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부 조직에 발생한 사구종

        김도연,이수현,김민주,신규호,Kim, Do-Yeon,Lee, Soo-Hyun,Kim, Min-Ju,Shin, Kyoo-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1

        목적: 사구종은 사지의 피하지방층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조갑하에 30~50% 가 발생하며 정상적인 사구체가 없거나 드물게 존재하는 조직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연부조직에 발생한 사구체 종양에 대해 임상적, 조직학적, 영상의학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8년까지 본원에서 종양 절제술을 시행 받고 사구체 종양으로 진단 받은 51명의 환자 중, 수지 말단과 위, 기관, 고실정맥구에서 발생한 경우를 제외한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진료 기록, 환자와의 면담, 진찰 소견, 영상 소견, 조직학적 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8명의 환자 중 남자 환자가 4명, 여자 환자가 4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47세였다. 유병 기간은 평균 8.9년이었다. 사구종의 세 가지 주 증상인 통증, 압통, 냉온 민감성에서는 통증과 압통은 8명의 환자 모두 호소하였으나, 냉온 민감성은 8명 중 2명만이 호소하였다. 8명 중 2명이 피부 색 변화가 있었다. 종양 절제술을 받은 후, 2명은 각각 시각상 사통증 9에서 8로, 8에서 5로 증상 호전이 있었고, 나머지 6명은 수술 이후 수술 전 증상의 완전 소멸을 보였다. 증상 호전이 시각상사통증 9에서 8로 있었던 1명은 2차례 재발/잔존 사구종으로 1차 수술 이후 2회의 수술을 더 받았다. 종양의 크기는 가장 큰 직경을 기준으로 했을 때 평균 13.9mm이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사구체의 아형 분류에서는 총 8예 중 6예가 '고형 사구종', 1예가 '고형사구종' 과 '사구맥관종' 의 혼합, 1예가 '악성 사구체 종양' 소견을 보였다. 자기공명영상 분석 결과 모두 T1 강조 영상에서는 근육과 유사한 중신호 강도, T2 강조 영상에서는 고신호 강도, T2 조영증강 영상에서는 고신호 강도를 보이면서 좀 더 명확한 병변을 보였다. 결론: 연부 조직 사구종은 재발과 악성화가 낮지만 진단이 늦어 임상적으로 환자에게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수술적 처치가 중요하다. Purpose: Glomus tumors are rare benign vascular tumors, usually located in the skin or soft tissue of extremities. Approximately 30-50% of glomus tumors occur in subungal area, but glomus tumors have been described in every location even where glomus bodies are not or rarely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histologic and MRI characteristics of soft tissue glomus tumo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3 and 2008, eight patients underwent surgery of soft tissue Glomus tumor at our institution. Exclusion criteria were patients with Glomus tumors in digits, stomach, trachea and glomus tympanicum. We analyzed medical records, interviews, physical examinations, MR findings and histolocial types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four men and four women. The mean age was fourty-seven years. The mean prevalence time was eight-point-nine years. In the classic triad of symptoms, all eight patients had pain and tenderness. Two patients complained of cold sensitivity. Two showed skin color changes. After surgery, two showed symptom improvement (VAS $9^{\circ}{\rightarrow}8$, $8^{\circ}{\rightarrow}5$) and?six showed complete disappearance of symptoms. Slightly symptom improvemented (VAS $9^{\circ}{\rightarrow}8$) one had additional surgery two times after first surgery due to relapse/remaining Glomus tumor. The mean size was 13.9 mm. In histology, six were 'solid glomus tumor', one was a mixture of 'solid glomus tumor' and 'lomangioma' and one was 'malignant glomus tumor'. MR findings showed isointense signal on T1 image, high signal on T2 image and strong enhancement on the Gadolinium enhanced image. Conclusion: Glomus tumor has low recurrence rate and malignant change, rapid diagnosis and surgical excision is critical in treatment to prevent unnecessary pain of patient.

      • KCI등재

        슬관절 통증을 유발한 사구체 종양

        박희곤(Hee-Gon Park),김성현(Sung-Hyun Kim),류지원(Jee-Won R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3

        사구종은 피하 지방층의 사구체에서 발생하는 혈관종의 일종으로 수부의 원위부, 조갑하에 특징적으로 호발하며 슬관절 주위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증, 압통, 추위 민감성이 삼주징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증상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수지 이외의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구종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수년간 지속적으로 슬관절 통증이 있었던 사구종 증례 2예를 경험하였으며 각각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하였다. 슬관절 주위의 지속되는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사구종의 삼주징인 극심한 통증, 추위 민감성, 압통의 증상 유무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사구종도 감별해야 함을 이 증례를 통하여 알 수 있었고 빠른 진단과 수술적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Glomus tumor is a kind of hemangioma that occurs at the glomerulus in the subcutaneous layer. It mainly occurs at the distal hand and subungual area, and rarely at the knee joint. Pain, tenderness, and cold intolerance are known symptoms; however, symptoms in practice are not so easily detectable, and the diagnosis can be delayed if it is presented at areas other than the hand. If the diagnosis is delayed, patients could suffer extreme pain.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are important. Ultrasoun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re used to diagnose glomus tumor in our cases, which were found in subcutaneous tissue and muscle fascia. We claim that, for patients with persistent pain, known symptoms—extreme pain, cold intolerance, and tenderness—should be examined carefully and rule out glomus tumor. We report 2 cases of glomus tumors around the knee joint, which is not a common location of occurrence.

      • KCI등재
      • 수지 조갑하 사구종의 진단 및 치료에서 자기 공명 영상의 임상적 의미

        김병석,김우식,한경진,조재현,이기범,하헌교,강신영,Kim, Byoung-Suck,Kim, Woo-Sig,Han, Kyoung-Jin,Cho, Jae-Hyun,Lee, Kyi-Beom,Ha, Heon-Kyo,Kang, Shin-Yo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7 No.1

        목적 : 임상적으로 수지 사구종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수술전 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하여,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진단의 유용성과 변연 절제술 후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수지 사구종을 의심하는 10례를 대상으로 수술전 문진, 이학적 검사, 단순 방사선 검사, 자기 공명 영상(9례)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는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후 병리 소견, 수술후 합병증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사구종으로 확진된 10례 중 호소하는 증세는 동통 10례, 압통 9례, 냉온에 대한 민감도 3례, 부종 1례였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T1 강조 영상에서 저신호 강도 3례, 동신호 강도 5례,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 강도 8례, 그리고 gadolinium 조영 증강된 영상에서는 8례 모두 조영 증가 소견을 보여 주었고, 발생 위치는 횡단면에서 정중부 6례, 외측부 5례, 조갑 외측 추벽 2례, 수지 두수 3례였고, 시상면에서 조갑상 5례, 조갑 기질 5례였다. 수술은 외측 접근법 1례, 조갑을 통한 접근법 9례를 시행하였으며, 모두 변연 절제술을 실시하였다. 수술후 전 예에서 임상 증세는 소실되었으며, 조갑 변형은 1례에서 발견되었으나, 재발은 없었다. 결론 : 수지의 사구종을 진단하는데 임상 증세는 아주 중요하나, 진단이 애매하거나 오랜 기간 동안 증세가 있어온 환자들에게서 비교적 비싼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자기 공명 영상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경우, 수술전 종물의 정확한 위치 확인 및 진단에 도움을 주는 방법의 하나로 생각한다. Purpose : Authors investigated the efficiency of preoperative MRI in suspicious glomus tumor and the clinical outcomes after marginal excision. Materials and Methods : In 10 cases of glomus tumors in the fingers, authors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data, including previous trauma, treatment history, preoperative symptoms, physical examination, plain radiography, MRI (9 cases), pathological finding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 The patients had pain in 10 cases, tenderness in 9 cases, cold sensitivity in 3 cases and edema in one case. MRI showed low signal (3 cases) or iso-signal (5) intensity on T1 weighted image, high signal intensity (8) on T2 weighted image, and all the lesions were enhanced in gadolinium enhancement images. The exact locations of glomus tumors were median in 6 cases, lateral in 5, lateral fold in 2 and pulp in 3 in transverse section and nail bed in 5 cases and nail matrix in 5 in sagittal section. Marginal excision was performed by lateral approach in one case and transungual in 9 cases. Histologically, all 10 cases were composed of solid sheets of round cells interrupted by thin-walled blood vessels. Most of clinical symptoms were disappeared in all cases after operation. Nail deformity was found in one case, which was originated from nail matrix, however, there was no recurrence. Summary : Clinical symptom was the most impotant factor in diagnosis of glomus tumor in the fingers. However, preoperative MRIs were helpful in patients, who had obscure pain or prolonged clinical symptoms with suspicious glomus tumors. Preoperative MRI might be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for establishing the exact diagnosis and detecting the location of glomus tumors, in spite of the relatively high expenses.

      • 상완 신경총에 발생한 다발성 사구종: 증례 보고

        한정수,정덕환,박광희,김환진,Han, Chung-Soo,Chung, Duke-Whan,Park, Kwang-Hee,Kim, Hwan-J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1

        Glomus tumor is a kind of vascular tumor that arises from the glomus body, which regulates skin temperature and is placed in the skin and the subcutaneous area. It is a benign tumor that usually presents in the subungal area. It is relatively common in areas other than the fingers, but its occurrence in peripheral nerves is known to be comparatively rare.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a case of glomus tumor arising from the brachial plexus, a rare site of occurrence for glomus tumors. 사구종은 피부와 피하 인접부위에 위치하는 피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사구체에서 발생하는 혈관종의 일종으로 대개 조갑하 부위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수지 이외의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흔하나 말초 신경에서 생기는 경우는 비교적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교실에서는 일반적으로 호발하는 부위가 아닌 상완신경총에서 발생한 사구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재발성 손톱밑 사구맥관근종에 대한 초음파를 이용한 진단 - 증례보고 -

        이상영,임태강,Lee, Sang Young,Lim, Tae Kang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8 No.1

        사구종은 신경근동맥성 사구에서 발생하는 손톱 밑의 피하 지방층에 발생하는 드문 종양이다. 조직학적으로 고유 사구종양, 사구맥관종, 사구맥관근종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 중 사구맥관근종은 가장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다른 사구체 종양과는 다르게 사지나 손톱 밑에서 호발하지 않는다. 사구체 종양은 특징적인 임상 증상으로 일차 진단이 가능하지만 방사선학적으로는 초음파 또는 자기공명 영상이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수지에 발생한 재발성 손톱밑 사구맥관근종에 대한 초음파를 이용한 진단 및 수술적 치료에 대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Glomus tumors are rare benign neoplasm commonly found in the subcutaneous layer on nail bed that arises from a neuromyoarterial glomus. Histologically, they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 solid glomus tumor, glomangioma, and glomangiomyoma which is the most uncommon. Unlike other type, glomangiomyomas have rarely been described in the nail bed. Although glomus tumors are often diagnosed primarily by their characteristic clinical symptoms, imaging modalities, such as ultrason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n be helpful. We present a rare case of a recurrent subungal glomangiomyoma that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and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 KCI등재

        상행인두 동맥 색전술 후 두개저 경정맥 사구종에 대한 후측 접근 절제술 1예

        김상빈,정재엽,이현주,최성준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9 임상이비인후과 Vol.30 No.2

        Glomus jugulare is slow growing, highly vascularized, histologically benign tumor. The authors report the case of huge glomus jugulare tumor treated by skull base surgical resection via posterolateral approach with preopera- tive embolization of ascending pharyngeal artery. A 59-year 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symptoms of right side pulsatile tinnitus, hearing loss and hoarseness.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monstrated an approximately 5.7 cm mass along the right jugular foramen, extension to right cerebellopontine angle. Prior to surgical excision of tumor, the patient proceeded embolization in ascending pharyngeal artery. Next day, the patient proceeded a posterolateral approach to remove the skull base tumor.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debate the effective- ness of preoperative embolization and posterolateral approach for the glomus jugulare tumor and its pathological result.

      • KCI등재

        술전 색전술 없이 수술로 제거한 외이도와 유양돌기로 확장된 거대 고실 사구종 1예

        최성용,김이혁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6 임상이비인후과 Vol.27 No.1

        Glomus tumors, also called paragangliomas are neoplasms that arise from extra-adrenal paraganglia, microscopic islands of cells derived from the neural crest. Although Glomus tympanicum tumors are histologically benign and slow growing, they can be locally destructive and spreading along paths of least resistance. In most cases, glomus tympanicum tumors are limited to the middle ear and preoperative embolization is frequently used to reduce intraoperative bleeding. The authors have experienced a rare case of giant glomus tumor extending into the ear canal and mastoid antrum which was completely removed using transmastoid approach without preoperative embolization.

      • KCI등재

        경외이도 내시경적 접근법으로 제거한 고실 사구종 1예

        배기호,박준완,이예원,남성일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7 임상이비인후과 Vol.28 No.2

        Glomus tympanicum tumors, are benign tumors of neural crest cell origin. They can spread throughout the mesotympanum, hypotympanum, and mastoid causing symptoms of pulsatile tinnitus, conductive hearing loss. The surgical approach is determined by the extent of tumor involvement in the mesotympanum, hypotympanum, and mastoid. A transcanal or postauricular approach with the operating microscope is the traditional means used to surgically manage middle ear paragangliomas. Transcanal endoscopic ear surgery, an emerging minimally invasive approach that offers superior visualization of the middle ear cleft. We experienced a case of glomus tympanicum tumor in 77 year-old female with several year-history of intermittent pulsatile tinnitus and earfullness which was surgically removed through Transcanal endoscopic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