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항으로 인해 발생한 철분결핍성빈혈 2례

        최지호,이상현,Choi, Ji-Ho,Lee, Sang-H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2

        연구배경 : 철분결핍성빈혈은 매우 흔하며 그 원인이 다양하므로 근본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여야만 한다. 저자는 소화기관 출혈, 임신, 과다월경 등의 원인 외에 우리 나라의 의료 특성상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부항에 의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였으므로 부항으로 인해 발생한 철분결핍성빈혈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의 행위는 설명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 증례 1 : 27세 여자 환자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0년 전부터 있었던 건선을 치료하기 위해 부항요법을 빈번하게 실시하였고 이로 인한 실혈로 철분결핍성빈혈이 발생하였다. 증례 2 : 70세 남자 환자가 식욕부진과 어지러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9개월 전에도 같은 증상이 있어 철분결핍성빈혈로 진단을 받고 치료 받았으나 5년 전부터 족부 무좀에 대해 실시한 부항요법을 지난 번 빈혈치료 후에도 반복해 실시한 결과 철분결핍성빈혈이 발생하였다. 결론 : 철분결핍성빈혈의 원인으로 우리나라 의료의 특성상 부항요법도 고려하여야 한다. Background : Iron deficiency anemia(IDA) is a very common condition, and its underlying causes are diverse. Gastrointestinal blood loss, pregnancy, menorrhagia are known as common causes of IDA. However, especially in the IDA case of unknown origin, we must consider the culture specific cause of IDA as a possible cause of IDA. As I found an unusual cause of IDA related to a cultural behavior, I would like to report two cases of IDA occurred by negative therapy in Korea.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se cases by explanatory model. Case 1 : With a chief complaint of dyspnea, a 27-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She had multiple treatment histories of negative therapy for her psoriasis. The blood loss during this procedure is the cause of present IDA. Case 2 : A 70-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anorexia and dizziness. The history of treatment showed that he had an IDA 9 month ago. The IDA developed again because of repeated negative therapy after previous treatment of IDA. He has used the negative therapy intermittently to treat tinea pedis for 5 years. Conclusion : We must consider the negative therapy as a possible cause of IDA in Korea.

      • KCI등재

        임신부의 빈혈에서 임신주수에 따른 Fetal Heart Rates의 근사엔트로피값의 추출

        정경미 ( Kyoung Mee Jeung ),김성희 ( Seong Hee Kim ),박진실 ( Jin Sil Park ),박건호 ( Keon Ho Park ),이규락 ( Gyu Rak Lee ),황정혜 ( Jung Hye Hwang ),김승룡 ( Seung Ryong Kim ),문형 ( Hyung Moon ),정성로 ( Sung Ro Chung ),박영선 대한주산의학회 2003 Perinatology Vol.14 No.2

        연구목적: 임신부 빈혈은 임신중에는 조산등과의 관련성, 산후에는 주산기이환율의 증가등 다양한 불량임신예후와 관련된다. 임신중 경증의 빈혈이 태아빈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나 중증 모성빈혈에서는 태아는 물론 다양한 신생아 합병증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임신중 모성빈혈시 태아의 예후측정방법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FHR(FHR)의 선형(linear) 및 비선형적인(non-linear)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임신부 빈혈을 FHR 신호분석으로 발견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임신 제3 삼분기에 비수축성검사(NST)를 시행하였던 임신부 중, 분만 전 및 분만 후 임신부 빈혈로 진단된 임신부 70예를 연구군으로 선택하였다. 빈혈의 진단은 헤모글로빈농도가 10.0g/dL 이하인 경우로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빈혈 임신부의 전후에 NST를 시행한 정상임신부를 연령 및 분만력을 기준으로 하여 무작위로 70명을 추출하였다. 각 FHR자료는 전용 분석소프트웨어인 HYFM(Hanyang Fetal Monitoring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는데, FHR과 관련된 여러가지 변수들을 선형적 모델로 비교하였다. 자궁 내 태아의 행동 발달 및 신생아 예후와의 관계를 모성빈혈의 유무와 비교하기 위해 정준상관분석(canonical ensemble)이 사용되었다. 동시에 모성빈혈의 존재가 자궁내 태아의 카오스(chaos)적 양상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선형적인 분석방법인 근사 엔트로피(approximate entropy)값을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FHR의 선형적 비교에서 FHR의 다른 변수들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FHR 변이도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진동폭(amplitude)으로 나타낸 변이도에서, 빈혈군에서는 15.3+5.86bpm으로서 정상군의 17.67+5.7bpm에 비하여 의미있게 낮았으며, 박동간격(mean minute interval)으로 나타낸 변이도에서도 각각 46.75+17.69 msec 및 52.91+18.12 msec으로서 빈혈군에서 의미있게 낮았다. 임신주수에 따른 정준상관계수의 비교에서는 임신 34~35주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36~37주 및 38~39주에서 빈혈군의 정준상관계수가 의미있게 높았다(p-value=0.03048 및 0.03421). 비선형비교에 사용된 근사엔트로피값은 빈혈군 0.68+0.26, 정상군 0.95+0.08으로서 빈혈군에서 의미있게(p-value=0.0001) 낮게 추출되었다. 결론: FHR의 변이도와 카오틱 정량화 방법 중에 하나인 근사엔트로피 값이 두 그룹간 임신 제3 삼분기 동안의 평균치에서 빈혈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사엔트로피 값은 생체의 복잡성, 비패턴성 그리고 비예측성 등을 나타내는 측도로서 그 값이 클수록 심혈관계의 활성도가 크고 건강하다고 할 수 있는데, FHR의 변수 중에서 이러한 근사엔트로피 값과 변이도가 모두 낮은 수치를 보인 것은, 임신중 빈혈과 관련된 태아심혈관계의 활성도 측정, 나아가서는 태아예후의 진단에서 이 두 가지 변수 측정의 중요성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Objectives:Maternal anemia is common hematologic disorders during pregnancy. Although mild maternal anemia is not associated with fetal anemia, neonatal morbidity including fetal anemia are common with severe maternal anemia during pregnancies. We aim to analyze each variable of FHR using linear and nonlinear methods to detect maternal anemia during pregnancies. Methods:Seventy antepartal anemic pregnant women(Hb<10.0g/dL) and the contrast group, 70 normal pregnant women were selected among the women who underwent nonstress test(NST) during 3rd trimester in Hanyang University Hospital. The calculated FHR parameters(NST time=20 min) from collected FHR data(40-50min) were made by HYFM II data file. To ass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emic and normal pregnancy group, the parameters such as baseline FHR, variability (AMP, MMR), acceleration & deceleration(15bpm-15seconds), gestational age at the time of NST, loss of record, the number of fetal movement, FHR were evaluated. We compared the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each groups using variables of NST. The overall complexity of each FHR time series was quantified by its approximate entropy(ApEn), measure of regularity derived from nonlinear dynamics, "chaos theory". Finally we extract the value of ApEn and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normal and anemic pregnant women. Results: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of FHR variability(amplitude and mean minute interval) in anemic group. Canonical correlation ensemble was significantly high in 36th-37th and 38th-39th gestational weeks in anemic group(p-value=0.03048 and 0.03421). The value of ApEn was significantly low(0.68+0.26) in anemic group comparing with normal pregnant group(0.95+0.08), respectively. Conclusions:This study shows that FHR of maternal anemia is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pregnant women, and that subtle behavioral differences could be demonstrated in uterus using computerized FHR analysis. The anemic women during pregnancy have more linear and less complicated FHR than the normal pregnancy group. ApEn, which is bound to be used as an index of fetal well-being would be used as an evaluating tool of intrauterine fetal function in the near future.

      • 위암환자의 위절제술 전후의 빈혈

        손준호,유완식,Sohn, Jun-Ho,Yu, Wan-Sik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3

        목적: 위암환자에서 수술 전 빈혈의 빈도 및 특성과 위절제술 후 빈혈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위절제술 전후의 적절한 빈혈 관리 방법을 모색하여 환자 진료에 도움을 얻기 위하여 이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32f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에 혈색소, 혈청 철, 혈청 페리틴, 혈청 비타민 $B_{12}$, 혈청 엽산을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전 빈혈이 있었던 환자는 94명이었다. 수술 전 혈색소, 혈청 철, 혈청 비타민 $B_{12}$는 조기위암 환자에서 진행성 위암환자보다 높았다. 수술 전 혈색소, 혈청 철, 혈청 페리틴 농도는 남자환자에서 여자환자보다 높았다. 수술 전 빈혈이 있었던 환자가 위절제술 후에도 빈혈이 있을 확률이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P<0.001). 또한, 수술 전 저장 철 결핍이 있던 환자들이 위절제술 후에도 빈혈에 이환되거나 지속적 저장 철 결핍이 있을 확률이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P<0.001). 결론: 위절제술 전 저장 철 결핍이 있던 환자들은 수술 후에도 저장 철 결핍이 지속되거나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고, 수술 전 빈혈이 있던 환자가 수술 후에도 빈혈에 이환 될 가능성이 많으므로 빈혈 및 철 결핍의 관리가 중요하며, 위절제술 후 철 결핍과 함께 비타민 $B_{12}$ 및 엽산의 결핍도 관찰되므로 수술 후 빈혈 지표를 추적 관찰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have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nemia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 order to provide optimal medical care for th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Preoperative hemoglobin, serum iron, serum ferritin, serum vitamin $B_{12}$, and serum folic acid were measured for 321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se were measured again for 287 patients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Ninety-four patients (29.3%) had preoperative anemia. Preoperative hemoglobin, serum iron, and serum vitamin $B_{12}$ levels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than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Preoperative hemoglobin, serum iron, and serum ferritin levels were higher in male patients than in female patients. The patients who had preoperative anemia showed a high probability of having postoperative anemia (P<0.001), and the patients who had low serum ferritin levels preoperatively showed a high probability of having low serum ferritin levels and iron deficiency anemia postoperatively (P<0.004). Conclusion: Preoperative ferritin deficiency should be improved by iron supplement, even though the patient may not be anemic at that time. Periodic postoperative measurements of the hemoglobin, serum iron, serum ferritin, serum vitamin $B_{12}$, and serum folic acid levels are highly recommended because postgastrectomy anemia is not rare. Finally, if any low hemoglobin, serum iron, serum ferritin, serum vitamin $B_{12}$, or serum folic acid levels are found, they should be treated in an appropriate way.

      • KCI등재

        위암환자에서의 위절제술 후 빈혈

        정명재 ( Myung Jae Jung ),김형일 ( Hyoung Il Kim ),조형원 ( Hyoung Won Cho ),윤호영 ( Ho Young Yoon ),김충배 ( Choong Bai Kim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7 No.2

        목적: 위암 환자에 있어서 위절제술 후 빈혈은 흔한 만성 합병증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수술전, 수술중, 수술후 혈액학적 지표의 변화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학적 지표를 포함하여 위 절제술 후 빈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법: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2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소견, 혈액학적 지표, 혈액내 철분 수치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술 후 빈혈의 진단까지의 기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전 빈혈 환자는 99명이었고 그 중 24명은 철 결핍성 빈혈이었다. Folate 와 cobalamine 결핍 환자는 없었다. 수술 직후 회복기를 관찰하였을 때 수술 방법에 따른 의미있는 혈액학적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장기 추적 관찰시 위절제술후 빈혈에 관련된 세가지 위험 인자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결론: 위절제술 후 빈혈에 관여하는 위험 인자로는 수술전 철결핍성 빈혈, 수술후 7일째 낮은 헤모글로빈 수치, 수술 방법의 차이 등이 있었다. 특히, 수술전 철 결핍성 빈혈이 진단된 환자가 위절제술후 빈혈 환자의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해 수술전 철결핍성 빈혈의 진단과 치료가 위절제술 후 빈혈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Purpose: Post-gastrectomy anemia is a common long-term complication after gastric surgery. However, the relationship of preoperative, perioperative and postoperative hematological changes has not been well studied. We analyzed factors that cause post-gastrectomy anemia including hematological chang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27 patients who underwent a gastrectomy were analyzed. Hematological and iron profiles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post-operative day (POD) 4, POD7, and during outpatient follow-up. Risk factors for the occurrence of anemia were evaluated and identified using Kaplan-Meier and Cox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uring the preoperative phase, 99 patients were anemic and 24 of the patients had iron deficiency. No folate or cobalamin deficiency was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ecovery phase. During the long-term outpatient follow-up phase, we monitored occurrence of post-gastrectomy anemia and identified three risk factors, including presence of preoperative iron deficiency anemia, low hemoglobin level on POD7 and the type of surgery (p-value 0.001, 0.002, and 0.001). Conclusions: We showed that patients with preoperative iron deficiency anemia accounted for nearly half of the post-gastrectomy anemia population. Further study on the utility of preoperative treatment of anemia before the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quality of life in gastric cancer survivors.

      • KCI등재

        태아 빈혈에서 도플러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및 제대 혈관 수혈 후 주산기 예후

        백수진 ( Su Jin Baek ),원혜성 ( Hye Sung Won ),심재윤 ( Jae Yoon Shim ),이필량 ( Pil Ryang Lee ),김암 ( Ahm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4

        목적: 태아 빈혈로 자궁 내 태아 수혈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 및 수혈 전후의 혈액학적 상태 예측을 위한 초음파 도플러의 유용성과 주산기 예후를 분석하여 태아 빈혈의 산전 진단 및 치료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 국내 첫 보고이다. 연구 방법: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2000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태아 빈혈로 확진된 16예에서 35회의 자궁 내 제대 혈관 수혈이 이루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첫 번째 수혈 시 평균 임신주수는 26±3.81 (21.3~33.6)주이고 자궁 내 제대 혈관 수혈 전후의 혈색소치 (x)와 초음파 도플러 검사상 태아 중간대뇌동맥의 최고속도 (y)와의 관계를 선형회귀분석 한 결과, y=0.810-0.229x, r2=0.542, CI 0.316-0.141, P<0.001; y=1.374-0.391x, r2=0.499, CI 0.584-0.197, P<0.001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치료 후 빈혈의 중등도에 따른 예후를 분석한 결과 진단 시 중증의 빈혈이 있었던 군이 경증이나 경중증의 빈혈이었던 군보다 오히려 생존율이 높았으며, 원인이 명확하였던 군이 원인 불명이었던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높았다 (P<0.05, P<0.001) 결론: 태아 빈혈의 진단 및 수혈 후 태아 혈색소 수치 변화의 추적 관찰에 있어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한 중간대뇌동맥 혈류 최고 속도의 측정이 비침습적인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전에 빈혈로 진단 받은 태아에서 혈색소 수치가 낮고 태아 수종이 있더라도 정확한 원인 규명이 중요하며 원인이 밝혀진 태아 빈혈은 자궁 내 태아 수혈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통하여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Objective: We undertook this study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neonatal survival in patients with fetal anemia who were treated by intraumbilical venous transfusion (IUT). Methods: From July 2000 to March 2009, 16 cases of fetal anemia were diagnosed at Asan Medical Center in Seoul, Korea. These patients underwent intraumbilical venous transfusions and were thus included in our study. Doppler measurement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peak systolic velocity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ordocentesis in all fetuses. Results: The gestational age at the time of the diagnosis of anemia ranged from 21.3 to 33.6 weeks. There was a linear correlation between pre- and post-procedure fetal hemoglobin (Hb,MoM, (x)) and the MCA-PSV (MoM, (y)), i.e., y=0.810-0.229x, r2=0.542, CI 0.316-0.141, P<0.005; and y=1.374-0.391x, r2=0.499, CI 0.584-0.197, P<0.005. The survival was better in patients with severe anemia than those with mild to moderate anemia (P<0.05), and survival was better in patients with anemia of a known cause than those with anemia of an unknown cause (P<0.001). Conclusion: In fetuses with anemia, the severity of the anemia before IUT and the change of hemoglobin concentration after IUT, can be estimated noninvasively using Doppler ultrasonography, on the basis of an increase in the peak velocity of systolic blood flow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Both severity and etiology were meaningful factors for the survival of neonates with fetal anemia who were treated by intraumbilical venous transfusion. Although fetuses have severe anemia, they expected improved survival through IUT. These data are valuable information for use when counseling the parents of an affected fetus.

      • KCI등재

        노령층에서의 혈청 엽산 및 비타민 B₁₂ 감소시 빈혈과 동반질환들

        이종화(Jong-Hwa Lee),한지숙(Jee-Sook Hahn),원동일(Dong-Il Won),고윤웅(Yun-Woong K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1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2 No.2

        Background : Nutritional deficiency anemias a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elderly patients. Iron deficiency anemia is the most frequent, but folic acid and vitamin B₁₂ deficient conditions make also anemia with many combined diseases. Methods : We evaluated anemia and associated diseases in 65 elderly patients with decreased serum folic acid and vitamin B₁₂ levels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9 in Youngdong Severance Hospital. Results : There were 49 cases of decreased serum folic acid. Among them, anemia was found in 37 cases (75.7%) with 21 cases normocytic, 14 cases macrocytic anemic picture though adequate iron storage. Associated diseases in order were gastrointestinal diseases, dementia, cerebral infarct, liver disease, diabetes mellitus, depression, alcoholism and Parkinsonism. Serum vitamin B₁₂ levels decreased in 16 cases, among them 15 anemic cases (93.8%) were found with 10 cases macrocytic, 4 cases normocytic anemic picture with adequate iron storage. Associated diseases in order were gastrointestinal diseases, pernicious anemia, dementia, Parkinsonism and subacute combined degeneration. Conclusion : In the elderly, there were also many cases that did not develop anemia even though serum folic acid levels were decreased with associated diseases. 연구배경 : 노인에서 철분의 결핍이외에 엽산이나 비타민 B₁₂ 감소에 따른 빈혈과 관계되는 질환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7년 l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영동 세브란스병원에 혈청 엽산 및 비타민 B₁₂를 측정하여 감소한 65세이상의 노인 65명을 대상으로 빈혈의 양상을 확인하였고 연관된 질환들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 노인에서 혈청 엽산치가 감소된 경우가 49명로 혈청 비타민 B₁₂이 감소된 16명보다 더 많았다. 혈청 엽산치가 감소한 경우 37명(75.7%)에서만 빈혈이 관찰되었고, 체내 철분이 충분해도 빈혈의 양상은 14명에서만 대구성이었고 21명에서는 정구성이었으며 관련 질환은 위장관질환, 치매, 뇌경색, 간질환, 당뇨병, 우울증 알코올중독 및 파킨슨증 이었다 혈청 비타민 B₁₂가 감소한 경우 15명(93.8%)에서 빈혈이 관찰되었고 빈혈의 양상은 10명에서 대구성으로 제일 많았고 관련 질환은 위장관 질환, 악성 빈혈 치매, 파킨슨증, 아급성 결합성 척수 변성등이었다. 결론 : 노령층에서도 비노령층에서와 같이 엽산이나 비타민 B₁₂ 감소가 관찰되었고 빈혈과 여러 질환이 연관되며, 혈청 엽산이 감소해도 빈혈이 발생하지 않을 때가 상당히 많아 더 정확한 적혈구내 엽산측정이 같이 필요하였다.

      • KCI등재

        다양한 빈혈에서의 혈중 적혈구생성인자 분비의 특성

        조요한 ( Yo Han Cho ),안수영 ( Soo Young Ahn ),김영백 ( Young Baek Kim ),윤소영 ( So Young Yoon ),이홍기 ( Hong Ghi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5

        목적: 만성질환빈혈은 입원환자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지만 기저 질환의 범위나 병태생리가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다. 저자는 이러한 빈혈을 포함한 다양한 빈혈에서 적혈구생성인자(EPO)의 분비의 특성을 알아보고 기저 질환별차이점과 분비에 영향을 주는 임상적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3월 1일부터 2007년 4월 30일까지 건국대학교병원 종양혈액내과에서 빈혈(남: 혈색소<13 g/dL, 여: 혈색소<12 g/dL)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검사와 함께 혈중 적혈구생성인자(EPO) 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이들 환자에서 혈색소에 따른 EPO 분비의 적절성을 평가하여 질환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총 161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철결핍빈혈군(42명)에 비해 만성질환빈혈군(119명)에서 EPO의 분비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p=0.000). 악성 종양군(20명)을 제외한 감염군(46명), 신부전군(27명) 외에도 심부전군(12명), 기타 질환군(14명) 모두에서 유의하게 EPO 감소가 관찰되었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의 환자군이 65세 미만 환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EPO의 분비가 저하되어 있었고(p=0.01), 신부전이 동반된 경우를 제외한 당뇨 환자군에서도 비당뇨 환자군에 비해 EPO의 분비가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5). 결론: 만성질환 동반 빈혈을 포함한 여러 가지 빈혈은 EPO 분비가 감소되어 있었고, 또한 고령이나 당뇨 등이 EPO 분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빈혈 환자에서의 진단적 EPO 측정 및 치료목적 투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앞으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The characteristics of erythropoietin response in patients suffering with anemia of chronic disease and in the patients with various other anemias are poorly defined. Thus, we evaluated the clin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erythropoietin response. Methods: We enrolled the anemic patients (hemoglobin <13 g/dL for males and <12 g/dL for females) who visited the Hematology-Oncology department of Konkuk University Hospital from Mar 2006 to April 2007. The laboratory tests, including the complete blood count, serum ferritin, serum vitamin B12/folate, the peripheral blood morphology and serum erythropoietin, were done. The erythropoietin response to anemia was assessed by the ratio of the log of the measured erythropoietin to the log of the expected erythropoietin. Results: A total of 161 patients, including 42 iron-deficiency anemia (IDA) patients, were analyzed. 119 non-IDA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infection (n=46), chronic renal failure (n=27), cancer (n=20), heart failure (n=12), or with other diseases (n=14). Except for the cancer patients, all the patients with other diseases showed a blunted erythropoietin response in comparison with the IDA patients (p=0.000). Among the non-IDA patients, those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showed more blunted erythropoietin response than did the younger patients (p=0.01), and the diabetics without renal dysfunction also tended to respond better to erythropoietin than did the non-diabetics (p=0.055). Conclusion: A blunted erythropoietin response was observed in most of the anemic patients in our study. Old age and diabetes may further blunt the erythropoietin response. The feasibility of erythropoietin testing and supplementation treatment in these patients merits further evaluation.(Korean J Med 74:531-536, 2008)

      • KCI등재

        녹용대보탕 열수 추출물의 실험적으로 유발된 랫트 아급성 출혈성 빈혈에 대한 효과

        김정아 ( Jung-ah Kim ),김동철 ( Dong-chul Kim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17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30 No.3

        목 적: 본 연구는 녹용대보탕이 안와정맥총 방혈로 유발시킨 랫트의 아급성 출혈성 빈혈 모델에 대해 항빈혈 및 조혈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방 법: 본 실험에서는 안와 정맥총에서 혈액을 채혈하여 아급성 출혈성 빈혈을 유발시켰으며, 녹용대보탕 추출물을 경구투여하고, 체중 및 조혈 관련 장기(대퇴골 골수, 비장 및 간) 중량, 적혈구 관련 혈액학적 지표의 변화, 혈액 도말 표본의 세포학적 변화, 조혈관련 장기의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함께 조혈장기 내 혈구형성 줄기세포의 수적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철분 보충제의 대표적 부작용인 소화 장애, 특히 변비 유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탄분을 이용해 위장관 운동성을 평가하였으며, 결장내 분변 표면의 점막 두께와 결장점막 내 점액생산세포 및 결장 점막 두께 변화를 조직병리학적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본 실험에서 유발된 아급성 출혈성 빈혈 소견이 모든 세 용량의 녹용대보탕 추출물의 용량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또한 세 용량의 녹용대보탕 투여군에서는 정상 대조군 및 아급성 출혈성 빈혈 대조군에 비해 위장관 운동성 변화 및 결장 및 결장내 분변의 점액성분의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녹용대보탕의 경구투여는 아급성 출혈성 빈혈 유발 랫트에서 단순 철분 보충제의 부작용인 소화관 장애 없이, 조혈관련 장기들에서 혈구형성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을 통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철 결핍성 빈혈의 증상을 현저히 완화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녹용대보탕은 새로운 개념의 조혈촉진 빈혈치료제로서의 개발 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possible ameliorating effects of Nokyongdaebo-tang (NYDBT) on the experimental subacute hemorrhagic anemia (SHA) in rats.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SHA in rats was induced by exsanguinations from orbital plexus, and ameliorating effects of NYDBT was observed based on the changes of body and hematopoietic organ (spleen, liver and femur) weights, red blood cell (RBC) related hematological values, smear cytology, histopathological changes and immunohistochemistrical analysis of hematopoietic stem cells in the femur bone marrow, liver and spleen. In addition, the gastrointestinal motility and the surface mucosa thicknesses of remnant fecal pellets in the colon lumen, mucosa thicknesses and the mucous producing cell numbers in the colonic mucosa were analyzed to observe the digestive disorders, especially on the constipation, the major discomfort problems in iron supplement. Results: SHA related abnormal anemic signs were markedly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oral administration of NYDBT 500, 250 and 125 mg/kg in a condition of this experiment. In addition, no meaningful changes on the gastrointestinal motilities and mucous component on the colon and remnant feces were noticed in all three different dosages of NYDBT treated rats as compared with intact vehicle and SHA control rats in this study. Conclusions: It, therefore, is expected that NYDBT will be promising as a novel alternative hematopoietic and therapeutic agent for anemia.

      • KCI등재

        임신 중 진단된 재생불량성 빈혈의 임상적 특징 및 예후

        권지영 ( Ji Young Kwon ),조윤성 ( Youn Sung Jo ),안현영,이귀세라 ( Gui Se Ra Lee ),이영 ( Young Lee ),신종철 ( Jong Chul Shin ),이종건 ( Jong Kun Lee ),나종구 ( Jong Gu Rha ),김수평 ( Soo Pyu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6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7 No.2

        목적 : 임신 중 발생한 재생불량성 빈혈의 임상적 특정 및 임신과 신생아에 미치는 예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본원에서 분만한 산모 중 임신 중 재생불량성 빈혈을 처음으로 진단받은 산모 14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정 및 분만기록과 신생아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 14명 중 11명(78%)에서 임신 제2 삼분기 이후에 재생불량성 빈혈을 진단받았다. 발견 당시부터 중증의 재생불량성 빈혈이었던 경우 3명을 포함하여 총 8명이 임신 기간 중 중증의 재생불량성 빈혈이었다. 모든 경우에서 임신 중 약물요법을 시행하지 않았다. 산전 진찰기간 중 수혈을 받은 경우는 7명 이었고, 분만 전후에 수혈을 받은 경우는 13명이었다. 분만 후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12명에서 1명이 분만 후 완전관해가 되었으며 8명은 부분관해가 되었다. 2명은 골수이식 후 완전관해가 되었다. 조산이 1예가 있었으며 1예에서는 신생아 빈혈이 있었다. 결론 : 임신 중 재생불량성 빈혈의 예후는 기존의 보고에 비해서 매우 향상되었으며 혈색소와 혈소판 수혈을 통한 보존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Objective: Pregnancy-associated aplastic anemia remains a rare occurre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ternal and fetal outcomes of pregnancy-associated aplastic anemia treated with supportive care. Methods: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04, a total of 14 women newly diagnosed with pregnancy-associated aplastic anemia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Results : Eleven (78%) of the 14 women were diagnosed with pregnancy-associated aplastic anemia during the second or third trimester. There were eight severe cases; three of which were diagnosed at the initial presentation. All 14 women had conservative management with transfusions but not specific immunological or hormonal therapies during pregnancy. Blood transfusions were performed prenatally in seven mothers and perinatally in 13. Of the 12 patients eligible for follow-up, one achieved complete remission and another eight showed partial remission after delivery. During the follow up period, there was no case of maternal-fetal death in our series. The pregnancies were continued uneventfully in most cases.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d favorable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with transfusion support alone for pregnancy-associated aplastic anemia. Therefore, pregnancy continuation with meticulous blood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rather than therapeutic termination, for women with pregnancy-associated aplastic anemia.

      • KCI등재

        대한민국 성인에서 빈혈과 비타민D 결핍의 관련성 : 제5차 국민건강영양검진조사 자료 이용

        이주연,박초희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6

        본 연구는 대한민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빈혈과 비타민D 결핍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체 내 비타민D의 결핍에 따른 빈혈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향후 비타민D의 결핍과 빈혈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 다. 연구방법은 성인 16,060명의 데이터로 제5차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에서 분석 되었으며, 몇 가지 결론 이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관련 변수를 조정한 후 비타민D 정규군(25-하이드록시 비타민[25(OH)D] ng/mL)을 기 준으로 사용한 빈혈(헤모글로빈[Hb] < 남성 13g/dL 또는 여성 Hb < 12g/dL)의 승산비(OR)는 비타민 D 결핍군 (25 NG/D)에 유의하였다Erval [CI], 1.168–1.470). 둘째, 비타민 D 결핍에서 헤모글로빈(p < 0.001), 헤마토크리 트(p < 0.001), 혈청철(p < 0.001), 페리틴(p < 0.001) 및 총 철 결합 용량(p < 0.001)은 비타민 D 정상군 보다 낮았다. 결론적으로, 비타민 D 결핍으로 인해 대한민국 성인들은 빈혈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며,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nemia and Vitamin D deficiency, in Korean adults, and aims tp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annemia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in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with data of 16,060 adults. As a rsult of study, first after adjusting for relevant variables, the odds ratio (OR) of anemia (hemoglobin [Hb] < male 13g/dL or female Hb < 12g/dL) based on the vitamin D-deficient group (25 NG/D)was noted fo thd vitamin D deficiency group(25NG/D from 1.168Cl) Second,in vitamin D deficiency, hemoglobin (p < 0.001), hematocrit (p < 0.001), serum iron (p < 0.001), ferritin (p < 0.001), and total iron-binding dose(p < 0.001) were lower than in vitamin D normal group.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vitamin D deficiency affects and relates to the incidency of anemia in Korean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