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보고서의 중요한 취약점이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

        최성호 ( Sungho Choi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5

        내부회계관리제도는 재무정보의 신뢰성 확보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경영자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구축 및 운영에 대한 실태보고서를 작성하여 매 회계기간 말 감사(위원회) 및 이사회에 보고해야 한다. 또한 외부감사인은 경영자가 작성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와 그 근거문서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업무를 수행하여 검토의견을 검토보고서에 표명해야 한다. 미국은 외부감사인이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높은 수준의 확신을 얻기 위해 경영진이 작성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와 근거문서뿐만 아니라 추가로 증거를 요구하여 감사절차를 수행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경영자가 작성한 운영실태보고서와 근거문서를 대상으로 검토업무만을 수행하고 있다. 즉, 외부감사인이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해 감사를 수행하는 경우 경영진이 제공한 자료 이외에도 추가로 증거자료를 확보하여 대상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적정하게 구축 및 운영되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지만, 검토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는 경영진이 제공한 자료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경영진이 제공한 운영실태보고서가 실제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축 및 운영 사실과 다르게 허위 작성되었거나 실질과 다른 근거문서를 제공한 경우 외부감사인이 이를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의견이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경영자가 제공한 운영실태보고서와 근거문서의 정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한국은 이러한 제도적 특징으로 인해 감사인의 검토보고서에 표명된 검토의견에 앞서 경영자가 작성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의 정보가 외부이해관계자의 투자의사결정시 더 중요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많은 국내선행연구들은 주로 감사인의 검토보고서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자가 작성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의 유용성을 채권시장참여자 입장에서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에 중요한 취약점을 보고한 기업은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적정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보고한 기업에 대해서 부채조달 비용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는 경영자가 작성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에 중요한 취약점을 보고한 기업의 재무보고의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판단하여 채권시장참여자들이 투자의사결정에 부정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둘째, 경영자와 감사인 모두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적정하게 운영되고 있지 않다고 보고한 기업에 비해 경영자가 작성한 운영실태보고서에는 운영상 취약점이 없음을 보고하였으나 감사인이 검토결과 비적정검토의견을 표명한 기업은 부채조달비용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는 경영자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상 취약점을 의도적으로 숨긴 것으로 처음부터 운영상 취약점을 경영자가 공시한 기업에 비해 외부이해관계자들이 더 부정적으로 인지하고 있다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미국보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의 정확성이 더 강조되고 있는 국내 상황에서 운영실태보고서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s (IAMS) have been adopted by firms with the goal of securing financial information reliability. The manager must prepare a reports by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on the desig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AMS and submit it for internal audit (audit committee) and to the board of directors. The auditor must review the propriety of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prepared by the manager and its source documents, and express his opinion in a review report. In the US, the auditor audits not only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and its source documents but also performs the audit by requesting additional evidence as needed, whereas in Korea the auditor reviews only the manager prepared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and source documents. In other words, when a given IAMS is being audited, the auditor can obtain evidence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provided by manager and evaluate whether the IAMS is properly established and operated. In contrast, since a review is done only on the materials provided by manager, if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provided by manager is falsely written up, giving a misleading picture of the IAMS establishment and operating conditions, or the source documents provided are inaccurate, the auditor’s capacity to make an accurate assessment is impaired. In Korea, therefore, the use of the auditor’s IAMS review opinion as valuable information must be premised on the accuracy of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and source documents. Because of this systemic peculiarity, information in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prepared by manager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view opinion of the auditor expressed in the review report when outside stakeholders make investment decisions related to the firm. Despite this, many prior studies have focused mostly on investigating the usefulness of the auditor’s review report. This study therefore sought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the manager prepared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from the position of bond market participants, and examined KRX-listed firms from 2006 to 2012 to do the examin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rms reporting material deficiencies in their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had significantly higher costs of debt than those reporting proper IAMS operation. This indicates a negative reflection on investment decision making by bond market participants who judged the relia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to be comparatively weaker for firms reporting material deficiencies in their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Second, compared to firms whose manager and auditors both reported deficiencies in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firms where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prepared by manager expressed no deficiencies while the auditor’s review report indicated deficiencies had significantly higher costs of debt. This indicates that outside stakeholders view more negatively the former, as firms whose manager purposefully hides IAMS operation deficiencies, than the latter, as firms in which manager openly admits operational deficiencies from the star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investigating of the usefulness of the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fficer in Korea, where the accuracy of this report is more emphasized than in the US.

      • KCI등재

        공립 유치원 완전 통합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실태 및 지원요구

        류명옥,노진아,전은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완전 통합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실태와 지원요구를 알아보고 앞으로 공립 유치원에서의 완전통합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완전통합교육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공립 유치원 완전 통합학급에서 근무했던 경험이 있는 현직 유아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고,설문조사의 계량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완전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6명의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완전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특히 개별화 교육계획 작성과 실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완전 통합학급 운영을 도울 인적자원과 교사연수가 필요하다고 나타났고,특수교육 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완전 통합학급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과 향후 연구 방향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atus of full inclusive classroom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teachers' support needs as well as to obtain fundamental data for exploring activation plans for full inclusive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teachers at full inclusive classrooms in public kindergartens. That is, survey data from 139 teachers with full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6 interview data were us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 of a survey research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at full inclusive classrooms in public kindergartens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and they needed the support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related staff and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and functio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be enhanced.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bout various support plans for full inclusive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중 통합운영학교 운영 비교

        장영수(Jang, Yongsu),정진욱(Jung, Jinwook),유명희(Ryu, Myounghee),성경환(Sung, Kyunghwa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주요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초·중 통합운영학교들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다가오는 미래사회 변화와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래사회의 저출산 고령화와 학령인구 감소는 사회 환경 및 교육 환경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정책 환경변화를 야기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 통합에 대한 부분이다. 현 통합운영학교 정책은 학생의 학습권 보장과 교육재정 배분의 문제, 학교급의 자율성 보장의 문제,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직원 운영 등 여러 가지 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교원 수급 조정, 교원 양성, 자격, 임용 제도의 정비, 학교 시설 제도 및 운영, 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 등에 다양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주요 시도교육청은 이러한 문제해결의 대안으로 초·중등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분석 결과 교무실 및 행정실을 통합하거나, 학교 시설 및 물리적 공간을 통합하는 학교가 다수였다. 반면 교원의 배치 및 업무 분할은 개별 운영하는 학교가 많았다. 교육과정의 경우 교과 영역 보다는 비교과 영역, 학생 공식 행사 및 동아리 운영에서 일부 통합 운영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초·중 통합운영학교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하여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고 현재 운영 중인 통합운영학교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운영과 교육과정, 교직원관리, 학교 행정 및 회계 관리, 교육시설, 통합운영학교 관련 법령 및 제도 등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operated by majo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to seek policy suggestions to respond to new educational demands followed by upcoming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policy environments. Low birthrate and aging in the future society and a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change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ause various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s. Among various educational measures to respond to these problems, what matters the most is to integrate schools due to a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especially that of children, and to provide institutional plans for this. The current policy of integrated schools is causing several controversies on the issue of guaranteeing students’ right to study, distribution of education finance, the autonomy at the school level, the curriculum of integrated schools and the operation of teachers. It needs various system supplements on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training teachers, qualifications, organization of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system and operation of school facilities, educational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solving, majo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re operating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which according to the analysis, was mostly operated by integrating teaching and administrative offices or school facilities and physical space in school. The placement and division of duties of teachers, on the other hand, were operated individually by lots of schools. In the case of the curriculum, some were integrated operation in extracurricular areas, student official events and club management, rather than in subject areas. Like thi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problems and improvements such as efficient oper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in faculty, school administration and accounting, educational facilities, and laws and institutions of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by discussing current issues on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 KCI등재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임재택,김은주,이소영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 및 교사를 대상으로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요구를 살펴봄으로서 숲유치원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숲유치원을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중 각 기관을 대표하는 원장이나 교사가 각 1부씩 작성한 162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실태에 있어서는 숲유치원을 준비 중에 있는 유아교육기관이 많았으며, 숲유치원을 운영하는 기관은 ‘1년 미만’, ‘주 1회’가 가장 많았다. 안전문제에 있어서는 대체로 안전하다고 나타났다. 운영방안에 있어서는 모든 유아교육기관이 적합한 연령은 ‘만 3세부터’로, 적합한 형태는 ‘숲유치원 활동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활동을 연계한 생활형 숲유치원’을 제시하였다. 일일 활동시간은 ‘2시간 내지 3시간’으로, 적합한 교사로는 ‘숲 관련 연수를 받은 유치원교사 및 보육교사’이었다. 연수의 내용은 숲유치원을 운영하는 기관은 ‘숲유치원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운영하지 않는 유아교육기관은 ‘안전교육과 응급처지’를 요구했으며, 운영시 고려할 사항은 ‘편하게 갈 수 있는 접근성’과 ‘위험요소나 유해요소와 관련된 안정성’이 가장 많았다.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에 바라는 점은 ‘숲해설가의 지원’, ‘안전’, 그리고 ‘숲과 숲유치원의 홍보’ 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management in forest kindergartens and the needs of principal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ir managemen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 Forest kindergart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rincipal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ho took training courses at the Forest Kindergarten Associati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162 answer sheets from 162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s found that man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getting ready to run forest kindergartens,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institutions run forest kindergartens for less than a year and once per week. The Safety Problem is mostly safe in the forest. In terms of management, every institution considered it advisable for preschoolers to start experiencing a forest kindergarten at the Western age of 3. As to the appropriate form of a forest kindergarten, every respondent replied that a combination of forest kindergarten activities and regular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activities would be appropriate, which could be called a forest kindergarten linked to daily routine life. Concerning appropriate hours of daily activities and teachers in charge, they pointed out two or three hours of activities per day and kindergarten teachers or daycare teachers who completed all the related training courses. As for the content of training, the institutions that run forest kindergartens wanted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a forest kindergarten and its necessity, and those that didn't run forest kindergartens asked for safety education and first-aid education. As a result of asking what should be noted in operating a forest kindergarten, the largest group called for good accessibility and safety. Finally, they expected Forest Service and local governments to provide personnels who could explain about forest, to help guarantee the safety of preschoolers and to publicize forest and forest kindergartens.

      • KCI등재

        농촌관광마을 운영자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김지효,손호기,김상범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해서 농촌관광마을 운영자 실태조사를통해서 운영자의 역량강화 및 운영방안은 물론, 체계적인 관리와 정책제안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농촌관광마을 운영 관계자 72개소의 운영자 및 대표를 대상으로 전자우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정부·지자체의농촌관광관련 정책과 제도 및 지원(예산, 교육 관련 등)의 개선이 필요하며, 마을 운영 부문에서 농촌관광개발사업을 시작하게 된 동기에 대해 ‘농촌관광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농외소득을 추구’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관광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운영자가가장 주력하는 분야로 ‘체험프로그램 운영’과 ‘농촌경관’이었다. 그리고 운영자의 향후농촌관광사업 및 마을 운영 의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 운영상의 비용 및 수익창출의 경제적 문제, 정부지원의 정책 미흡(일회성 개발), 운영자 및 인적자원(노동력)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 및 제도 개선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관광산업을 한층 더 발전시키고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는 농촌관광 운영 활성화에 유용한 정책 및 제도적 개선을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management staff and manage the operation through rural tourism village operator actual situation survey which is important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but also to utilize it as a basi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rural tourism and policy proposal Therefo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mail survey of 72 operators and representatives of rural tourism vill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licies and systems and support (budget, education, etc.) related to rural tourism i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seeking out-of-farm income'. In order to revitalize the rural tourism villages, the operators were the most focused areas of 'experience program operation' and 'rural landscape'. And despite the operator's future rural tourism and village management willingness, the economic problems of cost and revenue on town management, inadequate government support policy(one time development), leader (representative) And the lack of human resources(labor force). Polic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will be urg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hope to further develop the rural tourism industry and use it as a basic material for improvement of policies and institutions useful for revitalizing rural tourism management which can make it sustainable.

      • KCI등재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백지혜,박재국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atus of free semester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awareness. Method: For this investigation, twnety five special schools that offers the free semester in 2017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 surveys were implemented on special school teachers from two metropolitan cities and six cities, together with the analysis based on 218 survey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basic information about teachers, performance levels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and awareness about the management status of free semester for special schoo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ree semester operations plan and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lessons per week in the free semester did not change much, but the number of lessons in the basic subjects was significantly reduced for the free semester. Second, the performance levels of the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was found to be average level, There was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club activities and curriculum administration in the sub - areas of free semester activities,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topic selection activities was a little low. Third, the overall level of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operation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is above the average level. Especially,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operation plan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high,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the result were a little low.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we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와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 그리고 이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7학년도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계획서 25부를 분석하고, B광역시, D광역시, G시, Y시, J시, C시, T시, Y군 등에 소재한 특수학교 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교사 기본 정보,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인식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계획서와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학기의 주당 수업시수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지만 기본교과의 수업시수는 자유학기제 편성을 위하여 상당부분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전체 수업시수를 살펴보면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수업 시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중점 운영 영역을 진로탐색 활동으로 한 특수학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의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은 평균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활동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동아리 활동과 교과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주제선택 활동의 인식 수준은 조금 낮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은 자유학기제 운영 경험,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이수 여부, 교직경력, 학교 소재지, 직위, 담당학생의 주 장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셋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은 평균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운영계획과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운영환경, 결과의 효과성은 조금 낮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의 인식 수준은 자유학기제 운영 경험,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이수 여부, 교직경력, 학교 소재지, 담당하고 있는 학생의 주 장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결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2018학년도 전면 실시 예정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가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실제적인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도록 학교,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을 구축 및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완료지구의 거점시설에 대한 운영실태 분석 - 의성군 권역단위종합정비사업에 의해 조성된 시설을 중심으로 -

        박경빈,김철영 한국주거환경학회 2023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1 No.3

        본 연구는 의성군 내에 권역단위종합정비사업으로 조성된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완료지구의 거점시설에 대한 운영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성군 내 6개 권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대면인터뷰를 통해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진단지표를 통해 분석하여 우수한 운영권역과 미흡한 운영권역을 선정하였다. 운영실태조사결과, 우수운영의 원인은 운영조직과 주민의 적극적 참여, 차별성 있는 권역별 사업, 권역의 홍보 등으로 나타났다. 미흡운영의 원인은 고령화와 인구소멸로 인한 운영인력 부족, 운영조직 체계의 불확실성, 완료지구별 소통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운영조직 역량증진교육, 완료지구 네트워크 구축, 권역 특화콘텐츠 개발 컨설팅 등의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사후운영관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수학과 수업의 운영 실태 조사 - 부산광역시 방과후학교를 중심으로 -

        이영희,김성준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수학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 실태를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100개교에서 방과 후학교 수학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의 내용은 강사 관련 실태, 학생 관련 실태, 수업 관련 실태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특히 수업 관련 실태의 경우 수업의 운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목표, 시간과 횟수, 교재와 내 용, 평가에 이르기까지 강사들의 답변을 종합하였다. 또한 서술형 설문 문항을 통해서 방과 후학교 프로그램 진행에서의 어려움과 함께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을 정리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경우 그 유형은 교과 중심의 예습·복습에 초점을 맞추는 교 과수학, 교과와 함께 창의적 활동과 체험을 고려한 창의수학, 그리고 연산 중심의 주산/암산 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강사들의 공통 의견으로는 강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연수 프로그 램의 개발을 비롯하여 수학과 방과후학교에 적합한 프로그램과 교재의 개발,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수학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의 노력과 함께 학부모의 수학과 방과후학교 프로그 램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학교의 방과후학교 지원 등을 꼽았다. 이러한 실태조사를 통해 초등 학교에서 방과후학교 수학과 프로그램이 방과후학교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status of the math after-s chool program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ent of the program. We sur vey the 115 math external math lecturers of the 100 elementary schools in Busa n and analyze the results.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status of the elementary math after-school? 2. How is the content of the program of the elementary math after-school?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nalyzed as follows. First, any of the external math after-school lecturer did not major in math ed ucation and 87% of them majored in another discipline. Second, 47% of the exte rnal math after-school lecturers are employed by privately-held companies. Thir d, 64.4% of the content of the after-school programs is the supplement and dee pening of the regular math class. Fourth, 76.5% of the time of the first class of the math after-school program is 50 minutes and 46% of the math after-school opens 5 classes per a week. Fifth, most programs consist of the problem-solvin g style class. Sixth, it is difficult to run the math after-school according to stu dents' level and grade.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 suggest the following. First, math after-school class should be the action-oriented class to motivate the positive and interested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Second, lecturer training and various math class programs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ath after-school class.

      • KCI등재

        인재교육체제 탐구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관한 인식

        조용개(Cho, Yonggae),손종현(Son, Jonghyun),강이철(Kang, Echeol),김규원(Kim, Gyuwon),이경숙(Lee, Kyungs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인재교육체제 탐구를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초ㆍ중등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관한 인식을 조사ㆍ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교육과정 운영 실태 인식 분석틀을 토대로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분석내용, 파행 운영 분석준거로 구분하여 설문을 개발하고, 설문조사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대구경북지역 초ㆍ중등학교 총 42개교 419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응답자의 약 86%가 교육과정의 내용과 운영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약 74%가 교육과정목표에 따라 담당교과를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육과정 운영의 참여도에 대해서는 약 72%가 교육과정을 따르면서도 부분적으로 변형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 교차분석 결과, 초ㆍ중ㆍ고 모두 교육과정을 따르면서 변형 운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특성화고가 일반계고, 특수목적고, 자율고에 비해 교육과정을 충실히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제도적 차원과 개별적 차원에서 교육과정이 파행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초ㆍ중ㆍ고 교사 모두 교육과정 파행의 주체를 국가(교육부, 교육청)로 보고 있었다. 교육과정 정상 운영을 교사의 일반적 규범으로 만들기 위해 수능위주의 선발과 학업성취도평가 등 외부평가의 영향력 축소,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 허용, 교사별 평가제 도입 등의 제도적 장치를 정책적 차원에서 마련하는 것이 요청된다. 人材교육체제는 여기서 담보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survey on the recognition on the curriculum management realitie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s a basic research for the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cultivating the intelligent persons.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nalyzed questionnaires based on an analytic framework. This survey targeted 419 teachers of 42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was accomplished by the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ith SPSS 18.0. In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about 86% of them answered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contents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and about 74% of them answered that they are managing according to the goal. Also about 72% of them are partially transforming and managing curriculum with a slight revision. In the results of cross analysis, it showed that all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partially transforming and managing curriculum with a slight revision. Also it has found that many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have been progressing the limping management of curriculum institutionally. All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a nation as the subject of curriculum limping. In order to make normalized curriculum, institutional unit of policy dimension for the intelligent persons educational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 KCI등재

        팬데믹 상황에서의 대학 원격강의 운영 실태 및 우수 강의 분석 :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희(Lee, Young Hee),윤정현(Yun, Jeong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전면적으로 시행된 대학 원격강의의 운영 실태와 교수자 인식을 조사하고, 학생 만족도가 높은 원격강의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원격강의 설계 및 운영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학년도 1학기에 원격강의를 운영한 수도권 소재 대형 종합대학인 A대학의 교수자 149명 대상의 설문 분석과 원격강의 9개 강좌의 우수사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수사례의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을 위해서는 교수자가 제출한 문서와 영상 자료들을 대상으로 연구자 간의 지속적 논의와 소통을 통하여 분석 영역별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 핵심 요소별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다. 결과 도출된 대학 원격강의의 운영 실태와 우수 사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들은 원격강의의 장점 및 어려운 점과 한계점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실제 운영된 방식을 살펴보면 장점을 극대화하고 어려운 점 및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실제 운영 방식과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방식 모두 학생의 온라인 학습 활동에 중점을 둔 ‘학습 활동 중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실시간 화상 강의형’과 ‘강의 자료 중심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원격강의와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에 대한 운영 의사는 매우 높게 나타났고, 온라인 수업의 비중에 따라 운영하고자 하는 방식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셋째, 원격강의 우수사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자발성과 학습 동기 강화, 원격강의에 효과적인 교수⋅학습설계 전략이 강조되었다. 특히 대학 원격수업에서 교수자의 적극적인 상호 소통과 피드백이 우수 강좌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팬더믹 상황으로 갑작스럽게 진행된 대학 원격수업에서 대학의 여건 및 교수자의 배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었지만 교수자들은 원격수업의 특징과 장단점을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향후 원격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또한 우수한 원격수업을 위해서는 치밀한 설계와 교수자의 다양한 운영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status of the online distanc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responding to COVID-19 and then identify the e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class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best cases that students are highly satisfied with. Methods For doing this, the study surveyed 149 instructors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status of online distance education and also the contents about the 9 best practices of the online distance education were analyzed. For content analysis of best practices, key elements for each analysis area were derived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mong researchers based on documents and video materials submitted by professors, and the main contents of each key element were summariz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operating status responding to the COVID-19 and the characteristics of best practices for online distance education in un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instructors recognized the benefit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online distance, they made an effort to maximize the benefits and also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nline distance education. Second, the type of ‘student activity-centered’ was the most focused by instructors for the class operation and recognized for the effective instruction and then followed by the ‘live-video class’ and ‘lecture-centered’ class. Third, students’ spontaneousnes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the strategies of effective instruction for the online class, and the feedback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were emphas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st practices for the online distanc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Conclusions Therefore, even though the online distance course in the university responding to COVID-19 were implemented in many way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of university and background of the professors, the professors understood well about the features and strengths and weakness of the distance education. Significantly, the professors posses th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utility of distance education in the future. Also, it was identified that well-designed online course and a lot of efforts by the instructors are critical to operate the best distance onlin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