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셀프리더십이 안전의식과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경록(Min Kyung Rok),장길상(Jang Gil Sa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기업 및 기관 등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안전의식, 그리고 안전문화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특히 셀프리더십과 안전문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안전의식의 매개역할과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근거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을 살펴보면, 셀프리더십이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안전의식이 매개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기업 및 기관들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32부가 회수 되었고, 그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18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셀프리더십의 자기목표 설정, 자기보상, 자기반성, 자기관찰, 자기상상 요인은 안전의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은 안전문화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셀프리더십의 자기보상, 자기반성, 자기관찰 요인은 안전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셀프리더십과 안전문화 간에 안전의식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자기반성과 안전문화 간의 관계에서 안전의식이 완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자기보상 및 자기관찰과 안전문화 간의 관계에서 안전의식은 부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셀프리더십이 안전의식을 매개로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통합된 연구모형을 처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안전의식과 조직의 안전문화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안전교육과 함께 셀프리더십 교육을 병행 실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의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이를 통해서 조직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culture for organizational members including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 particular, empirical analysis focused on the role of safety awarenes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relation to self-leadership and safety cul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a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were verified. Looking a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self-leadership affects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awareness is used as a parameter in this process. For this study, we surveyed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orking at companies and organizations in Ulsan.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32 copies were collected. Of those, 218 were used for this study except for unsatisfactory respon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24.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Self-fulfillment, self-compensation, self-reflection, self-observation and self-imagination 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onsciousness. Safety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culture. Self-reward, self-reflection, and self-observation 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ultur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role of safety consciousness between self-leadership and safety culture, it was found that safety consciousnes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safety culture,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ward and self-observation and safety culture, safety consciousness was shown to perform partial media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first presented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o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safety culture through safety awareness. In addition,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is suggested that self-leadership education is conducted concurrently with safety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members safety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 KCI등재

        연구실 문화유형이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한진(Han Jin Jo),이황원(Hwang Won Lee),노영희(Young Hee Roh)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실 문화유형을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의 4가지로 구분하고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안전분위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향후 연구실 안전 관련 정책수립과 안전교육 방향성 확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사고 예방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실 문화유형, 안전분위기, 안전행동 간의 영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연구실안전법 적용대상의 연구활동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20개를 회수하고, 최종 364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유형은 모두 연구실 안전분위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유형은 모두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실 안전분위기는 연구실 문화유형이 연구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실 안전분위기 하위요인 중 안전규정과 안전교육은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가 안전행동의 하위요인인 안전순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실 안전분위기 하위요인 중 안전교육과 안전소통은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가 안전행동의 하위요인인 안전참여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연구실 문화의 모든 유형은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분위기는 이들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안전순응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실의 안전규정과 안전교육 강화가 필요하고, 안전참여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실 안전교육과 안전소통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분위기 하위요인 중 안전교육은 모든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관 안전환경관리자와 연구실책임자는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교육이 잘 이수 될 수 있도록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boratory culture types into four types: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safety behavior. Through this, we aim to contribute to preventing accidents that occur in laboratorie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future laboratory safety-related policies and securing safety education directions. To this end, a survey tool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test the influence between laboratory culture typ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argeting people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subject to the Laboratory Safety Act, a total of 420 were collected, and the final 364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Second, the types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behavior of researchers. Third,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aboratory culture type on researchers' safety behavior.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laboratory safety climate, safety regulations and safety education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n safety compliance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safety behavior. Fifth, among the sub-factors of laboratory safety climate,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n safety particip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safety behavior. Summarizing these results, all types of laboratory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behavior of researchers, and safety climat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se relationships. In detail,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increase safety compliance behavior, the laboratory's safety regulations and safet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in order to increase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laboratory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particular, among the safety climate sub-factors, safety education appears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so institutional safety environment managers and laboratory directors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ensure that safety education is successfully completed by those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후보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에 관한 연구

        이종식(Lee Jong Si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2020년 상반기 기준 국내 건설현장에서 2,28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부상자는 2,206명, 사망자는 162명으로 집계되었다. 건설현장은 공사 진행 일정 및 위험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빈도가 높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사망사고의 90% 정도는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건설업에서 바람직한 안전성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안전문화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건설현장의 안전문화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ooper(2000)의 안전문화모델과 Fleming(2000)의 안전문화 성숙모형, 러프버러대학교(1999)의 안전문화평가도구, 홍인기 등(2016)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행동관찰방법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국내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실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 방법을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실무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각각의 영역(환경, 사람, 행동)에 대한 평가는 가능하였다. 하지만 환경영역 평가 결과와 사람영역 평가 결과, 행동영역 평가결과가 각각 다른 형태로 표현되어 평가 대상 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환경영역, 사람영역, 행동영역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동일한 형태로 표현하고 통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first half of 2020, 2,281 safety accidents occurred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e number of injuries caused by this was counted as 2,206 and the number of deaths was counted as 162. At construction sites,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is high because the construction schedule and risks var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bout 90% of death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can be prevented through active manag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expect a desirable safety outcom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o measure and evaluate the safety culture at the construction site must be preceded. In this study, Cooper (2000) s Safety Culture Model, Fleming (2000) s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 Loughborough University s Safety Climate Measurement Toolkit and Hong. I. G. et al. (2016) presente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turity of the safety culture of construction sites using the behavior observation method used in this preceding study, and applied it to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o review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y by applying the safety culture evalua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site suggested in this study to the construction site, it was possible to evaluate each area (environment, people, behavior). However,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nvironmental area, the result of the people area and the result of the behavior area were expressed in different forms, so there was a limit to comprehensively judging the maturity of the safety culture at the site to be evalu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llow-up study on how to express and integrate safety culture maturity in the environmental, people and behavioral areas in the same form.

      • 안전관리 프로그램 분석에 의한 안전문화 Framework 개선방안 연구

        조문택(Jo, Moon Tae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17 안전문화연구 Vol.- No.1

        세월호 침몰사고(2014년), 경주대지진(2016년) 이후 안전관리 향상을 위한 국민적 의식변화와 안전문화 수준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하여 안전문화에 대한 개선된 Framework를 제안하고자 한다. 안전문화 Framework 분석은 선진외국의 안전문화에서는 발전 및 영향요소와 안전 확보 및 평가요소의 프레임이 확인 되었다. 안전관리 프로그램에서는 조직과 구성원에 인식과 역할과 책임, 작업허가에 대한 절차와 약속에 대한 시스템적 프레임이 확인 되었다. 안전문화 Framework 구성제안의 결론은 사전계획 단계에서는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방침과 목표설정, 자원구성, 안전수준조사 프레임이 제안되었다. 운영단계에서는 최고책임자의 리더십과 책무,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 작업환경과 평가, 안전문화 평가, 안전경영검토에 대한 프레임이 제안되었다. Since Sewol-Ho disaster (2014) and Kyung-Ju earthquake (2016),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safety culture level to improve safety management. Thus, we propose an improved framework for safety culture. The analysis of the safety culture framework confirmed the frame of development and impact factors, safety assurance and evaluation factors in advanced foreign safety culture. In the safety culture program, a systematic framework for recognition and roles and responsibilities, procedures and commitments to work permits has been identified for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Baled on the study obtained, Safety culture framework is that the policy, target setting, resource composition, and safety level survey frame for safety culture construction were proposed in the preplanning stage. During the operational phase, a framework for leadership and accountability of top managers,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members, work environment and evaluation, safety culture evaluation, and safety management review were proposed.

      • KCI등재

        서비스업종에서의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김혜리(Hea Lee Kim ),소한섭(Han Sub So),박교식(Kyo Shik Park),김병직(Byung Jick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2

        최근 통계를 살펴보면 산업군 중 서비스업 종사 근로자 수는 2017년 약 11,714천 명을 넘어 2021년 13,825천 명으로 매년 지속적인 증가 추세이며, 제조업 약 4,217천명, 건설업 약 1,651천명으로 산업군 중 서비스업 종사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모별 산업재해 발생률에서는 50인 미만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최근 고용노동부에서 발표된 중대 재해 감축 로드맵은 조직 내 안전의식 및 안전문화 확산 등 기업의 자율적인 안전보건관리 등을 통하여 산업재해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안전문화는 조직 내 근로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안전리더십은 조직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서비스업종에서의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안전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조직 내 안전풍토, 절차, 의식, 태도 등 안전문화와 안전 실천 등의 안전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 하였으며, 50인 이상 사업장과 50인 이하 사업장의 서비스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 중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206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도구에 대한 타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s alpha 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과 주요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 효과 분석을 하였고, 매개 효과의 유의성은 Bootstrapping-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모든 통계 결과의 유의성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리더십은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에 정방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0인 이상과 50인 미만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50인 이상 사업장에서 안전리더십은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으나,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으나 안전행동에는 안전문화라는 매개요인이 작용하여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필요한 연구 및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수의 하위 요인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규모별 서비스업종의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변인을 확인하여 제도적, 단계적으로 안전문화 확산 및 향상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the number of service workers in the industry exceeded 11,714,000 in 2017 to 13,825,000 in 2021, with about 4,217,000 in manufacturing and 1,651,000 in construction, the largest number of service workers in the industry.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incidence of industrial accidents by size is the highest among those with less than 50 employees. The roadmap for reducing serious accidents recentl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im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autonomou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companies, such as the spread of safety awareness and safety culture within the organiz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the role of workers in the organization is important for the organization's safety culture, and safety leadership affects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how safety leadership in the service sector affects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Safety leadership i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206 workers in the service sector at workplaces with more than 50 employees and workplaces with less than 50 employees were examined to determine how it affects safety behavior, such as well as procedures, consciousness, and attitud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cure compat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and the Cronbach's alpha value was derived.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 and major variable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the Bootstrapping-test. The significance of all statistical results was based on 0.05. As a result of the study, safety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forward effect on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but more than 50 people and less than 50 people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other words, safety leadership directly affected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in workplaces with more than 50 employees, but safety leadership directly affected safety culture in workplaces with less than 50 employees.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and policy suggestions necessary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a detailed study on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i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dditional variables that affect the safety culture of the service industry by size and prepare measures to spread and improve the safety culture in institutional and step-by-step ways.

      • KCI등재

        안전문화가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원종(Won Jong Lee),이슬기(Seul Ki Lee)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3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증가는 안전사고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국내의 신규 인력의 유입이 매우 저조하여 무조건 배척하기 쉽지 않다. 이에 최근 고령 근로자 및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참여행동을 향상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안전문화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안전문화와 안전참여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에 따른 안전문화요소가 안전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모형을 검증은 IBM SPSS Statistics 28 통계분석 패키지를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전문화와 안전참여행동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안전문화가 안전참여 행동을 약 7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문화를 구성하는 경영진 리더십, 작업반장 리더십, 교육 및 제도, 작업환경, 의사소통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령 근로자의 근무비율은 안전문화요인들과 안전참여 행동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은 조절효과뿐만 아니라 안전참여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작업반장 리더십’과 ‘작업환경‘ 가 유의미했는데, 작업반장 리더십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이 높을수록 안전참여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상승되는 정도가 크며, ‘작업환경’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이 높을수록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상승되는 정도가 작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안전문화가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n increase in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is likely to lead to an increase in safety accidents, but it is not easy to exclude them unconditionally as the inflow of new domestic workers is very low. Accordingly, interest in the safety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has recently increase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efforts to reduce safety accidents customized for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safety cultur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afety participation movement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the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s was analyzed through an adjustment regression analysis.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safety culture factors on safety participation action according to the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was investiga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uty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8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afety culture explained about 72% of safety participation action. All of the sub-factors (leadership of top management, Leadership of Lead Framer, Education and System, Work Environment, Communication) that constitute safety cultur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2)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orking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 working ratio of elderly workers had no effect of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factors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foreign worker duty ratio had a direct effect on safety participation action as well as a moderating effect. In particular, ‘Leadership of Lead Framer’ and ‘Work Environment’ were meaningful. As for 'Leadership of Lead Framer', the higher the ratio of foreign workers, the higher the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participation movement. In ‘Work Environment’, the higher the ratio of foreign workers, the lower the degree to which the positive effect on safety participation action increas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impact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participation action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and to propose a new approach to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 KCI등재후보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의 윤리의식,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Park Jeong Mee),강경숙(Kang Kyung Soo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 양질의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조사 연구로서 연구목적은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를 대상으로 윤리의식,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와 각 변수들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들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과 J도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와 요양보호사 16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1.0 통계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윤리의식은 5점 만점에 4.27점,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3.95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4.3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환자안전관리 활동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 검증 결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하위요인인 조직시스템, 직무태도, 관리활동, 일반적 특성 중 현 시설에서의 근무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68.4%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대상자가 지각한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자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주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을 돌보는 대상자의 안전관리 서비스의 질 평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대상자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 활동 및 환자안전문화 인식 고양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ical awareness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a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166 nursing assistants and care givers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among those who were work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subjects scored an average of 4.27 points on awareness of ethics, an average of 3.95 points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an average of 4.31 point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verage daily work hours. The subjects awareness of ethics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actors having the most effect on the subjec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d organization system, job attitude and management activities, all of which we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employment years at the current facility,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se variable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68.4 %. In summary, this study found that care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major effec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Consequently, education program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relation to employment years, organizational systems, job attitude and management activities.

      • KCI등재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불안전한 행동이 안전보건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성훈(Sung Hoon Choi),최서연(Seo Yeon Choi),권순일(Soon Il Kwon),복진설(Jin Seol Pok)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이며, 근로자가 참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사항으로 사업주의 의무이다. 사업장에서 안전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현장의 작동성으로 연결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교육의 실태 파악과 안전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불안전한 행동이 안전보건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안전보건교육의 효과 검증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 활용의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12월까지 제조업 사업장 150여 개소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300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 문항은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하는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2015)와 안전관리컨설팅기관의 위험성평가에서 활용하는 문항의 일부를 본 연구에 맞도록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로자들은 안전보건교육의 실시 의무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며, 안전보건교육 중 정기안전보건교육의 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전교육의 경험자는 관리나 감독의 부적절, 작업 중 과실, 무리한 행위 및 동작, 설비 및 기구 사용의 부적절, 불안전한 작업 수행, 무리한 작업이 안전보건문화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미경험자는 관리나 감독의 부적절이 안전보건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불안전한 행동의 인식은 교육을 통하여 형성되고 안전보건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안전보건교육의 사업장 내 활성화를 통하여 현장작동성으로 연결되고 안전보건문화 형성의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며, 안전보건교육의 현실화와 지속적인 수행 방안에 대한 관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the workplace is an important way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and is a basic matter in which workers can participate, and is the employer's obligation. Although the importance of safety training in the workplace is recognized, there is much controversy about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on-site operabil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determine the impact of unsafe behavior on safety and health culture according to safety and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t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using basic data to verify and activat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workers at about 150 manufacturing plants from August to December 2022, and 300 people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survey questions were designed to fit the study using questions used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end Survey(2015) conduc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and the risk assessment of safety management consulting organiz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workers were aware of the obligation to provid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regula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as the highest among safety education. Those who experienced safety education showed that inappropriate management or supervision, negligence during work, unreasonable actions and movements, inappropriate use of equipment and tools, unsafe work performance, and unreasonable work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safety and health culture. For inexperienced people, inadequate management or supervision appeared to affect safety and health cultur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wareness of unsafe behavior is formed through education and is a factor that influences safety and health cul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form a safety and health culture by linking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o activation within the workplace and field operability. In addition, it seems that more management is needed to mak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 reality and continuously implement it.

      • RISS 인기논문 KCI등재후보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Kim Ji Won),이은주(Lee Eun Joo)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1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간호사의 안전한 간호활동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한 ,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는 U광역시 종합병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24.0 Program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사후분석, Duncan 사후분석,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의 총점은 5점 만점에 평균 3.39점이며, 조직의사소통만족은 3.23점, 안전간호활동은 4.13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 및 안전간호활동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조직적 특성은 안전위원회, 안전캠페인 경험, 안전교육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조직의사소통만족, 안전간호활동 간에는 Pearson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양의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 결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설명력은 26.3%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하였다. 그리고 조직의사소통만족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더 노력해야할 항목이며,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을 개선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안전위원회 구성, 안전위원회에서 활동해야 할 영역으로 가장 기본적인 안전캠페인과 안전교육, 그리고 안전간호활동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의료기관의 제도적 도입으로 자체적인 안전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study is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safe care activities, thereby providing baseline data for the prevention of work accidents and promotion and management of nurses’ safe care activities. In this regard, it examined 159 subjects, who comprehe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it, from among regular nurses who had been providing direct care to patients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for six months or longer.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post-hoc test, Duncan post-hoc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the SPSS/WIN Ver. 24.0 Program.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hospital nurse scored 3.39 for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3.23 fo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4.13 for safe care activities. Secondly, gener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commonly affect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 car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the presence of a safety committee, experience of a safety promotion campaign, and safety education. Thirdly, Pearson s correlations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 care activities. Fourthly, the multiple regression found that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could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 care activities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26.3%. Moreover, a safety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committee must provide a safety promotion campaign and education.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governmental policy efforts as well as institutional measures at the level of medial organizations for safe care activities in order for them to develop an effective safety educational program on their own.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중 기계, 기구 및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예방 개선 방향 연구

        주승규(Ju Seung Kyu),김승호(Kim Seung Ho)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19 안전문화연구 Vol.- No.5

        산업안전보건법은 1981년 12월 제정된 이후 1990년 1월 전면 개정하였고, 28년만인 2018년 10월에 전면 개정 공포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법 제1조). 법에서 요구하는 세부 사항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그 중 제2편 안전기준, 제1장 기계, 기구 및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예방에 관한 사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은 관련 법령, 문헌의 조사 및 검토, 현재 제조업 및 건설업 안전관계자의 인터뷰 등으로 수행 하였다. 연구결과, 용어의 개념 정리, 강풍에 의한 양중기 안전, 차량계 건설기계 헤드가드, 경사로 미끄럼 방지 조치, 울, 덮개 설치 기준에서 개선사항을 확인 하였다. 개선 사항은 법 적용에 있어, 수검자는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지 않으면 강제성이 있는 법의 특성상 죄형법정주의 명확성의 원칙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법 적용의 다툼이 있을 수 있고, 사업장 안전관리에 혼선과 불신이 초래된다. 타법과의 형평성 있는 적용 및 이에 대한 개선으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은 명확하고,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법 개정이 필요하다. Since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was enacted in December 1981, it has been completely revised in January 1990 and promulgated in October 2018, which is 28 years old. The purpose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is to maintain and promote the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who provide labor by establishing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and clarifying the cause of their responsibilities, thereby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and creating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Article 1 of the Act). The details required by the Act are detailed in the Regulation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of which Part 2, Safety Standards, Chapter 1, Machinery, Equipment, and Hazard Prevention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and reviewing related laws and documents, and interviewing the safety officials of the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safety author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rovement was confirmed in concept of terminology, middle and long term safety by strong wind, head guards of construction equipment for vehicles, slip prevention measures for ramps, and wool and cover installation standards. In the case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in case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unless the specific standard is provided, the principle of clarity of the criminal statutory principle can not be guaranteed due to the nature of the compulsory law, so there may be a dispute on the application of the law, do. As a result of equitable application with other laws and improvements,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ules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to be clear and rel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