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 무형성이 소비자의 위험지각 및 위험 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조절초점의 조절적 영향

        주선희,구동모,김재진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논집 Vol.21 No.3

        기술적 진보가 눈부시게 이루어지면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은 제품들이 개발되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이 현재 보편화되고 있는 제품이지만 기존의 제품과는 차별성이 큰 혁신적 제품이 출현함에 따라 제품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유형의 제품이지만 무형적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제품의 본질적 기능이 소멸되는 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제품의 무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제품의 내재되어 있으나 감각으로 확인이 어려운 제품의 무형성에 대해 살펴보고, 제품의 무형성을 정신적 무형성, 일반적 무형성, 물리적 무형성으로 구분하였다. 제품의 무형성이 위험 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위험지각이 위험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제품의 무형성과 위험지각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초점의 조절적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적 무형성은 성능적 위험과 심리적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무형성이 성능적 위험과 시간적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무형성은 금전적 위험과 성능적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위험감소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소비자가 성능적 위험을 지각할 때는 정보탐색 활용, 브랜드충성도 활용, 브랜드이미지 활용, 상점이미지 활용 등 위험감소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시간적 위험을 지각할 때는 정보탐색 활용 위험감소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위험을 지각할 때는 브랜드이미지 활용, 상점이미지 활용 등의 위험감소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초점의 조절적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방어적 성향의 소비자집단이 촉진적 성향의 소비자집단보다 정신적 무형성에 대해 시간적 위험과 심리적 위험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무형성과 금전적 위험 간의 관계에서도 방어적 성향의 소비자집단이 촉진적 성향의 소비자집단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무형성과 성능적 무형성과 성능적 위험 간의 관계에서 방어적 성향의 소비자집단이 촉진적 성향의 소비자집단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로봇 청소기 제품의 무형성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떤 유형의 위험을 어느 정도 지각하고 있는지, 소비자의 취하는 위험감소행동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기조절초점에 따른 촉진초점/방어초점의 조절적 영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밝힌다. Innovative products which didn't exist previously have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on the market as technological progresses. Although products like tablet PCs and smart phones are tangible in its nature, they become useless if intangible characteristics do not function as specified.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produced by the intangibility of products, which is embedded in the product but difficult to be perceived by consumers, on consumer’s perception for risk and risk reduction behavior. The intangible aspects of the product has been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including mental intangibility, general intangibility and physical intangibility.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 intangibility and risk perception. Three hundred twenty respondents answered a survey questionnaire about a robot vacuum. Most of the respondents in the sample consisted of housewives and working married women, most of whom are active users of robot vacuum. the results showed that how consumers perceived the intangibility of a robot vacuum, how much risk they perceived when they use robot vacuum cleaner, and what kinds of risk reduction behaviors consumers pref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ntal intang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ance risk and psychological risk. It was shown that consumers recognized the risk of product performance,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if they didn't do mental understanding about the product. Second, general intang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ance risk and time risk but it did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financial risk and psychological risk. When consumers didn't understand detailed, accurate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n the product but they recognized what kind of products somewhat, it was shown that they recognized anxiety about the cost or performance but they didn't recognize financial risk and psychological risk. Third, physical intang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financial risk and performance risk but it did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ime risk and psychological risk. If they didn't see or touch the product, consumers recognized the risk of product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and time risk. Fourth, risk reduction behaviors such as information search, brand loyalty, brand image, store imag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when consumers perceived performance risk. As consumers perceived performance risk. You can see that the trust in the brand with improved image affected a lot by established brands which consumers experienced or multiple routes. Fifth, a time when consumers perceived time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information search of risk reduction behaviors. And a time when they perceived psychological ris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isk reduction behaviors such as brand image, store image. A time when consumers perceived time loss had a negative effect due to no time to search information, when they perceived psychological anxiety, psychological risk can be reduced through brand image, store image. Six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al intangibility and time risk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al intangibility and psychological risk. Individuals with a prevention focus strongly perceived time risk and psychological risk about robot vacuum than individauls with a promotion focus.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indicated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intangibility and financial ris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ntangibility and performance risk. The present study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with a prevention focus strongly perceived financial risk than individuals with a promotion focus in general intangibility. And Individuals with a prevention focus strongly perceived performance risk than individuals with a promotion focus in physical intangibilit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hows how consumers perceived the intangibility of a robot vacuum, how much they perceived, risk reduction behaviors which consumers prefer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s intangibility and risk perception are significant in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regulatory focu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variou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posed.

      • 중학교 계발활동 참가자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에 관한 연구

        정신호(Jung, Shin-Ho),이홍구(Lee, Hong-Goo) 한국사회안전학회 2011 한국사회안전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중학교 계발활동의 유형에 따라 중학생들이 인지하는 위험지각과 이에 관련하여 학생들이 취할 수 있는 위험감소행동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활동에서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계발활동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학생중심의 교육활동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수원지역의 Y, T중학생 52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99명의 데이터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계발활동을 선제적, 정서적, 인지적 활동의 3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계발활동에서 중학생이 인지하는 위험지각이 위험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중학생은 계발활동 유형 중 정서적 활동에서 위험지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은 계발활동 유형 중 정서적, 인지적 활동 보다 신체적 활동에서 위험감소 행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발활동 위험지각(선제적 요인, 금전적 요인, 사회ㆍ심리적 요인)은 계발활동 위험 감소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중학생들은 계발활동 유형 중 정서적 활동에서 위험지각을 많이 하고, 신체적 활동에서 위험감소행동을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계발활동 위험지각이 계발활동 위험감소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계발활동에서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을 인식하고 있으나, 교육활동에 있어서 경제사회 활동과 달리 수동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계발활동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의 분석을 통하여 교육활동이 보다 풍부해지고 공급자 위주의 교육이 아닌 학생중심교육과정으로 발전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behavior of the club activity participants at middle school. To achieve the study goals, Various methods were used : 499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 middle schools which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in Gyeonggi-do 2011.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program, and the methods to analyze the materials were factor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 (1)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 to) have a higher perceived risk in emotional activities among the types of club activities. (2) Among the types of club activities, the risk reduction behavior in physical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in emotional and cognitive activities. (3) The perceived risk(physical factor, financial factor, social & psychological factor) has no influence on the risk reduction behavior in the club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the highest perceived risk in emotional activities among various types of club activities, and they show a great deal of risk reduction behavior in physical activities. However, it doesn’t seem that the perceived risk affects the risk reduction behavior in the club activities. In conclusion, students notice the perceived risk and the risk reduction behavior, but they show passive attitudes in educational activities unlike in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Accordingly, by analyzing the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behavior in the club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will be able to enrich and develop into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 rather than the provider-centered one.

      • KCI등재

        위험지각과 소비가치가 중장년층 소비자의 친환경 의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위험감소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소정,이은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1

        한국 중장년층은 그 통계적 점유율과 구매력을 바탕으로 패션 시장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기에, 이들의 친환경 패션 제품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 것은 향후 관련 시장의 성장에 의미 있는 제언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장년층 소비자들의 친환경 의류 제품 구매에 관련한 위험지각, 소비가치, 그리고 위험감소를 위한 행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총 213명의 50-60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 세 가지 요인의 지각된 위험 (사회적/의복관리/경제적 위험) 및 두 가지 요인의 소비 가치 (감정적/기능적 소비가치)가 친환경 패션 제품 구매에 관한 소비자의 위험감소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소비가치는 위험감소행동과 유의한 연관이 발견되지 않았다. 지각된 위험의 세 요소 (사회적/의복관리/경제적 위험) 모두 친환경 패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위험감소행동 중 방송매체 정보원 사용만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업체광고 정보원 및 대인 정보원 이용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위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위험감소행동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는 그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Given the managers’ growing interest in middle- and old-aged consumers’ buying powers in the Korean fashion industry, little research exists regarding their consumption patterns and attitudes regarding eco-friendly clothing. This study tested the impacts of Korean middle- and old-aged shoppers’ consumption value and perceived risk on their intentions to purchase eco-friendly clothing. We performed a self-administrated survey with a total of 213 participants in their 50s and 60s. Firstly,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three factors of perceived risk (i.e., social risk, clothing care risk, and economic risk) and two out of three factors of consumption value (i.e., emotional and functional consumption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participants’ risk reduction behaviors. Secondly, the results revealed positive effects of emotional and social factors of consumption value on purchase intentions of eco-friendly clothing, whereas the effect of functional factor of consumption value was insignificant. All three factors of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impacts on purchase intentions. Thirdly, out of three factors of risk reduction behaviors, participants’ media information usage on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s, whereas two other factors (i.e., use of company advertising and interpersonal sources) did not. Lastly, the mediation effect of risk reduction behaviors between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s was found significant,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risk reduction behaviors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purchase intentions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항공 여행객들의 코로나19의 위험지각이 예방자기효능감과 위험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신옥(Joo, Shinok)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6

        본 연구는 항공 여행객들의 코로나19의 위험지각이 예방자기효능감과 위험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의 위험지각을 전염병 위협 평가, 전염병 심각성, 전염병 지각된 위험, 전염병 대응조치 부정적 반응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세 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6월 2일부터 24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최근 1년 이내의 항공사를 이용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250개의 유효한 설문을 수집했으며,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의 위험지각의 세부요인 중 전염병 위협 평가, 전염병 심각성, 전염병 지각된 위험, 전염병 대응조치 부정적 반응은 예방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코로나19의 위험지각의 세부요인 중 전염병 위협 평가, 전염병 심각성, 전염병 지각된 위험은 위험감소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염병 대응조치 부정적 반응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예방자기효능감은 위험감소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의 위험지각이 예방자기효능감과 위험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항공사 이용객들의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지각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he risk of the COVID19 of air traveller on preventive self-efficacy and risk reduction behavior. The study method was to conduct a online survey research targeting air travelers with airline experience within a year.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n 2 and Jun 24, 2021, and 250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the risk of the COVID19 was divided into risk assessment of the infectious disease, severity of the infectious disease, perceived risk of the infectious disease, negative reaction to the infectious disease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Analysis showed that perception of the risk of the COVID19 has effect on preventive self-efficacy accordingly. Second, perception of the risk of the COVID19 has partly effect on risk reduction behavior. Third, preventive self-efficacy has effects risk reduction behavior. The finding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erception of the risk of the COVID19, preventive self-efficacy, risk reduction behavior and academic researchers. This study has shown that perception of the risk of the COVID19 is critical for preventing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잠재적 전시회 참관객의 위험지각, 위험감소전략, 행동의도 간 구조적 관계분석

        이은영,이설,김봉석 한독경상학회 2022 經商論叢 Vol.40 No.3

        A new respiratory infection called COVID-19 occurred at the end of 2019. It rapidly spread throughout the world and led to a pandemic. As a result, the Republic of Korea's exhibition industry faced a recession.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erceived risk of COVID-19 of exhibition consumers and potential exhibition visitors and find a way to gather the visitors to the physical exhibi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erceived risk, a risk reduction strategy, and behavior intention were redefined based on a theoretical approach. A survey of visitors who attended shows was performed in April and May 2021 at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s (COEX, SETEC)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exhibition visitors' perceived risk, risk reduction strategy, and behavior intention. However, the physical risk among the perceived risk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isk reduction strategy, assuming that the risk of COVID-19 decreased due to vaccination and was prolonged. This empirical study is believ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professional exhibition organizers. Therefore, when another pandemic like COVID-19 occurs, this study can help organizers seek practical solutions for it. 전시산업은 연관산업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도움을 주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되면서 국내외로 전시산업의 성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9년 12월에 신종 호흡기감염증인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가 발생하였고,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하며 사상 초유의 락다운 사태를 야기하였다. 이에 전시산업을 포함한 여러 서비스 산업이 불황위기에 직면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19의 감염 위험을 다수의 사람이 인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시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잠재적 전시회 참관객들이 인지한 감염병에 대한 위험 혹은 불안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타 분야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위험지각, 위험감소전략 및 행동의도를 전시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정의 및 요인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4월부터 5월까지 코엑스(COEX)와 세텍(SETEC) 전시장에서 개최된 코베 베이비페어, 경향하우징페어 그리고 세텍메가쇼 2021 시즌1에 방문한 전시회 참관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후 코로나19 상황에서 잠재적 전시회 참관객의 위험지각, 위험감소전략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적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능적 위험지각이 전시회 충성도 활용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은 정보탐색 활용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시간적 위험지각은 정보탐색 활용 및 전시회 충성도 활용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더불어 정보탐색 활용 및 전시회 충성도 활용 등 위험감소전략 요인은 모두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전시주최자에게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의 전시회 참관객을 유치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관광지 위험지각에 대한 낙관적 편견이 관광지 전환의도 및 위험 감소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승아,김상운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optimistic bias had an influence on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 For the study, four hypotheses were formul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ndings, first, there existed optimistic bias in perceiving destination risk, indicating that respondents had a feeling that others were at more risk at a tourist destination than they were. Second, age only had an impact on the optimistic bias of accident risk. The result wa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optimistic bias. The reason for this result can be assumed to be that the older respondents of this survey had a feeling of insecurity because they had taken fewer overseas trips. Third, optimistic bias had an impact on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 The findings suggest ways that destinations with a risk of accidents can better manage tourists. 본 연구의 목적은 낙관적 편견이 관광지 위험지각과 전환의도 및 위험 감소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총 4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관광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이 더 위험할 것이라는 낙관적 편견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은 안전사고 위험에 대한 낙관적 편견에만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낙관적 편견이 높아진다는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로 이는 본 조사 응답자들은 연령이 높은 경우 연평균 해외여행 횟수가 적어 해외여행 시 생길 수 있는 위험에 대해 불안이 컸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낙관적 편견은 관광지 전환의도와 위험 감소 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광객이 위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다른 관광지로의 전환의도와 관광지에서 위험 감소 행동 의도가 상승한다. 하지만, 2개의 요인 사이에 낙관적 편견이 작용한다면 위험 지각이 높더라도 재난에 대처하거나, 위험한 관광지로의 방문을 회피하는 행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같은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위험상황이 발생한 관광지에서의 위험대응 전략 및 관광객 송출국가 입장에서의 관광객 안전 관리를 위한 낙관적 편견 감소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항공사 고객들의 코로나19의 감염병 인식과 지각된 위험이 위험감소행동과 관광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신옥(Shin-Ok J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코로나19라는 감염병 인식과 감염병에 대한 지각된 위험이 위험감소행동과 관광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2021년 6월 2일부터 24일까지 일년 이내에 항공기를 이용한 여행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0.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유효한 250부의 설문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코로나19의 감염병 인식은 지각된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의 감염병 인식은 위험감소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의 지각된 위험은 위험감소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의 지각된 위험은 관광지 전환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위험감소행동은 관광지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감염병에 대한 항공사 고객들의 인식을 통해 감염병에 대한 위험과 위험감소행동과 관광지 전환의도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의 장기적인 위기 속에서 외부 변수에 취약한 관광산업이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Infectious disease recognition and perceived risk of the COVID19 of air traveller on risk reduction behavior and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The study method was to conduct a online survey research targeting air travelers with airline experience within a year.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n 2 and Jun 24, 2021, and 250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and AMOS 23.0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Infectious disease recognition of the COVID19 has effect on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behavior. Second, perceived risk of the COVID19 has effects risk reduction behavior, but has no effect on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Third, risk reduction behavior has effect on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The finding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infectious disease recognition and perceived risk of the COVID19, risk reduction behavior, tourist destination switching intention and academic researchers. This study has shown that infectious disease recognition of the COVID19 is critical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 KCI우수등재

        미세먼지 건강위험과 회피행동: 야외여가활동수요 감소를 사례로

        엄영숙 ( Young Sook Eom ),오형나 ( Hyungna Oh ) 한국경제학회 2019 經濟學硏究 Vol.67 No.2

        본 연구는 2017년에 실시된 전국 웹설문 조사에 응답한 1,224명을 분석표본으로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주관적 인지수준이 야외활동 제한 형태의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위험인지변수의 내생변수 가능성을 고려하여 도구변수를 사용한 결합추정방식이 시도되었다. 개인들의 주관적 위험인지 수준이 일상적인 야외여가활동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는 않았지만, 봄철기간 동안 회피행동에의 참여여부와 회피행동 수요(일상적인 야외 여가활동의 제한 횟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세먼지 농도가 회피행동 여부나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지만, 주관적 위험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야외 여가활동을 줄인 응답자들은 마스크 착용이나 공기청정기 사용 등 미세먼지 관련 다른 종류의 회피행동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피행동 수요함수 추정결과를 근거로 위험인지수준이 평균에서 1단위 개선되면 야외활동을 평균적으로 월 1회 정도 감소시키지 않아도 되고, 이러한 개선효과의 편익이 월평균 16,000원 정도인 것으로 산정되었다. Using a national panel web survey data with 1,224 respondents, the tobit demand model of outdoor leisure activity reduction was jointly estimated with risk perceptions about particulate matters (PM<sub>10</sub>) using an instrument variable approach. Respondents’ risk perceptions of PM<sub>10</sub>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articipation and demand decisions of averting behavior, while they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demand for daily outdoor leisure activities. Whereas the objective measure of PM<sub>10</sub> concentration matched with respondents’ residential region had indirect impacts on averting behavior through changes in respondents’ subjective risk perceptions, Based on estimates of tobit demand model of averting behavior,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y at least a monthly average of 16,000 won for a one unit reduction(based on a 0-10 linear likert) in their risk perceptions.

      • 인터넷 환경의 쇼핑에서 소비자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 : 구매제품과 숙련도-도전감 관계 유형의 영향을 중심으로

        두정완 대한경영교육학회 2005 경영교육저널 Vol.6 No.-

        본 연구는 인터넷 환경에서 구매시 소비자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 행동에 구매제품의 유형과 인터넷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숙련도-도전감 관계 유형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해 255명의 인터넷상의 실제 구매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인터넷상의 구매제품과 지각위험과의 관계 분석에서 오직 프라이버시 위험만이 구매제품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를 문항별로 나누어 볼 때, 소비자는 제공한 정보가 다른 용도로 사용될까봐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구매제품과 위험감소 방법과는 유의적인 관계가 없었다. 소비자의 숙련도-도전감 관계 유형과 위험지각과의 관계 분석에서, 사회·심리적 위험, 재무적 위험, 미래기회 손실, 프라이버시 위험, 신체적 위험이 숙련도-도전감 관계 유형에 따라 차이가 확인되었다. 숙련도-도전감 관계 유형과 위험 감소 방법과의 관계 분석에서 '준거집단 정보''보증''광고 및 점포로부터 정보' 등의 유의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숙련도-도전감 관계 유형과 소비자의 주당 인터넷 사용시간과의 관련성 및 인터넷 이용경력과의 관련성 분석에서 'Flow' 형의 응답자는 주당 인터넷 사용시간과 이용경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무관심'형은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숙련도-도전감 관계 유형과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관계 분석에서 성별, 직업과의 유의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ascertaining the influence of consumers' product purchased together with the skill-challenge relationship type to the consumers'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 over Internet shopping.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255 actual shoppers over Internet, and the data has been analyzed via SPSS. In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consumers' product purchased and risk perception typ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financial and physical risks by product purchased. But,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 purchased and consumers' risk reduction methods. From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consumers' skill-challenge relationship type and the type of risk perception,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ancial, privacy, physical and social- psychological risks. Between the skill-challenge relationship type and risk reduction methods, we could fi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dvertising and information from the store'. In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the consumers' skill-challenge relationship type and internet use career, weekly Internet use hour, it was revealed that the Internet use hour and career of 'Flow' type were high, but those of 'Apathy' were mostly low. We also ascertain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skill-challenge relationship type and demographic variables, especially, sex and job.

      • KCI등재

        펀드 위험감소행동과 선택속성이 펀드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부연,하규수,Jang, Boo Yeon,Ha, Kyu Soo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3

        Recently the fund has been popular for the representative financial investment. In the decision making procedure of the investor about this fund investment, this research analyze how the factor was considered as fund investing behavior. The paper examines investors' risk reduction behavior and fund choice attribution for fund investment behavior, provides insight for marketing strategy in fund market for fund investment behavior. The period for the survey is from December 2014 to January 2015 and analyzed 431 samples of using a fund investor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und distribution, fund literacy and fund performance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at positive affected fund investment satisfaction, but fund advertise negative affected fund investment satisfaction. Also, the fund management company, benefit, fund literacy, fund performance, and recommend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at positive affected fund investment intention. It is expected that fund marketing strategy based on research return should be established to cope with the fund literacy as well as the fund investing behavior. Concretely to fund investment satisfaction make informed decision in fund performance, fund information provided to investor should be customized to contribute the improvement of overall fund literacy. 펀드는 최근 들어 대표적인 금융투자상품으로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본 연구는 펀드투자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투자자들이 어떠한 요인을 고려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투자자들의 위험감소행동과 펀드선택속성이 펀드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펀드 가입 경험이 있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월 30일까지 하여 총431개 투자자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펀드 판매회사, 펀드 이해력, 펀드성과는 펀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상업적 광고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펀드 운영회사, 수익성, 펀드이해력, 펀드성과, 주변추천은 펀드의 지속적인 거래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펀드투자 만족도와 지속적인 거래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펀드성과에 대한 정보제공을 바탕으로 투자자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하며, 펀드정보는 펀드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투자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