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어 의정어에 나타나는 불안의 이미지

        장진영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3 일본언어문화 Vol.25 No.-

        In Japanese Gijyōgo, it contains much more negative images than positive ones,and human emotions most likely represent the state of anxiety. This study aimsto divide Japanese Gijyōgo into that of positive images and that of negative imagesand to consider the images of anxiety in terms of trace cognition and anticipatorycognition. In most cases, Japanese Gijyōgo contains anticipatory cognition, whichrepresents apprehension of something that has not happened yet. That is, a feelingof fear about what might happen in the future is implied in Gijyōgo. This phenomenonis observed distinctly in Gijyōgo which is accompanied by a change of image throughmeaning extension. When 「harahara(はらはら)」 is used to describe the waysomething light and thin keeps falling, it represents a positive image ; on the otherhand, when its meaning is extended to express the state of fretting and anticipatingdanger to come, it represents a negative image. This change of image is also presentin other Gijyōgo words which go through meaning extension, such as 「hatto(はっ(と))」 and 「hishito(ひし(と))」.

      • KCI등재

        일본어 공감각(共感覺) 오노마토피어의 의미확장과 명사 · 동사 공기제약

        장진영 대한일어일문학회 2014 일어일문학 Vol.64 No.-

        This paper has selected the tactile onomatopoeia as the object of study among other Japanese synesthetic onomatopoeic words, analyzing the aspects of meaning extension in the pairs with correspondence of seion·dakuon, and examining the frequency of their uses in various semantic domains. The study has found that even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the pairs with correspondence of seion·dakuon show similar meaning extension and correspondence in the case where they extend to specific senses such as hearing and sight. In the case where they extend to abstract concept like figurative expressions, however, even the pairs with correspondence of seion·dakuon don’t show any correspondence in meaning. In the instance of co-occurrence restriction of noun·verb in various semantic domains, tactile onomatopoeia is strongly restricted in co-occurrence with nouns such as “body” and “food” when it represents specific and concrete senses. On the contrary, when its meaning extends to abstract and figurative expressions, it is not under any particular restriction in co-occurrence of certain noun·verb.

      • KCI등재

        韓·日触覚オノマトペの意味拡張と名詞·動詞共起制約 - 「かたさ、湿り気、粘り気、痛み」の意味資質を持つ オノマトペを中心として -

        張鎭暎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7 일본언어문화 Vol.41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the tactile onomatopoeia with the meanings of 「hardness, moisture, viscosity, and pain」 is extended to those with the abstract meanings. It also compares and analyzes the co-occurrence of nouns and verbs with the onomatopoeia.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rough this study that when the meaning is extended from the concrete tactile sense of the human body to the abstract meaning of human psychology or of the external situation, the tactile onomatopoeia with the same meaning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is extended to those with the similar abstract meanings. Meanwhile, in the case of co-occurrence of nouns and verbs, the onomatopoeia is most frequently used with the nouns representing body and food, but it does not show as many co-occurrence restrictions with specific verbs as with nouns.

      • KCI등재

        학습영역별 온라인 일본어 강의 적합도 분석 -「어휘」「문법」「회화」「작문」영역을 중심으로-

        장진영 대한일어일문학회 2022 일어일문학 Vol.93 No.-

        본 연구는 K대학의 교양강좌인 생활일본어회화, 초급일본어(1), 초급일본어(2) 온라인 동영상 수업을 대상으로 어휘영역, 문법영역, 회화영역, 작문영역별 강의 적합도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휘영역과 문법영역에서는 초급일본어(1)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나고 있으나 회화영역과 작문영역의 경우 부정적인 평가가 나타나고 있으며 집단 간의 차이점도 나타나고 있지 않다. 한편 온라인 강의가 가지는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는 세 과목 모두 대다수의 학생들이 온라인 강의의 장점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반복 수강이 가능하다는 점, 본인이 편한 시간에 집중력 있게 자신만의 학습 속도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비해 단점은 즉각적인 피드백이 불가능하고 교수자 및 학생들 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한 점, 집중력 부족 등을 들고 있다. 또한 본인의 발음 및 회화에 대한 검증이 불가능하고 질의응답에 시간이 걸리는 점 등을 들고 있다. 앞으로의 강의는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강의 형태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강의에 적합한 학습영역과 오프라인 강의에 적합한 학습영역을 적절히 결합하여 수업을 구성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강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온라인 강의의 경우도 학생들과의 소통과 피드백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향에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유동해석을 통한 고속차량 오물수거 효율화 고찰

        장진영,김재문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2

        High-speed rail vehicles are generally maintained within a limited period between the end of operation and the next operation, including waste collection. The waste collection system for high-speed rail vehicles entails the centralized gathering of waste generated during operation into an internal tank. Subsequently, the accumulated waste is collected after the vehicle is stationed at the depot. The waste collection equipment within the current high-speed rail maintenance depot can experience increased operational time and issues, such as leaks due to aging and performance degradation from prolonged use. Accordingly, maintenance work on high-speed rail vehicles is influenced by the time required for waste collection tasks. Securing maintenance time by minimizing the duration of waste collection work is crucial for ensur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vehicle operations. The waste collection system generates a vacuum in the waste collection well and collects it by sucking it from the tank installed in the vehicle to the waste collection well. In this process, the effects of distance, pipe thickness, and vacuum pressur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fficiency. Therefore, to reduce the waste collection time, the efficiency must be verified under conditions appropriate for this environment. This paper considers the efficiency of high-speed vehicle waste collection through flow analysis of piping and vacuum.

      • KCI등재

        ChatGPT를 활용한 일본어 회화 주제 프롬프트 분석

        장진영 동아인문학회 2023 동아인문학 Vol.65 No.-

        본 연구는 일본어 회화 수업에서 ChatGPT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hatGPT를 활용하여 일본어 회화 수업의 글쓰기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회화문으로 그룹 회화 및 회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일본 문화에 대한 ChatGPT 검색 프롬프트 작성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① 유형1: 큰 주제에서 작은 주제로 단계형 질문 ② 유형2: 세부 주제 직접 질문 ③ 유형3: 다양한 주제 방사형 질문 ④ 유형4: 하나의 질문으로만 끝냄. 이 네 가지 유형 중 유형1을 이용한 검색자 수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어 회화문을 작성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ChatGPT에 대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습자 인식, 만족도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ChatGPT에 대한 사전 설문조사의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ChatGPT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었고 향후 사용 계획과 필요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답변을 하고 있었다. ChatGPT를 활용한 과제작성 후 실시한 사후 설문조사에서는 ChatGPT 활용 과제 만족도, 사용의 용이성, 수업 적용 등의 항목에서는 긍정적인 답변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ChatGPT로 검색한 자료의 전문성, 신뢰도 등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답변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외국어 회화 수업에서 ChatGPT를 활용한 수업모델을 제시하고 학습자 중심의 문제 해결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using ChatGPT in the Japanese conversation classes and to draw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Japanese language learning. Firstly, for this purpose, a group test and an individual test of selecting a topic and writing about it were conducted. There are 4 search types using prompts (asking process of learners using ChatGPT prompt) for Japanese culture. 1. Type 1 : Step-by-step questions from the big topic to the small topics. 2. Type 2 : Direct questions on the details of a topic. 3. Type 3 : Radial questions on the various topics. 4. Type 4: Only one question. Among the 4 types, the number of searchers using type 1 is the highest, which shows that it is also useful for writing Japanese conversational sentences. Secondly,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using ChatGPT to investigate the learner’s perception of it. The result of the pre-survey showed that the most of the learners had prior knowledge about it and they were positive about their future plan of using it and its educational needs. In the post survey conducted after the writing task using ChatGPT, th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tems of the satisfaction with ChatGPT based assignments, ease of use, and applications in teaching. However, there were negative responses in terms of expertise and reliability of the data searched using ChatGPT. Based on this study, there will be more studies in future to propose the class models for using ChatGPT in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classes and to explore ways to use it for learner centered problem sol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