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인기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4
‘독서문화’는 독서 현상을 만들어내는 일정한 연속적 범주들(저술, 출판, 읽기 행위, 독서 소통, 텍스트의 전이, 텍스트의 정전화, 텍스트의 이데올로기화 등)에 걸쳐서 나타나는 사회 일반의 공유된 의식과 가치 체계를 말한다. 독서문화는 보이는 차원과 보이지 아니하는 차원이 있다. 독서와 관련한 제도, 규범적 가치, 현 교육과정 내용 등이 보이는 독서문화의 요소라면, 의식(意識), 전복적(顚覆的) 가치, 디지털 매체 공간, 영(零)교육과정 등은 보이지 않는 독서문화의 요소이다. 문화연구가 인문학 연구의 실천 중심으로 등장하면서 비평도 변화되었고, 비평이 독서문화에 주는 영향도 달라졌다. 비문학 텍스트에 대한독서 수요가 늘고, 독서가 일상 속에서 더 널리 소비되는 경향을 보이며,디지털 콘텐츠와 독서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비평은독서에 영향을 미쳤다. 독서 행위에 전문성을 강화해 주고, 텍스트 중심의 절대성을 추구하며, 비평가는 일반 독자와 문화적 도제 관계를 가졌다. 그러나 탈근대의 상황에서는 독서에 대한 비평의 역할이 달라졌다. 지식의 융합과 전이를 돕는 역할을 하고, 독자에게 상호텍스트성의 공간을 열어주는 역할을 하며, 비평가는 독자와 대화적 교섭 관계를 가지게되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독서문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업이 놓여 있다. 첫째는 독서문화공간에서의 문화적 헤게모니를 밝히는 연구와비평이 필요하다. 둘째는 독서와 매체의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상호보완적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 셋째는 사회와 교육에서 독서가 소외되어있는 것을 개선해야 한다. 넷째는 독서문화를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각종 독서 지표를 개발하고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는여러 심급의 독서 공동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독서문화와 비평이 바람직한 상호성을 가지고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몇 가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는 독서 전문성에 의거한 독서 비평을제도화하는 일이다. 둘째는 서평 분야에 메타 비평의 등장이 필요하다. 셋째는 비평과 독자와의 관계 모델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 넷째는 독서문화 인프라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는 독서 가치를 내면화하는 사회문화적 이슈를 우리 사회가 지속적으로 공유해야 한다. 끝으로 학교 독서는 장르 독서를 넘어서 주제 독서를지향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Reading culture’ refers to the society’s general shared awareness and value system manifested in the consistent and continuous categories(literary works, publishing, reading activities, communicative reading,the textual change, textual canonization, and etc.) In reading culture, there is a visible and an invisible level. While the regulations related to reading, normative values, the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could be considered as the 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cludes consciousness for reading, resistive values in reading, digital media space, and null curriculum related reading and etc. When the cultural studies have appeared as the practice-centered humanities research, criticism has changed, and the effects of criticism on the reading culture diverged as well. As the reading demand for non-literary texts is increasing while the reading tends to be consumed more widely in our daily lives, the barrier between digital content and reading is collapsing. Traditionally criticism has affected reading. It has strengthened the expertise of the reading activities, seeks the text-centered absoluteness and have apprentice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readers. However, in the Post-modern era, the role of criticism has been transformed. The literary criticism functions in helping the merge and transfer of knowledge, opens the mutual contextual space to the readers and builds the communicative overtures between the critics and the readers. Currently in order to develop the reading culture in Korea, it faces a few questions. First, the researches examine the cultural hegemony in the reading cultural space and the reading criticism would be requir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mediums must be changed in the future-oriented and complementary direction. Third,how reading has been isolated from the society and education would have to be improved. Fourth,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to diagnose and seek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various reading standards must be developed and utilized. Firth, the reading community of various incidences has to be specifically formed.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and criticism to develop with desirable reciprocity, a number of efforts would be needed. First the reading criticism based on reading expertise must be institutionalized. Second,the field of book review and meta-criticism are necessary. Third, the relation model between the criticism and the readers must be newly established. Fourth, the policies and institutions on a national level regarding the reading culture infrastructure must be prepared. Firth,the social issues internalizing the values of reading should be consistently shared by our society. Lastly, the reading in school would have to surpass the genre of reading, seeking the thesis-centered reading.
김수경,유정림,유순애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독서프로그램의 적용과정을 탐구하여 초등 고학년 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을 적용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것이 모델이 되어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다양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중지능 독서프로그램이 널리 적용되어 참여자의 강점 지능은 더욱 개발하고 약점 지능은 보완되어 누구나 자기주도적인 독서 습관을 형성하고 즐거운 독서생활과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독서와 독서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사서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이보라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교육을 담당하는 사서 및 학부모와 독서교육을 받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와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독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학생 118명, 학부모 57명, 사서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독서와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책을 읽는 즐거움’을 본질로 하는 독서교육을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바람직한 독서 정보 제공과 독서교육은 도서관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셋째, 독서전문 가인 사서를 위한 계속적, 단계별, 수준별 연수가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제중심 통합교과와 연계한 독서지도 방안 연구: 어휘력과 학습태도 효과를 중심으로
주혜경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2
본 연구는 주제중심 통합교과와 연계한 독서지도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어휘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책 읽어주기와 KWL을 적용한 주제중심 통합교과 독서교육의 효과와 그 가능성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주제중심 통합교과 연계 독서지도를 위한 수업모형 및 주제 관련 문헌 탐색 및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독서지도 교수?학습안을 작성하여 이를 실험집단인 초등학교 2학년 학급에 적용하고, 자유독서를 통제집단인 2학년 학급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주제중심 통합교과 연계 독서지도가 학생들의 어휘력과 학습태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주제중심 통합교과 연계 독서지도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학생들의 통합교과와 관련된 지식이나 흥미를 높여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연구
황금숙(Gum-Sook Hoang),김수경(Soo Kyoung Kim),김미선(Mi Sun Kim),이수영(Soo Young Lee)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4 No.1
2016년부터 전면 실시되는 자유학기제를 위해 도서관은 시설 및 장서, 인력, 서비스를 활용하여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맞도록 학생들에게 독서문화 활동을 통한 창의적이고 자율 학습의 기반이 되는 메타 인지능력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기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을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과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시범 운영을 통해 사전/사후 효과성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서는 모든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는 진로지식을 제외하고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vernment introduced a free semester in 2013, current targets middle as a core policy for nurturing creative talent, the year 2016 has been carried out in front of all middle school.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library-based career reading program for free semester. In this study, It arrived at a conclusion to b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preliminary/post inspection about career reading program.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초등학생의 독서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아영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1
독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요즘 학생들의 독서 행태를 살펴보면 지나치게 양적인 독서에 치중되어 있다. 다독과 속독에 치우친 잘못된 독서습관에 길들여진 초등학생들이 양적인 독서에서 벗어나 한권의 책이라도 제대로 읽는 것에 초점을 두는 독서지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방안으로 인문고전 중심의 독서교육을 제시하여,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아동의 독서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수준별 독서자료 중심 독서지도 효과에 관한 연구:독서태도 측면에서
김명희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2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인 독서태도 양상을 보이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 을 갖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수준별 독서자료 중심의 독서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독서태도 변화를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개개인의 독서력 및 독서발달 특징을 고려한 독서자료가 제공되었을 때 보다 나은 독서태도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독서태도 변화는 여가 영역보다는 학습 영역에서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 주었다. 이 같은 결과는 청소년 초기의 학생들에게는 독서를 개인적인 취미로 권장하기보다는 지식, 정보 확장 등에 따른 성취감을 위한 독서지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학생 자율 독서클럽이 독서실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책톡! 독서클럽 활동을 중심으로
김명희(Myung-Hee Kim)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4 No.1
이 연구는 학생 독서클럽이 10대 학생들의 독서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문화재단 씨앗에서 운영하는 책톡!900 독서클럽에 참여한 학생 882명과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면담,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학생들은 친구들과 함께 하는 독서에 대한 참여도와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또한, 참여 교사들은 친구들과 함께하는 독서 실행이 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었다고 보았다. 전반적으로 독서클럽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독서 실행 효과는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tudent reading clubs on teenage students reading action. To accomplish this study, this study collected its data through survey, interview and observations with 882 students and 122 teacher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ent’s book club by Book Culture Foundation Seeart. This result brings up that Participating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in reading with their friends. Also, Participating teachers found that reading activities with friends helped students to develop their reading attitudes and reading habits. Overall, students evaluations of book club activities are very positive.
정옥년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3 No.1
이 논문은 미국에서의 독서교육 전문가 활동의 역사와 역할 범주, 독서교육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자질과 자격요건, 독서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예를 살펴본 것이다. 미국의 독서교육 전문가 양성 현황은 국가나 전문 학회보다는 민간 사설 기관에서 독서교육 지도자들을 양성하고 있는 국내 상황과는 좋은 대비가 된다. 무엇보다 독서교육을 하는 사람들을 교사 혹은 교육자의 범주로 보고 이에 걸맞는 자질과 역할, 그리고 윤리의식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미경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2
이 연구는 현대적 활용의 방안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전통적 독서방법과 전통적으로 지양하는 독서방법 을 조사하였으며, 전통적 독서방법 중 특징적 독서방법을 상호 비교 분석하고 전통적 독서방법과 현대적 독서방법과의 비교 분석 또한 진행하였다. 전통적 독서는 치학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대적 독서는 교양과 오락을 기본으로 문제해결 및 정보습득 그리고 더 나아가 독서치료와 같은 다양하고 의미있는 방향으로 실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가 오늘날 독서와 독서교육 및 독서문화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