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조 왕건 친제<SUB>親製</SUB>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정성권(丁晟權)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1

        원주 흥법사지에는 진공대사 충담의 탑비가 있다. 진공대사는 921년 태조 왕건으로부터 왕사에 임명되었으며 흥법사에서 주석하다 940년 입적하였다. 입적 직후 승탑과 탑비가 조성되었다. 탑비는 941년 건립되었고 태조 왕건이 직접 비문을 작성하였다. 태조 왕건시기 비문이 작성되거나 건립된 탑비는 모두 11개이다. 이 중 유독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만 태조 왕건이 친제하였다. 기존의 학설은 그 이유를 진공대사 충담이 심희의 제자였다는 점에서 찾고 있다. 즉 심희로 대표되는 신라 불교의 정통성이 고려로 계승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태조 왕건이 충담비의 비문을 직접 작성했다는 것이다. 이 글은 기존의 학설 이외에 진공대사 탑비가 새로운 통일왕조 고려의 등장을 신라의 유민들에게 알리고자 건립된 기념물의 성격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진공대사 탑비 비문과 비슷한 시기(940)에 작성된 「개태사화엄법회소」 와 동시기에 건립된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탑비가 위치한 흥법사가 강원도나 경상도쪽의 구 신라 유민들이 개경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되는 병목과 같은 교통의 요지였음을 밝혔다. The Stele of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s located in Heungbeopsa temple site in Wonju city. It was erected in 941. Kign Taejo, the First King of Goryeo Dynasty reconstructed the Zen Buddhist Heungbeopsa temple for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t was his wish to educate the people in the way of Zen, and along whith the neighboring Geodonsa Temple in Wonju and Godalsa Temple in Yeoju Heungbeopsa temple played a signigicant role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Jingongdaesa returned from studying in China and became the royal monk to King Taejo. It is said that when Jingongdaesa entered Nirvana in 940, King Taejo wrote the epitaph himself. The epitaph is an abstract from writings of King Taejong from the Taeng dynasty of China and carved onto the monument in the character style of Wang Huiji. The original monument was damaged, and the body of it including the stone coffin containing the ashes of Saint Jingongdaesa was moved to the National Museum in Seoul. The construction style is indicative of the ambitious spirit of the people at the beginning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To explain that why King Taejo wrote the epitaph by himself, this article study about the stone Buddha triad image at Gaetaesa that was built in 940. The Gaetaesa stone Buddha was made in the site that the Later pakje’s King surrender to Kign Taejo. In other words, the stone Buddha triad image was built in the historical and symbolic site that Wnag Geon finally achived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In the same reason King Tajon built The Stele of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n Heungbeopsa temple. Because Heungbeopsa temple is a major transportation point, It was a perfect place to propagate of new country-Goryeo Dynasty-newly built.

      • KCI등재

        엣지 컴퓨팅과 차량: 미래를 위한 기회와 도전

        정성아 한국통신학회 202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6 No.5

        With the rapid increase of various applications that require the high computation resources, the edge computing has been recently considered as means to efficiently execute these applications. In order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edge computing, the ground vehicles or Unmmaned Aerial Vehicles (UAVs) have been employed. In this paper, two representative types of vehicle-based edge computing system are investigated such as Vehicular Edge Computing (VEC) and Mobile Edge Computing (MEC). In VEC systems, the VEC nodes, i.e., road side unit (RSUs), help to improve the high-complexity vehicular services and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battery-limited vehicles via offloadling. In MEC systems, a UAV-mounted cloudlet is adopted to offer the computation offloading opportunities to mobile devices with the limited local processing capabilities. For both systems, since the energy-limited vehicles for VEC and mobile devices for MEC are required the high computation capabilities, leading the high energy consumption, we aim at minimizing their total energy consumption by offloading to RSU or UAV-mounted cloudlet, respectively. To this end, both orthogonal an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are explored, whose optimal solutions are addressed by jointly optimizing the bit allocation and offloading for VEC, and the bit allocation, offloading and UAV trajectory for MEC. 최근 5G/6G 등장과 함께 높은 컴퓨팅 능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급증함에 따라, 한정된 처리 기능을 가진 사용자 기기에게 컴퓨팅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엣지 컴퓨팅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사용자 기기에 가까이 엣지 노드를 설치하여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엣지 컴퓨팅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동성이 자유로운 지상 차량 또는 무인 항공기 (UAV: Unmmaned Aerial Vehicle)와 같은 항공 차량들이 함께 고려되어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을 고려한 대표적인 두 가지 엣지 컴퓨팅 시나리오, 차량 엣지 컴퓨팅 (VEC: Vehicular Edge Computing) 시스템과 모바일 엣지 컴퓨팅 (MEC: Mobile Edge Computing) 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차량 엣지 컴퓨팅 시스템은 오프로딩 기기가 차량인 시스템으로써, 오프로딩을 제공하는 엣지 노드, 즉 RSU (Road Side Unit)가 차량의 높은 컴퓨팅 능력을 요구하는 차량 서비스의 원활한 지원을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 엣지 시스템에서는 무인 항공기에 장착된 클라우드렛 (cloudlet)을고려하여, 제한된 로컬 처리 기능을 가진 모바일 장치에 오프로딩을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연구한다. 두 시스템 모두 한정된 배터리 기기, 즉 VEC 용 차량과 MEC용 모바일 기기가 높은 계산 능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함에 따라, 많은 양의 에너지 소모를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RSU 또는 무인 항공기에 장착된 클라우드렛을 고려하여, 차량 혹은 모바일 기기의 총 에너지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최적의 엣지 컴퓨팅 시스템을 연구한다. 제안 기술의 실용성을 높이고자, 직교 다중 접속 방식과 비직교 다중 접속 방식 모두를 고려하여, VEC향 최적의 비트 할당 및 오프 로딩 기술과 MEC향 최적의 비트 할당과 오프로딩디자인 및 무인 항공기 궤적 기술을 연구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로컬 컴퓨팅 대비, 차량과 모바일 장치의상당한 에너지 절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다양한 미래 엣지 컴퓨팅 기반 시스템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부산국제영화제의 마케팅과 활성화를 위한 축제의 현재와 미래적 방향에 관한 연구

        정성아,주동완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5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4 No.2

        Today, culture is being recognized as a new form of industry beyond the simple concept of leisure through the arts. In fact, culture is being spotlighted as a leading industry of the 21st century and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types of fiel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In particular, among other cultural industries, the video production industry produces the most attractive and comprehensive contents. Within the many facets of the video production industry, film, the original and largest type of video contents, is one of the most vital industries. The film industry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video production world through activating the local economies in a variety of other industries and expanding its range to form effects beyond economic interests, such as enhancing the perceived images of cities and countries. Among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held in Korea,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is a prime example of a regional Global Film Festival that has seen international success. Since 1996, when BIFF started, Busan has been reconfigured with the image of a film city. In 2013, the Korean Film Council and many film studios, including enterprise key agencies and film-related sectors of the film industry, moved to Busan. Since then, the local economy of Busan has noticeably been enhanced due to BIFF. BIFF has now become an important, intangible asset that is not just a regional event, but also a factor of the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nomy of the entire region. It has effectively established Busan s cultural image and heightened its self-esteem and identity. Therefore, a sober assessment of the success of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imperative. Through this assessment, this study will evaluate BIFF as a local festival for the marketing and activation and examine the future possibilities. In doing so, reviewing the former studies is crucial and will allow BIFF to be analyz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 KCI등재

        조사시찰단의 보고로 본 1880년 조선의 수출입 통계

        정성일(鄭成一)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8 No.-

        이 글은 1880년 조선의 수출입 통계에 관한 것이다. 첫째, 분석 자료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한 사람으로 일본을 다녀온 이헌영(李헌永)의 보고 자료이다. 다른 하나는 일본 대장성(大藏省)이 발간한 일본의 조선무역 자료이다. 둘째, 분석 대상은 1880년 한 해 동안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 이루어졌던 무역 실적이다. 이 분석을 통해서 조선의 해관(海關) 설치와 각국에 대한 개항이 본격화되기 전인 1880년 조선의 수출입 실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한 점이 이 논문의 특징이다. This paper verifies the statistics of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1880. First, the materials for analysis are two. One is the set of reports by Lee Heon-Yeong who visited Japan as a member of Korean Embassy to Japan in 1881. The other materials are the foreign trade reports publish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Finance in 1881. Second,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performance of trade between the two nations for one year.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1880 were grasped through analyses of the trade materials reported by Lee Heong-Yeong and the Japanese Ministry of Finance in 1881.

      • KCI등재

        도덕과 수업에서의 쿠레레(Currere) 방법의 적용

        정성아,김대현 한국도덕교육학회 2007 道德敎育硏究 Vol.18 No.2

        도덕과 교육은 학생들의 삶 속에서 바람직한 도덕성 함양과 그 실천을 목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삶과 경험이 소외되어 있는 현행 도덕과 교육과 수업이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에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쿠레레(currere) 방법을 도덕과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연구의 결과, 쿠레레 방법은 학생들의 삶과 경험이 중심이 되는 도덕 수업, 열린 마음으로 타자와 함께 하는 도덕수업, 도덕적 앎이 삶으로 연결되는 도덕수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덕성의 인지, 정서, 행동의 통합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도덕교육의 방법론적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urrere', suggested by Pinar and Grumet as a methodological model of curriculum reconceptualization, by applying it in moral educa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and instruction in Korea. The developed procedures were applied in the middle school moral education with ten classes of 7th grade for two periods in a week, totally eight periods in each class, an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were done through the autobiographical writing.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in moral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a moral education in which life and experience become the focus. In 'Currere' method, students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their lives and experience. Second, a moral education in which students encounter with others with open mind. Third, a moral education in which knowing and doing got into one. The application of 'Currere' method in moral education had an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could work out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by making students' lives and experience the focus of moral education, trying to integrative development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n morality.

      • KCI등재
      • KCI등재

        1860년대 對日貿易과 公木 · 公作米

        정성일(鄭成一)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4 No.-

        조선 정부는 공무역(公貿易)에서 일본이 가져온 물품에 대하여 15세기 초부터 면포 즉 공목(公木)으로 결제해 주기 시작했다. 17세기 중엽~19세기 중엽에는 공목의 일부를 쌀로 바꾸어 지급했는데 그것을 공작미(公作米)라 불렀다. 왜관을 통해 대마도로 건너간 조선의 공목과 공작미는 일본 대마도 경제의 기초를 이루었다. 이 글에서는 1860년대 공목과 공작미 문제를 분석하였다. 1862년에는 조선의 공무역 담당자가 실제로는 미지급된 공목과 공작미가 남아 있었는데도, 그들이 마치 왜관에 완납을 한 것으로 중앙정부에 보고한 적이 있었다. 그들의 상대편인 왜관의 일본 측 공무역 담당자들은 공목과 공작미를 완납 받기 위하여 온갖 노력을 다했다. 1864년에는 왜관의 일본인들이 왜관으로 들어간 조선 역관을 왜관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했다. 그런가 하면 그들이 왜관 밖에 있던 조선 역관의 근무지인 임소(任所)까지 찾아와서 그곳에서 철야를 하다가 다시 왜관으로 돌아가는 일도 있었다. 이것은 공목과 공작미 지급이 근대 이전의 대일무역 뿐만 아니라 대일외교에서도 중요한 문제였음을 의미한다. The Joseon Korea government paid cotton cloth (gongmok) in the official trade with Japanese traders for their exports from Japan in the fifteenth century. Later, from the mid-seventeenth century to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Joseon government converted some of the cotton cloth into rice (gong jakmi). The cotton cloth and rice transported to Tsushima from Joseon became the foundation of Tsushima’s economy. The problems relating to cotton cloth and rice are analyzed in this paper. Korean trade officials reported untruthfully that they had paid in full to Japan, though, in fact, there was cotton cloth and rice that had not been paid to the Japan House (Waegwan) in 1862. However, Japanese trade officials (daikan) made greater efforts to receive the full payment of cotton cloth and rice from the Joseon government. For example, Japanese trade officials prevented Korean trade officials from leaving the Japan House in 1864. In addition, Japanese trade officials visited and stayed all night in the office (imso) of the Korean interpreters of Japanese language (hundo and byeolcha), and returned to the Japan House the next day. This is evidence that the payments of cotton cloth and rice could be an economic or a diplomatic problem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pre-moder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倭館 開市 때 제공된 日本料理 기록의 비교(1705년, 1864년)

        정성일(鄭成一)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2 No.-

        이 글은 왜관의 일본인들이 작성한 매일기(每日記)를 바탕으로 개시(開市) 때 조선인에게 제공된 일본 요리를 분석한 것이다. ㉠ 왜관의 개시요리 기록은 1705년부터 체계적으로 정리되기 시작하여 19세기 중엽까지 그것이 이어졌다. ㉡ 조선 역관과 도중(都中)에게는 밥 이외에 국 한 가지와 반찬 세 가지 즉 1즙 3채가(初市는 2즙 5채), 그리고 그들의 종자[수행원]에게는 1즙 1채가 기본이었다. ㉢ 개시요리는 계절마다 쓰이는 재료가 달랐지만, 무처럼 철에 관계없이 연중 고르게 사용되는 재료도 있었다. ㉣ 고정 메뉴인 밥과 국 이외에, 반찬으로는 조림이 가장 많이 제공되었고 그 다음이 무침이었으며, 생선회도 가끔씩 나왔다. 왜관의 일본인들이 조선측 관계자에게 김치를 반찬으로 내놓는 일도 드물게나마 있었다. ㉤ 통신사 일행에게 제공된 향응요리에 비하면 왜관 개시요리의 종류와 내용이 간소하였지만, 개시요리는 왜관 거주 일본인의 일상적인 식생활 문화가 반영된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clarified some fact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foods of Japanese style supplied for private trade[Gaeshi in K.] between Joseon and Japan, using the daily records by the trade authority of Tsushima domain, Ichidaikan in Japanese. First, the Japanese foods supplied during the time of trades was to be recorded from 1705 to the middle of 19th century at the Japan House, directed by Tsushima domain. Second, rice, soup and three kinds of side dish were supplied to Korean translators[Hundo and Byeolcha in K.] and merchants[Dojung in K.], and one soup and two kinds of side dish added for them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first trade in the every year. But only one soup and one side dish were supplied, in addition to rice, to their encourages each time of trade. Third, the foods supplied during the time of trades were differed by seasons. But there were some vegetables used as usual as white radish. Fourth, adding to rice and soup, the foods boiled were most common, and the next was the foods seasoned. Gimisui[Gimchi in K.] was supplied for Korean translators and merchants infrequently. Fifth, the Japanese foods supplied during the time of trades were more simple than the foods for Korean Diplomatic Envoys to Japan. But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Japanese food cultures of daily life at the Japan House was reflected in the foods for the tra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