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역할

        김세희 ( Sae Hee Kim ),나은숙 ( Eun Suk N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역할을 조사연구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버지의 역할 특성이 나타난 그림책 32권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역할을 격려자, 친구, 생계부양자, 양육자, 가사를 돌보는 자의 5가지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격려자로서의 역할과 친구로서의 역할이 각각 15권(47%)의 같은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생계부양자로서의 역할이 10권(31%), 양육자로서의 역할이 5권(16%), 가사를 돌보는 자로서의 역할이 4권(1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아버지 역할이 그림책에서도 반영된 것으로, 주로 아버지는 자녀와 함께 놀아주거나 즐거운 곳으로 어린이를 데려가는 활동을 하면서 자녀를 격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림책 <곰>에서는 모든 범주에 걸쳐 아버지 역할이 나타났다. 반면 그림책 <동물원>에서는 아이들과 아버지가 상호작용을 하기는 하지만 5가지 범주에 해당하는 아버지 역할은 하나도 없었다. 아버지 역할이 그림책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상세히 살펴본 결과 ‘격려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은 격려하는 동반자, 정서적 지원자, 미래의 꿈을 키우도록 돕는 격려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녀의 정서적이고 인지적인 발달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로서의 아버지 역할은 놀이친구로서의 아버지와 친구로 변화하는 아버지로 나타났다. 현대사회에 적절한 아버지 역할을 담은 그림책의 교육현장에서의 적극적인 활용과 계속적인 출판이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 of fathers depicted in thirty-two picture books. Their ro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five categories, such as encourager, companion, breadwinner, care-giver and housekeeper. Both the roles of encourager and companion were observed in 47% of the books. The traditional breadwinner role was shown in 31% of the books. In 16% of the books, fathers were described as care-givers. Only 13% of the books showed father`s role as a housekeeper. Picture books that include father`s role which are appropriate in modern society should be applied in education programs and should be published continuously.

      • KCI등재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중국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채영란,정효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15 아동과 권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5세 유아 179명과 그들의 아버지 179명, 그리고 중국 목단강시에 위치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5세 유아 176명과 그들의 아버지 176명으로 총 355명 이었다. 연구 자료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리더십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OVA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과 중국 아버지의 전체 양육참여도를 비교한 결과 한국아버지 보다 중국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국과 중국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한국아버지는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과 아버지의 ‘직업’이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중국아버지는 ‘발달적지지’ 및 ‘돌보기 및 지도’ 와 ‘교육정도’, 가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in medium-sized cities in Korea and China up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fathers and the teachers in charge of 179 children aged five years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 City and the fathers and 176 children aged five years in ‘M’ City. Tests of a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leadership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version.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was a little higher in China than Korea. Second,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and “professional” wa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leadership in Korea. But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developmental support”, “care and guidance” and “education of father” wa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leadership in Chin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is an important factor for leadership.

      • KCI등재

        문학작품과 대중가요를 통해 본 한국의 현대 아버지상 -양귀자의 『원미동사람들』과 N.Ex.T의 「아버지와 나」, 싸이의 「아버지」를 중심으로-

        곽경숙 ( Gyung Sook Gwa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5

        이 논문은 오늘날 한국의 가부장 문화가 복잡한 양상을 지닌다는 점에 착안하여 소설과 대중가요에 나타난 한국의 현대 아버지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귀자의 소설 『원미동 사람들』과 두 편의 대중가요- N.Ex.T의 「아버지와 나 part-1」과 싸이의 「아버지」 -를 고찰텍스트로 선정하여 여기에 재현된 아버지 상을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아버지 상을 규명해보았다. 산업화 초기의 아버지상은 『원미동 사람들』에 잘 나타난다. 그들은 도구적 리더로서의 힘든 삶을 살아간다. N.Ex.T의 「아버지와 나 part-1」 또한 가족의 생계를 위해 희생한 아버지의 모습을 담고 있다. 그런데 이와 함께 아버지의 권위에 저항하는 아들의 모습을 통해 아버지에 대한 순종을 강조했던 전통적 가부장제가 약화된 모습을 보여 준다. 싸이의 「아버지」 에는 붕괴되고 있는 가장이데올로기를 재조명하고 이를 복원하고자 하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위기에 처한 아버지들의 현실을 반영한다. 근대 산업화 이후 자본 중심의 경제원리가 확산되면서 한국의 가장은 도덕적 원칙 보다는 시장의 경쟁원칙을 강요 받는다. 이로 인해 후기산업사회로 접어든 오늘날 가장은 ``돈 버는 기계``로 전락해버렸다. 맞벌이 가정이 아무리 늘어도 가족의 생계유지자는 아버지라는 의식이 지배적이다. 최근에는 ``모성적 아버지``의 등장으로 현대의 아버지들은 가사와 양육에도 참여하도록 요구 받는다. 이와 같은 이중적 역할로 현대의 아버지는 산업화 초기의 아버지에 비해 더욱 고단한 삶을 살고 있다. Patriarchal culture in modern Korea shows a complex pattern. In this sense, this paper investigated Korean fatherhood in Yang Gui-ja``s first novel Wonmidong people and two popular songs, N.Ex.T``s "Father and I part-1" and Psy``s "Father". From the results that have been extracted here, the fatherhood of Korea was identified. Wonmidong people shows the fatherhood of Korea in the beginning phase of industrialization well. Fathers of this period live a hard life as instrumental leaders. The image of a father who sacrifices to support his family is also shown in N.Ex.T``s "Father and I part-1". A point of interest in the text is the image of the son who revolts against the authority of his father. It implies the weakening of the father``s authority. Psy``s "Father" is intended to review the patriarchal ideology that is collapsing rapidly and to restore it again. This reflects the reality of the fatherhood in crisis. Today, Korean fathers are forced to follow the principles of market competition, rather than moral principles. As we move into a post-industrial society, the fathers of today live as ``money making machines``. Despite the continual increase of dual-income families, the dominant consciousness is that it is the father``s role that makes money for the family. Moreover, given the recent emergence of the concept of ``maternal father``, fathers are asked to participate in housework and parenting. The contemporary fathers who have to take double roles in the family live a more exhausting life than the initial industrialization era``s fathers. This reflects the reality that Psy``s "Father" strongly appeals to the patriarchal ideology.

      • KCI등재

        친정아버지의 가치관의 변화를 통해 본 소박맞은 딸의 재교육과 그 의미-<정승 딸을 며느리로 맞은 시아버지> 이야기를 중심으로

        박윤주 ( Park Yoon-ju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8 No.-

        <정승 딸을 며느리로 맞은 시아버지>에서는 무남독녀 외동딸을 둔 정승 아버지가 딸을 시집보내지만, 딸이 밥을 짓지 못한다는 이유로 시댁에서 소박을 맞고 친정으로 돌아온다. 이후 정승은 딸을 재교육시켜 시댁으로 돌려보내고 정승 딸은 시아버지의 밥 짓기 시험에 통과하여 잘 살았다는 내용이다. 본고에서는 이야기에 나타난 딸의 소박 문제를 통해 아버지의 양육방식과 딸의 소박과의 연관성을 살피어 소박의 원인을 파악하면서 시아버지의 소박의 의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딸의 소박은 친정아버지의 가치관과 양육방식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정승 딸의 소박은 아버지의 가치관과 사고방식의 변화를 불러왔다. 이를 통해 딸 역시 여성의 역할과 사회화 과정을 새롭게 배우며 한 층 더 성장하게 되는 계기를 맞는다. 다음으로 시아버지의 며느리 소박의 그 이면에는 정승과 정승 딸을 성장시키려고 한 의도를 지닌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시아버지는 정승 딸에게 소박을 줌으로써 정승이 딸에게 재교육을 시키도록 유도하며 기존의 인식과 가치관의 전환을 맞게 하였다. 이는 정승이 몸종보다 일을 더 잘하는 사위의 모습을 보며 자신이 딸자식을 잘못 교육시켰다고 깨닫는 데서 비롯된다. 또한 정승 딸의 공간 변화 변화에 주목하였다. 딸의 공간 변화는 크게 ‘딸의 혼인-딸의 소박’을 중심으로 변화된다. 딸의 공간의 변화에 따라 이야기의 사건 역시 변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인물의 인식의 변화 지점을 포착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승 딸이 어떻게 다시 시댁이라는 사회로 편입되는지 살피고, 밥 짓기 시험의 내포된 의미에서 시아버지가 중요하게 생각했던 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시아버지는 여성의 교육, 리더십, 노동관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으로 정승 아버지 보다 근대화적인 가치관을 가진 사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정승이 변하게 된 것에는 이러한 시아버지의 영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정승 역시 시아버지의 가치관을 인정하였기에 딸에게 몸종이 하는 노동을 시키며 기존의 가치관에서 탈피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것이 딸의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딸은 비로소 딸에서 며느리, 그리고 아내의 역할 등을 수행하게 되었으며, 그제야 며느리로 인정받는다. < A father-in-law who takes Jung Seung's daughter as his daughter-in-law > is the story of a father wit has ingle mother's only daughter sending her daughter to marry― but the daughter of Jung Seung returns to her parents' house.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parenting style and the daughter's simplicity through the simple problem of the daughter that is shown in the story. The dawn of her daughter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her father's values and attitude. Through this, her daughter also learns new roles and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women. The father-in-law gave Jung Seung simple things to induce Jung Seung to re-educate her daughter. His motivation for this comes from realizing that Jung Seung misrepresents his daughter's behavior by watching her son-in-law, who is better at doing things than his elders. As a result, his father changes his values by acknowledging the culture of his family in order to return his daughter to his family’s home. This confirms that the change in the father leads to the daughter's education, and this leads her to perform her daughter-in-law and wife roles. These outcomes show that Jung Seung's daughter returns to her family's house and passes her retirement. She is recognized as a daughter-in-law. There is a change of space in Jung Seung’s daughter in the story. Her spatial changes are largely centered around the marriage of the daughter-the daughter' s simplicity. As the space of the daughter changes, the events of the stories change as well, so that the point of change of a person 's perception is captured. When we look at the spatial changes in Jung Seung’s daughter, she looks at how her young daughter has been recruited into a society called in-laws.

      • KCI등재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유진,김현영 한국미래교육학회 2018 미래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함으로써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현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8.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평균, 표준편차를 도출한 후 각 측정 변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각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의 양육태도인 아버지의 돌봄에서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으로, 아버지의 과보호는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 돌봄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에서 아버지의 돌봄과 관심 및 관계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과보호가 되지 않는 적절한 양육태도는 자녀의 자기효능감을 발달시키고, 대학생활을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self-efficacy.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the students in grades 3 and 4 attending four-year colleges and analyzed using SPSS 18.0. After deriv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each measurement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attitude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self -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s a result, father's parenting attitude mostly influenced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caregiving attitude of father, the positive effe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rough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father's caring, interest, and relationship role at home is very important, and appropriate parenting attitude that does not overprotect improves the self-efficacy of the child and adapts to college life well.

      • KCI등재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진영,김진희,김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경로 를 알아보고, 가족체계 내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예방책을 탐색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청주시와 영동군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각 6곳에 다니는 만 3,4,5세 아버지 563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버지의 우울은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양육방식과 부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계는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버지의 우울은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관계는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버지의 우울은 내면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내면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관계는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해 내면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버지의 우울은 내면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방식을 통해 내면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관계는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내면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paternal depression, marital relationship, and parenting style on problem behaviors in Young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3 fathers who had 3-5 aged children attending 6 kindergartens and 6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Cheongju city.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through using SPSS 12.0 program, and path model was analyzed by using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boy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paternal depression appeared have a 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styles.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Second, for boy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Paternal depression appeared have a 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Third, in the case of girl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paternal depression appear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negative parenting style.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Fourth, in the case of girl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paternal depression appear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n in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negative parenting style.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 KCI등재후보

        ‘아버지 찾기’의 신화적 의미 분석 - 이승우 소설의 ‘아버지와 아들 관계’를 중심으로 -

        장순덕 ( Jang Soon Deok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4 No.-

        본고의 목적은 이승우 소설에서 ‘아버지와 아들 관계’에 나타난 갈등 양상에 주목하고, 이승우가 다루는 ‘아버지 찾기’ 모티프를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그 문학적 의미를 해명하는 데 있다. 작가는 아버지와 아들의 문제를 신과인간의 문제에 반영하여 메타포와 상징으로 그려내고 있다. 이와 같은 주제 분석에 앞서 소설의 인물들이 보이는 병리적 현상을 관찰하고, ‘앓는 자’의 자각과 남성의 내면에 활성화된 아니마 원형의 개념을 확인하였다. 이승우 소설에서 ‘부자의 갈등 관계’를 다루고 있는 대상 작품을 선정하여, 아버지를 기피하는 아들과 아버지를 찾아가는 아들의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부정적인 아버지상에 지배받아 아버지를 기피하는 아들을 다루는 작품은 「일식에 대하여」와 「터널」을 들 수 있다. 「일식에 대하여」의 아버지는 정신분열증자로 아들의 우울증과 두통의 원인이었다. 「터널」의 아버지는 방탕한 세월을 보낸 인물로, 아들은 아버지로 인한 울화 때문에 공황장애를 앓고 있다. 아버지와 아들이 대극적 관계에 놓이는 상황에서, 아들의 내면에 활성화된 아니마는 부자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화해하는 매개로 기여하였다. 아니마는 종교적 구원을 상징하는 여성성으로 앓는 자의 자각을 유도하며 존재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풍장-정남진행2」에 등장한 아들의 죽음의례는 리비도 변환을 유발하여 작품의 전환점을 보여주고 있다. 아버지를 찾아가는 아들의 변모는 『한낮의 시선』과 「칼」에서 볼 수 있다. 정신적 성숙에 도달한 아들이 찾는 아버지는 육화된 관념으로 노인의 이미지로 그려내고 있다. 분석심리학적 이해에서 노인의 이미지는 무의식의 신상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무의식의 대면에서 아니마의 활성화는 분열된 자아가 아버지(신상)와 합일을 지향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로써 ‘앓는 자’가 온전한 자기를 찾는 원리는, 신화적 상상력을 통해 ‘아버지찾기’가 인간의 신성(존엄성) 회복을 암시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This thesis focused on patterns of conflict seen in the Father-Son Relationships from Lee, Seung-woo``s Novels, reviewed Finding Father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and aimed at explaining its literary meanings. The Author in them depicts metaphors and symbols reflecting problems between father and son into those between god and human. Prior to such thematic analyses, pathological phenomena between characters were in-depth viewed and then the concept of the Anima Original vitalized within the moaning man``s perception and man``s inner side was identified. For its main discussion, other related novels by Lee, Seung-woo portraying father-son relationship conflicts were selected and then the divided aspects into the son avoiding father and another searching for father were analyzed. The chosen works that describe the son avoiding father under the control of the negative father image are About Eclipse and The Tunnel . The father in About Eclipse , a schizophrenic, is the cause of tristimania and headache. Another in The Tunnel having led a dissolute life has caused his son to suffer panic disorder arisen from his anger and resentment caused by father. Under the father-son``s opposite relationship, the vitalized anima within the son``s inside contributed as the mediacy to overcome their conflicts and effect a reconciliation. The anima as womanhood symbolizing the religious salvation, inducing the moaning``s perception, led to drawing change of existence. The son``s death ritual shown in Sky Burial: Toward Jeong-nam-jin Ⅱ , by effectuating the libidinal transformation, reveals the turning point in it. The son``s changed reflections searching for father are seen from 『Hannaje Siseon (Mid-day``s Gaze) 』and The Knife . The father being sought by the son in full maturity is portrayed as an old man image, the notion of carnification. From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the old man image was interpreted as an unconscious god image. It was observed that the anima``s vitalization in unconscious confrontation was aiming at the divided ego``s unity with father(the divine image). Thu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inciple that the moaning man finds his complete self indicates that finding father through mythological imagination is reflecting humans beings`` restoration of the god image(the divinity).

      • KCI등재

        자녀양육 과정에서 아버지들이 갖는 원가족 경험의 의미

        이경진,박영숙,김낙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양육 과정에서 아버지들이 갖는 원가족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영아부터 성인까지의 자녀가 있는 30-50대 아버지 9명을 목적 표집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Colaizzi(1978)가 사용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가족 아버지를 통해 아버지상을 정의하다’에서는 전형적인 아버지상의 전이, 새로운 아버지상의 추구로 나타났다. 둘째, ‘원가족 아버지의 모습을 그대로 닮아가다’에서는 유일한 아버지 모델의 굴레, 자녀양육을 위한 참고서로 나타났다. 셋째, ‘원가족 아버지라는 산을 넘어가다’에서는 아버지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내 안에 있는 아버지 깨닫기, 원가족으로부터 분리되어 아내와 하나 되기로 나타났다. 넷째, ‘원가족 아버지와의 관계를 다시 만들어가다’에서는 뒤늦게 깨달은 아버지의 사랑, 조금씩 풀려가는 아버지에 대한 원망, 자녀를 매개로 한 아버지와의 관계 회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다 긍정적인 자녀양육을 위해선, 아버지가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고찰하여 원가족과 관련된 그림자를 인식하고 원가족으로부터 분화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원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고 자신을 좀 더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original family experience of fathers in child rearing. For this reason, we collected nine fathers from 30 to 50 who have children from infants to adults and gathered materials through individual deep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1978)' method and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nd ten sub-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fining father's image through the original family father' showed 'a typical father's metastasis' and 'a new father's image pursuit'. Second, 'looks like the original family father' is 'bridle of the only father model' and 'a reference book for parenting'. Third, in 'crossing the mountain as the original family father', it appeared that 'observing the father objectively', 'realizing my father in me',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original family and becoming oneness with the wife'. Fourth, in 'making a new relationship with the original family father', 'the father's love realized late', 'the resentment of the father gradually loosened', and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through the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more positive parenting,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hadows related to the original family and to differentiate them from the original family by examining their own figure to solve the negative feelings about the original family and to understand themselves more suggesting that efforts are needed.

      • KCI등재

        아버지 역할이 나타난 TV광고 분석 연구

        손소영 ( So Young S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현대사회의 가족구조와 가족형태의 변화는 핵가족화 현상을 빠르게 진행시켜 왔으며, 가족구성원이 감소된 핵가족화는 부모와 자녀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여성들의 사회참여, 경제활동 증가에 따른 역할 변화는 아버지를 자녀양육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였고, 공동육아에 있어 아버지 역할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변화와 아버지들의 인식변화에 따른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는 대중매체인 TV광고를 통해 ‘아버지 역할’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2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총 3,478편의 광고 중, 분석 표집기준에 의해 분류된 총 56편을 ‘아버지 역할’ 광로로 선정해 분석하였다. TV광고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친구같은 아버지’가 46편, 82.1%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사랑과 애정을 표현하는 아버지’는 10편, 17.9%로 나타났다. ‘친구같은 아버지’를 세부 역할로 분류하면 ‘자녀와 놀아주는 아버지’, ‘자녀와 여행하는 아버지’, ‘자녀와 일상을 함께하는 아버지’ 로 나타나며, ‘사랑·애정 표현하는 아버지’는 ‘ 자녀에게 사랑을 전하는 아버지’, ‘자녀의 안전·보호를 위한 아버지’로 세부 역할이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권위적이고 엄격한 전통적 아버지상이 퇴조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며, 자녀에게는 ‘친구같은 아버지’, ‘프렌디형 아버지’가 가장 이상적인 아버지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러한 현상은 자녀발달에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며, 사회적 인식변화와 더불어 아버지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아버지와 관계가 기존의 수직적 관계에서, ‘친구같은 아버지’로 수평적 관계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아버지들도 자녀와의 정서적 유대관계를 중요시하며, 사랑표현도 적극적으로 자연스럽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hanges in familial structure and form in modern society have accelerated nuclearization in family system. The nuclearization in family system in which the number of family member is reduced has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o get closer. In addition, the role changes due to women`s social participation and increased economic activities have led fat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 nurturing and required them to play a role in joint nurturing.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how father rol appear in TV advertisement which is a mass media reflecting social tren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ociety and perceived father`s roles.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total 56 advertisements among 3,478 from January 2012 to May 2013 which were classified by inclusion criteria. Father`s roles which hav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TV advertisements are twofold: first, "father like a friend" image appeared most frequently (46, 82.1%); "father who expresses love and affection" image was next (10, 17.9%). To sub-classify "father like a friend" image, there are "father who plays with his children", "father who travels with his children", "father who spends times with his children in everyday life". To subclassify "father who expresses love and affection", there are "father who delivers love to his children" and "father who protects his children`s safe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uthoritative, strict and conventional father figure declines, and "friend-type father" is perceived as ideal type by children. This phenomenon may be partial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of father`s role is acknowledged in child development and the social expectation on father is elevated along with the change in social perception. In ad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with father changes from previous vertical relationship to horizontal relationship such as "friend-like". They also suggest that fathers also emphasize the emotional tie with their children and actively expresse their love for their children.

      •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동과 아버지 양육의 변화

        조윤경 한국융합인문학회 2014 한국융합인문학 Vol.2 No.1

        본 논문에서는 후기 근대라는 그늘 아래서 ‘돌봄 제공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을 사회적으로 유발하는 구조적인 변동을 분석했다. 신자유주의가 강화되는 가운데 단독생계 부양자 역할이 무너지고 여성들의 유급 노동 비율이 높아지며 가족의 이혼율 증가와 같이 가족 불안정성이 증가할수록 ‘돌보미’로서의 아버지 역할은 사회적으로 강조됐다. 또한 국가의 차원에서 ‘아버지 할당제’와 같은 ‘돌봄 제공자’로 아버지를 바라보는 복지제도가 마련되고 아버지 운동에서는 돌봄 제공자로서의 권리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구조적 변동을 배경으로 하여 아버지들은 놀이 및 교육자로서의 ‘돌보미’ 역할을 수행하며 자녀 돌봄 영역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감정 능력을 발달 시키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아버지들이 ‘돌보미’로서 변화하는 가운데 그들의 양육자로서의 역할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