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복합적 신체 이미지와 사회적 지원

        김영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1

        The study aims at mapping out social service programs through women performed the surgery to remove their breast cancer by examin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grasping their needs for social support. Post-mastectomy women cannot help experiencing loss of their feminity and physical pains. Not only that, but they should face recognition of death, social gaze and so on. These various experiences caused by their physical change are inevitably reflected in their body image. It, therefore, can be said that their body im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recognition of their own body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ir actual lives. The changes which women might experience after surgery have usually negative influence on their lives. Researches on women's breast cancer have been made focusing on the one-dimensional body image, that is, loss of their feminity after their breast cancer surgery. Recent researches on the same subject, however, trend to handle various aspects of their body image. The study also inquires their body image and needs for social support,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etc. through women performed their breast cancer surger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ir breast cancer surgery women think of physical suffering and possibility and fear of death. The thing tha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medical care is their psychological comfort. And it is then necessary that they get disease-related information or knowledge. Second, six sub-elements of body image such as body stigma, arm concern, body concerns, vulnerability, limitation, and transparency show negative image by high degree of above the average. The element which affects the body image most is the method of surgery. Third, the body image gives more accurate explanations for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an other ele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suggests the necessary policy of social support for women who undergo mastectom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as 'Look good and feel better', 'Information about what to expect and about symptom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 for the existential body, 'Active listening to fears and concerns and providing assistance as needed' according to complexity of body image.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를 통하여 삶의 질을 알아보고 이들이 생각하는 사회적 지원에 대한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유방암 수술을 한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은 몸의 변화를 통해 여성성 상실뿐만 아니라 신체적 고통, 죽음에 대한 인식, 그리고 사회적 시선 등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 신체 이미지로 투영된다. 따라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는 자신의 몸에 대한 인식만이 아니라 실제 삶의 질과 밀접히 연결되며, 수술 후 경험하는 이러한 변화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유방암에 대한 연구는 유방암 수술을 받은 여성들의 신체 이미지를 여성성 상실이라는 단일한 차원에서 논의하기보다는 다차원적인 면에서 고찰대상으로 삼는다.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 이미지, 사회적 지원 욕구, 삶의 질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아가 연구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유방암 수술 후에는 신체적 고통과 죽음에 대한 가능성 및 두려움을 생각하며, 치료과정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심리적 위안을 들고, 그 다음으로 질병과 관련된 정보, 지식제공을 꼽았다. 둘째, 신체 이미지의 하위영역인 신체의 불완전성(Boby Stigma), 팔의 장애(Arm Concern), 신체에 대한 관심(Body Concerns), 신체의 취약성(Vulnerability), 신체활동 제약(Limitations), 타인의 시선 인식(Transparency) 등 6개 영역에서 평균을 훨씬 웃도는 높은 정도의 부적 이미지를 보였으며, 신체 이미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수술방법으로 나타났다. 셋째, 몸의 이미지는 다른 변인에 비해 삶의 질에 더 큰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외형보정, 신체적 심리적 고통과 관련된 정보 및 지식, 정신적 지원 등 복합적 신체 이미지에 따른 사회적 서비스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 운동참가와 신체 이미지 인식의 관계

        하미향(Ha Mi-Hyang),윤혜선(Yoon Hye-Sun),김병준(Kim Byoung-Jun)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1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3 No.-

        신체 이미지란 자신의 신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의미한다. 신체 이미지는 신체적 자기존중감과 총체적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지며 과거에 비해 현대에 와서 신체 이미지를 강조하는 경향은 점점 강해지고 있다. 신체 이미지에 대한 불만족은 사회적 신체 불안과도 관계가 높다. 사회적 신체불안이 높은 여성은 체중조절, 몸매, 신체적 매력의 이유로 운동에 참가하는 경향이 높다. 또 운동은 사회적 신체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운동으로 체력이 향상되고 체성분에 변화가 오는 것을 그 이유로 볼 수 있다. 운동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신체 이미지 만족도가 높고, 운동은 이러한 개인의 신체능력을 증진시킴으로서 신체지각에 긍정적 변화를 일으켜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 시킨다. 운동은 신체 이미지를 중시하는 여성, 비만인, 노인, 장애인, 부상회복 환자 등 신체 이미지가 손상된 사람에게 특히 관심이 가는 대목임에 분명하다. 개인 운동 프로그램 흑은 비만인 사람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과 같은 특수한 운동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사회적 신체 불안으로 인한 운동의 중도포기가 최소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체중조절과 균형 잡힌 식사태도에 대한 올바른 정보 및 지식들을 통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책을 제도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Body image means to be aware of own body. Various research is announced, body image is important factor that affect physical self-esteem and overall self-esteem and in the modem times, there is tendency to emphasize that body image is becoming increasingly stronger than the past. Dissatisfaction of body image is highly related to social physique anxiety. Women with high social physique anxiety tend to highly participate in sports with reason of control their body weight, body, body attraction. And exercise is effective in reducing social body anxiety. Exercise participant is highly body image satisfaction than exercise nonparticipation person, promotion of the body's ability with exercise improves psychological euphoria by physical perception positive change. Exercise is sure of a interesting part especially for body image damaged person who are women to value body image, obese, elderly, disabled, injury recovery patient. Providing personal exercise program or giving special exercise environment such as special program for obese can minimize to give up halfway through exercise by social physique anxiety. Therefore, there is need for establishment institutional measure through provision education about the right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advisable weight control and attitude of balanced diet.

      • KCI등재후보

        남ㆍ녀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 완벽주의, 강박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양경미(Kyoung Mi Y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3 스트레스硏究 Vol.21 No.1

        본 연구는 남ㆍ녀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신체 이미지 불만족, 신체 이미지 중요성), 다차원적 완벽주의(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강박증 및 우울의 차이를 규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ㆍ녀 대학생 593명(남자 대학생 311명, 여자 대학생 282명)을 성별에 따라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와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신체 이미지, 다차원적 완벽주의, 강박증 및 우울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제반 변수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신체 이미지 불만족에 대한 전체 평균을 측정한 결과 남학생 2.86점, 여학생 3.45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신체 이미지에 대한 불만족이 더 높았다. 남학생은 복부, 근육지수, 가슴 순으로 신체 이미지 불만족이 높았고, 여학생은 허벅지, 복부, 엉덩이 순으로 신체 이미지에 대한 불만족이 높았다. 남학생의 경우 우울은 신체 이미지 불만족과 강박증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차원적 완벽주의,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학생의 경우 우울은 신체 이미지 불만족,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강박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자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요인은 신체 이미지 불만족과 강박증으로 나타났으며 18.0%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여자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요인은 전공, 신체 이미지 불만족,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강박증으로 23.2%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남ㆍ녀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 불만족, 완벽주의, 강박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신체 이미지 불만족과 강박증을 완화 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하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correlation of body image, obsessive compulsion, and perfectionism with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A convenience sample consisting of 593 (311 male, 282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cruited from four universities was established. The SPSS Win20.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In the male subject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 dissatisfaction (r=.210, p=.000) and obsessive compulsion (r=.326, p=.000),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oriented perfectionism (r=?.202, p=.000). The main factors that were found to contribute to depression were body image dissatisfaction (β=.215, p=.000) and obsessive compulsion (B=.338, p=.000). In the female subject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 dissatisfaction (r=.311, p=.000),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r=.283, p=.000),and obsessive compulsion (r=.372, p=.000). The main factors that were found to contribute to depression were Major (β=?.113, p=.038), body image dissatisfaction (β= .239, p=.000),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β=.127, p=.028), and obsessive compulsion (β=.328, p=.000).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body image dissatisfaction and obsessive compulsion contribute most to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n decreasing obsessive behavior should be provided to such student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비교연구

        이윤정,이정임,유희,정재은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이 우리나라 사회와 학교에 적응할 때 도움을 주고 의생활 속에서 아동의 정체감과 가치관의 혼란을 줄이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를 확인하고 비교하였으며,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간 상관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169명과 일반아동 245명이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아동은 저학년 여아가 고학년 여아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경우 여아와 남아 모두 학년별 신체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신체부위가 있지만, 일반아동의 경우에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달리 학년별 신체이미지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개인자아존중감, 학교자아존중감에서 다문화가정 저학년 여아가 일반가정 여아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냈다. 저학년의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신체만족도가 높은 신체 부위들이 다수 확인되었지만, 고학년의 경우에는 남아의 체형에 대한 신체만족도를 제외하고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 간 신체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저학년 여아와 남아, 고학년 남아의 경우는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의 상관이 다문화가정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고학년 여아의 경우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 차이를 성별, 학년별로 확인하였으며,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 상관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문화가정 고학년 여아에서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에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므로 신체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여 지며, 다문화가정 남아는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에 낮은 상관이 있으므로 다문화가정 남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sisting multicultural children and homogeneous children in adapting to Korean society and school life, and providing basic references in reducing children's confusion in their identity and value.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self-esteem and body-image of multicultural and homogeneous children are identified and compared, and correlation between body-image and self-esteem is identified. The research subjects are 169 multicultural children and 245 homogeneous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In case of multicultural children, boys had higher self-esteem than girls, and in case of homogeneous children, lower-grade girls had higher self-esteem than upper grade girls. Additionally,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boys and girl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on the appearance of particular body parts. On the contrary, homogeneous children demonstrated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image. Comparing level of self-esteem and body-image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homogeneous children, lower grade girls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from Korean family regarding aggregate, personal and school self-esteem. In case of lower grade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showed greater satisfaction to their physical appearance, however, regarding upper grade childre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physical appearance showed except for body shape of male children. Higher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ody-image is shown among lower grade male and female homogeneous children and upper grade boys. However, higher correlation was shown among upper grade female multicultural children. This study identifies on all grade levels and gender, the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children and homogeneous children on self-esteem and body-image, and also the study confirms the existence of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ody-image. In particular, 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ody-image is demonstrated among upper grade female multicultural children, one could note that self-esteem may be promoted using body-image. However, male multicultural children of all grade levels showed weak correlation, thus further research on the elements, which influence their self-esteem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 분석

        이혜진,이유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edagogic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at can form body image which organize self-concept of adolescents positivel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ggested a body image formation model of adolescents that can be appli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based on this formation model, analyzed contents on body image of current 12 textbook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extbook through body image formation model of adolescents, educational contents about body image were categorized into 4 constructs with 8 sub-categories. Second, we found the current textbooks about the child and family life field, food and dietary life field, and clothing life, are handling topics regarding body image formation model of adolescents, such as concepts and components of body image and antecedents and outcomes of body image. We conclude that although the current textbooks handles contents on body image of adolescents, those contents are sporadically presented across the three fields without an integrated perspective. Home Economics, as an entity of educating adolescents’ self-esteem through daily life activities, needs to have a topic-oriented approach in developing a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구성하는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가정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마련하고, 형성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통해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하여 신체이미지 교육 내용을 신체이미지의 개념과 구성요소, 신체이미지와 자아개념 형성, 신체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관리행동 등 4가지로 범주화하였고, 이를 다시 신체이미지의 정의, 신체이미지의 구성요소, 자아존중감 형성, 자아개념 형성, 이상적 기준, 사회・문화적 요인, 합리적 신체관리행동, 신체관리 문제행동 등 8가지로 세분화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의 범주화 및 세분화 항목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 의생활, 아동・가족생활 세 영역 모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영역 및 개별 교과서에 따라 신체이미지의 부분적 개념만을 제시하거나, 한 영역에서만 제시하였기 때문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인한 개인의 신체 인지 및 행동 양상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총체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의 통합적 내용 구성과 함께 교과서 내용의 균형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현대시의 동물 재현에 나타난 신체 이미지 연구 - 최승호,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

        장은영 ( Jang Eun-yo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0

        20세기 후반 동물해방론과 동물 권리론이 대두된 이후 동물에 대한 인식과 동물의 지위는 꾸준히 변화해 왔다. 동물을 도구나 수단으로 전락시킨 인간중심주의가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생명권을 지닌 동물이 고통 받거나 학대당하지 않을 권리를 지닌다는 동물권이 확산되어 왔다. 동물에 대한 인식의 전환은 문학 전반에서도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 현대시에서는 기존의 동물 표상을 벗어나 타자로서의 동물을 포착하려는 미학적 전략이 시도되고 있다. 이 논문은 2010년대 이후 현대시에서 나타나는 동물 재현의 신체 이미지와 미학적 전략을 논의하고자 했다. 최승호는 『아메바』에서 과거에 쓴 시의 한 부분을 분리하여 한 편의 시가 지닌 유기적 이미지를 해체하는 이미지의 이접을 시도한다. 이접된 이미지는 새로운 이미지를 파생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고, 새로 생성된 파생적 이미지들은 한 편의 시에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이미지의 연접이 이루어진다. 동물과 관련된 이미지의 이접과 연접이 가져오는 효과는 동물을 기존의 표상이나 의미망에서 벗어나게 하고 유동적으로 변이하는 신체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최승호의 시에서 동물의 신체는 변이의 역량을 지닌 이미지로 표현된다. 이에 비해 여성의 신체와 동물의 신체에 가해진 폭력을 고발함으로써 하위주체를 억압하는 보편적 인간 주체에 저항하는 김혜순의 『피어라 돼지』는 들뢰즈, 가타리의 ‘동물 되기’와 유사한 미학적 전략 ‘-하기’를 수행하며 정동적 신체를 표현한다. ‘-하기’의 수행은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해체함으로써 사이의 존재가 되는 새로운 존재 방식을 보여주는데, 이는 하위주체로서 타자화된 여성과 동물의 신체를 구원/해방시키는 미학적 전략이라 할 수 있다. ‘-하기’의 수행은 젠더와 인간중심주의의 위계를 동시에 해체하고 탈인간적, 비인칭적인 신체의 자율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모방으로서의 재현을 넘어서는 비재현 미학을 지향한다. 최승호와 김혜순의 텍스트가 보여주듯이 2010년대 이후 현대시가 동물을 매개로 상상하는 것은 상호 접속과 관계망 속에서 유동하고 변이하며 다른 것으로 이행하는 자율적인 신체이다. 이미지와 이접과 연접을 통해 신체의 역량과 가능성이 확장되고, ‘-하기’ 수행이 다른 신체로 이행하는 신체의 자율성을 확보하게 하였듯이, 현대시에 나타난 동물의 신체 이미지는 세계(지구)를 공유하는 타자(동물)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아를 초월하는 횡단적 존재로서 신체가 지닌 역량을 시사한다. Animal discourse is drawing attention not only in the social arena but also in the humanities arena.Animal rights have also emerged as a major topic of conversation in literature. This paper studies discuss the aesthetic strategies of animal reproduction in modern poetry. After modern literature, animals received attention in Korean poetry when environmental literature and ecological literature discourse were spreading. Against the backdrop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at has been underway since 1960, a work that has prepared for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modern civilization that indiscriminately damages nature and the vitality of nature has emerged. In the 1980s and 1990s, environmental literature and ecological literature began in earnest. Environmental literature criticized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caused by modern times and revealed that human survival is threatened. Likewise Ecological literature critically raised the violence of humans and civilizations against animals, viewing them as living objects. However, they failed to capture animals as the other in that they are perceived as reproducible or as abstract objects of life. In comparison, since the 2010s, animals have emerged in modern poetry as fragmented or divisive images, not as backgrounds or objects. The sense of a poetic subject facing animals as the other breaks up the lyric of sameness and demonstrates a strategy of reproducing inhomogeneity and impersonality by moving forward from subjective emotions to affect. Choi Seung-ho's poems sensibly captured animals outside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by showing images of bodies mutating through the form of connecting and connecting poetic images. The body of an animal in his poem was an unreplicable object that could not be defined as a fluid body, and it was expressed through multiple fragmented images. On the other hand, Kim Hye-soon's poem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ismantling dualistic and genderized human-centeredness by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body and the emergence of a static body as a result. Kim Hye-soon's ‘-doing’ strategy ultimately breaks up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animals, moving toward self-rescue, or liberation of women and animals as minorities. The reproduction of animals as the other shown by the works of the two poets denies the identification and identity of the reproducing subjects and produces images of non-identical and plural bodies. This image of the body foretells the reconstruction of the body through the changes in the body that the animal as a batter is not the object of perception but the physical sensation that it causes. In this regard, it also suggests the posthuman discourse possibilities of companion humanities.

      • KCI등재

        중학생의 신체이미지 인식과 체육수업 태도의 관계 이해

        김윤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2

        One's body image is mainly formed during adolescence and plays crucial roles in self-esteem and social identity.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how middle school-aged students perceive their body image and how it relates to their attitude and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PE) classes. A total of 572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body image.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4 students. The date from interviews were used to explain and elaborate the quantitative results. The integrated findings fro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girls had higher levels of body image dissatisfaction. In particular, girls classified as normal BMI showed greater levels of body dissatisfaction. Distorted perception of body image was also found both in boys and girls. Students who had distorted body image showed interest in diet and participated physical activities on irregular basis. Students wanted to learn body image related topics in PE, but PE focused on sport skills. Girls tend to be conscious of their images perceived by others and inactive during PE class. Students with higher BMI perceived that slim students had advantages in PE and were highly conscious of being compared with others. 신체이미지(body image)는 자신의 신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에 대한 한 개인의 지각, 태도, 평가 등을 의미한다. 신체이미지는 청소년기에 형성되며,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자아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신체이미지를 파악한 후 신체이미지와 체육수업 태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중학교 2학년 572명을 대상으로 신체이미지 측정하였고, 양적 조사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남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신체조건에 대한 불만 정도가 높았으며 특히, BMI기준으로 비만이 아닌 여학생의 신체조건 불만이 높았다. 또한, 이상적인 체중과 현재 자신의 체중 사이의 차이가 커 자신의 신체이미지 왜곡 현상이 나타났다. 외모나 매력 등 신체이미지는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없기 때문에 학생들은 친구와의 비교,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주인공 등과의 비교를 통해 주관적으로 자신의 비만 상태를 판정하고 있었다. 자신의 신체이미지를 왜곡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은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주위 운동 시설을 이용해 단기적이고 일회성의 운동을 시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키, 체중 등 외모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은 체육시간에 관련 내용을 배우기를 희망했지만 체육수업은 스포츠 기술 중심으로 진행되어 학생들의 희망과 괴리가 있었다. 외모에 민감한 여학생들은 수업 내용보다는 운동하는 자신의 모습을 의식해서 체육수업에 적극 참여하지 않았다. 비만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체육수업은 날씬한 아이들에게 유리하다고 인식했으며, 수업시간에 자신들이 친구들과 비교되는 것을 지나치게 의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성격유형별 신체만족도와 신체이미지 관심도 연구

        이지혜(Lee Ji Hye),권선희(Kwon Sun Hee) 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2021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유형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신체이미지의 차이, 신체만족도가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2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외향이 내향보다 신체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모평가에서는 외향, 직관, 판단형의 외모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외모지향에서는 외향과 판단형에서 외모지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건강평가에서는 외향과 감각형에서 건강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건강지향에서는 외향과 판단형에서 건강지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만족도가 신체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금까지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성격유형에 따라서 신체만족도와 신체이미지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신체만족도는 신체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신체만족도와 신체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성격유형을 먼저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body imag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and the effect of body satisfaction on body image.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250 men and women aged 19 or older 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First, physic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extroverts than introverts. Second, in appearance evaluation, the appearance evaluation of extroverts, and intuition, and judgment types appeared higher. Appearance orientation was higher in extroverts and judgment types. Health evaluation was higher in the extroverts and sensory types and health orientation was higher in extroverts and judgment types. Third, body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body image. In the synthesis of the studies so fa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body satisfaction and body image were different, and body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body image. It can be seen that in order to improve body satisfaction and body image,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청소년 소비자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따른 의복구매행동모델

        남수정(Nam, Su-jung),이은희(Lee, Eun-hee),황혜선(Hwang, Hye-s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09 소비문화연구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대중매체의 몰입정도가 청소년 소비자들이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신체조건 차이지각과 자신의 신체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관심도인 신체이미지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후 이러한 신체조건 차이지각과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상의 변인들이 실제적으로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중매체 몰입정도가 높을수록 신체조건 차이지각 또한 높은 경향을 나타내며 신체이미지의 경우 긍정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조건 차이지각은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이미지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 존중감의 의복비 지출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견되지 않았지만 신체이미지와 의복비 지출 간에는 매우 높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신체이미지를 형성하는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대중매체를 통한 건강하고 현실적인 신체상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mass media involvement and the perception of BMI of adolescent consumers have influence on the body image and self-esteem. Also,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on the purchasing of clothes was inquired.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as the level of mass media involvement increased, the perception of BMI difference became higher, and the body image was formed more positively. The perception of BMI differ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self-esteem. The body image had a positive relation to the self-esteem. Finally, the self-esteem had no direct effect on the expenditure of the purchasing of clothes, while there was extremely high causality between body image and expenditure of clothing buying. To build desirable body image, not only consumer education program is needed, but also consensus on more realistic body image should be delivered via mass media.

      • KCI등재후보

        여성의 신체이미지 지각이 신체관련 소비에 미치는 영향

        김완석,김해진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6 No.3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s of body-image perceptions on intentions of body-related consumptions in female. We hypothesized that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s between one's own body image and ideal body-image’ will affect ‘intentios of body-related consumption’ through the effect on ‘body-esteem’. And ‘involvement to one's own body shape’ and ‘sense of control’ will have a function as moderators in the processes. Subjects were 354 female students who are attend 4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unggi, and Jeonlabul-Do areas.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s between one's own body image and ideal body-image’ revealed significant effect on ‘body-esteem’ and the ‘body-esteem’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s of body-related consumption’ and ‘experience to body-related consumptions’. But, the ‘involvement to one's own body shape’ didn't have interaction function with the ‘perceptions between one's own body image and ideal body-image’. The ‘sense of control’ interacted with the ‘body-esteem’ for the ‘intentions to do plastic surgery’, but not for the intentions to ‘take healty food’ and to ‘take body exercise’.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opic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신체이미지에 대한 자기지각이 신체관련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자신의 신체를 이상적인 신체와 얼마나 다르게 지각하는가 하는 신체이미지 차이지각이 신체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신체관련 소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개념화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자신의 체형에 대한 관심도와 자기 신체에 대한 통제감이 조절변수로 기능할 것으로 보았다. 조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전라북도의 네 개 대학 여학생과 직장여성을 포함해서 총 354명이었다. 연구결과, 신체이미지 차이지각은 신체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과정에서 체형관심도는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체 존중감은 신체관련 소비경험과 신체관련 소비의도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신체통제감은 운동과 섭식에 대해서는 조절변수로 기능하지 않지만 성형에 대해서는 조절변수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형의 경우 신체존중감이 높은 집단은 신체통제감 수준에 따른 성형수술의도에 차이가 없지만, 신체존중감이 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신체통제감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성형수술 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의미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