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융합연구 -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중심으로 -

        최문실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수강생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2017년 3월13일부터 24일까지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에게 연 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12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도구는 Likert 5점 척도이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의 의사소통 인식 5점 만점 평균 3.50±.41, 의사소통 능력 3.32±.38,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3.00±.40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r=.633, p<0.01), 의사소통 인식도와 자기효능감(r=.336, p<0.01),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r=.480, p<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융복합수강생의 자기효능감 수준 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적용된다면 의사소통 능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convergence study is to confirm the relevance between communication aware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128 college students studying convergence education. They answere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during March 13 to 24, 2017. The instrument for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Communication self-efficacy was done by Likert 5 point scale. Data was analyzed by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ost-hoc Scheffe test using SPSS/Win 21.0 program. As a resul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level 3.50±.41 point, communication ability 3.32±.38 point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3.00±.40 among. Communication Awar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ability level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If there is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improve the level of communication self-efficacy,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역량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상우,김종규,원만희 한국수사학회 2015 수사학 Vol.0 No.2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f undergraduates.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ndergraduates taking classes in speaking and writing.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of all,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ve competence. Specifically, receptive competence, transmission competence and adjustment competenc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fficacy. In other words, undergraduates who have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might act with higher confidence when communicating. Secondly, the study was extende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n-cognitive element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from the speaking area to the writing area. This is dissimilar from previous studies. It was very important to encompass a variety of undergraduate majors to extend the scope and level of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self-appraisals, which include non-cognitive factor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are proved. By measur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we discerned the importance of non-cognitive factors. In addition, we found that self-appraisals can be an important method for diagnosing communicative competence. 자기효능감 개념이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발휘되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평가나 신념이라는 점에서 자기효능감은 의사소통역량 구성에 있어 비인지적 요소에 해당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라는 개념을 척도로 사용하여 소통주체의 감정과 의지 그리고 자신감 등의 비인지적 요소와 의사소통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비인지적 요소와 의사소통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기존의 연구와 달리 말하기 영역에 한정하지 않고 글쓰기 영역에까지 확장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지적 요소와 의사소통역량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전에도 수행되었지만, 그것에는 의사소통역량의 한 축인 글쓰기 영역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으며, 특정 전공 분야의 학생들에 한정되어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말하기 및 글쓰기를 포괄하고, 전공과 상관없이 대학생 일반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그 연구의 범위와 수준을 확장했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의사소통역량은 개인이 속한 환경 속에서 다양하게 표출될 수 있으므로 이론적인 연구만이 아니라 현상을 측정하여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전공 분야의 2천여 명 이상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두 개념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자기효능감은 의사소통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역량은 동시에 강화되어야 할 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글쓰기와 말하기 교육을 통해 위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의사소통역량 평가에 있어 비인지적 요소를 포함하는 자기평가방식의 필요성과 의의가 입증되었다. 기존의 타자평가방식은 객관적 기준으로 의사소통역량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이를 위해 의사소통역량의 비인지적 요소를 소홀히 다루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자기평가방식으로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역량을 측정하고 두 개념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비인지적 요소의 중요성과 더불어 자기평가방식도 의사소통역량 진단을 위한 중요한 방식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유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Young Sun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유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B지역의 중학생 347명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유형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기효능감과는 부개방형의사소통유형, 모개방형의사소통유형과는 순상관관계임이 나타났으나 부폐쇄형의사소통유형, 모폐쇄형의사소통유형과는 역상관관계임이 나타났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유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예측한 결과 부개방형의사소통유형, 모개방형의사소통유형, 모폐쇄형의사소통유형이 0인 경우 자기효능감의 평균이 2.055점이며, 부개방형의사소통유형이 1점 증가하면 자기효능감이 평균적으로 0.236점 증가함을 예측할 수 있으며, 모개방형의사소통유형이 1점 증가하면 자기효능감이 평균적으로 0.078점 증가함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바람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유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on adolescent"s self efficac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47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Busan, Korea. A self-report survey was used for collection, which was carried out from July 1 to 15,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14.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peni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The higher level of opening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as, the more self-efficacy increased by a factor of 2.055. The higher level of opening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as, the more self-efficacy increased by a factor of 0.078. Thus, It showed to be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on adolescent"s self efficacy.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 자기효능감과의 구조적 관계

        이성희(Lee, Seong-Hee),김희동(Kim Hee D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관계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고,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편의 표집 방식을 활용하였고, 전라북도 지역에 재학증인 대학생 2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이 직접 온라인(구글닥스)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를 제작할 때 모든 문항에 반드시 응답한 후에 다음 문항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설정하여 탈락률은 없었고, 총 260명의 대상자가 응답하여 수집된 자료 26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사소통능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감성지능은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은 매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살펴본 점과 대인관계 유능성과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관계적 역량보다 자기인식 역량이 영향을 미치며, 온라인상으로도 의사소통능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사회생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자기인식역량 필요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and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variables. Methods For convenience sampling, 26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Jeollabuk-do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er directly expla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to the subjects, and th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irectly responded to the online (Google Docs) questionnaire. When preparing the questionnaire, it was set to proceed to the next question after all questions were answered, so there was no dropout rat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The structural model among the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as confirmed to be appropriate.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s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rogram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using online in non-face-to-face situations was confirme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lay the foundation for the need for self-awareness competency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actively cope with social lif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COVID-19로 인한 수업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강미경,김인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Methods From May 2-24, 2021, this study surveyed total 224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in three universities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Using the IBM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for data analysis, total five variabl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clinical competence of research subjects was higher than the moderate level, and in the score of each area, the nursing techniqu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communication were the highest. The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linical performance satisfaction, matter of receiving the practice of adult healthy nursing,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academic self-efficacy,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linical competence.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communication clarity, and communication confidence had effects on clinical competence.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limited environment under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enhance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also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clarity and confidence required in field. To improve such elements, it would be also needed to develop/apply the systematic simulation practice program similar to intramural practice and clinical situa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한 수업 방식의 변화에 따라 간호대학생 중 실습유경험자를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기간은 2021년 5월 2일부터 24일까지로 3개 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24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IBM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5개의 변수를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임상 수행능력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각 영역별 점수에서 간호기술과 대인관계/의사소통이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 능력은 임상수행 만족도, 성인간호학 실습 유무,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학업성취 정도에 따라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자기 결정성 동기와 임상 수행 능력이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실습 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이 임상 수행능력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제한된 환경에서 임상 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현장에 필요한 의사소통 명확성과 자신감 향상이 필요하다. 이 같은 요소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구성된 교내실습과 임상상황과 유사한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중국유학생의 한국어 학습동기, 의사소통 불안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주운(Yun Zhou),이용남(Yong 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33 No.-

        이 연구는 중국유학생의 한국어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C대학교 중국유학생 215명에게 의사소통불안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한국어 학습동기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에 앞서 측정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적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의사소통 불안이 낮은 반면, 외적 학습동기는 의사소통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의사소통 불안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은 낮았다. 내적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불안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외적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내적 학습동기, 의사소통 불안,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모형이 성립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내적 학습동기가 의사소통 불안에 영향을 주고, 의사소통 불안이 다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지지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Chinese overseas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the relation between Korea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elf efficacy were significant. Second, whereas extrinsic motivation did not affect communication apprehensi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me measured variables of intrinsic motivation. Third, in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variables of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were less to communication apprehens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the relation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was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the relation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complete mediation models fit the data. From the research, we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influence communication apprehension, which in turn influences self efficacy.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with some interventions that are designed to reduce their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 KCI등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이현숙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이다. J도와 K도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232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 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과는 각각 (-)의 상관관계 가 있었고, 스트레스 정도와는 (+)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야 할 것이며, 스트레스 감소 및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was convergence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that parent-son/daughter communications have on the addiction to smartphones, with stress level,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s the mediator. The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located in J province and K province, and 232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data for analysis. As a result, addiction to smartphone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rent-son/daughter communication,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nd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ress level. In addition, parent-son/daughter communication influenced the degree of addiction to smartphones, with stress level,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s the mediato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college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to increase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nd it is necessary to draw up measures to reduce students' stress levels and increase their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levels.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 사회성의 매개 효과

        김영순 ( Yeong Sun Kim ),신효정 ( Hyo Ju Shin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사회성, 학교 적응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성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초등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사회성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직접효과에는 유의 하지 않고 사회성을 매개로한 간접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교 적응을 잘 하는 데에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사회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될 때 학교 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완전 매개하여 학교 적응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활동과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자기효능감과 개방적인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유지하면서 사회성 향상을 통하여 학교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통합적 구조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적응을 위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Study examined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parents-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 adjustment. The data were 2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6th grade in Suwon-si, Gyeonggi-do,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lf-efficacy, parents-child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kills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adjustment. social skill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kills mediate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arents-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 adjustment. self-efficacy and parents-child communication influenced social skills. social skills influenced positively school adjustme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 연구

        이정우,최성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4

        In this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oriented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tyle affecting the students and to present supporting methods that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school education could generate desirable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As of September 2014, 343 students of 37 universities were joined in this study as participants and relevantly reliable 240 copies from the 247 copies surveyed between September 1 and September 26 were used for a final coding. Then final questionnaire was made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t/F test or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on self identity,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tyle of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ir self identity,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tyles. The conclusion of each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focus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analysis of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communication sty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self identity is affected by the variables such as hearing impairment onset, disability class, parent’s sign language ability and special school experience. Self-efficacy is affected by gender and disability class. Also communication style is affect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such as disability class, assisting devices, one of the parents’ hearing disability status quo, sign language ability of their parents, special school experience. Secondly, concerning the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self-identity, their self-efficacy, and their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sty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it is perceived that a disability acceptance factor of special self-identity has a mutual influence with self-efficacy which is applied to confidenc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nd self-control. A sign language factor has an effect on both deaf identity and deaf culture recognition in special self-identity. A self-respect factor, a role recognition factor and a sociability factor in the universal self-identity are linked mutually to a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factor, a confidence factor and a self-control factor in self-efficacy.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과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교교육에서 청각장애학생의 바람직한 자아정체감과 자기효능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4년 9월 현재 37개 대학교 343명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연구기간인 2014년 9월 1일~9월 26일에 설문에 응답한 247건 중 신뢰롭게 응답한 240건을 최종 코딩하였다. 이후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최종 설문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배경변인별로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아정체감과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결론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의 배경변인별 분석에서 자아정체감은 장애 발생 시기, 장애등급, 부모 수화 능력, 특수학교 경험 유무 배경변인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성별과 장애등급 배경변인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청각장애대학생의 의사소통 양식은 장애등급, 보장구 형태, 부모 중 청각장애 유무, 부모 수화 능력, 특수학교 경험 유무 배경변인의 영향을 받는다. 둘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에서 특수적 자아정체감의 장애수용 요인은 자신감 요인, 과제 난이도 선호 요인, 자기조절 요인에 해당되는 자기효능감과 상호 영향을 주고 받는다. 그리고 특수적 자아정체감의 농정체감 요인 및 농문화 인식 요인은 의사소통양식의 수화 요인과 영향을 주고 받는다. 또한 보편적 자아정체감의 자아존중 요인, 역할인지 요인, 친화력 요인은 자기효능감의 과제 난이도 선호 요인, 자신감 요인, 자기조절 요인과 상호 영향력이 있다.

      • KCI등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배경변인 및 의사소통 수준이 협력적 자기조절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성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effected on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operat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as part of a non-curricular program at a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o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gender, grade, and communication level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of 151 people who faithfully responded to the pre- and post-test among a total of 24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hel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method was a single experimental group without a control group.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as a group were compared with a paired sample t-test, and gender, grade, and communication level were used as intergroup variables, an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were compared.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o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as within-group variable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post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bo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re- and post-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hang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communication level,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der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level and the time poin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regulatory chang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communication level in the changing patterns of pre-post collaborative self-efficacy,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derived between gender and communication level and tim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spect of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operating learning community program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운영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대학생의 배경변인인 성별 및 학년,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A대학교에서 2021년 1학기에 진행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240명 중 사전-사후검사에 성실하게 응답한 151명의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대조군이 없이 실험군 단일집단으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대응표본 t-test로 비교하였으며, 성별, 학년 및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집단간 변인으로 하고,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전/후를 집단내 변인으로 하여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첫째, 사전-사후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전-사후 협력적 자기조절의 변화 양상이 성별, 학년 및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수준과 시점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도출되어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협력적 자기조절 변화 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전-사후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변화 양상이 성별, 학년 및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의사소통 수준과 시점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도출되어 성별과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협력적 자기조절 변화 양상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