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

        이성한 ( Sung-han Lee ),배성권 ( Sung-kwon Bae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09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에 관해 알아본 것으로서 실태,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및 생활만족도 차이 및 건강생활이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공립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670명이며, 건강생활과 생활만족도 설문조사 기간은 2008년 6월 말경부터 7월 말까지 약 한달 간이었고, 최종 670부를 분석했다. 건강생활설문지는 김신정(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6개 영역 53개 문항 4점 척도이며, 생활 만족도는 이정미, 이양희(2007)의 한국판 아동용 다면적 생활만족도검사(K-MSLSS)로 5개 영역 34문항 6점 척도였다.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test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결과에서 질병예방은 식습관, 정신건강, 사고예방의 세항목과 상관이 있었다. 또한 정신건강은 개인위생, 식습관, 운동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사고예방은 개인위생, 식습관, 운동,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친구만족도는 정신건강과 상관이, 가족만족도는 정신건강, 질병예방, 사고예방, 학교만족도와 상관이, 환경만족도는 가족만족도와, 자아만족도는 질병예방, 친구만족도, 학교 및 가족만족도와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중다 회귀분석 결과에서 아동의 정신건강증진행위는 아동의 친구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식습관, 정신건강, 질병예방의 세 항목은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운동, 정신건강, 사고예방의 세 항목은 가족만족도를, 정신건강은 환경만족도와 자아만족도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운동, 정신건강, 사고예방의 세 항목은 아동의 생활 만족도를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the latter school age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s, to investigate children's variables which effect the latter school age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he life satisfaction, and to study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so we could helps children be able to carry on healthy, happy, and satisfied life. This study adopted questionnaire surveys for total 670 children, who are 4, 5, 6th grade at elementary public school age in Busan city, Health promotion behavior questionnaire and K-MSLSS, life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ed. First, the rank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criterion of the children were Diseases Control>Personal Hygiene> Mental Health>Accident Prevention>Eating Habits=Exercise. Second, the rank of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ere Family Satisfaction=Environment Satisfaction>Self Satisfaction>School Satisfaction. Third, children's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different depending on children's gender, grades, family member, family traits, residing,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father's job, perceived child health state, school record, enrolled private institute number, and family socioeconomic states. Fourth, children's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children's background traits. Fifth, strong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as founded a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childr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ing statistically strong significant meaning which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effecting on the children's life satisfaction. Exercise, mental health, and accident prevention were important elements promoting children's life satisfactions.

      • KCI등재

        초등생의 인터넷 중독 성향에 따른 사회인지능력: 정신건강, 지능발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신초희 ( Cho-hee Shin ),이경숙 ( Kyung-sook Lee ),변종석 ( Jong-seok Byun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4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 아동의 사회인지능력, 정신건강, 지능발달을 측정하여, 일반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 중독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신건강, 지능발달이 사회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중 중독아동 13명과 일반아동 27명으로 총 40명이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일반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집단 간 차이는 t-검증으로, 변수간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는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독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사회인지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의 하위요인을 비교해 보면, 중독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사회성이 낮고, 과잉행동 문제, 또래문제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능발달의 하위요인에서는 주의집중 요인에서 중독아동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아동의 인터넷 중독 성향 중 가상적 대인관계 지향성과 일탈행동이 사회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아동의 정신건강 중 품행문제가 사회인지 능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독아동의 정신건강 중 사회성이 사회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넷 중독아동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s social cognition abiliti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addicted to the Internet by Happe's Strange Stories Test, and examines the effects of Internet use habits, mental health,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on social cognition abilitie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40 fifth and six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level of addiction to the Internet: the addicted group of 13 children and the normal group of 27 childre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dicted children showed a lower level of social cognition abilities than normal children. In the sub-domain of mental health, addicted children showed a lower level of pro-social behaviors and a higher level of problems in hyperactivity and peer relations than normal children. They also showed a lower level of attention in the sub-domain of intellectual development than normal children.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Internet use habits on social cognition abilities, deviant behaviors and vir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cognition. Thir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behavioral problems and social cognition abilities. Fourth, no signifi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ro-social behaviors and social cognition.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s findings contribute to in-depth understanding of children addicted to the Internet use.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가 보고하는 영유아의 정신건강 문제행동 및 지도방법

        이경숙,정석진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6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9 No.2

        This study examined recognition, experience, and demand of 118 daycare center teachers regarding mental health of infants and toddlers. Findings are as follows: 1) biggest problem behavior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included aggressive behaviors, anxiety/depression and relationship problems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for children aged one year, aggressive behaviors and attention problems for children aged two and four years, aggressive behaviors and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for children three years, attention problems and aggressive behaviors for children aged five years, attention problems and anxiety/depression, and peer relation problems for children aged six years; 2)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teachers reported as mental health problems developmental delay and vision formation for children aged two years, developmental delay for children aged three years, and hyperactivity and social problems for children aged four years; 3) the teachers favored the method of ordering and strict teaching for all children with internalization or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and developmental delay; 4) 85.6% of the teachers consulted with parents of children showing problem behaviors and the biggest difficulties that they had in the parental counseling were that the parents thought their children had no problems and that the problems reported by them did not appear at home of the children; 5) regard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the teachers mostly consulted with senior teachers or directors of their centers and they responded they felt good and comforted since their difficulties had been understood (19.1%), there were differences in opinions about children (15.0%), and they underwent trials and errors or had reverse effects when teaching children as they had been advised (15.0%); and 6) they needed counseling and advice from child counseling organizations or professional child counselors affiliated with daycare centers for taking care of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본 연구는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 118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보고하는 영유아 정신건강 문제행동 및 지도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가 경험한 영유아의 정신건강 문제행동 유형으로는 만 1세는 공격행동, 불안/우울과 관계문제, 만 2세와 만 4세는 공격행동, 주의집중문제, 만 3세는 공격행동, 언어지연, 만 5세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만 6세 주의집중문제, 불안/우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정신건강 문제유형 중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에 대해 보육교사는 만 2세는 발달지연, 비전형성, 만 3세는 발달지연, 만 4세는 과잉행동, 사회성이 문제라고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는 내면화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 발달지연 영유아 모두에게 ‘지시하기/단호히 지도하기’ 지도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보육교사가 문제행동 영유아에 대해 부모와 상담하는 경우는 85.6%였고, 부모상담시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는 ‘부모가 유아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여겼다/ 교사가 보고한 문제 행동이 가정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가 가장 높은 응답율을 보였다. 다섯째,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선임 보육교사 및 원장’에게 상담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교사의 상황을 공감해 주고 위로받을 수 있어서 좋았으나(19.1%) 해당 영유아에 대한 견해차가 있거나(15.0%) 조언 받은 대로 지도하면서 여러 번 시행착오를 겪어야했거나 역효과가 있었다(15.0%)’고 답하였다. 여섯째, 문제행동을 지닌 영유아의 지도방법을 위해, ‘아동상담기관’, ‘보육기관과 연계된 영유아 전문 심리상담팀’으로부터 영유아에 대한 상담/조언을 받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연구

        채경선 ( Kyung-sun Chae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0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3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아동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부모의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상관관계속에서 부모의 결혼만족도의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연구한 결과, 먼저 아동이 지각한 부부 만족도 5개의 하위 변인인(생활만족, 동료의식, 성격조화, 자녀관계, 부부애정, 경제관계, 건강생활)은 아동의 정신건강 하위변인인 (생활만족, 자아존중, 생활태도, 정서, 사회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클수록 아동의 정신건강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결과로써, 아동의 정신건강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부부 만족도의 하위변인 가운데 자녀관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좋은 부모자녀관계로 인해 부모가 결혼만족감을 가질수록 아동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를 통해 아동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높여야 하며 특히 부모자녀관계 향상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alid variable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that affect mental health of childre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children’s mental health, five factor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factors of children’s mental health, e.g., satisfaction with life, self-esteem, attitude toward life, emotion, sociabil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is, the better children’s mental health is.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ren’s mental health, relationship with children, which is one of the factor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mental health of children. This means that higher marital satisfaction of parent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their children.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s' high marital satisfaction and good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very important for mental health of children.

      • KCI등재

        영유아 정신건강의 관계적 평가

        이경숙 ( Kyung-sook Lee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0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 No.1

        관계성(relationships)은 영유아 정신건강측면에서 건강한 성장과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어머니의 취업과 그로 인한 조기보육의 상황 등으로 인해서 영유아들이 출생과 더불어 일상적으로 관계를 맺게 되는 부모 외 사람들이 늘어나고는 있으나 ,영유아 관계성의 대표로 기술될 수 있는 부모-영유아, 엄마-영유아 관계성은 대부분의 영유아들에게는 우선적인 관계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특히 외국의 경우는 지난 20여 년 동안 영유아의 초기 관계성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그에 따른 결과의 다양성과 관계성의 방임과 학대에 대한 부정적 연구결과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거듭 발표되어오면서 초기의 부모-자녀간의 관계성에 대한 조망이 새롭게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비교적 최근에서야 영유아의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특히 영유아의 문제적 발달을 조기 진단하거나 예방하기위한 평가적, 진단적 도구들이 다양하게 소개되어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논고에서는 영유아의 건강한 정신적, 심리적 발달을 위한 주요기본 요인인 관계성에 대해서 그 의미를 새롭게 고찰해보고 또한 영유아의 문제적 발달을 진단, 예방하기위해 국내 영유아 임상과 연구세팅에서 사용되는 관계장애 진단분류(DC:0-3)와 부모의 아동에 대한 관계를 평가하기위한 내적 작동모델을 알아보는 도구(WMCI)를 소개하였다. Relationship is one of the crucial factors affecting healthy grow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fants. In the modern society, working mothers and the consequent development of child care organizations expose young children to more and more people other than their parents in their daily lives. However, the primary relationship for most young children is still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the past 20 years, early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ve been viewed from a new perspective in foreign countries because of plenty of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of early relationship and negative results of neglected and abusive relationship. However, the importance of infant mental health was recognized very recently in Korea, and instruments for early assessment and diagnosis and prevention of infant problematic development are few. This study reviews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 a basic factor for healthy ment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introduces DC: 0-3, a diagnosis classification of relational disorders used in domestic infant clinical treatment and research, and WMCI, an instrument to tap into internal working models of parents to assess their relations with their children.

      • KCI등재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원장의 역할에 대한 연구: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을 기반으로

        이세라피나 ( Se Ra Phi Na Lee ),임여정 ( Yoe Jung L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1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원장의 역할과 의미, 원장의 예방 역할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직장어린이집 원장 8명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한 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은 채용 면접 및 기본 예방 교육을 통해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지침을 교육하고, 이를 통해 아동학대 발생의 위험을 낮추었다. 둘째, 원장은 정기적 예방 교육에서 다양한 방법의 반복 교육을 통해 교사의 아동 인권 감수성을 향상시킨다. 셋째, 원장은 상시 모니터링 및 적절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어린이집 내에서 부주의한 지도가 재발되는 것을 막는다. 넷째, 원장은 사례 장학을 통해 교사의 직무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가정과의 신뢰를 구축해나간다. 다섯째, 원장은 민주적 분위기 조성을 통해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조직의 예방선을 지켜나간다. 여섯째, 원장의 아동학대 예방 역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경력교사와 더불어 사례관리 협의체 등 조직차원의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원장의 역할이 갖는 의미를 논의하였고, 원장의 예방 역할을 위한 조직지원체계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ay attention to and listen to their various experiences through the role of the director to prevent child abuse at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eight directors of the workplace daycare center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n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hiring, the director lowers the risk of child abuse at daycare centers through interviews and basic preventive education, and meets the standards for careless guidance. Second, the director improves teachers' sensitivity to children's rights through regular preventive education. Third, the director looks into the classroom through regular monitoring and provides appropriate suppor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repetition of careless guidance (reduce). Fourth, the director improves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rough case scholarship, and through this, builds trust with the family. Fifth, the director maintains the organization's boundaries against child abuse through the creation of a democratic organizational culture. Sixth, in order to support the director's role in preventing child abuse, a support system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rough the social safety net must be established along with direct manpower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policy utilization plans, and future studies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in daycare centers were proposed.

      • KCI등재

        불안정 애착관계를 형성한 남아의 개별놀이치료 사례: 애착지향치료(Attachment-Oriented Therapy)의 관점에서

        윤혜경 ( Hae-kyung Youn ),심혜원 ( Hae-won Sh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6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불안과 우울감을 드러내며, 적응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는 7세 남아의 개별 놀이치료 사례이다. 연구자는 아동의 현재 어려움의 원인을 불안정 애착관계 형성에 의한 것으로 보고, 이에 내담아동을 애착지향 치료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총 57회의 놀이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내담아동이 상담자와의 관계를 통해 안전기지를 경험하고, 외부세계는 안전하지 않으며 자신의 기대에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과거의 내적작동모델을 해체하고 안정적 애착관계를 재형성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놀이치료의 목표는 첫째, 아동이 안전지대를 확보하여 외부세계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나서 일상생활에서 안정적 정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둘째, 아동이 과거의 내적작동모델에서 벗어나, 새로운 내적작동모델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본 놀이치료의 결과 첫째, 아동은 돌발행동과 긴 울음이 소거되었다. 둘째, 아동은 일상생활에서 지연행동이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셋째, 아동은 유능감을 경험하고 자기에 대한 긍정적 경험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넷째, 아동은 자기 욕구를 허용하고 욕구의 충족을 경험하기 시작하였다. 다섯째, 아동은 욕구를 조절하려는 태도가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여섯째, 아동은 두려움을 넘어서 도전하고 성공하는 경험이 확산되고 있다. 일곱째, 아동은 다양한 정서를 경험되며 자기 정서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일들이 많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동에 대한 애착지향 치료(AOT)의 관점에서의 놀이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of a seven-year-old boy who showed anxiety and depression and had difficulty adapting to his environment. His problems were attributed to insecure attachment and play therapy was conducted for 57 sessions based on the theory of attachment-oriented therapy (AOT). The researchers worked with the boy to help him experience secure base, deconstruct his previous internal working model, and rebuild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The play therapy aimed to: (1) help him to obtain secure base to escape from the fear and anxiety about the outside world and maintain stable emotional state in everyday life and (2) help him to abandon his previous internal working model and acquire a new one. After the sessions: (1) he stopped unpredictable behaviors and crying for long hours; (2) his procrastination in everyday life decreased; (3) he experienced competence and his self-confidence began to expand; (4) he allowed himself to pursue his desires and began to experience fulfillment of desires; (5) he began to control his desires; (6) he overcame his fear and tried new things more frequently and successfully; and (7) he began to experience diverse emotions and express his emotions more specifically.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role playing counseling from the perspective of attachment-oriented therapy for children who had developed insecure attachment.

      • KCI등재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BITSEA(Brief InfantㅡToddler Social Emotional Assessment)의 타당도 검증 예비연구

        서유진 ( You-jin Seo ),이경숙 ( Kyung-sook Lee ),김용훈 ( Yong-hun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1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영유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 문제를 선별하는 도구인 간편 영유아 사회정서 평가척도(BITSEA)가 영유아의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특성을 조기 선별하는 도구로 유용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SD 집단 50명과 일반집단 100명 총 150명으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을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는 간편 영유아 사회정서 평가척도(BITSEA) 중 ASD-하위척도(BITSEA-ASD 문제, BITSEA-ASD 유능성), 아동기 자폐 평정척도, 한국판 영유아 자폐 선별검사, 멀런 초기학습기능 척도, 부모 작성형 유아 모니터링체계, 유아 행동평가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BITSEA-ASD 하위척도에서 ASD 집단과 일반집단의 영역별 차이 검정에서 ASD 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인타당도 검정 결과 CBCL1.5-5와 BITSEA-ASD 하위척도 비교에서 CBCL1.5-5의 문제행동 총점이 .81, 내재화가 .81, 외현화가 .81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p<.01) . M-CHAT 와 BITSEA-ASD 하위척도와의 상관은 .451, CARS와 BITSEA 하위척도와의 상관은 .587로 비교적 양호한 상관을 보였다(p< .01) . 본연구결과 BITSEA-ASD 하위척도가 ASD 영유아를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검사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이 예비적 수준에서 검정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Brief Infant-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 a screening instrument for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an early screening tool for the characteris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50 subjects: 50 in the ASD group and 100 in the general group. Measuring instruments used were the BITSEA ASD subscales (BITSEA-ASD problems and BITSEA-ASD competence), CARS, KM-CHAT, MSEL, K-ASQ, and CBCL. The result of the study show that in the BITSEA ASD subscale, the ASD group recorded a higher disparity in each domain compared to the general group. In the concurrent validity test, the correlations between CBCL1.5-5 and the BITSEA ASD subscales were .81 for the entire CBCL1.5-5 domain, .81 for the internalization domain, and .81 for externalization domain, showing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correlation between M-CHAT and the BITSEA-ASD subscale was .451,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CARS and the BITSEA subscale was .587, showing a relatively good correlation. In summary, this study test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BITSEA-ASD subscale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early screening of ASD infants at a preliminary level.

      • KCI등재

        부모교육과 함께 실시한 경계선 지능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 정신건강과 사회성, 부모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정희정,김명식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3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6 No.1

        이 연구에서는 부모교육과 함께 실시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계선 지능 아동의 정신건강과 사회성, 부모의 양육태도의 사전과 사후의 차이를 통하여, 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경계선 지능 아동 10명(실험집단: 5, 통제집단: 5명)과 아동의 어머니들 10명이었다. 부모교육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주 1회, 1회기당 60분으로 총 20회기를 실시했다. 부모교육은 별도로 주 1회, 1회기당 60분으로 총 20회기를 실시했다. 이 연구 결과 첫째, 실험집단에 참여한 아동의 위축, 불안·우울,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 문제, 비행, 공격성의 문제행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거나 감소하는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부모교육에 참여한 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에 참여한 아동의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이 학교생활화에서 재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핵심어 : 경계선 지능 아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부모교육, 정신건강, 사회성, 부모양육태도

      • KCI등재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위한 DIR/Floortime® 부모코칭치료의 효과

        정희승 ( Hee-seung Jung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및 우울 증상을 보이는 만6세 남아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한국어머니의 특성에 맞게 DIR/Floortime<sup>®</sup> 부모코칭치료를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어머니의 주 호소 문제는 아동의 주 증상에 관해서 어떻게 가정에서 지도해야 자녀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개선되는지 배우는 것이었다. 또한 아동의 우울이나 위축과 같은 내재화 정서 행동이 긍정적으로 바뀌길 원하였고 양육스트레스를 호소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어머니가 지각하는 아동의 주 증상의 원인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결핍, 감각 이상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보고,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위한 발달적 중재인 DIR/Floortime<sup>®</sup> 부모코칭치료 프로그램을 한국형으로 보완 및 수정하여 10회기를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아동과 어머니의 기능적 정서 발달 단계와 개인적 차이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최적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DIR/Floortime<sup>®</sup> 치료 원칙을 비디오 피드백과 직접 코칭을 하며 상담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 치료목표는 첫째, 어머니와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이 질적으로 변화하는 것이었다. 둘째, 어머니가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느끼는 양육 스트레스가 개선되는 것이었고 셋째,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우울 증상이 개선되는 것이었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양육스트레스는 감소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우울 증상이 개선되었다. 결론적으로, DIR/Floortime<sup>®</sup> 부모코칭치료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주 증상개선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가정에서 어머니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기능개선에도 임상적 치료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exhibited depression, withdrawal, and social immaturity. The mother's main complaint was that she had no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child’s repetitive play patterns, and wanted to improve he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child. In addition, she wanted to change her child’s internalized emotional behaviors. Therefore, the researcher conceptualized that the cause of the main problem was the mother’s lack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her child. The DIR/Floortime<sup>®</sup> parent coaching therapy, a development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consisted of 10 sessions. The content of the therapy was to give training on the DIR/Floortime<sup>®</sup> treatment principle through video feedback and to consult after interactive coaching to analyze the child's and mother’s functional emotional developmental stag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profiles to ensure optimal interac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therapy, the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changed positively;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decreased; and the child's social immaturity, withdrawal and depression symptoms improved. This study implies that the DIR/Floortime<sup>®</sup> parent coaching therapy has clinical therapeutic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with a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