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애인영역 사회서비스 품질관련 특성과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제공기관 특성과 이용자만족을 중심으로-

        이용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0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1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was done into customer satisfaction factor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which a negative verification was made in the relations of cause and effect between profit provider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discovere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lowest among the thirteen kinds of social service.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rvice manpower program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university level of education program. Also, we need to seek the way the social enterprise or social welfare venture can be participated in the social service markets much more. 본 연구는 장애인영역의 사회서비스 품질과 영리적 제공주체의 등장에 주목하여, 장애인영역의 대표적인 사회서비스인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품질관련 특성과 영리적 서비스공급주체가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는 지역사회투자사업의 13개 영역의 사회서비스 중 전반적인 이용자만족도가 가장 낮은 서비스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의 중요 측면 인식에서 다른 서비스영역과 비교할 때 서비스제공자 전문성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 제공기관 특성이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공기관의 영리적 특성은 이용자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이용자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제공인력 양성체계를 대학 및 대학원 교육과정과 통합하는 방안과 서비스가격의 차등부과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서비스공급자로서 영리조직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복지법인 설립요건의 완화, 사회적 기업의 활용, 사회복지기업의 신설 등과 같은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영역 사회서비스 품질관련 특성과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1) :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제공기관 특성과 이용자만족을 중심으로

        이용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0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1

        본 연구는 장애인영역의 사회서비스 품질과 영리적 제공주체의 등장에 주목하여, 장애인영역의 대표적인 사회서비스인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품질관련 특성과 영리적 서비스공급주체가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는 지역사회투자사업의 13개 영역의 사회서비스 중 전반적인 이용자만족도가 가장 낮은 서비스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의 중요 측면 인식에서 다 른 서비스영역과 비교할 때 서비스제공자 전문성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 제공기관 특성이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공기관의 영리적 특성은 이용자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이용자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 로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제공인력 양성체계를 대학 및 대학원 교육 과정과 통합하는 방안과 서비스가격의 차등부과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서비스공급자로서 영리조직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복지법인 설립요건의 완화, 사회적 기업의 활용, 사회복지기업의 신설 등과 같은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년후견제도 이용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표(Yong-Pyo Lee),송승연(Seung-Yeo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년후견제도 이용관련 예측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앤더슨 행동모형을 근거로 발달장애인 부모 451명을 대상으로 한 성년후견제도 이용욕구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2011년 서울시 중․장년 발달장애인가족 복지욕구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돌봄자가 직업이 없는 집단일수록, 피후견 대상인 발달장애인이 남성인 집단이 성년후견 이용욕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나 사회보장제도 관련요인에서는 가구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욕구요인 중에서는 제3자에 의한 돌봄욕구가 존재할수록 성년후견 이용욕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능력, 장애등급, 돌봄부담의 정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년후견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용에 관련되는 비용의 정부지원이 중요한 조건이 될 수 있다. 둘째, 발달장애인 부모의 성년후견제도 이용욕구와 관련된 제3자 돌봄욕구 개념 및 문화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usage related predictors to activate Adult Guardianship System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have analyzed the survey of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2011 Welfare Needs Assessment of Seoul middle and senior-aged Fami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analysis method, the study applied used SPSS 22.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increases meaningfully if the parents does not have occupation, and the subject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is male. In income and the social security system wise,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show remarkably large rating if the average income is high and the desire to be cared by others is high. But in cas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mmunication skills, the degree of disability, burden of caring does not have effect on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conclusion for this research is, first, to activate vigorous usage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s required. Second, the following study is needed to explain to the concept of the needs caring by others and the cultural factors relating to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 케어전문인력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이용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3 사회복지리뷰 Vol.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legislation proposal for certificated qualification system of care worker in long-term care system for the elderly. This study reviewed the medical paradigm and ecological paradigm on care. And several alternative proposal for certificated qualification system of care worker was evaluated in dimensions of the appropriateness between certificated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content of tasks, the quality of care worker personnel, the independence of hospital system, the political actualization.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certificated qualification system of care worker be different from that of nursing aid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비자발적 입원 경험

        이용표,장혜경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4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5

        A involuntary hospitalization by mandatory guardian based on the 24 Section of Mental Health Law is now confronted with criticisms. Some people consider it induces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due to make it possible to confine mentally disabled to hospital without the judgement of independent third party. A involuntary hospitalization has been justified in paternalistic thinking that it is necessary for people who cannot care their own body and mind and in a perspective of others that it is a required condition for safety to protect from latent social risk from them.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 of involuntary hospitalization in a perspective of mentally disabled, We conside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of mentally disabled as a phenomenon, and try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wholly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We interviewed in depths 12 mentally disabled who experienced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e Results reveals the whole process of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e ultimate scar and change of the hospitalized, and the exploration for the alternatives to prevent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whole effect of the involuntary hospitalization. It makes a vicious circle of involuntary rehospitalizaion due to the scar and change of the hospitalized. The hospitalized thought close ward does not cure mental disability but reproduces it. In this hole process, the hospitalized hand over their free will and a sense of control to the others, and they have to go through the regaining process for the recovery. 비자발적 입원은 인권침해의 소지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몸과 정신을 돌볼 수 없는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필요하다는 온정주의와 그들이 가진 잠재적인 사회적 위협에 방어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타자의 시각으로 정당화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당사자의 시각에서 비자발적 입원 경험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정신장애인의 비자발적 입원을 하나의 현상으로 보고 이 현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비자발적 입원의 경험이 있는 12명의 정신장애인들과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비자발적 입원이 어떻게 시작하고 끝나는지에 관한 정황, 비자발적 입원이 궁극적으로 연구참여자들에게 가져온 상흔과 변화, 그리고 비자발적 입원의 대안에 관한 연구참여자들의 탐구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주요 함의는 첫째, 비자발적 입원으로 들어서는 정신의료기관은 연구참여자들에게 폐쇄의 영속화를 부여함으로 공포의 대상이 되고 이러한 인식은 재차 입원에의 저항을 만들어 비자발적 입원의 악순환고리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폐쇄병동의 폐쇄된 관계 속에서 작동하는 통제기제에 의하여 점차 자유의지와 통제력을 타자에게 이양하게 되었으며, 회복을 위해서는 양도한 자유의지와 통제력을 타자로부터 되찾아오는 힘겨운 과정을 겪어야 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이 원하는 정신의료기관은 입원기간이 짧고 인간적인 대접을 해주는 장소였으며, 폐쇄병동이 아닌 또다른 보호장치를 염원하였다.

      • KCI등재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지원에 관한 법률 입법과정에 관한 평가와 과제 - 다중흐름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

        이용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7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8 No.-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legislating the mental health welfare law by integrating the law on the mental health promotion law of the government and the law on the welfare support of the mentally disabled by applying the Multiple Streams Model which describe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uncertain situ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legislative process was assessed and the challenges of welfare policy for the mentally disabled were presented. The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law legislativ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interests of medical experts who were the leaders of the mental health policy have been obstacles to turn the problem of mental health into the flow of policy. Second,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ransforming the flow of problems into policy flows. Third, mental disorder parties and human rights organiz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policy innovators in leading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welfare support policy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making a decisive change in policy flow. In order to integrate the welfare problems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into the domai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future task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is tha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mental ill person to mental disorder person. 본 연구는 정부의 정신건강증진법안과 정신장애인복지지원등에관한법률안이 통합되어 정신건강증진및정신질환자복지지원에관한법률이 입법되는 과정을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정책결정과정을 설명하는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s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입법과정을 평가하고 향후 정신장애인 복지정책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입법과정은 평가하면 첫째, 정신보건정책의 주도자였던 의료전문가들의 이해관계는 정신장애인의 문제를 정책의 흐름으로 전환하는 데에 장애요인이 되었다. 둘째, 문제의 흐름을 정책의 흐름으로 전환하는 데에 국가인권위원회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셋째, 정신장애인 복지지원정책이 제도화되는 과정을 주도적으로 형성하고 정책의 흐름을 결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정신장애인당사자단체와 인권단체는 정책혁신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정신건강증진및정신질환자복지지원에관한법률이 남기고 있는 향후 과제는 정신장애인 복지문제를 장애인영역에 통합시키기 위하여 법명칭상 ‘정신질환자’를 ‘정신장애인’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