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윤지원(Ji Won Yoon)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2

        최근 성과 관련된 문제가 대학사회에도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면서 성적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성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과 실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 성적 자율성의 정도와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을 높이고 바람직한 성문화 조성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미혼의 남녀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성인지 감수성은 5점 만점에 평균 4.18점, 성 태도는 3.38점, 성 의사소통은 3.07점, 성적 자율성은 4.23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 및 성적 자율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t=-4.77, p<.001), 학년(F=3.39, p=.019), 이성교제 경험(t=-5.24, p<.001)에 따라 성인지 감수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t=-3.08, p=.001), 학년(F=3.84, p=.010)에 따라 성 의사소통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t=-2.02, p=.023), 대인관계 만족도(F=8.64, p<.001)에 따라 성적 자율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적 자율성은 성인지 감수성(r=.216, p=.004), 성 태도(r=.301, p<.001), 성 의사소통(r=.336,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성 태도는 성 의사소통(r=.424, p<.001) 및 성인지 감수성(r=.26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 의사소통(β=0.306, p<.001), 성별(β=.231, p<.001), 대인관계 만족도(β=0.182, p=.003), 성인지 감수성 (β=0.155, p=.015), 성 태도(β=0.136, p=.043)의 순으로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6.7%였다. 즉, 성 의사소통과 성 태도가 개방적일수록 대인관계 만족도와 성인지 감수성이 높을수록 성적 자율성이 높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성적 자율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스로 성 관련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의 성에 주도권을 가질 뿐 아니라 상대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올바른 성 가치관을 형성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성문화를 형성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sexual autonomy and create desirable gender culture. As gender-related problem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college student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practice to protect oneself from sexual problems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maintain sexual health is emphasized. Reflecting these chang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gree of gender sensitivity, sexual attitude,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utonomy and then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gender sensitivity, sexual attitude,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utonomy. Also, it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exual autonomy in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unmarried men and women, with 230 attending a university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gender sensitivity was an average of 4.18 points out of 5 points, sexual attitude was 3.38 points, sexual communication was 3.07 points, and sexual autonomy was 4.23 points. And it analyzed the difference in gender sensitivity, sexual attitude,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utonom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sensitivity by gender (t=-4.77, p<.001), grade (F=3.39, p=.019), and dating experience (t=-5.24, p<.0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communication by gender (t=-3.08, p=.001) and grade (F=3.84, p=.010),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autonomy by gender (t=-2.02, p=.023)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F=8.64, p<.001). Sexual autonomy was positively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r=.216, p=.004), sexual attitude (r=.301, p<.001), and sexual communication(r=.336, p<.001). Sexual attitude was positively related to sexual communication (r=.424, p<.001) and gender sensitivity (r=.260, p<.001). The influencing factors in college students' sexual autonomy were sexual communication (β=0.306, p<.001), gender (β=.231, p<.001), interpersonal satisfaction (β=0.182, p=.003), gender sensitivity (β=0.155, p=.015), and sexual attitude (β=0.136, p=.043)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6.7%. In other words, the higher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attitude,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gender sensitivity, the higher sexual autonomy. It was also confirme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sexual autonomy than male students. The results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so that they can develop the ability to prevent sexual problems on their ow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one will not only take the initiative in one's sexuality but also contribute to forming a proper sexual value that can protect the rights of the other person and create a desirable sexual culture.

      • KCI등재

        기혼남녀의 정서적 성숙이 혼외관계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성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 성별 및 혼외관계 만연성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이희진 ( Lee¸ Hee Jin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1 여성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기혼 남녀(614명)의 정서적 성숙이 성적 자율성을 매개로 혼외관계인식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성별특성 및 혼외관계 만연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 보다 자신의 혼외관계에 대해 더 수용적이었다. 둘째, 남녀 모두 정서적으로 성숙할수록,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해서 수용적이지 않은 현상은 혼외관계만연성이 낮은 집단이나 높은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기혼자들의 정서적인 성숙이 자신의 혼외관계에 대해 비판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데 기여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셋째, 정서적 성숙이 남성의 성적자율성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혼외관계 만연성이 낮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고, 혼외관계 만연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여성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넷째, 남성의 경우, 혼외관계 만연성이 낮은 집단이나 높은 집단 모두 성적자율성이 혼외관계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에는, 성적 자율성이 높을수록 혼외관계에 대해서 수용적이지 않은 현상이 혼외관계 만연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발견되었다. 다섯째, 혼외관계 만연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반영하지 않은, 성별 조절효과 분석결과에서는, 여성의 경우에서는 정서적 성숙이 혼외관계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성적 자율성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적 자율성의 매개효과는 혼외관계 만연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반영한 분석결과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기혼남녀의 혼외관계인식에 성적 자율성이 미치는 효과는 성별 및 혼외관계 만연성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기혼남녀의 혼외관계인식에 정서적 성숙, 성적 자율성과 같은 개인의 심리특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얻기 위해서는 성별특성 뿐만 아니라, 기혼남녀가 생활하는 주변 환경의 혼외관계 만연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이들의 혼외관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is conducted on married men(310) and women(304), to identify the effect of individuals' emotional maturity on their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through their sexual autonomy, as well as the moderate effect of gender and the pervasivenes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men are more receptive to their out-of-wedlock relationships than women. Second, the more emotionally mature both men and women are, the less receptive to their extramarital relationship is found in common in both the low and high prevalence group of that relationship. It has been proven that the emotional maturity of married people contributes to a critical perception of their extramarital relationships. The positive effect of emotional maturity on male sexual autonomy is significant only in the group with low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but not in the group with high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The same phenomenon is also found in women's groups. Forth, in the case of men, sexual autonomy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either the low or high prevalence group. However, in the case of women, the higher the sexual autonomy, the less receptive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is found in groups with higher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Fifth, in the analysis results of gender control effects, which did not reflec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 in the case of women,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autonomy on the effect of emotional maturity on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s proven. However, this mediating effect of sexual autonomy is not significant in the analysis results reflec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vasivenes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t is proven that the effect of sexual autonomy on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between married men and women is significantly controlled by gender and the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order to gain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al maturity and sexual autonomy on married men and women's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t is concluded that the influence of not only gender characteristics,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pervasivenes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married men and women live, on their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 KCI등재

        부산시 남녀 대학생의 성역할태도와 성적자율성의 차이

        김현지,전은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2

        The purpose of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sexual autonomy and gender culture for establishing sound gender role attitude and sexual autonom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1,000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in Busa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or the difference of sexual behavior by gender, 70% of male and 35.5% of female had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and 3.4% female and 5.4% of male had pregnancy and artificial abortion. Secondly, in the gender role attitudes, male are more conservative than female. Thirdly, in the difference of item perceptions of sexual autonomy, female had a little bit high sexual autonomy then male. Fourthl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sexual autonomy, negative relations was fou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onsideration of difference perception between gender, systemic gender cultur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have to be operated and develop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문화의 실태와 성역할 태도 및 성적 자율성 파악을 통해, 올바른 성역할에 대한 이해와 부정적 태도를 바로잡고 건전한 성역할 태도 확립과 성적 자율성 확립에 도움이 되고자, 부산시내 D대학 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남녀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성관계 행태의 차이는 남학생은 약 70%, 여학생은 35.5%가 성경험이 있으며, 첫 성관계 시기는 남녀 학생 모두 대학 1,2학년이며, 여학생 3.4%, 남학생 5.4%에서 임신과 임신 중절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성적 자율성은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여학생이 남학생이 비해 조금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성역할 태도와 성적 자율성의 관계는 음의 상관관계로, 보수적일수록 성적 자율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역할 태도와 성적 자율성의 인지의 차이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대학생을 위한 성태도, 피임지식, 성적자율성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남녀의 성에 대한 특성 차이를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혼자들의 성적 평등성이 불륜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간 성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이원준(Wonjune Lee),이희진(Heejin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남녀의 '불륜' 인식에 '성적 평등성'이 미치는 영향에 '부부간 성적 자율성'의매개효과, 그리고 성별 및 연령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얻었으며, 표본수는 35-59세 기혼남녀 614명이다. 자료는 Amos와 Mplu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남성은 기혼 여성에 비해서 성적 평등성과 부부간의 성적 자율성이 낮고, 불륜에 대해 더 허용적이다. 둘째, 45세 이상의 여성의 경우, 부부간 성적 자율성은 성적 평등성에대한 인식이 불륜에 대한 비판의식을 갖게 하는데 중요한 특성임이 입증되었다. 불륜에 대한 비판의식향상을 모색하는 실천현장의 전문가들은 기혼자들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른 차별성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성적 평등성 인식 개선을 위하여 법률적 제도적 개선과 양성평등 교육강화 등의사회적 노력이 병행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autonomy between couples on the effect of sexual equality on the perception of infidelity among married men and wome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The sample sive of data through online survey was 614 married men and women aged 35-59, analyzed using Amos and Mplus.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compared to married women, married men have lower sexual equality and marital sexual autonomy and are more tolerant of infidelity. Second, for women over the age of 45, sexual autonomy between spouses has been proven to be a important characteristic of making the perception of sexual equality critical of affair. Experts in fields seeking to improve critical awareness of infidelity among married people should be able to reflect the discrimination of them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age group. In addition, to improve awareness of sexual equality, continuous social efforts, including legal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strengthen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must be made in parallel.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의 관계

        양난미(Yang, Nan Mee),배성희(Bae, Seong He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 거부민감성, 성적 자율성이 연애관계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275명에게서 수집된 자료를 모형비교를 통하여 최종모형을 선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비교 결과,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성적 자율성은 두 변인을 매개할 뿐만 아니라 거부민감성이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주는 연구모형이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부모애착은 거부민감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적 자율성, 연애관계 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거부민감성은 성적 자율성, 연애관계 만족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성적자율성은 연애관계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 사이에서 거부민감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연애관계와 더불어 성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sexual autonomy on the intimate relationship in college students. With the survey of 275 college students, we compared a difference in sex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 were as followed. First, as the outcome of model comparison, the research model is better than the alternative model. Second, in a consequ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parent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rejection sensitivity,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xual autonom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was confirmed as a negative effect to sexual autonom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exual autonom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Lastly, by the outcome of mediating effect, rejection sensitivity fu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understand the intimat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and sexual issue.

      • KCI우수등재

        간호대학생의 성태도, 자아탄력성과 성적자율성간의 관계

        정경순,장군자,김수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6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egoresiliency, and sexual autonomy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226 nursing students who recruited from one colleg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The sexual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y (r=.169, p=.011). Also, ego-resiliency and sexual autonomy was positively correlated (r=.148, p=.026).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sexual autonomy in nursing students were ego-resiliency (β=.138, p=.048), sexual characteristic of participant (β=-.149, p=.038), and dating experience (β=.170, p=.014).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boosting ego-resiliency and sexual autonomy through healthy and sound dating experience should be required in nursing students. 본 논문은 간호대학생들의 성태도, 성적자율성, 자아탄력성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 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K시에 소재한 일 개 대학교 간호학과 2, 3, 4학년 22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태도, 자아탄력성 및 성적자율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성태도와 자아탄력성은 양의 상관관계 (r=.169, p=.01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적자율성과 자아탄력성 또한 양의 상관관계 (r=.148, p=.02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성적자율성에 영학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고 (F=2.077, p=.039), 대상자의 성적자 율성에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 (β =.138, p=.048), 자신의 성특성 (β=-.149, p=.038), 이성교제 유무 (β=.170, p=.014)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성적자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서는 본 연구에서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자아탄력성, 자신의 성태도, 이성교제유무를 기초로 대상자에게 맞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성적 자율성과 스텔싱(Stealthing)의 입법론에 관한 고찰

        김종구 ( Kim Jong Goo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2 비교형사법연구 Vol.23 No.4

        스텔싱(sealthing)의 형사처벌 문제는 비교적 근래에 문제된 것이다. 스텔싱이란 콘돔을 사용하겠다고 속이고 실제 사용하지 않거나, 성관계 중 콘돔을 훼손하거나 제거하는 행위이다. 스텔싱은 성적 자율성(sexual autonomy)을 침해할 뿐 아니라 피해자를 원치 않는 임신과 성병감염의 위험에 노출시키게 된다. 성범죄의 보호법익을 성적 자율성으로 이해한다면, 스텔싱은 임신과 출산에서의 성적 자율성(reproductive autonomy)과 신체적 자율성(bodily autonomy)을 침해하는 것이며 범죄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외국의 입법례를 보면, 미국 등 다수의 국가는 스텔싱을 형사처벌하지 않는다. 반면, 캐나다, 영국, 스위스, 독일, 싱가포르 등에서는 스텔싱이 형사처벌되고 있다. 독일은 형법상 비동의간음죄를 적용하여 처벌하고, 싱가포르는 형법상 ‘위계 또는 기망으로 성적 행위를 취득하는 행위’로 처벌한다. 호주의 수도 준주는 스텔싱을 범죄화하는 입법을 하였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스텔싱 행위 대하여 민사상 불법행위로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는 입법이 이루어졌다. 우리의 경우 아직 스텔싱을 처벌하는 입법은 없으나, 스텔싱 사건의 가해자에게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이 나오는 등 스텔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스텔싱을 처벌하기 위한 성폭력범죄처벌법 개정안도 발의되어 국회 법사위에 상정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약 스텔싱의 피해자가 미성년자나 심신장애자라면 형법이나 특별법상 위계에 의한 간음으로 처벌될 가능성이 있겠지만, 일반 성인이 피해자인 경우 처벌할 수 없다. 이러한 입법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새로운 입법이 필요하다. 입법론으로는 미성년자나 심신장애자가 대상인 경우 현행 형법과 특별법상 위계에 의한 간음에 스텔싱도 포함시켜 규율하고, 일반성인의 상대의 경우 스텔싱을 포함하여 위계를 유형화하는 제한적인 위계에 의한 간음죄의 신설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위계를 유형화하는 경우 행위의 본질(nature of act)과 사람의 동일성(identity)에 대한 위계와 스텔싱(stealthing)으로 분류하여 제한적으로 위계에 의한 간음죄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판단된다. 개별적으로 유형화하여 입법하는 경우 성폭력처벌법 등 특별법에 규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Stealthing is the act of pretending to use a condom and not actually using it, or damaging or removing the condom during sexual intercourse. Stealthing violates sexual autonomy. Stealthing also exposes victims to the risk of unwanted pregnancies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Sexual autonomy is now a protective legal interest of sexual offenses. Stealthing violates individual’s reproductive autonomy and bodily autonomy. Thus, stealthing needs to be criminalized.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do not criminalize stealthing. On the other hand, in Canada, the UK, Switzerland, Germany and Singapore, stealthing is a crime punishable as a rape or sexual assault. In California, USA, stealthing is a civil unlawful act in its Civil Code. South Korea does not penalize stealthing. However, there is a stealthing case where a Korean district court recognized liability for civil damages. A bill to punish stealthing has also been submitted to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Stealthing is a crime that violates a victim’s sexual autonomy and needs to be criminalized. For the legislation of stealthing, it would be appropriate to classify the fraud and punish stealthing as a crime of rape by fraud. The author of this article suggests a legislation of the crime of rape by fraud by classifying fraud such as fraud in nature of act, fraud in identity and stealthing.

      • KCI등재

        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자아존중감,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문지현(Moon, Ji-Hyun),최소은(Choi, So-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광주광역시와 전남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238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 또는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평등의식의 점수는 3.44점, 자아존중감은 3.58점, 성 의사소통은 3.03점, 성적 자율성은 4.12점 이었다. 성적 자율성은 성평등의식, 자아존중감, 성 의사소통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평등의식(β=.31), 자아존중감(β=.20)과 성 의사소통(β=.11)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총 설명력은 18%이었다(F=13.25, p<.001). 따라서 성 행동을 시작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는 성행동의 단순한 억제 방법 보다는 성평등의식, 자아존중감 및 성 의사소통을 고취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written questionnaire or an online questionnaire for 238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nnam from November 1 to December 28,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gender egalitarianism score was 3.44 points, self-esteem 3.58 points, sexual communication 3.03 points, and sexual autonomy 4.12 points. Sexual autonom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der egalitarianism, self-esteem and sexual communication.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sexual autonomy were gender egalitarianism (β=.31), self-esteem (β=.20) and sexual communication (β=.11). These factors explain 18% of college students’ sexual autonomy. Therefore, when planning a sexual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ho initiate sexual behavio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methods to inspire gender egalitarianism, self-esteem, and sexual communication rather than simple suppression of sexual behavior.

      •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와 성적 자율성 간의 관계 :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김애연,김은실,김혜원,위다희,이경민,조현,정성아,최효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1 이화간호학회지 Vol.- No.4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autonomy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autonomy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400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th to August 5th, 2010. All information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xual knowledge scale, sexual attitude scale and sexual autonomy scale. To avoid bias in sample group, survey was equally distributed to each sex, grade, and major. Results: The sexual knowledg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jor and experience of pornographic contents. The sexual attitud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grade, living arrangement and sexual experience. The sexual autonom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jor, experience in pornographic contents and sexual experience. The sexual knowledg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sexual autonomy and attitude.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e higher sexual knowledge leads to higher autonomy and positive attitude. The positive attitude leads to the higher sexual knowledge and autonomy, as wel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sexual education considering university student's sexual knowledge level and major.

      • KCI등재

        정의론으로서의 성윤리

        김은희(Kim, Eun-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4 No.-

        ‘정의론으로서의 성윤리’의 의미는, 성윤리가 우리의 의지와 별개로 존재하는 어떤 형이상학적, 생물학적 질서의 일부인 이른 바 성의 본질에 대한 존중에 토대를 두기보다 사회 속에서 공존하고 상호작용하는 우리 각자의 의지들 간의 상호 존중에 토대를 둘 필요를 가리킨다. 나는 목적론으로서의 성윤리가 현대사회에 적합한 성윤리 모델이 아니라는 점을 드러내고(2절), ‘정의론으로서의 성윤리’ 개념에 대한 오해를 막고자 몇가지 구분을 한 뒤(3절), 성문제가 일반적인 행위들의 윤리적 문제와 달리 특별한 고려를 필요로 하는지 검토한다(4절). 그리고 ‘정의론으로서의 성윤리’가 핵심 가치로 제시하는 ‘성적 자율성’ 개념을 제시하고 분석할 것이다. 그 동안 ‘자율성’ 개념은 원자론적인 독립적 인격관을 가정한다는 점에서 많은 여성주의자의 비판을 받았다. 나는 이러한 도전을 대응할 수 있도록 ‘성적 자율성’ 개념을 제시한다. 이 개념에 따르면 누군가의 성적 자율성이라는 가치가 훼손되는지 여부는 성행위 자체 뿐 아니라 그 배경이 된 사회구조에 대한 고려 하에 판단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회구조의 영향을 고려한 자율성의 실현에 적합한 정의론의 모델로 롤즈(John Rawls)의 것과 영(Iris Marion Young)의 것을 제안한다. 정의론으로서의 성윤리가 고려하는 사회적 차원은 두 가지 부정의한 유형의 구조를 가리킨다. 하나는 남성들이 여성들을 성적으로 착취하고 수단화하는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성소수자 집단이 대다수 사회성원들로부터 배제, 억압, 무시를 당하는 구조이다. 나는 전자에 대해서는 협력적 상호관계에서의 부정의를 다루는 롤즈적 정의론이, 후자에 대해서 협력에서 배제된 집단과 관련한 부정의를 다루는 영의 정의론이 각각 적합한 이론적 자원으로 도입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5절). My idea of “sexual ethics as justice theory” suggests that sexual ethics should be focused on the mutual respect between two partners who interact sexually or coexist, rather than focused on respect for ‘the nature of sex’, a part of metaphysical or biological order that exists separately from our will. To make it plausible, first, I make a few distinctions to reveal that teleological sexual ethics is not a suitable model for modern society, and to prevent misunderstanding of the idea of ‘sexual ethics as justice theory’, and then review whether the sex issues require special considerations, unlike the ethical issues of unsexual acts. And then I analyze the concept of ‘sexual autonomy’, which is a core value in ‘sexual ethics as justice theory’. Under this concept, whether one’s sexual autonomy is undermined should be judg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structure, as well as the sexual act in itself. I propose that both John Rawls’ and Iris Marion Young’s justice theory as the model of justice theory are suitable for the realization of such a concept of autonomy. The social dimensions considered by ‘the sexual ethics as justice theory’ refer to two types of unjust social structure. One is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in which men sexually exploit women, and the other is the structure in which sexual minorities are excluded and oppressed. I introduce Rawls’s justice theory as a suitable theoretical resource for the former case concerning injustice between two sexually interacting agents, and Young’s justice theory for the latter case concerning injustice of social ex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