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감각통합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연구

        박주연,박재국,김영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I(Sensory Integration) function with Performances of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according to sex, age, and type of disability of CDD(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correlation of them.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69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78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ged 5 to 7 years. In order to get information, I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speech-language treatment center, children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hospital and handicapped welfare center in Pusan and Ulsan and carried it out children’s par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were 1 percent of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ctical sensitivity, taste/smell sensitivity, auditory filtering, visual/auditory sensitivity, and total score according to age of children. And then, the result of comparison showed 5 percent of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ditory sensitivity and visual/auditory sensitivity with type of disability. Second, there were 5 percent of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alysis of performances of ADL according to age and type of disability with CDD. And according to their age, the more grew old, the more increased their abilities in all categories. But according to type of disability,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Third, The correlation of SI function and Performances of ADL with CDD showed that there were 0.1 percent of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7 categories, total score of SSP and 4 categories, total score of PEDI(self-care). That is to say, the lower SI function, the lower Performances of ADL and the higher SI function, the higher Performances of ADL. The conclusion was showed that when CDD get SI Treatment, teacher and therapist consider their age and type of disorder. Also, when CDD get training of ADL, teacher and therapist consider their sex, age and type of disorder. And I think that When CDD get training of ADL, if teacher and therapist consider the SI function of CDD, the ADL ability of CDD will improve.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감각통합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특성과 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중재 방법을 구안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과 울산지역 언어치료실 및 아동발달센터, 대학병원, 장애인복지관에 다니고 있는 만 5세에서 7세의 발달장애아동 부모(N-147)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발달장애아동은 감각통합기능이 전반적으로‘확연한 문제군’에 속하였으며, 하위 영역 중 특히 촉각 민감성, 맛/냄새 민감성, 청각여과하기, 시각/청각 민감성에서 연령이 향상되어짐에 따라 감각통합기능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애유형에 따라서는 하위 영역 중 청각여과하기와 시각/청각 민감성 영역에서 지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기능이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보다 다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의 전반적 일상생활활동은 4가지 영역(식사, 위생관리, 착탈의, 배변조절 및 화장실 사용) 모두 50~60%의 수행정도를 보임으로써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위 영역 중 식사하기와 배변조절 및 화장실 사용 영역이 위생관리 및 착탈의 영역보다 다소 수행능력이 좋았다. 한편 일상생활활동의 4가지 영역은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수행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장애유형 중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이 지적장애 아동보다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의 감각통합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은 감각통합기능이 높을수록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높고, 감각통합기능이 낮을수록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낮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조기에 감각통합훈련을 실시하되 각 장애가 나타내는 고유한 특성과 감각통합기능 특성을 반영하여 일상생활능력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훈련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겠다. 즉 청각과 시각 영역에서의 민감성을 보이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에게는 그러한 감각 자극을 조절한 감각통합활동이, 소근육에서의 문제를 많이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에게는 그러한 영역의 활동을 적용한 감각통합활동이 요구된다.

      • KCI등재

        뇌성마비아동의 대근육운동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병희,고주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의 장애 특성 및 임상양상, 대근육운동기능 분류체계에 따른 대근육운동발달 특성을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지원을 통한 효율적인 특수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서울ᆞ경기지역 종합병원 3곳, 복지관 1곳, 특수학교 2곳의 아동 391명 중 본 연구 목적과 부합한 뇌성마비아동 240명을 대상으로 대근육운동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아동의 연령대에 따른 대근육운동기능은 3 ~ 4세는 46.21, 5 ~ 7세는 50.95, 8 ~ 10세는55.70, 11 ~ 13세는 62.46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운동발달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은 54.47, 불수의운동형 54.82, 기타 마비유형(실조형, 저긴장증, 혼합형)이 33.68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 경직형과 불수의운동형 뇌성마비아동이 기타 마비유형보다 운동발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산아동은 108명(45%), 만석아동은 132명(55%)이었고, 조산아동의 대근육운동기능은 경증 79.88, 중등도 63.82, 중증 39.00로 나타났다. 넷째, 대근육운동기능 분류체계에 따른 대근육운동기능은 Ⅰ단계 82.76점, Ⅱ단계 68.74점, Ⅲ단계 59.85점, Ⅳ단계 48.87점, Ⅴ단계 29.19점으로 나타나 장애가 심할수록 운동발달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성마비아동은 중추신경계 기능부전으로 정상 운동발달 규칙이나 순서와는 상관없이 비정상적 움직임과 자세 변화가 나타남으로 이들의 운동발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장애 특성 및 정도에 따라 운동발달의 차이가 현저함으로 정확한 평가 후 각 아동에게 적합한 치료지원 등의 관련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효율적으로 특수교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 아동 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봉주(Bong Joo Lee),김선숙(Sun Suk Kim),김낭희(Nang Hee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1

        본 연구는 2009년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한국 아동들의 전반적인 발달 상태를 살펴보고, 그러한 발달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특성, 가족내 사회자본,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소득, 부모학력, 부모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개방성, 지역사회환경 및 사회적 지원이 아동발달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이 밝혀졌다. 특히 아동의 인지 및 언어발달에는 가구소득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심리사회발달에는 부모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개방성 등 가족과정(family-processes)과 관련된 가족내 사회자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신체적 건강 발달에 대해서는 특히 사회적 지원과 지역사회환경과 같은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 영향요인은 아동의 연령대에 따라 균등하게 나타나는 부분도 있는 반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도 있었다. 가구소득의 영향을 0-8세 아동의 인지발달과 9-18세 아동의 학업성취도에는 고르게 나타나는 반면, 심리사회발달에는 9-18세 시기 아동에게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모교육수준은 아동의 고른 영양섭취에 전 연령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효능감은 0-8세 어린시기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wellbeing of Korean children on three developmental areas: cognitive and language abilities, psychosocial capacity, and physical health.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family`s socioeconomic and social capital factors on children`s development. The national survey of children and youth data, which is based on a nationally represented sample of 6,923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was us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income affects children`s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Second, the level of family`s social capital such as parental efficacy and openness in communication between child and their parents is related to children`s psychosocial development. Lastly, social capital factors at the community level is related to children`s physical health development. The study also finds that the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children`s development varies across different age groups.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인영,이재신,차태현,유두한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20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8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충청 및 전라지역에서 발달장애아동의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소아장애 평가도구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부담감은 가족부담감 측정도구와 삶 의 질은 삶의 질 척도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의 삶의 질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발달장애아동의 대소변 조절과 위생관리는 부모의 부담감에 중요한 영향을 주 었으며, 발달장애아동의 위생관리, 화장실이용, 대소변조절은 부모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부모의 부담감 감소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해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에 대한 치료적 중재와 교육, 면담 프로그램이 작업치료사들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check the impact of the daily performance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par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Methods : 120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argeted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To measure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used evaluativ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and The burden of parents was measured by Family Burden Questionnaire and the quality of life by Beach Center Family Quality of Life Scal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impact of a child's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developmental disability on the par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Results :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a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urden of the parent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The hygiene and bowel & bladder contro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parent's burden, while hygiene, toileting, and bowel & bladder contro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arent's quality of life. Conclusion : It has been shown that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a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a major influence on par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therapeutic intervention, education and interview programs for daily lif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ed to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by occupational therapists.

      •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상관관계

        전주영(Jeon, JuYoung),조민경(Jo, MinKyoung),김해영(Kim, HaeYoung),이은혜(Lee, EunHye),김수경(Kim, SuKyou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전 및 충남 소재의 6~8세의 학령전기 아동들(일반아동 15명, 발달장애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시지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K-DTVP-Ⅱ)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손의 기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젭슨-테일러손 기능 검사(Jebsen & Taylor hand function test)를 사용하였다. 일반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우세손 기능, 전체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 사이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일반아동과 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반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우세손 기능은 각각 연령, 연령과 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했을 때도 시지각 발달은 연령과 기관, 우세손 기능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우세손) 사이에 상관성이 나타났다.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 사이에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 및 손 기능에 차이가 있다. 일반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일부 영역은 발달장애 아동보다 우세하다. 일반아동 및 전체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우세손)은 일반적 특성(연령, 기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의 시지각과 손기능의 발달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적절한 교육과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of typically developing and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From 20 October through 17 November in 2006, we visited 2 kindergartens, 2 elementary schools, 1 special school in Dae-jeon and Chung-nam.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childrens(15 typically developing and 15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6~8 years old).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K-DTVP Ⅱ) were employed for evaluation tool for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Jebson & Taylor hand function test were employed for evaluation tool for hand func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ubjects' performance on K-DTVP Ⅱ and Jebsen & Taylor hand function test. Visual perception and dominant hand of normal children on general charac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e identified significant difference that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dominant hand function of total children, but not in same general charact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dominant hand function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of total children.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of normal and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was different. Some parts of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better than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dominant hand) of normal and total children were different on some of general characters. Correlation of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dominant hand)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found out but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in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were not found out.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학령초기 아동의 발달 특성에 따른 유형 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이보람(Lee, Boram),박혜준(Park, Hye Jun),김수정(Kim, Soo jung),김부열(Kim, Booyuel),김태종(Kim, Tae Jo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18 人間發達硏究 Vol.25 No.3

        이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방과 후 돌봄의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에 주목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을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하고, 발달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석한 후에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를 포괄하는 환경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학령초기 아동과 주양육자 113쌍을 대상으로 발달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이항로지스틱분석을 적용하여 발달 유형을 분석하고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학령초기 아동의 발달수준은 전반적으로 정상분포에 속하나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내 발달 유형은 인지, 언어발달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사회정서 발달영역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은 ‘사회정서발달 부진’(43.6%)과 ‘사회정서발달 정상’(56.4%)의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발달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양육자의 우울수준이 낮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교우관계가 좋을수록, 주당 지역아동센터 이용시간이 길수록 ‘사회정서발달 정상’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단순히 돌봄 공백을 해소하는 것에 집중하기보다는 아동의 발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돌봄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 사회정서발달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체계 간의 연계와 협업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files of the cognitive, languag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2)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ses purposes, developmental tests a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113 pairs of children and caregivers.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sed for identifying distinct group and b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employed for finding the environmental predictors influencing developmental profi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child’s development showed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 and subgroup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underachievement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normal achievement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to be only in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depression level of the caregiver was lower, the followign effects were found: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children s greater ability to develop school friendship longer partronage of the other, and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normal achievement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including family, school, and community-to go beyond addressing the absence of care and also strengthen children’ developmental potential.

      • KCI등재

        아동 발달학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어 교재의 교수⋅학습 활동

        김미순 중국학연구회 2022 중국학연구 Vol.- No.101

        이 논문은 아동 발달의 관점에서 현행 아동 중국어 교재에 수록한 교수⋅학습 활동을 고찰하여 전인적인 아동 발달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 ‘아동’은 만 3-5세의 유아와 만 6-11세의 초등학생을 일컫는다. 이 시기는 신체, 언어, 인지 등의 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교육은 단순히 중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단계를 넘어 전인적인 아동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중국어 교재의 교수⋅학습 활동은 아동의 연령대에 따른 발달 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중국어 교육에 적용하여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우선 언어 발달, 신체 및 운동 발달, 인지 발달로 나누어 아동의 발달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현행 아동 중국어 교재의 교수⋅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활동의 설계나 진행 방식에 있어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 중국어 교재는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수록하였으며 아동의 언어 발달, 신체 및 운동 발달의 특성에 대체로 부합하고, 발달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인지 발달 측면에는 아쉬움이 있다. 피아제의 인지 단계 중 감각운동기에 발달하는 상징적 사고 능력, 전조작기에 발달하는 도덕적 실재론에 도움이 되는 교수⋅학습 활동은 일부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외에 전조작기와 구체적 조작기의 인지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아동의 발달 양상을 파악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설계한다면 중국어 교육을 통해 전인적인 아동 발달을 순조롭게 이루는 데 도움이 되어 아동에게 가장 적합한 교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3세 아동의 가정환경 자극과 발달 수준이7세 아동의 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곽금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at 3 years of age on intelligence development at 7 years. The participants were 143 mother-child dyads whose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were measured using the mothers' reports when the children were 3 years old. At 7 years, the children’s intelligence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as well 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development and intelligence, and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intelligence. Educational stimuli, acceptance, and linguistic stimuli from the home environment demonstr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elligenc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telligence and each of the following: fine-motor, linguistic,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home environment at 3 years had a small influence on intelligence at 7 years, and home environment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chil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stage of development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intelligence at the age of 7. This study suggests that home environments and the developmental level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ffect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in middle childhoo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초기 가정환경 자극과 아동의 발달 수준이 7세 지능 발달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143명의 아동과 아동의 어머니 쌍들이다. 아동이 만 3세 때 가정환경 자극과 아동발달을 어머니 보고를 통해 측정하였고, 4년 후인, 만 7세 경, 한국웩슬러III 아동지능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지능을 측정하였다. 3세 가정환경, 아동 발달, 그리고 7세 지능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3세 가정환경과 아동발달은 매우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아동발달과 지능, 그리고 가정환경과 지능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가정환경 자극의 하위영역 중, 학습적 자극, 온정적 반응성, 언어적 자극 등이 지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동발달의 하위영역 중, 소근육 발달, 언어 발달, 인지 발달 등이 지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각 변인 간 직․간접적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한 결과, 3세 가정환경자극은 근소하게 7세 지능에 영향을 주면서, 아동발달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능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3세 가정환경 자극은 아동발달에 그리고 아동발달은 7세 지능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현 연구를 통해 아동 초기 가정환경 자극과 아동 발달 수준이 아동 중기 지능발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아동기 문해력 발달 격차에 대한 문제해결적 접근

        엄훈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0

        This study diagnoses childhood literacy development gap in Korea and probes problem-solving solutions to it in the school system. The concept of childhood literacy has appeared in the trend of approach to literacy development in the viewpoint of sociocultural development of human. Childhood literacy encompasses early childhood,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t literacy, covering from the birth to the 12th grade in Korean education system. Early childhood literacy has shown big development gap in the early age of school entrance and it becomes bigger in the course of schooling. The development gap of early childhood literacy continues into middle childhood and so on into adolescent literacy increasingly. The problem-solving point of development gap of childhood literacy is early intervention which discontinues the chain of Matthew effect at the starting point. The key of the early intervention is to support children to stand at the same starting point of literacy development especially at the age of 1st grade. It realizes in two tracks, by classroom teaching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The latter gives short term intensive course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to the lowest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so as to catch up classroom average level. The essential prerequisite of the successful individualized instruction is the trained professional teachers. 이 연구는 아동기 문해력의 발달 격차 문제를 진단하고 한국 공교육의 테두리 안에서 문제해결의 방안을 모색한다. 먼저 연구의 출발점이 되는 아동기 문해력의 개념을 탐구한다. 아동기 문해력은 최근 문해력 발달을 인간의 사회문화적 발달을 중심으로 규정하려는 학계의 주류적 흐름에 따라 등장한 개념으로 초기 아동기 문해력, 중기 아동기 문해력, 그리고 청소년 문해력을 아우른다. 한국의 학제를 기준으로 볼 때 아동기 문해력은 출생 직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문해력 발달 양상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초기 문해력이라 불리는 초기 아동기 문해력은 학교에 들어올 무렵 이미 심각한 발달 격차를 보이며, 학교생활의 시작과 함께 그 발달 격차가 심화되고 증폭된다. 초기 아동기 문해력의 발달 격차는 중기 아동기 문해력의 발달 격차로, 그리고 청소년 문해력의 발달 격차로까지 이어진다. 아동기 문해력 발달 격차에 대한 문제해결의 포인트는 문제의 출발점에서 매튜 이펙트의 고리를 끊는 초기 문해력 조기 개입 정책이다. 초기 문해력 조기 개입의 핵심은 초등학교 저학년, 특히 1학년 아동들이 문해력 발달의 측면에서 동일한 출발점에 설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교실 수업과 개별화 수업이라는 두 개의 트랙으로 구현될 수 있다. 후자는 교실 수업이 효과가 없는 문해력 발달 최저 수준의 아동들에게 단기의 집중적인 개별화 수업을 하여 평균 수준을 따라잡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초기 문해력 교육 전문성을 갖추고 개별화 수업을 전담할 수 있는 전문 교사가 양성되고 배치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입양아동의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Ⅱ1) -1차년도 자료의 사회성발달과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최운선,변미희,권지성,안재진 한국아동권리학회 2008 아동과 권리 Vol.12 No.4

        This study analyzed the part of the first-year survey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adopted children, which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next twenty yea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evelopmental levels of Korean adopted children in the areas of sociality and problem behavior through the standardized scales and, futhermore, to examine their differences by their personal and family structure characteristics. The sampling of this study was made from the members of MPAK (Mission to Promote Adoption in Korea)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cluding Incheon), Chungcheong-do (including Daejeon), Jeolla-do (including Gwangju) and Gyeonggsang-do (including Daegu). Quota sampling was used based on the age distribution of adopted children. A total of 124 children were included in the sample of the study except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ity level of adopted children mostly appeared to be normal and only 1.6% of the children belonged to the clinical range of the scale. Second, the behavioral problem level of the adopted childr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norm group of the scale. Third, when the differences among adopted children were examined by their personal and family structure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ir level of sociality by the existence of a birth child within the household and the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 higher economic status and the existence of a birth child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ociality level of adopted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adopted children were affected by their current age and age at adoption. Older children and children who were adopted at an older age showed more negative outcome in the area of problem behavior. 본 연구는 국내 입양아동들 대상으로 한 종단연구의 제1차년도 자료를 횡단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입양아동의 사회성발달과 문제행동 수준을 표준화된 척도를 통해 파악하고, 더 나아가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요인들을 중심으로, 입양아동들 내에서 사회성발달 및 문제행동 수준의 차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입양홍보회(MPAK) 회원가정을 대상으로 서울·경인지역, 충청남북도 및 대전지역, 전라남북도 및 광주지역, 경상남북도 및 대구지역으로 나누어 연령대별 할당표집을 실시하였으며, 장애아동을 제외한 총 88가정, 124명의 입양아동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개입양아동의 사회성은 표준화된 척도에서 대부분 정상발달 수준이며(1.6%만 임상집단), 문제행동 영역에서도 척도의 규준집단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성발달의 경우, 입양가정의 친자유무, 경제적 수준에 따라, 그리고 문제행동은 입양아동의 연령, 입양 당시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친자가 없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가정의 아동이 사회성발달 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7세 이상 아동과 영아기에 입양된 아동들이 더 낮은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