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유가에서 보는 분노와 분노조절 -정주학의 성찰과 궁리를 중심으로-

        이기원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5

        When anger is positively radiated, it can preserve public justice, e.g. changing unreasonable social institutions, etc., however it can make the individual as well as society pathological when it appears pathologically. Anger sometimes appears hatred on others. Hatred on others shows low tolerance on others. Since all angers in daily life cannot be fundamentally removed, therefore, it becomes a matter of how to control ange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cognition of anger and the regulation of anger, mainly in New Confucianism Considered. In order to control anger,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heart of anger. In the reflection method, “kyoung(敬)” by “Gyokyong(居敬)” was presented. You will face the angry self through reflection by “kyokyonge”, and you will be able to get a point of view that can honestly recognize the angry self. What is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anger, it is because it require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angry feelings. An important thing along with understanding emotions is getting angry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Ingenuity(窮理)” of angry self-understanding, it is possible to reflect on what part should be adjusted and how. In the method of ingenuity, there are ingenuity ingenuity. Natural reason is a rational reflection process of anger, such as why anger occurs, whether anger is legitimate, or whether anger can be spread to others. Through ingenuity,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nger will be possible. Using this method, you can expect a thorough understanding of your emotions and improved self-regulation. 분노가 긍정적으로 발산이 되면 부조리한 사회의 제도를 바꾸는 등 공적 정의를 지킬 수 있지만 병리적으로 나타나면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까지도 병리적이 될 수 있다. 분노는 타자에 대한 혐오로 나타나기도 한다. 일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분노를 원천적으로 없앨 수는 없기 때문에 결국 분노를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가 관건이 된다. 본고는 정주학(程朱學)을 중심으로 분노에 대한 인식과 분노조절에 대해 고찰했다. 불만과 불평, 소외나 원망, 원한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해소되지 못하고 마음에 쌓이게 되면 분노로 발전할 수 있다. 분노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분노하는 마음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성찰의 방법으로는 ‘경(敬)’에 의한 ‘거경(居敬)’을 제시했다. ‘경’에 의한 성찰을 통해 분노하는 자기와 대면하게 되고 분노하는 자기를 솔직하게 인정할 수 있는 시점을 얻을 수 있다. 분노 조절에서 중요한 것은 분노하는 감정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감정에 대한 이해와 함께 중요한 것은 분노하는 자기 이해이다. 분노하는 자기 이해에 대한 궁리(窮理)를 통해 어떤 부분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를 성찰할 수 있다. 궁리의 방법으로는 소이연(所以然)과 소당연(所當然)적 궁리가 있다. 소이연과 소당연적 궁리는 분노가 왜 일어나는지, 분노가 정당한지, 분노를 다른 것으로 발산할 수는 없는지 등 분노에 대한 이성적 성찰과정이다. 궁리를 통해 분노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자기감정에 대한 면밀한 이해와 자기 조절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치과위생사의 분노표현유형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에 대한 융합적 연구

        이현희,한수진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분노표현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치과의료기관 근무 치과위생사 40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군집분석으로 분노표현유형을 분류 하였고, 분노표현유형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치과위생사의 분노표현유형은 분노 조절군과 분노표출·억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분노조절군이 233명(58.0%)이었다. 자아존중감(OR=5.952)과 동료의 사 회적지지(OR=1.172)가 높을수록 분노조절군일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치과위생사의 자아존중감과 동료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치과위생사의 분노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vergence factor wher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job stress affect the type of anger expressions in dental hygienists. The study involved 402 hygienists from different dental institutions. Clustering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lassify the types,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related factors. Based on the types of anger expressions found in dental hygienists, they were divided into an anger control group and anger out-in group, with the former comprising 233 participants (58%).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ith higher self-esteem (OR=5.592) and enjoying greater social support from their colleagues (OR=1.172) tend to belong to the anger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the study suggests that dental hygienists can control anger better with higher self-esteem and stronger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 KCI등재

        분노감정이 부정적 욕구의 행동인 E-Commerce 검색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진호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4

        수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소비자들은 정서적 감정 중 부정적인 감정인 분노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분노의 표현 방법으로는 짜증, 좌절, 분노, 포기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분노감정의 표현 방법은 짜증 후 시간이 흐르면 좌절하게 되고 좌절 후 시간이 흐르면 분노하게 되며 또 일정 시간이 흐르면 포기를 하게 된다. 이러한 분노감정의 표현 단계에 의해서 우리는 부정적인 욕구 행동인 E-Commerce(쿠팡, 티몬, 네이버 등)의 검색을 통해 제품을 검색하고 구매하려는 강박 행동을 반복함으로써 부정적인 감정의 분노를 환기시키려고 한다. 환기를 위해 제품의 검색과 구매를 반복함으로써 소비자들은 잠시 기쁨과 만족감을 느끼게 되지만 조금의 시간이 지난 후 후회와 우울감과 같은 부정 감정을 유발하게 된다. 기업의 입장에서 E-Commerce를 통해 소비자들이 검색량을 증대시키는 여러 요인들 중에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분노 표현 방법(짜증, 좌절, 분노, 포기)의 단계에 있는 소비자가 어느 단계에서 E-Commerce의 검색량이 증대되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은 분노고객의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각박한 사회생활 속에서 받는 스트레스에 노출된 소비자가 어떠한 부정적 분노 표현 방법에서 가장 많은 E-Commerce에 검색하는지 검색량을 통해 분노고객의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학적 변수 통제 후 살펴본 결과 분노 표현 방법 (짜증, 좌절, 분노, 포기) 중 짜증은 E-Commerce의 검색량 증가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력을 보였으며 좌절, 포기, 분노의 순으로 검색량에 미치는 효과가 증가한다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Consumers who are exposed to a lot of stress induce anger, a negative emotion among emotional emotions. These anger expressions go through the stages of annoyance, frustration, anger, and abandonment. The way to express anger is to become frustrated as time passes after irritation, become angry as time passes after frustration, and give up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passes. By this stage of expression of anger emotion, we try to evoke the anger of negative emotion by repeating the compulsive behavior of searching for and purchasing products through e-commerce (Coupang, Timon, Naver, etc.) search, which is a negative desire behavior. By repeating product search and purchase for ventilation, consumers feel joy and satisfaction for a while, but after a while, they cause negative emotions such as regret and depression. From a company's point of view, among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search volume of consumers through e-commerce, consumers at the stage of expressing anger (irritability, frustration, anger, abandonment) caused by stress at what stage of e-commerce We tried to study whether the search volume increases. Through this study, in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for angry customers, companies exposed to stress from corona and tough social life searched for the most e-commerce in which negative anger expression method, angry customers through search volume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for As a result of the study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anger expression methods (irritability, frustration, anger, abandonment), irritation showed an in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search volume for e-commerce, and frustration, abandonment, and anger increased search volume in the order.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were confirmed that the effect increases.

      • KCI등재

        분노표현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정여주(Chung, Yeoju),윤서연(Yoon, Seoy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 감정 및 분노 표현에 대해서 이해하고, 자연스러운 감정 상태로서의 분노로 인식하고 대처하고자 하는 연구 및 상담적 개입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학술지 55편을 연구대상으로연구방법, 연구 주제 및 관련변인, 측정도구, 개입을 위한 상담적 접근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표현에 대한 연구는 2000년 이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은 대학생 및 청소년이 가장 많았고, 특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호텔 종사자, 군의 초급간부 등이 나타났으나 부부 및 기혼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세번째로, 55편의 논문의 대부분이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를 사용하여 분노표출, 분노억제, 그리고 분노 통제를 분류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대상자들의 적절한 분노표현에 대한 이해를 위해 Q-방법을 활용하여 척도를 개발하는 연구가 나타나고 있다. 네 번째로, 분노표현을 개선하기 위해 주로 애착 및 양육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상담적 개입으로는 인지치료가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오고 있었으며 분노 정서에서의 전환을 위한 전략들을 제공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포커싱적 태도, 마음챙김, 수용전념 치료 등 체험적 접근들을 살펴 볼 수 있었는데 그때 그때의 감각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알아차림을 이뤄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표현예술치료를 활용하여 분노표현을 다룰 때는 그룹 활동을 통해 분노를 다루는 것이 좀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nger expression, to recognize the anger as a natural emotional state, an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and counseling intervention to cope with it. Related variables, measurement tools, and counseling approaches for intervention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 on anger express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2000. Second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mostly college students and adolescents, and clinical nurses, hotel workers, and beginner executives of the military who were providing services characteristically. Thirdly, most of the 55 articles classify anger expression, anger suppression, and anger control using the STAXI(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 1988). 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ing new scales using the Q-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ppropriate anger expression of the subjects in each culture. Fourthly, to improve anger expression, attachment and parenting were found the most studied fields. Cognitive Therapy was used continuously for counseling intervention for the controlling the anger were appeared. Fifthly, some studies have shown empirical approaches such as Focusing Attitude, Mindfulness, and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nd tried to achieve new awareness focusing on the senses, emotions and related experiences simultaneousl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more meaningful to deal with anger through group activities when dealing with expression of anger by using Expression Art Therapy.

      • KCI등재

        세네카 분노론의 철학실천적 변론

        이진남(Jin-Nam Yi)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철학논집 Vol.69 No.-

        이 글의 목적은 세네카 분노론이 철학실천적 측면에서 아리스토텔레스나 필로데모스의 분노론보다 오히려 더 현실적이라는 사실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는 세네카 분노론의 이론적 측면인 분노의 정의, 원인, 발생 단계, 속성을 분석한다. 분노는 ‘부당하게 당한 불의에 대해 복수하려는 욕망’으로 정의되고 정념 혹은 악덕으로 분류된다. 분노의 원인은 불의를 당했고 자신은 잘못이 없다는 생각이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악덕이다. 분노는 마음에 들어오는 단계, 숙고를 통해 생기거나 제거되는 단계, 통제 불능의 단계라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분노는 통제 불능, 백해무익, 원인의 선천성과 후천성, 동의 의존성이라는 속성이 있다. 제3절에서는 세네카 분노론의 실천적 측면으로 분노 예방법, 치료법, 타인의 분노에 대한 대처법을 분석한다. 예방법으로는 격려와 훈계를 통한 훌륭한 성품 기르기, 자존감 높이기, 예상과 성찰, 환경 정비를, 치료법으로는 유예, 초기 진압, 논리적 반박을, 타인 분노 대처법으로는 초기의 기다림, 후기의 수치심과 두려움 유발 전략을 제시한다. 제4절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필로데모스의 분노론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세네카 분노론의 우수성을 보인다. 분노를 부당한 무시에 대한 복수의 욕망으로 규정하고 온화라는 일종의 중용을 추구한 아리스토텔레스와 분노를 헛된 분노와 자연적 분노로 나눈 필로데모스에 대해 분노 개념의 정리와 분노의 현실적 조절 불가능성을 주장한 세네카의 논리로 비판한다. 또한 전자의 이상적이고 넓은 의미의 분노 개념에 비해, 세네카의 현실적이고 좁은 분노 개념이 명확한 타게팅, 통제의 현실성, 구체적 방법론 제시, 자존감 강조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점을 밝힌다. 이 작업은 향후 세네카 분노론에 기반한 철학실천적 분노치료 개발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use of contrasts and simplifications to aid understanding often makes some people ignore details and distort the arguments of certain thinkers. There has been misconception that Stoic philosophy is an unrealistic idea that imposes extreme self-denial and ignores emotions. Even in the case of Seneca's anger theory, his claim to thoroughly block anger can be misunderstood as an unrealistic method combined with the extreme impression of the Stoics. In this article, I try to reveal the fact that Seneca's anger theory is more realistic than those of Aristotle or Philodemus in terms of philosophical practice. For this, in section 2, I analyze the definition, cause, stage of occurrence, and attributes of anger, which are theoretical aspects of Seneca's anger theory. Anger is defined as “the desire to take revenge for unjustly done injustice” and classified as a passion or vice. The cause of anger is the idea that someone has suffered injustice and that he is not at fault and that he voluntarily agrees to it. Anger consists of three stages: the stage of entry into the mind, the stage that arises or is eliminated through deliberation, and the stage of out-of-control. Anger has the properties of being out of control, harmless, congenital and acquired of causes, and dependence on consent. In Section 3, as a practical aspect of Seneca's anger theory, methods for preventing anger, treatment, and coping with other people's anger are analyzed. As preventive methods, fostering good character through encouragement and admonition, increasing self-esteem, anticipation and reflection, and environmental maintenance are suggested. As treatment methods, probation, initial suppression and logical rebuttal are suggested. And as a method for coping with anger of others, initial waiting, later inducing shame and fear strategy is suggested. In section 4, I introduce Aristotle’s and Philodemus’ theories of anger and show the superiority of Seneca's theory of anger to them. In comparison with Aristotle, who defined anger as a desire for revenge for unjustified disregard, and who pursued a kind of moderation of mildness, and Philodemus, who divided anger into empty anger and natural anger, Seneca, who rearranged the concept of anger and held the realistic uncontrollability of anger, has more appeal. Also, compared with their ideal and broad concepts of anger, Seneca's realistic and narrow concept of anger is superior in four aspects: clear targeting, realistic control, specific methodologies, and emphasis on self-esteem. I expect that this article will b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practice anger therapy based on Seneca's anger theory in the future.

      • KCI등재

        분노해결기법과 사례연구 - 세네카의 <분노에 대하여>를 바탕으로 -

        손동선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4 No.-

        In this essay, I modify and improve an anger-solving approach based on Seneca’s theory of anger. Seneca proposed his own theory on anger and its therapy in his book, De Ira. Jin-Nam Yi developed five-step-anger-solving approach based on Seneca’s theory and John Dewey’s problem-solving steps. I show that Yi’s approach is restricted in preventive short-term therapy with a constricted concept of anger. I also propose that we should treat controllable anger on preventive levels and uncontrollable anger on therapeutic levels. Adding the sixth step, ‘jumping’ in order to treat counselees with uncontrollable angers, I suggest a new anger-solving approach with clinical examples. 세네카는 <분노에 대하여>를 통하여 세네카 특유의 분노의 특성과 분노의 예방・치유법을 제시했다. 이진남은 세네카의 분노 개념과 치유법에 존 듀이의 문제해결기법을 결합하여 다섯 단계의 분노해결기법을 고안했다. 그리고 이 기법으로 분노를 조절하고 제어하는 임상모델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진남의 시도는 분노를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예방적 단기치료라는 한계점을 노정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필자는 세네카가 구분한 분노 1,2단계는 통제 가능한 분노, 분노 3단계는 통제 불가능한 분노로 구분한다. 통제 불가능한 분노를 분노 자체인 분노와 분노로 인해서 유발된 문제를 함의하는 분노로 규정한다. 그리고 통제 불가능한 분노 중 분노 자체로서의 분노는 예방적 차원으로, 분노로 인해서 유발된 문제는 치유적 차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분노해결기법의 3단계인 ‘이해’의 단계를 수정하고 ‘도약’ 이라는 6단계를 추가하여 기법을 보완한다. 이를 기반으로 통제 불가능한 분노에 노출된 내담자의 실제 사례를 임상모델로 제시하며 철학상담의 효과성과 정체성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분노성향 및 분노표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별특성에 따른 차이

        최진오 ( Choi Jin-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분노성향과 분노표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지 여부와 이러한 분노성향과 분노표현에 ADHD성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은 학생들의 개별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수도권 지역 5개 학교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938명을 대상으로 분노성향과 분노표현, ADHD성향과 학업성취도 수준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일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과 그래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의 분노성향과 분노표현 중 분노표현만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성향은 분노성향을 증가시키고 분노표현 중 분노표출은 증가시키며, 분노억압과 분노조절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DHD성향이 분노성향과 분노표현 중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남학생들보다 여학생들에 있어 ADHD성향이 분노성향과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교육현장에서 분노문제를 예방하고 지도함에 있어 분노성향과 분노표현의 차이, ADHD성향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는 점과 ADHD성향을 나타내는 여학생들에 대해 보다 심도깊은 분노예방 및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ger trait and expression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ir ADHD tendency on the anger trait and expression Method: In capital area, 938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schools were surveyed. The participants were 4th, 5th, or 6<sup>th</sup> graders and answered the survey about their anger trait, anger expression, ADHD tend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were analysed by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two way ANOVA, and graph analysis. Results: First, anger expression had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DHD tendency could increase anger trait and anger out and degrade anger in and anger control. Third, the impacts of ADHD tendency on their anger trait and anger ou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ADHD tendency of female students was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impacts on their anger trait and anger out compared to those of male students.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anger trait and expression, and ADHD tendency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ervening anger issues in elementary education. Particular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emphasize that more deliberate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female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ADHD tendency.

      • KCI등재후보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양육태도에 따른 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의 차이

        정윤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re are different child' anger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To accomplish this goal, first, t-test was applied to see the difference of anger expressions between two groups who are raised by either accepting or rejecting parent. Second, to find out if anger expressions are influenced by child's sex and a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rearing attitude, t-test was used. Third, one way ANOVA and post-hoc comparison(Duncan) were applied to compare the scores of anger control between four different groups; both accepting parent, accepting father-rejecting mother, rejecting father-accepting mother, and both rejecting paren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440 college students who are taking psychology lecture in Seoul. To assess the difference of anger expressions by parental rearing attitude, Anger Express Inventory and Parent Acceptance-Rejection Questionaire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were raised by both accepting parent made high scores in the Anger control scales and the other group, who raised by both rejecting parent, revealed high scores in the Anger-in and Anger-out sca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ring attitudes according to child's sex. For s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nger expressions between two groups who are raised by accepting and rejecting mother. Daughter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nger expressions between two groups raised by accepting and rejecting father. Third, the subject whose father is rejecting and mother is accepting revealed high average scores in Anger control scale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at child has different anger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s. Child learns the way how to express appropriate anger as long as parent raise them with acceptable attitudes. Otherwise they suppress anger or express it extremely when they feel parent are rejecting. And mother seems to affect son more than father, and daughter is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father than mother. This study has shown the significance that the rearing attitude of mother affects the child's anger control more than any other attitudes.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녀의 분노표현 방식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지각된 부와 모 의 수용-거부 양육태도에 따른 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에 대한 차이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별에 따른 분노표현방식의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위치한 대학에서 심리학 관련 교양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분노표현방식과 부모양육태도를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 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수용적이라고 지각한 집단은 분노조절점수가 유 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거부적이라고 지각한 집단은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부모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별에 따라서는 아들의 경우 어머니의 수용-거부 양육태도에 따라 분노표현방식이 유 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딸의 경우 아버지의 수용-거부 양육태도에 따라 분노표현방식이 유의 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거부적이라고 지각하면서 어머니의 양육태 도를 수용적이라고 지각한 집단의 분노조절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부모의 양육태도 방법에 따라 자녀가 분노에 대해 표현하는 방식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부모의 양육태도 가 수용적일 수록 자녀들이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거부적일 수록 자녀들은 분노를 억제 하거나 과도하게 표출을 한다. 또한, 아들은 어머니의 영향을, 딸은 아버지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이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에서도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분노를 적절하게 조절하는데 더 많은 영 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 청소년의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에 대한 연구 현황 및 향후 방향 제시

        구지은,송현주 서울여자대학교 2010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0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분노사고와 정서조절전략에 관한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분노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빈번히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서이며, 일상생활 속의 사건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정서적 문제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서수균, 2004). 분노 경험은 정서적, 생리적, 인지적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 가지 요인들은 거의 동시에 경험된다(Deffenbacher & McKay, 2000). 이 중에서도 특히 인지적 요인은 분노 경험을 일으키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여러 분노 이론들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Beck, 2000; Berkowitz, 1990; Deffenbacher & McKay, 2000; Lazarus, 1991). 아동기 후반과 청소년기에는 자기비난, 죄책감, 자기비하, 무가치함 등 인지적 측면이 두드러지는데(김은정, 오경자, 1992), 이러한 요인들은 인지의 작용으로 비합리적인 개인의 신념이나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지왜곡으로 인해 개인의 행동표출에 다양한 방법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이은주, 2007). 최근 심리치료 영역에서는 인지적, 행동적 접근의 커다란 두 가지 접근 관점에 체험적 접근을 추가하여 정서적 정보처리의 역할을 강조하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이지영, 권석만,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인지적인 사고과정과 정서적인 정보처리 역할을 정확하게 고찰하며, 청소년의 공격행동과 비행, 부적응 등을 유발하는 분노에 대한 치료와 분노조절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중재를 제시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studies related with adolescent's anger thought and thei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ger is the most frequent negative emotion, and a natural response we experience in our daily life, which is also deeply related to emotional issues (Seo 2004). Emotional, physi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are the three factors that construct anger experience, and these three factors are experienced mostly simultaneously (Deffenbacher & McKay, 2000). In many theories, especially the cognitive factor was most considered as the major factor of the cause on anger experience (Beck, 2000; Berkowitz, 1990; Deffenbacher & McKay, 2000; Lazarus, 1991). The cognitive aspect during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such as self-condemnation, guilt, self-degradation and worthlessness strikes remarkably (Kim and Oh, 1992), and these cognitive factors effect in many ways on individuals action, due to individuals illogical believes or their cognitive distortion (Lee, 2007). Recently, in the field of psychotherapy, experience approach is added into the main approach cognitive and behavioral to emphasize the role of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 (Lee and Kwon, 2006).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make an accurate consideration about adolescent's cognitive thought process of anger and it's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lso to provide efficient intervention of anger regulation and treatment on anger that provokes adolescents aggressive behavior and maladjustment,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rther study.

      • KCI등재

        분노반추와 분노의 관계에서 사고통제감의 조절효과

        소영,박기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5 인지행동치료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분노반추와 사고통제감이 분노경험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노반추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분노기억반추, 원인반추, 보복반추가 그것이다. 이 세 변인이 각각 분노경험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를 사고통제감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분노반추척도(K-ARS), 사고통제능력질문지(TCAQ), 한국판 상태-분노 표현척도(STAXI-K),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분노반추의 모든 하위요인과 상태분노의 관계에서 사고통제감이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어, 이 관계에서 사고통제감이 일시적인 분노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반추의 하위요인 중 원인반추와 분노통제, 원인반추와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도 사고통제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상위인지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nger rumination and perceived thought control ability on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Anger rumination is divided into three factors: Anger Memories Rumination, Rumination of Causes, and Rumination of Revenge.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thought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anger, five-hundred eighty eight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following: Anger Rumination Scale (K-ARS), Thought Control Ability Questionnaire (TCAQ),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STAXI-K),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 (SD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thought control ability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state ang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ceived thought control ability can effectively reduce the temporary level of anger. It also indicates that perceived thought control has an moderating effect between Rumination of Causes and anger-control/anger-i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meta-cognit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