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의 혼합주거형태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임대주택 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

        오정석,이성원 한국주거환경학회 201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internal and external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social relation for resident between rental-only housing complex and tenure mixed housing complex and its types. The types of complexes include; (1)rental-only housing complex, (2)tenure mixed housing complex which rental and sale are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3)tenure mixed housing complex but rental and sale are not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Statistical techniques were Mann Whitney and Kruskal Wallis analysis for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of the tenure mixed complex and the non-mixed complex. In addition,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obtained for (2)tenure mixed housing complex which rental and sale are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followed by (3)tenure mixed housing complex but rental and sale are not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and (1)rental-only housing complex. This suggests that tenure mixed housing is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social exclusion phenomenon and the spatial separation of the residential areas with different income levels. Meanwhile, it seems that public efforts will be needed for the satisfaction of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nd the social environment for residents of the tenure mixed complex. 이 연구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패널자료를 원자료로 혼합단지유형 자료를 추가 활용하여 서울시 혼합주거형태에 따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혼합단지와 비혼합단지(전용임대단지) 거주자의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혼합주택 거주자의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내부환경 만족도에서는 마감상태는 전용임대단지가, 배리어프리설계에 대해서는 혼합단지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환경만족도에 대해서는 휴게/녹지공간, 주차시설, 장애인/고령자시설 및 방범상태 모두가 혼합주택의 경우가 임대전용단지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 및 편의성 만족도에서는 대중교통 편의성, 교육환경, 생활편의시설, 공공시설 접근성, 문화시설 접근성 및 의료시설 접근성에서 전용임대단지가 혼합단지의 경우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사회환경 만족도에서는 각각 이웃과의 교류 및 단지내 커뮤니티 시설 이용여부는 임대전용단지가, 이웃에 대한 신뢰와 동거가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혼합단지가 더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거주자의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는 혼합단지 혼합동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혼합단지 분리동과 비혼합단지가 각각 그 다음으로 높았다. 주택 내부환경 만족도에 대해서 혼합단지 혼합동이 주택성능, 마감상태, 설비상태, 배리어프리 설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주택 외부환경 만족도에 대해서도 모든 항목이 복합단지 복합동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접근성 및 편의성 만족도에서는 비혼합단지, 혼합단지 혼합동 그리고 혼합단지 분리동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대중교통편의성은 혼합단지 혼합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환경 만족도에서는 이웃에 대한 신뢰도는 혼합단지 혼합동, 분리동, 그리고 비혼합단지 순으로 나타나고, 동거가족 관계 및 단지내 커뮤니티 시설이용여부는 혼합단지 분리동, 혼합동 그리고 비혼합단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의 물리적인 혼합배치를 통하여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향상을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공공은 지금까지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데 있어, 혼합주거형태를 통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향상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중요요인에 관한 연구

        전하진,이성훈,김기홍,최민섭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ortant factors of the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This study attempted to deduct and analyze important factors of the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ocial sustainability, economic sustainability. Moreover,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the analysis using the general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based on the demographical data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that the identity of the specialist is ambiguous when AHP is used under development of the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And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ross-tabs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by professional group to mak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contents. Finally, This study was made to find out the degree of importance through the case revealed that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eductions of the housing expens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conomic sustain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reductions and changes of using energ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inally, it was found that community formation and continuit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ocial sustainability.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대적 변화와 흐름에 맞는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중요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및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FGI 분석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요인의 AHP 측정항목을 설정하고, 전문가 AHP 분석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중요요인의 우선순위를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의미있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경제적 지속가능성 요소 중에서 개별주택 유지 관리비 절감, 개인 생활비 절감, 개인의 지속적인 고정소득 창출 및 자급자족 기반 형성이 가능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환경적 지속가능성 요소 중에서 에너지 이용 변화 및 절감이 가능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요소 중에서 커뮤니티 형성 및 지속을 위한 주민참여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커뮤니티 형성 및 지속을 위한 공간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 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의 중요요인은 국내 주거환경의 변화를 모색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부동산학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도출 된 전문가들의 중요요인들이 수요자들 입장에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어떠한 요인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부동산 산업 전반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당면과제를 찾아보고 시대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주요 과제를 찾아나가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 및 차이 분석

        박선호(Park, Sunho),김남정(Kim, Namjung),박환용(Park, Hwanyo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4

        본 연구는 민간임대주택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공공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공공임대주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이며,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자료는 정부가 가장 최근에 실시한 2019년 ‘주거실태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에 있어서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의 영향요인은 ‘안전·위생상태’요인, ‘방수·난방상태’요인, ‘소음상태’요인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공공임대주택의 경우는 ‘방수·난방’요인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4.549배 증가하고, ‘안전·위생상태’요인은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 수준을 높일 확률이 3.697배, ‘소음상태’요인은 2.191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민간임대주택은 ‘방수·난방상태’요인의 수준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3.871배 증가하고, ‘안전·위생상태’요인은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를 높일 확률이 3.587배, ‘소음상태’요인은 1.94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의 경우는 비아파트에서 아파트로 주택유형이 변화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 수준이 불만족에서 만족 수준으로 개선될 확률이 1.328배 증가하고, 월소득은 소득이 증가할수록 만족도 수준도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환기의 상태 수준이 ‘불량’에서 ‘양호’로 개선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2.094배가 증가하고, 채광의 경우는 1.460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에서 공통적으로 ‘외부시설 접근환경’요인, ‘거주 환경성’요인, ‘주차·보행환경’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요인 구성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공원·녹지 접근성, 교육시설 이용성, 방범, 이웃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공공임대주택의 경우는 ‘외부시설 접근환경’요인의 만족도 수준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 수준이 높아질 확률이 6.3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주 환경성’요인은 2.747배, ‘주차·보행환경’요인은 2.007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의 경우는 Exp(B)의 값이 0.998배로서 만족도 수준 변화에 미치는 확률은 매우 적지만 월소득이 높아질수록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 수준이 낮아지며, 반대로 소득이 낮아질수록 만족도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1의 경우는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 거주할 경우에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1.684배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민간임대주택은 ‘외부시설 접근환경’요인의 만족도 수준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3.492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주 환경성’요인의 만족도 수준이 1단위 증가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2.020배 증가하고, ‘주차·보행환경’요인은 1.90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1에 있어서 도에서 광역시·특별시로 거주지가 이전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 수준이 개선될 확률이 1.229배 증가하고, 주택 노후도의 경우는 1.48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놓고 볼 때,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함에 있어서 방수, 균열, 난방·단열 등 ‘방수·난방상태’와 관련된 건축물의 물리적 환경의 질적 향상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의 상태가 개선될 때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또한, 공공임대주택의 건설·공급 입지와 단지내 위치에 대한 계획적 배려가 요구된다. 의료시설·상업시설·공공기관·문화시설·대중교통 접근성을 개선될 때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수요가 많은 도심 내에서 공공참여형 또는 공공주도형 정비사업 등을 통해 공공임대주택을 확보하고 기존 공공임대주택의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을 통해 양질의 임대주택 수요에 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re is growing demand for more emphasis to be placed on the quality of public rental housing rather than only expanding its supply. The Korean government plans to extend eligibility for public rental housing for middle income households. Quality of public housing is more likely to be enhanced when we accurately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residents’ level of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ublic rental housing compared with private rental housing. We analyzed the micro data obtained from the 2019 Korean Housing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verall housing facility satisfaction levels with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 are commonly affected by “water-proofing and heating” followed by, in order of importance, “security and sanitation” and “noise.” Apart from this, satisfaction with private rental housing is influenced by “income,” “types of building,” “ventilation,” and “sun lighting.” In additi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s with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 are commonly affected by “accessibility of neighborhood facilities,” “environmental aspects for residents,” and “car-park and pedestrian-friendliness,” in order of importance. Other common variables explaining resi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parks, green areas, and educational facilities. Although these factors are common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for both types of housing, in terms of how strongly each factor influences satisfac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

      • KCI등재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별 주거특성

        이미정(Lee, Mi-Jung),정희남(Jung, Hee-Nam),김재태(Kim, Jae-Tae) 한국주거환경학회 2020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미래 주택의 실제 소비자가 될 Z 세대의 주거 선호도와 그 속성이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특히 Z 세대의 특성을 감안하여 라이프스타일 별로 영향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측정 변수는 안전 환경, 편의 환경, 쾌적 환경, 경제 환경, 입지 환경의 5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들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군집 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안전환경과 입지환경 만이 전집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독립 변수 중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안전 환경이었으며 군집별로 차이가 있었다. 군집1(편리/실속/사교추구 집단)은 경제환경, 군집2(안정/실속추구 집단)은 입지환경, 군집3(편리/실속추구 집단)은 경제환경, 군집4(실속위주추구 집단)은 입지환경이 다음의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이 수도권에 국한되어 있어 전국의 다양한 표본 확보에 한계가 있지만 미래시장을 본다는 점에서 향후 주택 정책 등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idential preferences and the effects of the attribute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Z generation, which will become the actual consumer of the housing in the near futur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the impact of each lifestyle is to be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measurement variables are selected as five factors, including safety environment, convenience environment, comfortable environment, economic environment, and location environmen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cluster on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nly safety environment and location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safety environment and there was a difference by cluster. Group 1 (convenience/ deprivation/social pursuing group) was to have an effect in the order of economic environment, Group 2 (stability/deprivation pursuing group) in the order of pleasant environment, Group 3 (convenience/deprivation pursuing group) in the order of convenience environment, and Group 4 (substantial-oriented group) in the order of lo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etropolitan area, so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findings to the nationwide.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various implications to the future housing policies.

      • KCI등재

        한부모 가족의 주거이력에 관한 연구 -한부모 형성과정의 주거경험을 중심으로-

        이한나,김승희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3

        Single-parent families face many challenges in the formation process, such as a sharp decrease in income, burden of child rearing, household burdens, and social and institutional prejudice. It is difficult for a woman to re-enter the labor market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have a stable career in the labor market due to family life-long events such as marriage or childbirth (Kim Ga-yul, 2007). In addition, if you have young children, you will need a suitable and secure residence to raise your child.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forming a single-parent family housing movement is generated and the demand for housing suitable for the new situation (Kirsten Gram-Hanssen, 2005), a situation that requires a housing welfare policy suitable for the situation. The study tracked the housing history of single-parent families to determine the realities of the situation and demonstrated differences in housing movement by type of single-parent family. The study method was typed into a single-parent group by characteristic cluster using a two-stage cluster analysis of SPSS, using the chi-square test of pearson residential history by type, that is, residential mobile areas, occupancy forms, housing type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this, we will use this as the basis for a demonstration of the difference separating single-parent families from moving to housing, and to find housing assistanc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of single-parent families.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자발적 주거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주거특성에 따라 한부모 가족의 유형을 분류하고 주거이력을 고찰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부모 가족의 주거문제는 그 형성과정에서 인구·사회적 특성, 자녀연령, 경제적 수준, 주거경험 등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부모 가족의 유형 분류를 위해 혼인상태, 월평균소득, 고용형태, 총가구원수, 주거이동 횟수를 변수로 사용하여 3개의 군집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1유형인 이혼 한부모, 2유형인 사별 한부모, 3유형인 미혼 한부모로 도출되었다. 1유형은 이혼로 인해 주거환경이 급격히 하락하고, 이 열악한 주거환경이 지속되는 집단이다. 주거이력 상태를 추적한 결과 주거이동 경험이 증가하여도 자력으로 상향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유형은 사별에 의해 한부모가 형성되었고, 그 후 주거이동이 발생한 집단으로 상대적으로 주거수준이 안정되어 있있으며, 자력으로 주거의 상향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나타났다. 3유형은 미혼 한부모로 임신·출산에 의해 미혼 한부모 형성이 된 후 자녀양육을 위한 주거이동을 한 집단으로 타 군집 보다 기타형태의 주거이동이 다수 이루어졌고, 무상으로 친척친구집이다 일시적 거소 등에 머물다가 자녀의 성장에 따라 주거이동을 하며, 때로는 주변의 도움으로 주거상향이동까지 하는 집단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1유형은 주거상태의 하향이동을 막기 위해 한곳에서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마련 할 필요가 있으며, 3유형의 경우 형성직후 집중적인 주거지원을 통해 미취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생계곤란, 자녀양육 곤란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자력으로 주거이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즉, 이혼, 사별, 미혼모 발생 등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촉발되는 주거이동의 경우 공적주택 등 주거지원이 적절한 시기에 제공될 수 있어야 하며, 주거지원 정책은 한부모 가족의 세분화된 특성에 적합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주거만족 영향요인에 따른 군집별 특성분석-강원도의 고령자와 준고령자를 대상으로 -

        이한나,김승희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This study analyze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s a predictor of housing behavior by cluster type by classifying the cluster types according to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difference by the type of cluster for the elderly and semi-elderly. Factors influencing housing satisfaction of elderly and semi-elderly people were derived from the external residential environment, the economic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home. The first cluster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the best residence cost, middle of residential level, poor accessibility, The second group is the middle of residence cost, the best residential level and accessibility, The third group has characteristics of low residence cost, poor residential level, poor accessibility. The residential behaviors intents according to the cluster type were as follows: The first group was residential environment adaptation group, The second group was residential improvement group, and The third group was chronic residential dissatisfaction group. First, the evalu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is in a chronic dissatisfaction state. Second, in the case of semi-elderly, the percentage of semi-elderly people who belong to the improvement of housing situation is higher than that of elderly people. It will induce the self-improvement of the housing situation through policy intervention before entering the old age. Third, the housing problem of the elderly is highly likely to become a social problem, so the policy should be diversified in line with the housing needs of various elderly people. In other words, not only the low-income elderly but also the sandwich class and the class that can improve the housing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고령사회 주거복지 정책대상인 고령자와 준고령자를 대상으로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따라 군집유형을 분류하고, 군집유형별 특성 차이를 분석하여 군집유형별 주거행동의 예측인자로서 주거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고령자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1요인(접근성), 제2요인(주거비용), 제3요인(주거수준)으로, 군집은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군집은 ‘주거비용 上, 주거수준 中, 접근성 下’인 특성을 가지며, 제 2군집은 ‘주거비용 中 , 주거수준 上 , 접근성 上’으로, 제 3군집은 ‘주거비용 下, 주거수준 下, 접근성 中’인 특성을 가진다. 고령자는 3군집에 많이 분포하여 주거수준 및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수준에 있으며, 준고령자는 1, 2군집에 많이 분포하나, 특히 2군집에 속한 준고령자(69.5%)는 고령자(30.5%)와 비교하여 2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유형에 따른 주거행동은 2군집은 주거상황 개선군으로 ,1군집은 주거환경 적응군으로, 3군집은 만성적 주거불만족 군으로 나타났다. 고령자(53.3%)와 준고령자(39.5%)의 대다수가 이에 속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고령자의 주거환경에 대한 평가는 만성적 불만족 상태에 놓여있다. 앞서 고령자의 과반이 만성적 불만족을 수용한 상태로 거주하고 있으며, 주거상황의 변화, 적응 또한 어려운 집단이다. 둘째, 향후 고령자가 될 준고령자의 경우 주거상황 개선 군에 속한 준고령자의 비율이 고령자 보다 많다. 따라서 노년기 진입 전 정책적 개입을 통해 주거상황 개선이 자력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통해 현 거주환경에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친숙한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셋째, 고령자의 주거문제는 사회문제화 될 소지가 높으므로, 다양한 고령자의 주거욕구에 맞춰 정책을 다변화해야 한다. 즉, 저소득 고령자 뿐만 아니라 샌드위치 계층 및 주거상황 개선이 가능한 계층까지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국가·지역 등 사회적 시설거주를 지연시키고, 자력으로 개선할 수 있는 주거환경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주거만족도 차이에 초점을 두고 군집유형을 밝혀냄으로써 향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대상 발굴 및 주거행동별 지원방안 도출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고령인구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거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세분화하고 이를 면밀하게 고찰한 연구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고령자와 준고령자의 주거만족도 측정 및 비교 연구를 통해 고령자의 변모하는 주거의식과 욕구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미래 고령자의 주거만족도 제고를 도모하고 지역사회에서 편리하고 안전한 주거생활을 영위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Surveillance System and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Urban Regeneration

        Sung. Chang Soo,Park. Joo Y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도시 주거환경의 재생에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도시 주거환경의 조성을 위해 교통 혼잡, 범죄와 같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도시 관리 및 공공 안전 등을 포함한다. 특히 취약대상 및 사각지역에 노출되어 있는 범죄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주거환경에 대한 개선을 위해 CCTV와 같은 감시 시스템을 적용하여 방범 및 안전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 연구를 분석하여 도시재생 사업에서 지역 감시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안전한 주거환경에 대해 조사한다. 연구결과, 지역 감시시스템의 우선 설치지역은 범죄 취약지수가 높고, 범죄에 취약한 여성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인한 지역 감시시스템의 설치 영역이 불안전하고 불안정한 거주자의 설치 요구와 상당히 밀접한 관련이 있고, 쉽게 인식 및 공개되지 않는 사각 지대와도 일치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이 도시재생과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지방 정부는 안전한 도시재생 사업에 있어 정확한 정보를 적용하여 각 주민의 요청 및 불만 사항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고, 범죄에 취약한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거주자의 범죄예방과 안전한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개발제한구역내 국민임대주택의 입지특성과 주거만족도 연구 - 경남․부산․울산시를 中心으로 -

        김성덕,서유석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green belt and suggest proper location model of it. Constru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green belt has advantage of acquiring site to build it easily, but it is doubtful whether it is proper or not as housing environment of low income classes. To analyse and verify suitability of it's location in green belt, it was surveyed location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especially types and number of neighborhood facilities, distance from home to downtown or their office, etc.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sing diverse conditions of 5 public rental housing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analysed that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in numbers and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facilities, and zoning around public rental housing affected numb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more than it's location in the city. In other words, types and number of neighborhood facilities around public rental housing was increased more in case of commercial zoning than residential zoning. Secondly, dwellers' housing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facilities was also increased according to proximity(distance) from home to downtown and its' diversity. Thirdly, public rental housing dwellers' housing satisfaction is analysed to increase in downtown and suburban area more than in isolated area, and housing location affected housing satisfaction more than types and number of neighborhood facilities. Suitability of neighborhood and it's location is difficult to standardize it because of private preference differences, but housing satisfaction of low income classes was influenced so much by distance and arriving time from home to office, therefore, downtown area or area near to public rental housing is assessed to be good location in housing environment of low income class. At these area, there are diverse neighborhood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s, and they can get a job easily at there. 본 연구에서는 2004년 국민임대주택건설 특별조치법 시행으로 개발제한구역에 임대주택을 건립할 수 있도록 한 이후 건립된 국민임대주택(장기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입지의 적정성과 주거만족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국민임대주택의 입지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국민임대주택의 입지 및 주거환경과 관련하여 기존 관련연구 분석을 통해 정량적 분석의 지표로서 주거입지 및 주거환경 요소를, 정성적 분석의 지표로서 주거만족도를 평가요소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임대아파트 건립의 법적인 토대로서 개발제한구역에서의 예정지구지정에 관한 특례가 규정된‘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2003.12.31.) 시행이후, 관련법규 내용과 함께 이 특례규정에 따라 개발제한구역내에 건립된 경남·부산·울산지역의 임대아파트 단지를 사례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주거환경 및 입지적 특성과 함께 이에 대한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를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주거입지의 적정성은 규범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도시외곽에 위치할수록 근린생활시설이 적고 다양하지 못한데다가, 직장까지의 거리와 이동시간이 주거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저소득층을 위한 국민임대주택이라는 속성상 가급적 다양한 대중교통의 이용이 가능하고 주변에 근린생활권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도심지역이나 기존주거지에 인접한 지역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한옥 벽체의 단열 및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김경천,강태중,유인호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4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인류가 직면하게 된 인구 증가, 기후 변화, 자원 고갈, 각종 환경오염 등의 환경문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고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각종 노력을 위한 공감대가 확산 되었다. 건축분야에서도 친환경과 관련한 건축재료, 시공방법, 생태학적 디자인 등이 점차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웰빙이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각광받고 있으며 삶의 질적인 문제에 입각하여 육체적, 정신적으로 조화를 통한 풍요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건축적 요구도 늘어나고 있다. 세계의 모든 전통건축이 그러하듯 한국 전통건축 역시 주어진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결과물로 남아 있다. 한국의 전통건축은 한반도가 가지는 지리적, 기후적, 문화적, 인문학적 요소 등과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오랜 시간을 지내오며 한국인의 요구에 맞도록 다듬어져 왔으며 특히, 주거건축인 한옥(韓屋)은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장점들로 우수성을 인증받고 있다. 특히, 한옥은 친환경 재료로 건축 되어져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웰빙과 관련한 주거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있어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한옥은 그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고가(高價)의 건축비 문제와 단열 성능의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부각되어 저변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여 주거건축의 경우 변화하는 모든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해야 하는 목적과 필요가 있으며 특히, 여름 및 겨울철에 냉․난방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 생활환경이다. 이에 따라 건축물에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성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기존의 한옥 구조는 벽체 구성의 특성상 단열이 미흡하여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주요 구조부를 목재로 사용하는 건축의 특성상 재료비 및 인건비가 고가에 해당되고, 방부(防腐), 방염(防炎), 방충(防蟲) 등에도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어서 이 또한 한옥 보급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기술과 건축비 절감 및 단열성능이 강화된 모듈형 벽체가 융합된 친환경 한옥 벽체 구조물을 연구하여 한옥의 우수성을 알리며 한옥의 보급을 활성화하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한옥 벽체의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로서 기존방식들의 문제점 및 단점들을 파악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며, 나아가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여 한옥을 건축하였을 경우 기존 방법에 비해 우수한 점들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한국 전통건축물들의 주요 구조부 및 벽체와 관련한 부재의 불량 시공사례 등을 조사하고 둘째, 이를 토대로 기존의 한옥 벽체가 안고 있는 문제점에 해당하는 방부, 방염, 방충의 문제뿐만 아니라 단열 성능을 개선하고, 시공방법도 편리하며 시공비도 절약되는 방법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의 검증을 위해 결구(結構) 방법을 적용한 시제품을 제작하여 시공비의 차이를 확인하고 계획방식과 적용기술에 관한 내용과 그 결과를 종합함으로써 한옥 벽체의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 도시와 농촌 차이

        임준홍(Im, Jun-ho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1

        This study divides the residential areas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living in Chuncheongnam-do into urban and rural areas, and analyzes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y intend to migrat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i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mong living areas (cities and rural areas). Although urban residents’ satisfaction (5.56 out of 10) is higher than that of rural residents (5.47),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urban resi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ccess to living facilities, while rural resi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ir, noise, and green areas. Third, depending on the living area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urban residents’ intention of the residential movement is higher than that of rural residents. Fourth, the analysis on the factor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ws that all four types of housing factor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particular, convenience facility factors have a greater impact than other factors, which are common in urban and rural areas. Fif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move around, urban residents are not greatly affected by certain factors, and rural residents are greatly influenced by cultural tourism and sports factors. Young one-person households are very important for maintaining urban vitality and strengthening residential stabil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high cost of housing for young people, various housing policies in the supply-side for young people and the maintena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can attract young people are required. 본 연구는 충남에서 생활하는 청년 1인가구의 거주지역을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가구는 생활지역(도시와 농촌)에 따라 주거환경만족도의 차이는 없다. 즉, 도시생활자가(5.56)가 농촌생활자(5.47)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다. 둘째, 주거환경 요인별 분석결과, 도시생활자는 생활편의시설의 이용 만족도가 높은데 반해, 농촌생활자는 대기, 소음진동, 녹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셋째, 청년 1인가구의 생활지역에 따라 주거이동의향은 도시생활자가 농촌생활자보다 높다. 넷째,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주거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 준다. 특히, 편의시설요인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큰 영향을 주고, 이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서 공통적이다. 다섯째, 주거이동 의향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 생활자는 특정 요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농촌지역 생활자는 문화관광스포츠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청년 1인가구는 도시활력 유지와 거주안정성 강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청년의 높은 주거비 부담을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주택공급, 청년들에게 매력을 줄 수 있는 주거환경 정비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