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승영구치가 선천적 결손된 유치의 치근 흡수

        이정은,이제호,최형준,김성오,송제선,손흥규,최병재 대한소아치과학회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4

        유치의 정상적인 치근 흡수는 계승 영구치의 맹출 압력으로 단핵구 세포가 방출되어 파골세포로의 분화가 촉진되어 일어나며, 계승 영구치의 맹출 경로를 따라 유치의 치근이 흡수되어서 유치가 탈락하게 된다. 계승 영구치가 선천적으로 결손되었을 때에도 유치의 치근은 흡수될 수 있는데, 유치의 비정상적 치근흡수는 외상이나 염증, 교합압의 증가, 지지조직의 약화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치아의 선천적 결손은 인간에서 가장 흔한 발육이상이며, 영구치가 결손되었을 때 유치는 만기 잔존할 수 있다.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은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국소적 원인이나 인류 진화에 따른 영향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 증례들은 계승 영구치가 선천적으로 결손된 어린이에서 유치의 치근이 비정상적으로 흡수된 경우로 계승 영구치가 결손 된 유전치와 유견치, 유구치의 치근이 1/2 ~ 3/4정도까지 흡수 되었으며 흡수 부위는 불규칙적인 형태를 보였다. 원인으로는 흡수에 감수성이 높은 유치의 치주인대, 그리고 성장에 따라 증가되는 저작근육과 저작력, 혼합치열기에 유발되는 비정상적 교합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계승 영구치가 결손된 유치가 비정상적인 치근 흡수를 보이는 경우에 유치는 유지될 수도 있지만, 여러 요인에 의하여 탈락될 경우에는 공간을 유지 할 것인지 판단해야 하며, 향후 보철치료나 교정치료를 요하므로 장기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Root resorption of primary teeth usually occurs as the succeeding permanent teeth erupt, which induces differentiation of the hemopoietic cells into osteoclasts. Their root resorption pattern reflects the eruption path of the succeeding permanent teeth, and eventually the primary teeth shed as their succeeding permanent teeth erupt. Even when a permanent tooth germ is congenitally missing, root resorption of the corresponding primary tooth may still occur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inflammation, traumatic occlusal force, and weakness of periodontium etc. Such congenital missing of permanent teeth is a commonly observed phenomenon in human be ing, and it often accompanies delayed retention of primary teeth. The etiologic factors for congenital missing in elude not only systemic diseases, but also local factors and human evolution process. In the radiographs of the cases in this report, the primary teeth without succeeding permanent teeth show pathologic root resorption. Root resorption progressed about 1/2~3/4 of the roots, and the surfaces of the resorption area were irregular. Considering high susceptibility of the periodontal ligament of primary teeth to root resorption, pathologic root resorption of primary teeth with delayed retention can be explained by the increased masticatory muscle force and abnormal occlusion developed during the mixed dentition. When the primary teeth without succeeding permanent teeth are lost, decision for space maintenance is required and long-term treatment plan for further prosthetic or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establsihed.

      • KCI등재

        E-초등학교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시기 및 순서

        권정현,최병재,이제호,김성오,손흥규,최형준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2

        치아 맹출은 나이, 성별, 인종, 시대에 따라 시기 및 순서의 차이가 있으나, 교과서에 인용되어 임상에서 사용되는 영구치 맹출 및 치근 형성에 대한 자료는 1933년 Logan과 Kronfeld가 발표한 것이므로 현재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 경향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연령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맹출순서를 알아보며, 이전 국내외 연구자료와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구강검진을 시행한 E-초등학교의 어린이 중 만 6세에서 만 12세의 2,619명 (남자 1,307명, 여자 1,3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영구치의 맹출시기 및 순서에 대해 연구 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자 만 6.81세, 여자 만 6.73세, 측절치는 남자 만7.78세, 여자 만7.65세, 견치는 남자 만10.48세, 여자 만9.92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63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6세, 여자 만10.49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39세, 여자 만6.26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2.13세, 여자 만 12.03세로 나타났다. 2. 하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녀 모두 정확한 시기의 측정은 불가능하였지만, 만 6.08세 이전에 맹출한다는 것을 추정 할 수 있었고, 측절치는 남자 만6.78세, 여자 만6.65세, 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05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82세, 여자 만9.59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7세, 여자 만10.52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22세, 여자 만6.12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1.58세, 여자 만 11.14세로 나타났다. 3. 맹출순서는 상악은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고, 하악은 중절치, 제1대구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다. 4. 모든 영구치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빨리 맹출하였으며, 상악은 약 0.19세, 하악은 약 0.29세 먼저 맹출하였다. 5. 남녀 모두 상악은 측절치와 제1소구치 사이, 하악은 측절치와 견치 사이에 휴지기가 있었고, 남자의 휴지기는 상악 1.98년, 하악 2.98년, 여자는 상악 1.98년, 하악 2.40년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new data on the timing and sequence of permanent teeth emergence and to compare these findings with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The dental examinations had been performed to E-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visited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1998 and 2005; 1,307 boys and 1,312 girls with the age ranging from 6 to 12 years old.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1. Eruption time of the maxillary permanent teeth is as follows, It was 6.81 years in male and 6.73 years in female for the central incisor, 7.78 years in male and 7.65 years in female for the lateral incisor, 10.48 years in male and 9.92 years in female for the canine, 9.76 years in male and 9.63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remolar, 10.66 years in male and 10.49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remolar, 6.39 years in male and 6.26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12.13 years in male and 12.03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ermanent molar. 2. Eruption time of the mandibular permanent teeth is as follows. The central incisor could not be determined in this study, but it is assumed to erupt before the age of 6.08. In the mandible, eruption time was 6.78 years in male and 6.65 years in female for the lateral incisor, 9.76 years in male and 9.05 years in female for the canine, 9.82 years in male and 9.59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remolar, 10.67 years in male and 10.52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remolar, 6.22 years in male and 6.12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11.58 years in male and 11.14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ermanent molar. 3. The eruption sequence is as follows. In the maxilla, the first permanent molar erupted first, followed by the central incisor, the lateral incisor, the first premolar, the canine,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permanent molar. In the mandible, the central incisor erupted first, followed by the first permanent molar, the lateral incisor, the canine, the first premolar,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permanent molar. 4. Tooth eruption occurred earlier in female compared to male by average of 0.19 year in the maxilla and 0.29 year in the mandible. 5. In both male and female, the hiatus (interval of rest) occurred between the emergence of lateral incisor and first premolar in the maxilla while it was observed between the lateral incisor and canine in the mandible. Male had a hiatus of 1.98 years in the maxilla and 2.90 years in the mandible, while the female's were 1.98 years and 2.40 years, respectively.

      • KCI등재

        우유병우식증 경험아동의 5년 후 추적 조사 연구

        이상언,정태련,이상훈 大韓小兒齒科學會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2

        우유병우식증에 이환된 아동의 추적 조사 연구의 일환으로, 유치열에서 우유병우식증을 가지고 있었던 아동이 5년 후 혼합치열에서 우식비경험군(caries-free group)및 일반아동(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법랑질저형성증의 유병율에 차이가 있는지, 영구치우식경험율이 높은지, 만약 영구치우식경험율이 높다면 그 원인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자 유치원에 다니는 원아 657명을 대상으로 1994년 5월 구강검진과 설문을 시행하였고, 5년 후인 1999년 이들 원아들이 주로 진학하는 것으로 파악된 인접지역에 있는 3개의 초등학교학생 4602명(남 2459명, 여2143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및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 학생들 중 5년 전 피검 대상이었던 아동 101명(우유병우식경험군 45명, 우식비경험군 56명)을 찾아내고 대조군으로 비슷한 연령의 아동 50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세 군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우유병우식경험군의 5년후 법랑질저형성증 이환율은 13.3%, 우식비경험군의 이환율은 3.5%로 조사되었으며 피검아동전체의 법랑질저형성증 이환율은 4.4%로 조사되어 우유병우식경험군의 법랑질저형성증 이환율은 피검아동 전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2.우유병우식경험군의 5년후 영구치우식경험율은 77.8%, 우식비경험군은 35.7%로 조사되었으며 피검아동 전체의 영구치우식경험율은 62.0%로 조사되어 우유병우식경험군의 영구치우식경험율은 우식비경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고(P〈0.01) 피검아동 전체의 경험율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높았다(P〈0.05). 3.우유병우식경험군은 우식경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칫솔질 횟수가 적고(P〈0.05) 칫솔질을 시작하는 시기도 늦었다(P〈0.01). 4.우유병우식경험군은 우식경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우식성식품군의 섭취빈도가 높고(P〈0.05), 선호도도 높아(P〈0.05) 치아우식증에 이환되기 쉬운 식이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5.우유병우식경험군은 우식비경험군이나 대조군에 비해 치과정기검진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주요어 : 법랑질저형성증, 영구치우식경험율, 우유병우식증

      • KCI등재

        유치의 외상에 의한 계승 영구치의 발육 장애

        김지영,김영진,김현정,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2

        유치에 가해진 외력은 하방으로 전달되어, 계승 영구치의 손상이라는 합병증이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치에 손상이 가해진 경우의 치료계획은 영구치의 안전성에 초점을 두어야만 한다. 유치의 외상에 의한 계승 영구치 발육 장애의 정도는, 외상 당시 소아의 연령 및 치아의 발육 상태, 손상의 종류와 정도 및 외상 후부터 치료 전까지의 경과 시간 등에 따라서 달라지며, 그 정도는 미약한 석회화 부전에서 성장 정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증례는 33개월, 만 5세, 26개월의 소아에서 각각 유치의 함입, 완전탈구, 아탈구 등의 외상성 손상이 발생한 후, 후속 영구치의 발육 장애가 관찰된 경우로 비슷한 연령대엄에도 불구하고, 아탈구와 같은 경미한 외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법랑질 저형성증과 같은 경미한 수준의 발육 장애가 나타났지만, 합입이 일어난 경우는 치근의 만곡이 관찰되었다. 또한 영구치의 교환 시기에 가까운 나이인 5세경이라 하더라도 완전탈구가 일어난 경우에는 치근의 형성부전 등 보다 심각한 합병증이 관찰되어, 유치의 손상양상과 외상을 당한 시기의 환아의 나이에 따라 계승 영구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치의 변위를 초래하는 모든 종류의 외상이 발생한 경우, 술자는 외상의 유형 및 영구치의 발육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Trauma to the primary teeth may have an effect on the successive permanent teeth. Thus, the treatment plans should be focused on safety of their permanent teeth. The degree of developmental disturbances in those permanent teeth depends upon many factors including the age of the children, developmental conditions of the affected teeth, types and severities of trauma and time interval from the moment of trauma to the initial treatment the patients received. The complications of the effected permanent teeth vary from the mild enamel hypoplasia to the premature finishing of teeth development. In this study, children whose ages were 33 months, 5 years, and 26 months presented the developmental disturbances to their permanent teeth, which resulted from the trauma to the primary teeth: the intrusion, the avulsion, and the SUbluxation. There showed a mild complication in the case of subluxation resulting in enamel hypoplasia, but, the more severe complication of the root dilacerations occurred in the case of intrusion. Furthermore, the 5-year-old patient whose primary dentition was near in transition period to the permanent one, the more complicated problem such as stop of root development of the permanent teeth was resulted from the avulsion. Thus, one should assume that the types of trauma and the age of the children at the moment of trauma have different effects on those successive permanent teeth. In conclusion, when the trauma that causes changes in the position of primary teeth happened, it is important to arrange an appropriate treatment procedure considering the types of trauma and the developmental conditions of the permanent teeth.

      • KCI등재

        한국 어린이에서 하악 유절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의 관계

        김현진,현홍근,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많은 연구에서, 유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에는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하악 전치부에서, 유치의 선천적 결손에도 불구하고, 그 계승 영구치는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증례가 임상적으로 종종 관찰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에서 하악 유절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평가하는 데에 있다.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9월 5일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 내원하여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촬영한 6세 이하의 남녀 어린이 총 14,307명을 대상으로 하악 전치부의 치아양상을 관찰하여 유치와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관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 유절치의 결손률은 0.24%였으며, 하악 유절치가 존재 시 후속 영구치가 존재할 승산(odds)은 7163.5였으며, 유절치의 결손 시 후속 영구절치가 존재할 승산(odds) 0.79였다. 2. 하악 유절치 결손의 증례 중 후속 영구치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는 44.12%였다. 유절치의 양측 결손 시 후속 영구치가 하나라도 존재할 승산(odds)은 유절치 편측 결손 시에 비하여 1.57 배였다. 3. 유절치 결손이 있을 때 유절치의 편측 결손일 승산(odds)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2.2 배였다. 또한, 유절치 결손이 있을 때 후속 영구절치가 존재할 승산(odds)은 남자가 여자의 경우에 비하여 2.22 배였다.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enitally missing primary teeth and their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However, especially in case of lower anterior region, we can observe the existence of permanent teeth even though their precedent primary teeth were missed at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enitally missing primary lower anterior teeth and their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in Korean children. Total of 14,307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who attend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Seoul, Korea from January 1st 2005 to September 5th 2008 were radiologically examined using the panoramic x-ray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enitally missing primary lower anterior teeth and their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revalence of congenitally missing lower anterior teeth in primary dentition was 0.24%. The odds ratio of both the primary and permanent anterior teeth being present was 7163.5 and only the permanent anterior teeth being present was 0.79. 2. The percentage of all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being present was 44.12% in cases of missing lower primary anteriors. The odds ratio of at least one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being present in cases of bilateral primary anterior teeth missing was 1.57 times more common than in cases of unilateral primary teeth missing. 3. The odds ratio of primary missing teeth being unilateral was 2.2 times higher in females. Moreover, the odds ratio of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being present in cases of primary teeth missing was 2.22 times higher in males.

      • KCI등재

        고정식 장치를 이용한 조기 맹출 소구치의 안정화

        황지원,김성오,최형준,최병재,손홍규,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1

        Early eruption refers to an accelerated eruption of a tooth beyond the normal eruption period. The clinical findings of an early erupted tooth with little formation of crown and/or root include severe mobility, pain on chewing, hypocalcification of the enamel, and inclination, displacement, and rotation of the tooth. The radiographic findings include underdeveloped root and insufficient bone support. Early eruption of a permanent tooth can cause several complications such as chronic trauma, pain, edema, an increased rate of premolar impaction and tooth displacement and/or rotation. Therefore, when a permanent tooth erupts earlier than its normal eruption period with accompanying symptoms, appropriate treatments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A female patient of age 7 without any systemic disease was referred from a local dental clinic with chief complaint of severe mobilities and pain in both upper first premolars. According to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the permanent teeth erupted earlier with barely formed roots, severe mobilities, edema, and pain. This case is to report the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root formations and stabilization of teeth after applying intraoral fixed appliances using bands and spurs for 14 months. 치아의 맹출은 일반적으로 치근의 1/2~2/3이 완성(Nolla stage 7)되었을 때 임상적으로 출은(emergence)하여 치근 형 성이 완성되기 전에 교합평면에 도달한다. 조기 맹출이란 맹출이 가속화되어 정상 맹출 시기 보다 이른 시기에 맹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상 범주를 벗어나는 영 구치의 조기 맹출은 매우 드물며 유치의 만성 치근단 주위염 등의 국소적 원인으로 인한 계승 영구치의 상방 치조골이 광범위 하게 파괴되었을 때 치아의 치관이나 치근의 형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채 계승 영구치가 조기 맹출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의 조기 맹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영구치의 조기 맹출이 가능하다. 조기 맹출 치아의 임상 소견으로는 심한 동요도와 저작 시 동통, 법랑질의 저석회화, 치아의 편향과 변위, 회전 등이 있으며, 방사 선학적 소견으로는 미발육된 치근과 골지지의 부족 등이 있다. 조기 맹출 영구치의 발생 가능한 합병증으로는 만성적인 외상 과 동통 및 부종이 있을 수 있고, 맹출 순서의 변경과 인접치의 이동으로 인한 소구치 매복율의 증가, 치아의 변위와 회전이 야기될 수 있으며, 영구치의 탈락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있는 조기 맹출 영구치의 경우 공간 유지 및 영구치 고정과 주위 조직의 회복, 치근 발육의 유도를 위해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전신 질환이 없는 만7세 여환이 상악 양쪽 제 1소구치의 심한 동요도와 동통을 주소로 치과 의원에서 의뢰되었다. 임상 및 방사선 검사상 치근 형성이 거의 없이 양측 상악 제 1소구치들이 조기 맹출되어 심한 동요도와 부종 및 저작 시 동통을 나타 내어 상악 제 2유구치에 교정용 band와 spur를 이용한 구내 고정식 장치를 제작하여 14개월 간 장착하여 조기 맹출한 치아 들을 안정화시키고 성공적으로 치근 형성을 도모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유치의 이중치와 계승영구치의 발육에 관한 연구

        라지영,김대업,이광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2

        이중치는 유치열에서 흔히 나타나는 발육 이상으로 후속 영구치의 결손, 융합, 형태 이상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1월부터 9월까지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유치열기 및 혼합치열기 어린이 1,803명을 대상으로 유치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의 이중치를 악궁에서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영구치의 발육 이상을 평가하였으며, 동시에 이중치의 치관 및 치근의 형태 및 융합 정도에 따라 이중치를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Tannenbaum과 Alling의 기중에 따라 이중치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영향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중치는 49명(2.7%)이었고, 이중 5명의 어린이에서 양측성 이중치를 보이고 있었으며, 세 개의 치관 및 치근을 보이는 삼중치를 갖는 경우도 1명에서 나타났다. 2. 이중치는 하악 치열에서 현저히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하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가 융합된 경우 및 하악 유측절치와 유견치가 융합된 경우에서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후속 영구치가 결손되는 빈도는 유중절치와 유측절치가 융합된 경우(23.8%)보다 유측절치와 유견치가 융합된 경우(73.9%)에서 훨씬 높게 나타났다. 3. 상악의 경우는 오직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부위에서만 이중치가 발견되었는데, 이중 유중 절치와 유측절치가 융합된 경우(75%) 특히 후속 영구치의 결손 빈도가 높았다. 4. 이중치의 유형별로는 융합된 두개의 치관 및 치근을 갖는 Type Ⅳ의 발생율이 가장 높았고(51.9%) 이에 따라 후속 영구치도 높은 빈도로 결손되었다(60.7%). 하지만 영구치 결손 빈도만으로는 큰 치관과 큰 치근을 갖는 Type Ⅱ에서 가장 높았다(7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y and position of deciduous double teeth, and the occurrence of other dental anomalies in the same subject. Four morphological types were indentified according to Alling's classification: type Ⅰ, bifid crown-single root; type Ⅱ, large crown-large root: type Ⅲ, two fused crowns-single root: type Ⅳ, two fused crowns-two fused roots. Fifty-four double teeth were found in a total of 1,803 children, who had visited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or dental treatment from January 1, 2003 to September 30, 2003. All of these children were examined clinically-and intra-oral radiographs were tak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49 children(2.7%) had more than one double teeth. 5 of these children had two double teeth on the bilateral side. And one child showed triple teeth which has three crowns and three roots. 2. Double teeth were predominantly situated in the anterior region, with a preference for the mandible. The ratio of cases involving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was higher than other cases. 3. There were 25 cases(46.2%) of missing successors among 54 cases of the double teeth. And, prevalence of the missing teeth was highest in the cases involving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4. In the case of type Ⅱ(large crown-large root) had more missing successors.

      • KCI등재

        Vital Pulp Therapy Using Platelet-Rich Fibrin in an immature Permanent Tooth: Case Reports

        Ka-Young Lee,Sang-Ho Lee,Nan-Young Lee 大韓小兒齒科學會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2

        Preserving the pulp is important in the treatment of carious pulp exposure in young permanent teeth. Pulpotomy is a vital pulp therapy in which a portion of the coronal pup tissue is surgically removed, and the remaining radicular tissue is covered with suitable material that protects the pulp from further injury and permits and promotes healing. It is important to develop biocompatible treatment directed at maintaining pulp vitality and increasing tooth longevity. Platelet-rich fibrin (PRF) has been referred to as a second-generation platelet concentrate. Two clinical cases in which PRF was applied as a medicament after pulpotomy of an immature permanent tooth anre presented. After isolation, caries removal and pulpotomy with PRF was performed. A layer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was placed over the PRF, and the final restoration was performed. Postoperatively, the patient had no pain or discomfort, and follow-up radiographs revealed normal periodontal ligament space and trabecular bone pattern. 심한 우식을 보이는 미성숙 영구치 치료에 있어서 치수생활력을 보존하는 것은 중요하다. 치수절단술을 시행 시 생체적합성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치료함으로써 남아있는 생활력이 있는 치수를 보호하며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혈소판 농축 섬유소는 환자의 혈액을 직접 채취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생체적합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성장인자를 함유하고 있어 치수생활력을 유지하고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 발육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심한 치아 우식증을 보이는 미성숙 영구치에서 치수절단술 시행 후 남아 있는 치수 상부에 혈소판 농축 섬유소를 적용하였다. 정기적인 검진 결과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 성장 및 정상적인 치아 주위 조직들이 관찰되었다. 향후 장기간의 임상적 관찰이 필요할 것이며 더 많은 임상 증례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유치와 영구치의 외상에 관한 연구

        허수경,최남기,김선미,양규호,박지일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4

        본 연구는 2003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와 응급실에 치아 외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570명(치아수: 1394개)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분포, 발생원인 및 장소, 손상 받은 치아의 위치 및 유형, 초진시 처치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외상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1. 성별에 따른 발생빈도는 1.9:1로 남자의 비율이 높았고, 나이에 따른 발생 빈도는 1세, 6~8세, 17~18세 때 높았다. 2. 외상의 원인은 유치열과 혼합치열에는 넘어진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영구치열에서는 교통사고와 싸움으로 인한 손상 빈도가 높았다. 외상을 입은 장소는 유치열은 집에서, 혼합치열, 영구치열에는 길에서 비율이 높았다. 3. 외상시 손상 받은 치아의 위치는 유치와 영구치 모두 상악 중절치의 비율이 높았다. 손상의 유형은 유치와 영구치 모두 치주조직의 손상이 많았는데, 유치는아탈구, 진탕, 함입 순이었으며, 영구치는 아탈구, 진탕, 완전탈구 순이었다. 4. 초진시의 처치는 특별한 처치 없이 경과를 관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유치는 33.1%, 영구치에서는 44.5%의 재 내원률을 보였다. 치주조직 손상 후 유치는 20.3%, 영구치는 26.6%의 치수 괴사율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ive basic information of traumatic injuries of primary and permanent teeth which can be used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jured teeth. From January 2003 to July 2007, 570 children with 1394 teeth who came to pediatric dentistry and emergency center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e to the traumatized teeth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data were investigated. : age, sex, causes and places of trauma, position of injured teeth, types of injury, and treatment at the first visit. 1. Trauma prevailed at the age of 1.6 ~ 8, 17 ~ 18 and the rate of males was more likely to be higher than the rate offemales(1.9 : 1). 2. The main cause of injury is a fall-down injury for primary and mixed dentition, but is a traffic accident and fighting for permanent dentition, respectably. The place of injury for primary dentition is mainly home(45.3%), while street for mixed and permanent dentition. 3. The position of injured teeth according to the area in the mouth is mainly maxillary anterior teeth in both case of primary and permanent teeth and especially, the ratio of central incisors is high. 4. The periodontal tissue injury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but the ratio of hard tissue injury in the permanent teeth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rimary teeth. 5. Among treatments at the first visit, observation without actual treatment comprised 75.6% in the primary teeth and 55.4% in the permanent teeth, respectably. The pulp necrosis occurred in 20.3% of the primary teeth and 26.6% of the permanent teeth in the case of the periodontal tissue injuries, respectably.

      • KCI등재후보

        유치열기의 외상으로 인한 계승 영구치의 발육 및 맹출장애

        임형수,이창섭,이상호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2

        유치의 외상으로 인해 이환된 유치의 손상뿐만 아니라 형성 중인 계승 영구치의 발육과 맹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는 법랑질의 변색이나 법랑질 저형성증이며, 드물게 계승 영구치의 매복, 이소성 맹출, 치관 또는 치근 만곡, 치근 형성 정지를 유발할 수도 있다. 본 증례들에서는 유치열에 대한 외상성 손상으로 계승 영구치가 심각한 발육 및 맹출 장애를 보였다. 증례 1에서는 4세 7개월경의 외상으로 인해 상악 우측 유중절치와 상악 우측 유측절치가 측방 탈구되고 증례 2에서는 3세경의 외상으로 상악 우측 유충절치와 유측절치가 완전 탈구되었다. 그 결과 계승 영구치인 상악 우측 중절치와 측절치가 모두 동시에 매복되고 치근 형성이 정지되었으며 이소성 맹출이 관찰되었다. 계승 영구치의 발육 장애를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Trauma to the primary incisors map cause developmental eruptional disturbance of the permanent successors. Two cases illustrate developmental disturbances of arrested root formation, dilaceration, and eruptional disturbances of impaction, ectopic eruption of permanent successors caused by traumatic injury to deciduous incisors. The patient of the first case suffered trauma at the age of 4 years 7 months, causing alveolar bone fracture including the maxillary right prim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that were immedi-ately extracted. The second patient had trauma episodes at the age of 3 years. Avulsion of the maxillary primary right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ere occurred due to trauma. After such trauma, regular follow-up including radiographs is necessary to detect early any possible interference with normal eruption of permanent sucess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