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원 검사와 단축형 검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상민,조은실,박용천,최기홍,서동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6 No.4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of 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Short Form was conducted and verified whether it was equivalent to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sult of the original form. Collected 1,059 people data for BDPI validation study was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10 high-order factor score of General personality 5 and Maladaptive personality 5 factor. In BDPI original form, latent group was determined as three groups. and BDPI short form’s latent group was determined as three groups like the orignal form. These three groups were named as “well-adjusted personality group”, “ordinary personality group”, “maladaptive personality group”. As a result, the score distribution of each group of the two forms were similar each other like that score distribution was found before, the percentage agreement between the original form and the short form was 86.89%, and the Cohen’s kappa coefficient between the original form and the short form was .778, showing a significant level of agreement.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scores according to three latent groups of the short for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scores of the high-order 10 factors according to the latent group was confirmed, the two groups with no score difference in general personality tra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ladaptive personality trait. The latent groups predict differently Self-Report Standardized Assessment of Personality- Abbreviated Scale(SAPAS-SR) score, which proved prediction validity of BDPI-SF. The score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aladaptive personality group predicted the high SAPAS-SR average score. Finally,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의 단축형 검사의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원 검사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와 동등한지를 검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에는 총 1,059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의 5개의 일반 요인과 5개의 부적응 요인 상위 10요인 점수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BDPI 원 검사의 잠재 집단은 세 집단으로 나타났고, 단축형 검사도 원 검사와 동일하게 3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진은 세 집단을 적응형 성격 집단, 보통 성격 집단, 부적응형 성격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두 검사의 각 집단 별 점수 분포를 확인해본 결과 유사한 점수 분포가 나타났으며, 원 검사와 단축형 검사의 퍼센트 일치도는 86.89%로 높은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고, Cohen’s kappa 계수는 .78로 상당한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다. 단축형 검사의 잠재 집단에 따른 성격 요인 점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반 성격 5요인과 부적응 성격 5요인 모두 집단에 따른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잠재 집단에 따른 상위 요인 10개의 성격 요인 점수의 차이를 확인했을 때 일반적 성격 특성에서 점수 차이가 없던 두 집단이 부적응적 성격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도출된 세 집단이 실제 부적응 성격인 성격장애 점수를 예측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한국판 축약표준성격평가-자기보고형(SAPAS-SR) 점수를 종속변수로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에 따른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부적응형 성격 집단이 SAPAS-SR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러움:한국의 “무해한 선망”

        차운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2

        This research examined the role of emotions associated with upward social comparison processes in Korean's lives. Three emotions, i.e., buroum (benign envy), sisem (malicious envy), and jiltu (jealousy) were compared.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buroum, an equivalent to “benign envy,” and tries to demonstrate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ts unique contribution to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lives of Koreans. Compared to sisem or jiltu, buroum was found to be experienced more frequently and was perceived as more socially desirable; however, it was still nega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were relevant to subjective well-being. Furthermore, examination on the perception of the comparison target indicated that buroum, compared to sisem, was directed toward someone who was close to them or whom they desired to be close. It suggests that buroum might serve a social function of managing relational harmony and strengthening social ties in interdependent culture. This research suggests to bring benign envy back into focu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role and meanings of buroum in Koreans' affective experiences. 이 연구는 상향 사회비교의 결과로 초래될 수 있는 정서의 하나로서 한국 문화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부러움을 조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러움은 상향 사회비교 대상에 대한 적의를 내포하는 시샘이나 질투와는 달리 한국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친숙한 정서이지만 궁극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더 나아가 상향 사회비교를 피할 수 없는 한국 사회에서 부러움은 사회비교 대상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좁히고 조화를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발달된 정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서양문화권의 정서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무해한 선망(benign envy)”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환기하고, 한국인의 정서적 삶 전반에 있어서 부러움이 가지는 역할과 의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 KCI등재

        창조성의 사회심리학적 연구: 개념, 방법, 흐름과 주제

        김명철,민경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4

        Creativity is one of the most profound needs of humanity as it allows realization of optimal experience and self-actualization. However, despite its social interest and acknowledged importance, creativity has been underinvestigated as a scientific research topic in the field of psychology. One main reason for this disregard is that researchers are suspicious of the validity of the definition and of its methodology which is largely grounded on the psychometric tradition of creativity research where creativity is defined as a divergent think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creativity that is defin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as a creative process and the individual who produces both nevel and useful products are appropriate as a scientific research topic. Especially,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of creativity that follows this sociocultural concept and methodology contributes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 its own special way. In this article,we describe definition, methodology and research trends of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in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is field of study. We review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in a special attention to the meaning of each study as we structuralize its trends as (a) Theories for process and system, focusing on creating process' temporal and procedural integrity and its social system; (b) Theories for context and motivation,covering the effect and context of creator's state motivation, flow and emotion; and (3) Theories for group process, focusing on creating process where more than one creator is involved, that define factors that make a group become creative in an effective way. Finally, based upon the relation between three trends, we discussed the contribution of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to understand creativity itself as a whole and to understand korean creativity. 인간의 근본 욕구이자 최적 경험이며 자기실현인 창조성은 그 중요성과 사회적 관심에 비해 과학적 심리학의 연구주제로서는 위상이 낮은 편이다. 그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연구자들이 창조성 개념의 정의와 그 측정 방법의 타당도에 확신을 갖지 못하는 것인데, 이는 창조성을 확산적 사고 능력, 즉 창의성(創意性)으로 정의하는 심리측정론적 개념과 그 방법의 타당성 문제에 상당 부분 기인한다. 반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새롭고 유용하다고 합의되는 산물을 생산하는 개인과 창조과정의 특징으로 창조성(創造性)을 정의하는 창조성의 사회문화적 정의 및 방법은 과학적 연구 주제로 타당하며, 특히 이러한 개념과 방법에 따르는 창조성의 사회심리학적 연구는 창조성에 대한 온전한 이해에 독특하게 기여한다. 이에 본 논문은 창조성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연구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 창조성의 사회문화적 개념과 그 연구방법을 살펴보고, 창조성의 사회심리학적 연구 흐름을 개관한다. 특히 각 연구의 함의에 주목하여 (1) 창조과정의 절차적 전체성에 주목하고 창조의 사회적 체계를 강조하는 ‘과정과 체계의 창조성 이론’, (2) 내적 동기 및 몰입을 중심으로 창조자의 동기와 정서가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창조에 적합한 마음 상태를 만드는 환경요소를 탐구하는 ‘맥락과 동기의 창조성 이론’, 그리고 (3) 2인 이상의 창조자가 관여하는 창조과정에 주목하여 집단의 효과적 기능 조건을 탐구하는 ‘집단 과정의 창조성 이론’의 세 가지 흐름으로 구분하여 각 연구주제를 개관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흐름의 상호관련성을 바탕으로 창조성의 사회심리학적 연구가 창조성의 넓고 깊은 이해에 기여하는 바를 강조하고, 한국사회의 창조성 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역경 극복을 돕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 탐색: 긍정적 태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현경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2

        This study explored the components of positivity that help adult Koreans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elf and the society.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was conceptualized as a core characteristic of positivity that enables one to find meanings in and/or to create meanings for the self and the society in which one lives. Thus positive cognitive tendencies such as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were hypothesized to promote self-acceptance, self-belief, self-control, adaptation to and acceptance of the society. Based on these conceptualizations of individuals' positivity, preliminary scale items were constructed, an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ositive attitude scale was attempted, using 352 college students and 401 adults. As expected,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6 factors, which were named as multiple perspectives, self-acceptance, self-belief, self-control, social adaptation, and acceptance of society. Among these factors, however, self-belief factor was excluded because its items were found to be loaded with other factors as well, and becaus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5 factors model better than the other one. The final 5 factor scale was found to be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imilar positive traits of the self as well as with psychosocial well-being variables in an expected direction, suggesting that the scale has good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As for incremental validity, positive attitude scale augmented prediction of positive emotion and stress-related reactions beyond a self-esteem measur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for this line of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역경에서나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되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을 탐색하고 그 구성개념에 따라 긍정적 태도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긍정성을 자신과 자기가 속한 사회를 다각도로 살펴 긍정적 측면에 주목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인식성향과 그에 따른 긍정적 태도로 규정하였다. 한국인의 긍정성은 긍정적 관점, 자기긍정성, 사회긍정성으로 구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긍정적 시각을 촉진하는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소신, 자기조절, 사회적응, 사회수용과 같은 특성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론추출 방식과 경험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척도문항들을 선정하였으며, 서울과 대구지역의 대학생 373명과 일반 성인 401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론적 예측과 일관되게 6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하지만 이중 자기소신 요인은 해당 문항들에서 타 요인에 중복 부하된 것이 많이 있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5요인의 적합도가 6요인보다 우수하게 나타나 요인의 순수성과 척도의 간명성을 위해 제작과정에서 제외되었다. 최종적으로 긍정적 태도 척도는 긍정관점 요인 1개(다각화), 자기긍정성 요인 2개(자기수용, 자기조절), 사회긍정성 요인 2개(사회적응, 사회수용)로 구성되었다. 제작된 척도의 구성타당도, 내적합치도 및 구인, 예측, 증분 측면에서의 타당도는 적절하게 나타났다. 예측대로 이 척도는 자존감, 희망감 등의 긍정적인 자기특성 변수들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심리사회적 안녕 변수들과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긍정적 정서 및 스트레스 관련 변수들에 대한 자존감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긍정적 태도의 설명력이 유의미하게 증가됨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국판 DSM-5 성격검사(PID-5)의 신뢰도와 타당도

        신소영,황순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0 No.3

        This research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PID-5) - which is based on ‘Pathological personality traits’, the core criterion of DSM-5 Section Ⅲ personality disorder - after translating it into Korean language. The test comprises of 5 domains - negative affect, attachment, antagonism, disinhibition, psychoticism - and each domain comprises of 25 detailed facets, and there are total 220 questions (219 in the Korean version).To 607 adults over the age of 18, along with the Korean version of PID-5, the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and PSY-5 wer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collected data. As the result of analyses, first, the Korean PID-5 showed appropriat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Secondly, reviewing the factor structure, the facets of negative affect domains, attachment domains and psychoticism domains were identical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However, the facets of antagonism domains and disinhibition domains were difference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Thirdly, the Korean version’s PID-5 face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personality disorder’s core personality traits. Fourth, the Korean version’s PID-5 facet showed relative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SY-5’s related scales. The results above show that, although there are partial differences to the results of preceding overseas research, the PID-5 is measuring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various personality disorders in this country relatively well,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tool for evaluating DSM-5 Section Ⅲ personality disorders. 본 연구에서는 DSM-5 Section Ⅲ 성격장애의 핵심 준거인 ‘병리적 성격 특질’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DSM-5 성격검사(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PID-5)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검사는 부정적 정서성, 애착상실, 적대성, 탈억제, 정신병적 경향성이라는 5개의 ‘영역(domains)’으로, 각 영역은 다시 25개의 세부적인 ‘양상(facet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20개(한국판은 219문항)의 문항으로 되어있다. 만 18세 이상의 성인 607명에게 한국어판 PID-5와 함께 성격장애 진단검사, 정신병리 5 요인 척도(PSY-5)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한국판 PID-5의 내적 일관성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이었다. 둘째, 요인구조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정서성 영역(domain), 애착상실 영역, 정신병적 경향성 영역의 양상(facets)은 원판의 요인구조와 동일했다. 그러나 적대성 영역과 탈억제 영역의 양상은 원판의 요인구조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판 PID-5 양상은 각 성격장애의 핵심 성격 특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한국판 PID-5 양상은 PSY-5의 관련 척도와 대체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외국의 여러 선행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기는 했으나 PID-5가 국내에서도 다양한 성격장애의 중요한 특징들을 대체로 잘 측정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DSM-5 Section Ⅲ 성격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한국의 사회적 위기사건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건 중심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의 매개효과: 지각된 직접 노출·간접 노출 간 다집단비교

        이나빈,민문경,안현의,천혜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9 No.3

        When societal crises occur(e.g., natural disasters, politically motivated assassination, or mass killings during anti-government movements), people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with others in person or via social media. This is referred to as social sharing. Our study aimed to find out how social sharing mediates the memory of such major events and the individuals’ capacity to integrate those events into their personal identity(i.e., event centrality).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differences among memory characteristics (vividness,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valence) as they are mediated by social sharing which eventually may help or hinder the individual to integrate those events into their personal lives.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s who perceive that they directly experienced the event (e.g., had be present at the scene, was a victim or knew the victim closely) versus those who were indirectly affected (e.g., watched on the new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f Korean major societal events experience, and used the scales from Memory Experience Questionnaire (Sutin & Robins, 2007) and Central Event Scale (Bernsten & Rubin, 2006) to test for our hypotheses.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was n=286, and indirect exposure group was n=532. Results from the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social sharing fully mediated vividness and the event centrality in a indirect exposure group only. And social sharing partially mediated emotional intensity and event centrality in both groups. Especially, in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the effect of emotional intensity on social sharing is more high than a indirect exposure group. In the case of negative emotional valence,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whereas indirect exposure group did not. Further discussion is included regard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주요 사회적 위기사건들에 대한 개개인의 기억특성이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사회적 공유가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검증하고, 사회적 위기사건에 직접 노출된 집단과 간접 노출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1065명을 대상으로 제시한 한국의 주요 사회적 사건 목록 중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한 가지 사건을 정하도록 하고, 그 사건에 대한 기억특성 및 사회적 공유(Memory Experience Questionnaire), 사건 중심성(Centrality of Event Scale)을 측정 하였다. 본 연구에는 사회적 위기사건을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으로 선택한 818명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후 ‘자신이 선택한 사건을 직접 경험했는지’를 묻는 문항에 응답한 내용을 바탕으로 818명의 자료를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N=286)과 간접 노출집단(N=532)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서 연구모형에 유의한 경로계수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는 생생함과 사건 중심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반면, 간접 노출집단에서는 생생함이 사회적 공유를 완전 매개하여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미쳤다. 정서강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공유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했으며,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 정서강도와 사회적 공유의 직접 관계가 더욱 높았다. 부정정서의 경우,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는 사회적 공유가 부정정서 수준과 사건 중심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는 반면, 간접 노출집단에서는 사회적 공유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직접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국 청년세대의 체제정당화: 의미 불일치 경험과 그 심리적 결과를 중심으로

        안혜정,안정민,서예지,정태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ystem-justification phenomena for the Korean young genera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face to face depth-interview with 20 adults (Mage= 28.1, 13 Males, 7 Females). Drawing 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e explored interviewees's psychological discrepant experiences between ideal and real daily life, figured out their representation of social system shaped by their daily experiences, and the psychological process to resolve these psychological discrepancies. The concepts derived from coding process of grounded theory were categorized into four domains: experience of discrepancy, representation of society, emotional and behavioral results. Personal experiences causing meaning discrepancy are categorized by three perspectives: loss of self-worth, frustration to life goal and disappointment by real life. The three categories, which have affected these experiences of discrepancy, were extracted from the representations of Korean society such as right answer society, distrust society, and stress society. Suppressing emotional response to experience of discrepancy and negative expecting emotion such as anxiety, helplessness of change appeared as results of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of personal experiences and social representations. These emotional reactions leaded the interviewees to seek personal control within existing system or to justify system avoiding actions for social change, even though they are critical against current social system. These reactions correspond with system justification theory and yet concrete contents of the system and operation causing such reactions represent specific context effects of Korean society. Given these findings, we argued the necessity of social-cultural and context-centered approaches to enrich the research of system-justification proposing emotion-control model as a system-justification mechanism and furthermore, discussed usefulness and necessity of qualitative study to expand research of system-justification in context of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한국의 청년 세대에서 나타나는 체제정당화 현상의 내용과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초기 한국인 20명(평균 연령 28.1세, 남성 13명, 여성 7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하여 참여자들이 이상과 현실의 불일치를 경험하는 구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인지․정서․행동적 결과가 무엇인지, 그리고 해당 경험에 따른 사회 시스템에 대한 표상 그리고 불일치를 해결하는 개인의 심리적 과정을 탐색하였다. 근거이론에 기초한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개념들은 의미 불일치 경험, 한국 사회에 대한 표상, 정서적 결과 및 행동적 결과 등 네 영역으로 재구성 되었다. 의미 불일치를 야기하는 개인적 경험은 ‘자기가치감 상실’, ‘삶의 목표에 대한 좌절’, ‘현실 사회에 대한 실망’의 세 가지 형태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불일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 사회에 대한 표상으로는 ‘정답 사회’, ‘불신 사회’, ‘스트레스 사회’의 세 개 범주가 도출 되었다. 개인적 경험과 사회적 표상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불일치 경험에 대한 ‘정서적 반응 억제’와 변화에 대한 불안과 무력감 등의 ‘부정적 예기 정서’가 나타났다. 이러한 정서적 반응은 시스템에 대한 문제의식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시스템 내에서 ‘개인적 통제감’을 추구하는 선택을 하거나, ‘사회적 변화 회피와 정당화’ 반응으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반응은 체제정당화 이론의 예측과 일치하지만, 그러한 반응을 야기하는 시스템의 구체적 내용과 작동 양상은 한국 사회의 특수한 맥락을 반영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체제정당화 기제로서 정서조절 모델을 제안하면서, 체제정당화 연구에서 사회 문화적, 맥락 중심적 접근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체제정당화 연구의 확장을 위하여 질적 연구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논의했다.

      • KCI등재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대한 역사·문화적 분석

        정태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을 역사·문화적 분석을 통해 그 원천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근대 이전 전통적 한국사회가 가지는 여러 특성 중에서 집단주의적 성격과 관련된 요인들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사회가 가지는 집단주의적 성격을 두 가지 측면에서 알아보고, 그 원천에 대한 역사·문화적 접근의 이론적 틀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구체적으로 전통사회의 지리적 및 행정적 조건과 관련해서 서민들의 삶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 촌락의 구조와 통치의 측면을 알아보았다. 또한, 전통사회의 경제적 특징으로 수도작(水稻作) 중심의 농경생활과 그와 관련된 다양한 협동노동관행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전통사회 운용의 이념적 기틀을 제공한 유교가 촌락민에게 보급된 경로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여가와 관련해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를 알아봄으로써 노동 이외의 시간에 이루어지는 사람들의 삶을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서 한국사회가 보이는 집단주의의 원천을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trace by historical and cultural approach the roots of collective features held by Korean society. For this goal,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the factors which were related to collective characteristics within the contexts of pre-modern Korean society. First, structur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Korean villages, which implemented strong impacts on the lives of the villagers, were examined. Second, as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gricultural life centered on rice cultivation and its relevant practices of cooperative working were reviewed. Also, the processes how Confucianism, which offered ideological framework of governance on the pre-modern society, was infiltrated to the residents of the villages were examined. Finally, their life was studied by observing yearly practices and folk plays in relation to leisure. Given all of these, the sources of Korean collectivism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사회적 신념 및 남북 통일에 대한 태도, 통일정책 지지 간의 관계: 조절 및 매개모형 검증

        이하연,최훈석,권영미,박주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5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DO), Right-Wing Authoritarianism (RWA), and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of Korea (unification attitudes) in predicting individuals’ support for th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policy support). SDO and RWA represent generalized social beliefs that reflect support for the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 and resistance to social change, respectively. From the standpoint that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will necessarily involve a threat to the existing intergroup status hierarchy and changes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we expected that the two social beliefs would be negatively related to unification attitudes and policy support. To specify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beliefs and unification attitudes in predicting individuals’ policy support, we explored path models involving a moderation and a mediation between the predictor variables. Results from a survey involving a stratified sample of Korean adults (N = 1,500) revealed that SDO, RWA, and unification attitudes independently predict policy support, with unification attitudes as the strongest predictor.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unification attitudes and policy support was not moderated by either SDO or RWA. Further, unification attitud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DO and policy support, suggesting that in the context of the two Koreas, individuals’ generalized beliefs about society predict indirectly their political behavior via specific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한국인들의 통일정책 지지를 예측하는 변수로 사회적 신념(사회지배경향성, 우익권위주의)과 남북한 통일에 관한 태도를 측정하고, 변수 간의 관계와 통일정책 지지를 예측하는 조절 및 매개경로를 상세화하였다. 사회지배경향성과 우익권위주의는 각각 위계적 사회구조에 대한 지지와 사회변화에 대한 저항을 반영하는 신념이다. 따라서 두 신념은 남북 관계와 같이 지위 차가 있는 집단 간의 통합을 통한 사회구조적 변화를 수반하는 통일에 대한 태도 및 행동과 상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더해 사회적 신념과 통일태도가 통일정책 지지를 예측하는 경로가 각각 독립적인지, 상호 조절하는지, 또는 매개하는지에 관한 가설을 추론하여 검증하였다. 인구비례할당 표집을 통해 수집한 한국 거주 성인 1,50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통일에 대한 태도는 두 사회적 신념과 독립적으로 통일정책 지지를 예측했고 회귀계수의 크기를 기준으로 예측력도 가장 컸다. 그리고 이 관계는 사회적 신념에 의해서 조절되지 않았다. 또한, 통일태도가 사회지배경향성이 통일정책 지지를 예측하는 경로를 매개하였다. 이는 안정적 개인차인 사회적 신념이 구체성 수준이 높고 비교적 가변적인 통일태도를 통해 통일정책 지지를 간접적으로 예측함을 의미한다. 통일에 대한 국민들의 태도와 행동에 관한 학술 및 실용 연구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서열적 교류의 사회심리: 공손성과 서열관계 스트레스

        문찬기,한규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7 No.4

        Hierarchical relationship is a very prominent feature of Korean society. We conducted three empirical investigations on this phenomenon from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Study 1 and 2 examined the politeness behavior in writing a letter as affected by the status of interacting partner’s relative status (senior/ equal/ junior in Study 1 and senior/ junior in Study 2).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between the interacting parties and the effect of gend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etters written to the superior was more polite and all adopting honorifics than those written to the junior/equal in placing a request (Study 1) and in declining a request placed on (Study 2). This hierarchy effect was equally strong both gender and hold even when the relationship is close although the extent was decreased (Study 2).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politeness behavior (Brown & Levinson, 1987). This robustness of hierarchy effect regardless of context is not accountable from a strategic use of politeness. We must attend to the normative power of hierarchy observed in Korean society. Study 3 investigated the phenomena related to relational stress of hierarchy. 200 college respondents rated their feeling of discomfort to each of the behavior violating interactional norm by the partner. The relationship with partner was close or distant and senior or junior.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the violations were committed by juniors or acquaintances, participants reported higher degree of hierarchy relational stress. These three studies conceptualized hierarchical relational stress as common in daily relationship.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psychology should attend to the honorifics for its observation is necessary for a normal flow of communication among Korean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for the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conflict and politeness and future directions are suggested. 한국사회 대인교류의 중요한 특징인 서열성이 사람들의 심리에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보고자, 공손성과 서열관계 스트레스를 연구하였다. 연구1과 2에서는 일상생활에서 강하게 작동하고 있는 서열사회의 행동적 규범(공손성, 존비어의 적절한 사용)이 상대방의 상대적 서열(윗 사람, 또래, 아랫 사람)과 친소관계에 따라 변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상대방이 윗 사람일 경우, 아랫 사람일 경우에 비해 부탁을 하는 글의 내용(연구 1)과 상대방의 부탁을 거절하는(연구 2) 글의 내용에서 공손성이 높게 나타났다. 공손성에 미치는 서열성의 효과는 성차가 없었으며, 상대방과의 사회적 거리감이 높은 경우에는 물론, 거리감이 적은 (친한) 사이에서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서구의 공손성 이론(Brown & Levinson, 1987) 및 관련 연구들과 차이를 보이며, 한국사회에서 서열성에 의한 공손성의 차이는 개인의 전략적 선택이기 보다는 규범적으로 나타나는 것임을 보여준다. 연구3에서는 서열관계의 통상적인 규범에 부적합한 상대방의 행위를 접했을 경우에 느껴지는 불편감을 서열관계 스트레스로 보고, 이의 작용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변인으로 관계의 서열성과 친소감의 효과를 상황각본을 이용한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대학생 200명(남: 88, 여: 112)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람들이 받는 서열관계 스트레스는 상대방이 아랫 사람일 경우에 크며, 얼굴만 아는 사이일 경우에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존비어를 매개로 소통이 이루어지는 한국인의 교류에서 서열성 관련 사회심리를 개념화하였으며, 이러한 논의가 한국사회의 갈등을 이해하고, 존비어 사용에 수반되는 사회현상의 문제점을 포착하는데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