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과 발목에 적용한 관절가동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허우리,SONGBRIAN BYUNG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2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발과 발목에 관절가동기법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관절가동범위와 균형 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으며,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시간에 따라 반복측정함으로써 균형 조절을 위한 마비측 발과 발목의 감각입력의 기여에 대해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11명이다. 연구방법은 치료적 중재 전 검사로 연구 대상자의 마비측 발등굽힘과 발바닥굽힘의 관절가동범위(Goniometer) 및 균형 능력(기능적 뻗기 검사)을 측정하였고, 이어서 연구자는 20분간 각 연구대상자의 발과 발목에 관절가동기법을 적용하였다. 치료적 중재가 끝나면 중재 즉시, 중재 3시간 후, 중재 6시간 후 관절가동범위 및 균형능력을 반복측정 하였다.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의 발과 발목에 관절가동기법 적용에 대한 시간에 따른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 발바닥굽힘 관절가동범위, 균형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뇌졸중 환자의 발과 발목에 관절가동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발목의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고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관절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 발목관절의 관절가동범위, 족저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백용익,이관우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1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발목관절에 관절가동술(미끄러뜨림)을 적용하여 관절가동범위, 족 저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맞는 만성 뇌졸중 환자 30명을 무 작위 배정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은 6주 동안 주 3회, 3~6분간 발목관절에 미끄러뜨림을 적용하고 대조군은 6주 동안 주 3회, 3~6분 일반 가동범위 운동을 마비측 발목관절에 적용하였다. 훈련 전, 후 마비측 발목관절 가동범위, 족저압, 10m 걷기 검사와 일어나 걷기 검사를 측정하였다. 연 구 결과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2.162 p=0.039), 족저압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2.233 p=0.034). 보행능력 비교에서는 10m 걷기 검사(t=-3.731 p=0.001), 일어나 걷기 검사(TUG)에서도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t=-2.788 p=0.009). 결론적으로 실험군에서 족저압과 보행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만 성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발목관절에 적용한 관절가동술은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on the affected ankle joint of chronic stroke patients. Of the 30 subjects, experiment group was divided into 15 experiment group and 15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was applied to the affected ankle joints 3 times a week for 3 weeks, 3-6 minutes gliding for 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3 times a week for 3 weeks, 3-6 minutes at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training, the range of motion in the affected ankle joints,in the plantar pressure(PP), the 10m walk test(10MWT) and time up and go test(TUG) were measured. The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motion in the affected ankle joints(t=2.162 p=0.039), in the PP(t=2.233 p=0.034), the 10MWT(t=-3.731 p=0.001), TUG(t=-2.788 p=0.009). Conclu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ait ability in the experiment group, and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gait by applying joint mobilization to the affected ankle joint of chronic stroke patients.

      • KCI등재

        배드민턴 운동시 자가근막이완운동 적용이 하지부종, 하지통증 및 발목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주성범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배드민턴 운동시 자가근막이완운동 적용이 하지부종, 하지통증 및 발목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배드민턴 아마추어 선수 28명을 대상을 실험군 14명과 통제군 14명으로 각각 나누었 으며, 실험군은 배드민턴 운동시 자가근막이완운동을 적용하였다. 측정변인으로는 하지부종, 하지통증 및 발목관절가 동범위으로 하였으며, 이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자가근막이완운동을 적용한 실험군에서는 하지부종 및 하지통증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p<.05), 발목관절가동범위 중 배측굴곡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5). 통제군에서는 하지부종, 하지통증 및 발목관절가동범위의 전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 구를 통해 배드민턴 운동시 자가근막이완운동의 적용은 하지부종 및 하지통증의 감소에 도움이 되며, 발목관절가동범 위에도 도움을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elf-myofascial release(SMR) exercise on edema, pain of lower extremities and ankle range of motion in badminton exercise.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8 amateur badminton player composed of the experimental group(n=14) and control group(n=14).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SMR in badminton exercise and the effects on edema, pain of lower extremities and ankle range of motion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edema, pain of lower extremities and increased dorsi-flexion of ankle range of motion. Consequently, Applying of SMR exercise in badminton exercise will be effectively appeared to reduction of edema, pain of lower extremities and positive effect of ankle range of motion.

      • KCI등재

        만성적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태권도 선수의 발목 관절가동범위, 외발뛰기 검사 및 사지대칭지수

        임승길,임미영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1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nkle ROM tests and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are able to discriminate between involved and uninvolved legs in taekwondo athletes with unilateral chronic ankle instability. [METHOD] Sixteen Taekwondo athlete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kle ROM tests(dorsiflexion, plantar flexion, inversion, and eversion) and hop tests(one-legged hop test: hands freely, one-legged hop test: clasping one´s hands behind one´s back, tripple one-legged hop test, 6m hop test, and single-leg functional hop work test) were performed using involved and uninvolved limbs. The limb symmetry index(LSI, injured leg divided by uninjured and multiplied by 100) value was used for comparisons between involved and uninvolved limbs. A LSI ≥85% for an individual in the hop tests was considered normal. In order to analyze collected data and independent-t test was utiliz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05 levels.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volved and uninvolved limbs for ankle range of motion and the hop tests. The LSI sensitivity was very low.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nkle ROM tests and the hop tests may not detect functional deficiency although subjects had chronic ankle instability. The LSI used in clinic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because the LSI will not necessarily identify functional impairment.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적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태권도 선수의 발목 ROM 검사, 외발뛰기 검사, 그리고 외발뛰기 검사에 몸무게를 반영한 기록이 발목의 기능적 수행 제한을 평가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들은 K 대학과 N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태권도 선수와 시범단 중 한쪽 발목에만 반복적 발목 염좌(평균 4.19회)가 있는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환측과 건측의 관절가동범위와 기능적 수행 검사 결과의 비교를 위해 환측에 대한 평가기준으로 건측을 이용하였으며,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발목 저측·배측 굴곡, 내번, 그리고 외번 ROM은 환측과 건측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가지 종류의 FPT 모두는 건측과 환측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FPT에 체중을 고려한 FPT 결과는 한번 외발뛰기 검사, 그리고 연속 3번 외발뛰기 검사 모두에서, 건측과 환측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SI 85%를 기준으로 만성적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태권도 선수들의 건측과 환측 불균형을 평가한 결과, 한번 외발뛰기(손을 자유롭게) 검사와 연속 3번 외발뛰기 검사는 연구대상자의 6.25%만을 불균형으로 평가할 수 있었고, 한번 외발뛰기(손을 뒷짐 지고) 검사는 연구대상자의 12.5%만을 불균형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그리고 6m 외발뛰기 검사는 연구대상자 0%를 불균형이라고 판정하였다. [결론] 만성적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태권도 선수의 발목 ROM, ‘손을 자유롭게 한 외발뛰기 검사’, ‘손을 뒷짐 지고 한 외발뛰기 검사’, ‘연속 3번 외발뛰기 검사’, 그리고 ‘6m 외발뛰기 검사’ 결과만으로 안전한 스포츠 활동 복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환자의 증상, 이학적 검사결과 등과 같은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만 한다. 또한 외발뛰기 검사에 의한 LIS를 임상현장에서 이용하여 발목의 만성적 불안정성 환자를 평가할 때는 기능적 결손을 파악하지 못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해석해야만 한다.

      • KCI등재

        발목관절에 플로스밴드 적용이 기능적 관절가동범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병현,김지원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flossband to the ankles of healthy adults on the functional range of ankle and walking ability. Total 20 peopl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rough the randomization, one foot was set up as experimental side while the other foot was set up as control side. To analyze the two factors(before/after intervention/experimental side and control side), the two way-repeated ANOVA was conducte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up as 0.05.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ared to the control side, the experimental sid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WBLT and heel strike(p=.05). In the test before/after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sid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WBLT, heel strike, and toe off(p=.05). The control sid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oe off(p=.05). Thus, the application of floss band on ankle joint performed in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functional range and walking ability in the sports & rehabilitation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발목에 플로스밴드를 적용했을 때 발목의 기능적 관절가동범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총 20명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무작위배정을 통해 발의 한쪽은 실험 측으로, 반대쪽은 대조 측으로 설정하였다. (중재 전, 후/ 실험 측과 대조 측) 두 가지 요인에 대해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이요인 분산분석 방법(two way-rep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대조 측에 비하여 실험 측에서 WBLT와 발꿈치 딛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중재 전, 후 검정에서 실험 측은 WBLT, 발꿈치 딛기, 발가락 떼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대조 측은 발가락 떼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플로스밴드의 적용은 스포츠 및 재활 현장에서 기능적 관절가동범위를 증진시키고 보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K3 축구선수의 발목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의 차이가 동적균형(Y-Balance Test)에 미치는 영향

        최규호,이진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Y-Balance Test, which evaluates dynamic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the ankle joint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in a non-weight bearing posture. This study involved 27 male soccer players who regularly participate in the K3 League with more than 10 years of soccer experience. The Pearso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kle joint dorsiflexion and dynamic balance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RD (P<.05) and CS (P<.01) in the HADR group.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kle joint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severity was found only in PMRD, PLRD, and CS. Therefore, a decrease in ankle joint dorsi-flexion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balance ability. In order to prevent injuries in soccer players, it is believed that regular evaluation of ankle joint range of motion as well as training to improve knee and hip joint strength and proprioception are necessary.

      • KCI등재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스쿼트 시 발목 가동범위 체크 센서 양말에 관하여 -20대 후반 남성을 중심으로

        송관우,박진희,김주용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22 패션 비즈니스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cks to check the range of ankle movement during squats for men in their late 20s. Sensors of 6, 8, and 12 mm were selected, and each sample was impregnated 1 to 3 times. It was prepared using a CNT dispersion, and the GF value was measured using UTM. Among them, the sample with 2 impregnation showed the best GF value. As a result of applying each sample to the socks, the 12 mm sensor was wider than the area of the Achilles tendon, resulting in noise, and the 8 mm sensor was high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ocks,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graph. Therefore, testing was performed using a 6 mm sensor.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ensor, the normal operating range was checked through squats, and significant changes were confirmed when the operating range was checked again through squats by performing operations that can increase the operating range through Gastrocnemius, Soleus stretching, and low lunge.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ankle movement range of the user is checked prevent injury,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shoe products and the promotion of physical health.

      • KCI등재

        8주간 레일현수형 보행운동이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발목가동범위와 보행 속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이석주 ( Seok-joo Lee ),김도형 ( Do- Hyung Kim ),심영제 ( Young-je S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7 운동과학 Vol.2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8 weeks suspension-rail giat traing on ankle ROM, static blance, dynamic balance and gait spee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thirty-six strok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hemiplegia in our study. As for group classificatio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8 weeks suspension-rail giat traing group and control group. Storke patients participated in suspension-rail gait training program and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for 8 weeks. We measured their ankle ROM (goniometer), static balance (Berg Balance Scale, BBS), dynamic balance (Timed Up & Go, TUG) and gait speed (10 m walking test, 10MWT), when before begun the program, after 8 weeks. RESULTS: After 8 weeks, suspension-rail giat tra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ankle ROM (p<.001), static balance (p<.001), gait speed (p<.05) than control group. But dynamic balance were not founded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The result indicated that suspension-rail gait training would be effective exercise to gait speed and static balance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stroke.

      • KCI등재

        비탄력 발목 테이핑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농구선수의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 감각 및 기능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경혜 ( Kyung Hye Won ),이만균 ( Man Gyoon Le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용 비탄력 발목 테이핑이 남자 농구선수의 경기 중 관철기통범위, 고유수용성 감각, 그리고 기능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남자 대학 농구선수 10명이 연구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테이핑 처지와 통제 처치에 반복적으로 참여하였다. 각 처치를 적용하여 l쿼터 10분으로 구성된 총 4쿼터의 모의 농구경기를 실시하도록 하였고, 각 시점에서 관절가통범위, 고유수용성 감각, 그리고 기능적 수행능력을 측정하여 처치 간에, 그리고 시점 간에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테이핑 처치 시 관절가동범위가 배측굴곡-저측굴곡 각도와 내번-외번 각도 모두 통제 저지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테이핑 처치 시 관절가동범위는 시점이 지날수록 유의하게 증가된 반연, 통제 처치 시에는 시점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테이핑 처치 시 고유수용성 감각이 모든 방향에서 통제 처치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테이명 처치와 통제 저지 내에서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테이핑 처치 시 기능적 수행능력이 팔자형 호프 테스트와 정사각형 호프 테스트 모두 통제 처지에 비하여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처치 시 모두 시접이 지닐수록 저조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탄력 테이평은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농구선수의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 감각, 그리고 기능적 수행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으며, 그 효과가 40분의 농구와 유사한 운동 전반에 걸쳐 지속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hesive ankle taping on range of motion, propriocep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capability in basketball players. Ten male collegiate basketball play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participated in two trials, i.e., taping trial and control (non-taping) trial, repeatedly in a counterbalanced order. Two trials were apart by at least one week. Four quarters of l0-min simulated basketball game were performed in a day of the trial with taping or without taping. Before I(st) quarter. after 2(nd) quarter, and after 4th quarter,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were measured. In addition, before I(st) quarter, after I(st) quarter, after 2(nd) quarter, after 3(rd) quarter. and after 4th quarter, functional performance capability was measured. The data were compared between two trials, and among three or five tests depends on variable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ROM of ankle joint in the taping tri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trial. The ROM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tests progress in the taping trial, whereas the ROM remained unchanged through the tests in the control trial. 2) Proprioceptions of all direction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control trial. In each tria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ests. 3) Functional performance capability was significantly better in the taping trial than the control trial. There was a trend to get worse in the functional performance capability as tests progress in both trials. It was concluded that the adhesive ankle taping was effective for limiting excessive ROM to prevent injuries as well as improving propriocep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capability during the basketball game in basketball play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