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과제를 활용한 정신장애인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 역량강화와 증상에 관한 훈련효과를 중심으로

        이용표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이 사회기술훈련으로 습득한 기술을 실제생활에 일반화하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장과제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이 정신장애인의 역량강화와 증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정신장애인 재활의 근본적인 문제를 병의 경험에 의한 사회적 소외가 인간의 내적 기재를 관통하면서 생성된 무기력이라고 보는 역량강화 이론의 관점에서, 행동주의 사회기술훈련에 실제 일상환경에서의 훈련이라는 역량강화 요소를 결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시 말하면, 역량강화의 관점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사회기술의 부족을 무기력 현상인 자신감의 결여로 파악하며, 사회기술훈련의 요소에 자신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제 생활에서의 성취경험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를 중요한 훈련요소로 사회기술훈련에 통합시킨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은 현장과제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집단 16명, 비교집단인 행동주의 사회기술훈련집단 11명 등 총 27명으로 구성하였으며, 훈련효과의 검증을 위해서 양 집단에 대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검증하는 비동일 통제집단비교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장과제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은 행동주의 사회기술훈련보다 역량강화와 자신감 증진(p<.10 수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신병리상의 우울증상 완화에도 효과적인 것(p<.10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증상을 독립변수로 하여 사회적 기능을 설명하는 전통적 정신장애인 재활모형의 제한점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재활모형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 정신보건프로그램의 실천에서 지역사회가 단지 장소의 이동이라는 의미을 넘어, 그것을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 for person with mentally illness on empowerment and symptom. Two group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consisting of a total of 27 person with a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of 11, and a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s group of 16. The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s aimed for enhancing a level of empowerment. The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ke tasks aimed for enhancing a level of empower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s with mentally illness who had completed the program of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ir empowerment and self-efficacy in comparison with the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Second, persons with mentally illness who had completed the program of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 significantly were alleviated in their psychiatric symptom in comparison with the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re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is not a symptom but a empowerment.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한은선,안동현,이양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1

        목적 :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아동들은 또래관계를 영위하는데 필요한 것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기술에 결함을 보인다. 이들의 치료에 약물치료를 포함한 부모훈련, 교육적 접근 등이 필요하지만 이와 함께 이들에 대한 사회기술훈련이 시도되고 있다. 이들에게서 사회기술훈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방법 : ADHD로 진단 받은 초등학교 아동 5명과 그들의 부모 5명을 대상으로 Pfiffner와 McBurnett이 제안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사회기술, 문제행동,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 프로그램 만족도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 교사와 부모가 평가한 내용이 다소 달랐는데, 교사는 사회기술과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에서, 부모는 문제행동의 감소에서 유의미한 호전을 보고하였다. 부모들은 양육태도에서는 별 변화가 없었지만 양육스트레스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고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는 상당히 높았다. 결론 : ADHD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은 최근에, 주로 보조적이거나 매우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상당히 많은 아동들이 사회기술의 결함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통합적 접근에서 이들의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중심단어 :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ㆍ사회기술훈련ㆍ일반화. Objectives : The children with ADHD have some deficits in social skills including the peer relationship.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to teaching social skills to children with ADHD, and many are combined in comprehensive programs to maximize treatment effects. We conducted this study to explore the direct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pplied to children with ADHD. Method : Five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diagnosed to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Y elementary school survey participated to the study. We performed the 8- session program with the modified the Pfiffner and McBurnett's program(1997), and assessed the social skills, problem behaviors, peer acceptance,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stress. Results : Parent's reports were some different from teacher's reports ; teacher reported improvement in social skills and peer acceptance, but parent notified decrement in problem behaviors. And also, there were no changes in maternal behaviors, but significant reducing effects in parenting stress. Conclusion : The stimulants are mainstream in treatment of children with ADHD.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are combined in comprehensive treatment programs in children with ADHD to maximize treatment effects. KEY WORDS : ADHD ㆍ Social skill training ㆍ Generalization.

      • KCI등재후보

        부모 상담을 병행한 사회적 기술 훈련이 사회적 기술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서윤 ( Suh Yoon Choi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2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부모 상담을 병행한 사회적 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사회적 기술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E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연구소에 내방한 초등학교 저학년 남아 5명이었다.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주 1회 90분씩, 아동 집단 60분 및 부모 상담 30분씩 총 2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관계 형성 기술, 대인 관계 기술, 감정 인식 및 표현 기술, 사회기술 유지 기술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 대상 아동들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사후 검사 도구는 SSRS 부모용과 교사용, 자기 효능감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비모수적 통계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0.0 평가판의 Wilcoxon`s signed ranked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부모 상담을 병행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켰다. 둘째, 부모 상담을 병행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켰다. 셋째, 부모 상담을 병행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행동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수사례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나, 부모 상담을 병행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사회적 기술과 자기 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was a study into a training program for social skills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using parent counsel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first through second year in Anyang city. The subjects were 5 boys and they visited the E counseling center on a voluntary basi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ook place over a total of 20 sessions-each, with each session lasting 90 minutes, and the sessions taking place once a week.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relationship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feeling skills and training in the maintenance of social skills. This study made use of both the SSRS (Parent and Teacher form) and Self-Efficacy scale for pre and post test analysis. The data were processed by means of the SPSS 20.0 evaluation. A nonparametric test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Moreover,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s analyzed by means of Wilcoxon`s signed ranks test.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using parent counseling was successful in improving children`s social skills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program was also successful in bringing about positive changes to the social skills behavior in the subjects over the course of the sessions.

      • 정신장애인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 개발

        김은희,이봉건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08 사회과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중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를 대상으로 얼굴표정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충북에 소재한 '갑' 복귀시설, '을' 보건소와 '병' 보건소에 출석하고 있는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 23명으로서, 이들을 대상으로 재활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사회기능과 대인관계 변화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도구는 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평가 척도(한국판 BASIS-32)와 대인관계 변화 척도(RCS)를 사용하였다. 얼굴표정 동영상은 20대, 30대, 40대 일반인 남녀 6명을 모델로 하여 기쁨, 슬픔, 놀람, 분노, 두려움, 혐오에 해당하는 얼굴표정을 짓게 한 후 이를 녹화한 것이었다. 처치 집단은 얼굴표정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 집단, 동영상을 사용하지 않은 사회성기술훈련 집단, 통제집단의 세 집단으로서, 각 집단에는 매주 1회씩 8주간에 걸처 해당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가설은 얼굴표정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 집단이 사회성기술훈련 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서 처치 후 사회기능과 대인관계가 향상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자료 분석은 처치 전의 집단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량으로 하고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기능의 총 점수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기능의 하위척도인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상으로는 예언한 대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의 총 점수에서는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의 하위척도 중 친근감과 이해성에서만 예언한 대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장차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이질성을 감안하여 참여자의 수효를 늘리고, 장애의 만성적 상태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회기도 늘리며, 보다 민감한 척도를 사용할 것이 시사된다.

      • KCI등재

        조망적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조현병병 환자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검증

        방원우,백용매 한국재활심리학회 2012 재활심리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조현병 환자의 사회기술과 마음추론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조현병 환자 중 알콜문제와 정신지체, 성격장애 등 공존질환이 없는 환자들을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7명으로 배정하고 매주 1회씩 60분간 13주에 걸쳐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을 실시한 후 두 집단 간의 사회기술척도와 마음이론과제를 적용하여 사회성과 마음이론 향상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조현병 환자의 경청하기, 말하기, 듣기, 거절하기, 도움구하기 등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을 받은 조현병 환자들은 만화와 같은 비언어적 매체를 활용한 과제에서 타인에 대한 이해와 의도추론, 정서추론과 같은 비언어적 마음이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망적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조현병 환자들은 언어적 과제인 틀린 믿음 이야기와 숨은 의도 이야기과제에서 타인의 관점과 의도, 정서추론과 같은 마음이론을 언어적으로 파악하고 조망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은 조현병 환자의 사회적 기술과 언어적, 비언어적 마음이론을 향상시켰지만 향상의 정도는 크지 않았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보다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의미하는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기관리기술을 적용한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이 지적장애 학생의 POS기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이수정,김진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4

        Community-based job training(CBJT) is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applying specifically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in the contexts of communities as utilizing community-centered teaching techniques. Self-management skills help students develope the ability to exercise and control their own actions as independently as possible through establish and execute goals to manage their own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job training program with self-management skills on POS(Point Of Sales) skills which were essential for sales work and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skill about goal performance in community-based job training. This study applied a multiple probe intermittent baseline design for POS skills interventions on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tage for a high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a special class of a general school. The visual data analysis showed the independent performance rate and the execution speed according to the task analysis based on self-check, self-assessment, self-planning and decision making, and selfreinforc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based job training applied self-management technology was effective in acquiring and maintaining job skills in cash calculation, card calculation, and bus card filling, POS technology. Second, self-management skills in community-centered vocational training were very effective to reduction of job performance time. In particular, the reduction of job performance time by self-planning and self-determination led to internal motivation that the subject can do better in the next session due to the sense of accomplishment. 자기관리기술을 적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는 직무훈련을 위한 지역사회 중재 현장에서 자기관리기술을 즉각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으로 중재 성과 또한 중재현장에서 자신의 직무실행을 바로 확인함으로써 연구대상자의 직무습득을 위한 내적 동기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기관리 기술을 적용한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이 모든 판매 직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POS기(Point of Sale기계: 상점에서 돈을 계산하고 영수증을 발행하는데 사용하는 기계)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와 함께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에서의 자기관리기술이 목표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함께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적장애 남학생 한명을 대상으로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에 따라 행동간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고 지역사회 중재환경과 교육실 중재환경에서 한 회기 마다 POS기 직무기술과 자기관리기술에 대한 중재를 모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관리기술을 적용한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은 POS기 직무기술 습득과 유지에 효과적이었고 둘째,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에서의 자기관리기술은 목표기술의 유지 및 수행시간 단축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적동기 형성에도 효과적인 자기관리기술을 적용한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적용되어야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한 학급 단위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경묵(Park Kyoung Mook),서보윤(Seo Bo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회적 기술 척도 및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자기주장, 자기억제, 공감, 적극성, 이타성의 다섯 가지 사회적 기술을 중점적으로 훈련시킬 내용으로 선정하였으며, 초등학교에서 학급단위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였다. 실험집단으로는 초등학교 4, 5학년 각각 1개 학급 총 62명(남자 37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 역시 학년별 동일한 학급수로 편성하여 총 62명(남자 33명, 여자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시 기간은 1주일에 1-2회씩 8주 동안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각 회기에 지속시간은 40분이다. 수집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공분산분석(ANC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참여하지 않은 아동보다 자기주장, 공감, 이타성, 적극성, 자기억제의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다. The present study focused upon attempts to develop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o enhance students sociabilit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used several kinds of interaction methods such as instruction, modeling, rehearsal, feedback, and positive reinforcemen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social skills based on specific social situations such as self-assert, self-control, empathy, positive communication and altru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4 Korean students(Male: 70, Female: 54) in Pohang of grades 4 to 5 in an elementary school. 62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62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ocial training program for 40 minutes per day twice a week during 12 session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Several ANCOVA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Students Sociability Improvement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students sociability. The findings will provide a guideline for teachers to understand what is important in students social development and how to utilize effective methods for improving students sociability. « Key Words : social skills,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언어기술 변화가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공격성 및 사회적 기술을 중심으로

        김윤희 ( Yun-hee Kim ),박성옥 ( Sung-ok Park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4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아동과의 언어기술에 대한 조력훈련을 실시한 사례연구이다. 상담학적 관점에서 언어기술에 대한 조력훈련을 사회복지사에게 실시하고, 사회복지사의 언어기술 변화가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언어기술 변화가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공격적인 아동과의 의사소통 문제를 호소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사와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아동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맨 휘트니 U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추후 검사는 대응표본 t 검증으로 알아보았다. 언어기술에 대한 조력훈련은 총 10주 동안 사회복지사와 아동의 집단활동 이후 매회기별로 진행되었다. 10회의 집단활동에서 보인 사회복지사의 언어기술을 분석하여 연구자가 10회의 조력훈련을 실시하였다. 아동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공격성과 사회적 기술의 변화를 사전, 사후 검사, 행동관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사의 언어기술이 조력훈련 실시 전에 비해 공감적 이해, 수용적 존중, 솔직성 모두에서 상호교류적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아동의 경우에는 집단활동 이후 실험집단이 공격성 하위요인인 언어적 공격성과 적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적 기술에서는 자기통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Helping for social workers has effects on their verbal skill and aggression, social skill of children.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and was showed how the verbal skill of social workers had changed through the Helping. I appli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quantitative approach. Finally, through the Helping the change of aggression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as examin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changes in verbal skill of social workers via the helping has show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verbal skill to group activities after helping, over Level 2 were frankness, accepting respect, empathic understanding. Secondly, after social workers had applied the verbal skill to group activities with children, as a result of any such changes in aggression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erbal aggression and hostility were displayed in the experiment group, All over the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was reduced, especially passive, aggressive language was reduced. Social skills of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control of sub-factors. As a factors that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in behavioral observations of social skills, cooperativity was sharply elevated when they listened up their teachers, this was found to vary the effects depending on the listening attitude.

      • KCI등재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아파트관리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강경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2 특수교육학연구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job training on the acquisition of apartment management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 was a high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showed behavioral patters of autism. The target behavior which was the acquisition of apartment management skills consisted of three sub-skills: apartment cleaning, managing skills of entrance and exit, and parking management skill. The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The community based job training program used multiple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task analysis, direct instruction, prompting, video modeling, role playing, self evaluation, token enforcement. Th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both community based teaching and classroom teaching.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ll three sub-skills of the target behavior were successfully acquired by the participant. Also, the newly acquired skills were maintained following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and generalized to different environmental setting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transition education and functional life skil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생활기술을 성취시키는 한 가지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써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community-based job training: CBJT)이 전환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폐성향을 보이는 지적장애 고등학생 한 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상학생의 아파트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목표행동인 아파트 관리기술은 청소기술, 출입관리기술, 주차관리기술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설계는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의 교수기법은 다중요소로 구성되었는데, 과제분석, 직접교수, 반응촉진법, 비디오 모델링, 역할놀이, 자기점검, 토큰 강화 등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중재프로그램은 지역사회중재와 교육실 중재를 상호 연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대상학생의 아파트 청소기술, 출입관리기술, 주차관리기술이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득된 기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또한 세 가지 목표기술에 대한 일반화 측정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과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특수교육현장에서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박정임(Jung-Im Park),이금진(Keum-J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장애아동의 사회기술훈련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통합적인 결론을 유도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실증적 지식을 제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19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소프트웨어 2.0을 사용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사회기술훈련의 성과변수는 총 5개로 종합되며, 각각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사회기술훈련은 ‘사회기술(ES=1.343)’증진에 가장 큰 훈련효과를 나타내었고, ‘정신과 증상(ES=-1.270)’, ‘또래관계(ES=1.192)’, ‘자기통제(ES=-1.182)’, ‘문제행동(ES=-0.933)’변화에 모두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장애아동의 사회기술훈련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를 분석한 결과, 사회기술훈련 유형이 다른 방법들과 병합하지 않은 단일 사회기술훈련 유형일 경우, 총 개입회기가 늘어날수록, 사회기술훈련 집단인원이 작을수록 ‘사회기술’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May, 2014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a total of 19 studies were eligible for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Q-statistic) were analyz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s for total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were ES=1.343 of social skills, ES=-1.270 of psychiatric symptoms, ES=1.192 of peer relationships, and ES=-1.182 of self-control capacities.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was seen as large. Second, by analysing the moderate variables of the effect size for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total number of sessions, a number of group members, types of social skill train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social skill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