상위권 학생의 경우 미국 학생에 비해 5-10점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반계 고등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비교에서는 중위권 학생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상위권에서도 5점 이내로 차이가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