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젊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와 호르몬 수용체, HER-2 상태에 관한 연구

        최두호(Doo Ho Choi),진소영(So Young Jin),이동화(Dong Wha Lee),김은석(Eun Seog Kim),김용호(Yong Ho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1

        목 적: 40세 이하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는 나이 든 여성 보다 BRCA1과 BRCA2 배선돌연변이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유방암 가족력이 있거나 젊은 나이에 유방암을 진단받은 백인 여성들의 BRCA1/2 돌연변이 암에 대한연구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BRCA1/2 돌연변이 음성인 암과 다른 특성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가족력과 관계없이 젊은 나이에 유방암이 발생한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BRCA1/2 돌연변이 유뮤에 따라, 그리고BRCA1과 BRCA2 각각의 돌연변이에 따라 면역조직화학적 특성으로 상호간의 구별이 가능한지, 면역조직화학적검사로 BRCA1/2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 가능한지를 조사하는데 있으며 BRCA와 관련된 암의 예후인자로서의 역할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BRCA1/2 검사를 시행한 40세 이하의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의 유방암 수술 후 병리조직을 찾아서 조직미세배열법으로 슬라이드를 만들었다. 이 검체들의 병리조직, 등급, 림프절 전이, T 병기,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HER-2 상태와 BRCA1/2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환자들의 BRCA 돌연변이 상태와 면역조직학적, 병리학적 상태와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도 조사하였다. 결 과: BRCA1/2 돌연변이를 조사한 101명 중 14명에서 16개의 돌연변이가 있었으며(13.9%), 유방암-난소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4/14, 28.6%), 양측성 유방암이 있는 경우(3/9, 33.3%)에 BRCA1/2 돌연변이 빈도가 높았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인 경우 BRCA1/2 양성이 19.4% (12/62)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비율 5.1% (2/3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38), HER-2 음성인 경우 BRCA1/2 돌연변이 음성 비율이 16.5% (13/79)로 양성 비율 4.5% (1/22)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p=0.073),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차이가 없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HER-2 모두 음성인 경우(triple negative)는 BRCA1/2 돌연변이 비율이 24.2% (8/33)로 매우 높았 다.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상태, HER-2 상태는 단변량 변수와 다변량 변수 모두에서 무병 생존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인자 이었으나 BRCA1/2 돌연변이 상태는 무병생존에 유의한 인자가 아니었다. 결 론: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나 HER-2 음성을 보이는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까지 모두 음성인 경우 BRCA1/2 돌연변이가 있을 확률이 24.2%로 높아서 유방암 유전자 돌연변이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 상태가 무병생존에 유의한 인자는 아니었으나 좀 더 많은 환자와 긴 추적관찰 기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Women with breast cancer diagnosed at an age of 40 years or younger have a greater prevalence of germline BRCA1 and BRCA2 mutations than the prevalenc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diagnosed at older ages. Several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in breast cancers from studies of Caucasian women with BRCA1/2 mutations having familial or early-onset breast canc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early-onset breast cancer in BRCA1 or BRCA2 mutation carriers, who were not selected from a family history, could be distinguished by the use of immunohistochemical methods and could be istinguished from breast cancer in women of a similar age without a germline BRCA1 or BRCA2 mutation. We also analyzed the prognostic difference between BRCA1/2 related and BRCA1/2 non-related patients by the use of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Breast cancer tissue specimens from Kore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ncers were studied using a tumor tissue microarra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estrogen receptor (ER), progesterone receptor (PR) and HER-2, as well as the histology and grade of these specimens, were compared. The prognostic impact of immunohistochemical and histological factors as well as the BRCA1/2 mutation status was investigated separately. Results: There were 14 cases and 16 deleterious BRCA1/2 mutations among 101 patients tested. A family history (4/14) and bilateral breast cancers (3/9) were high risk factors for BRCA1/2 mutations. BRCA1/2- associated cancers demonstrated more expression of ER-negative (19.4% versus 5.1%, p=0.038) and HER-2 negative than BRCA1/2 negative tumors, especially for tumors with BRCA1 tumors The BRCA1/2 mutation rate for patients with triple negative tumors (negative expression of ER, PR and HER-2) was 24.2%. Tumor size, nodal status, and HER-2 expression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as etermin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but the BRCA1/2 status was not a prognostic factor. Conclusion: Breast cancer that occurs in women with a germline BRCA1 or BRCA2 mutations have recognizable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which may be useful in identifying individuals that are more likely to carry germline mutations. Although the BRCA1/2 mutation status was not a prognostic factor in Kore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ncer, more cases with a longer follow-up period are needed for further study.

      • KCI등재후보
      • 위암조직에서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구기범,박성훈,정호영,이명훈,유완식,Ku, Ki-Beom,Park, Seong-Hoon,Cheong, Ho-Young,Lee, Myung-Hoon,Yu, Wan-Si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종양 억제, 세포 주기 조절 및 세포 고사의 기능과 연관 있는 유전자인 p53은 인간 종양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위암에 있어서 p53의 돌연변이 정도와 생존율 등을 비교하여 각각의 상관관계와 예후 인자로써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1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수술한 331명 환자의 조직을 이용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 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방법으로 p53 돌연변이를 확인하고, 환자의 임상 병리학적 인자와의 관계를 비교하였고,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331명의 환자들의 조직 중 66예(19.9%)의 조직에서 p53 돌연변이가 관찰되었다. 이들 66예 중에서 exon 5에서 23예, exon 6에서 8예, exon 7에서 21예, exon 8에서 17예의 돌연변이를 보였는데, 이중 3예에서 2개의 exon에 돌연변이(exon 5와 exon 6, exon 6과 exon 7, exon 6과 exon 8)를 보였다 p53 돌연변이는 나이와 성별, 육안형, 병리학적 병기, 조직학적 분류, 종양의 위치에 따라서 차이는 없었으나, 장형 156예 중 36예(23.1%), 미만형 145예 중 19예(13.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7), p53 돌연변이에 따른 생존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32). Exon 5는 장형(9.7%)에서 미만형(2.8%))보다 p53 돌연변이 빈도가 높았고(P=0.024), 림프절 전이가 있는 군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군보다 p53 돌연변이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25.0% vs 15.6%, P=0.034). 나머지 항목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예에서의 p53 돌연변이에 따른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04). 결론: p53 돌연변이는 위암 환자의 예후인자로써 가치가 충분하지 않다. Purpose: p53 is one of the most commonly mutated genes in human tum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53 mutation in gastric cancer and its correlations with the clinicopathologic variables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p53 mutation as a prognostic factor. Materials and Methods: Specimens from 331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a gastrectomy between March 1999 and April 2001 at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used. p53 gene mutations were assessed by using a polymerase chain-reaction 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SSCP) analysis. The correlations between p53 gene mutation and clinocopathologic parameters were analyzed. Results: p53 mutations were found in 66 (19.9%) tumors. Among those 66 cases, mutations were seen in 23 tumors at axon 5, in 8 at exon 6, in 21 at exon 7, and in 17 at exon 8. Two mutations were shown in 3 tumors. Thiriy-six (23.1%) of 156 intestinal-type tumors and 19 (13.1%) of 145 diffuse-type tumors showed p53 gene mutation (P=0.007). The frequency of p53 gene mutation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sex, stage, location, or gross type. Exon 5 mutations showed more frequently in intestinal-type tumors than in diffuse-type tumors (9.7% vs. 2.8%, P=0.024), and p53 mutation were more frequent in lymph nodes metastasis group than lymph nodes non-metastasis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25.0% vs 15.6%, P=0.034). The five-year survival rat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53 mutation (P=0.704). Conclusion: p53 mutations assessed by PCR-SSCP had little value as a prognostic factor after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KCI등재

        생물다양성과 합성생물학 관련 법적 쟁점과 과제 - 2018년 7월 25일 ECJ 판결(EuGH, Urt. v. 25. 7. 2018-C-528/16)을 중심으로 -

        조인성(Cho, In-S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환경법과 정책 Vol.24 No.-

        2018년 7월 25일 유럽 사법재판소(ECJ)는 돌연변이유발에 의해 얻어진 생물체가 유전자변형생물체(GMO)를 의미하며 원칙적으로 유럽연합 환경방출 지침(GMO Directive)에 규정된 의무에 따른다는 획기적 판단에 따라 판결하였다. ECJ는 돌연변이유발에 의해 얻어진 생물체가 GMO라는 것을 확인했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돌연변이유발의 방법과 절차를 통해 생물체의 유전물질을 자연적으로는 가능하지 않는 변화를 시도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생물체는 원칙적으로 유럽연합 GMO Directive의 적용범위에 속하며 여기에 언급된 의무를 따른다. 유럽연합 GMO Directive가 채택된 이후 등장한 돌연변이유발 기술로 얻은 생물체에도 이러한 지침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 ECJ는 이 새로운 돌연변이유발 기술 사용에 따른 위해성이 형질전환으로 만들어지는 GMO의 생산과 방출에 따른 위해성과 유사하다고 입증될 만하다고 여기고 있다. 왜냐하면 돌연변이유발을 통한 생물체 유전물질의 직접 변형은 외래유전자를 생물체에 집어넣을 때와 유사한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또한 전통적인 돌연변이유발 절차로 만든 유전자변형 변종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속도로, 새로운 돌연변이유발 기술들이 유전자변형 변종들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공통의 위해성의 관점에서 보면, 새로운 돌연변이유발 기술로 얻은 생물체를 유럽연합GMO Directive의 적용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이러한 지침이 추구하는 목표, 즉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대한 역효과의 방지라는 목표를 훼손할 것이며, 그 지침이 시행하고자 하는 사전예방의 원칙을 준수하기 힘들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유럽연합 GMO Directive는 이 지침이 채택된 이후에 등장한 돌연변이유발 기술에 의한 생물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On July 25th 2018,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ECJ) has decided in a spectacular fundamental judgment that organisms obtained by mutagenesis ar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 and are, in principle, subject to the obligations laid down by the GMO directive. The ECJ held that organisms obtained by mutagenesis are GMOs, because the methods and methods of mutagenesis are used to make a naturally impossible change in the genetic material of an organism. As a consequence those organisms come, in principle within the scope of the GMO Directive and are subject to the obligations of that directive. With regard to the question whether the GMO Directive may also be applicable to organisms obtained by mutagenesis techniques that have emerged since its adoption, the Court considers that the risks linked to the use of these new mutagenesis techniques might prove to be similar to those that result from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a GMO through transgenesis, since the direct modification of the genetic material of an organism through mutagenes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s as the introduction of a foreign gene into the organism and those new techniques make it possible to produce genetically modified varieties at a rate out of all proportion to those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methods of mutagenesis. In view of these shared risks, excluding organisms obtained by new mutagenesis techniques from the scope of the GMO Directive would compromise the objective pursued by that directive, which is to avoid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and would fail to respect the precautionary principle which that directive seeks to implement. It follows that the GMO Directive is also applicable to organisms obtained by mutagenesis techniques that have emerged since its adoption.

      • KCI등재

        유전 영역에서의 우성 돌연변이에 대한 분자적인 특징의 이해

        이성재,전상학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2

        Students are known to have various alternative conceptions of the general concept of genes based on the prior knowledge they obtain during learning.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o improve the alternative conceptions that students have.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alternative conceptions, we conducted a survey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Biology I to identify various alternative conceptions about dominant traits and dominant mutations in genetic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auses of alternative conceptions from the school curriculum and Biology 1 textbook. The students had various alternative conceptions about the definition of dominance and the expression of genes, showing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enotypes and molecular mechanisms. Therefore,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dominant mutant traits were introduced in order to change the alternative conceptions into correct scientific concepts. First, dominant mutations can occur when gene products are produced in excess from more than two copies in a chromosome. Second, the lack of gene products on a chromosome can result in mutant phenotypes. Third, mutant phenotypes can occur when a mutant protein in heterozygotes interferes with normal protein function. Fourth, a mutant phenotype can appear when the gene is expressed at a different time and location than the wild type. The mutations introduced in this study correspond to the definition of dominance because they occur when the genotype that determines the trait is heterogeneous. We suggest that various molecular mechanisms for dominant mutations will provide teacher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improve the alternative conceptions of how phenotypes are expressed. 학생들은 유전 영역을 학습하는 과정에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선지식에 의해서 다양한 대안개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모색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과학 I을 이수한 학생들에 대한 설문과 문헌 조사를 통해 유전학 영역에서의 우성 형질과 우성 돌연변이에 대한 다양한 대안개념을 확인한 후, 교육과정 분석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대안개념이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우성에 대한 정의와 유전자의 발현에 대하여 다양한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유전자로부터 표현형이 나타나는 것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대안개념의 올바른 과학개념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우성 돌연변이 형질에 대한 분자적 특징을 소개하였다. 첫째, 우성 돌연변이는 한 염색체로부터 유전자 산물이 과량으로 생산되면 나타날 수 있다. 둘째, 한 염색체에서만 유전자 산물이 만들어지는 것으로는 부족하여 돌연변이 표현형이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이형에서 돌연변이 단백질이 정상적인 단백질의 기능을 방해할 때 돌연변이 표현형이 나타날 수 있다. 넷째, 유전자가 야생형과는 다른 시기와 장소에서 발현되면 돌연변이 표현형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연변이는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이형일 때 나타나므로 우성의 정의에 부합한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우성 돌연변이에 관한 다양한 분자적인 기작들은 교사들이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On Intelligent Design Against Chomsky's Language Evolution

        신성균(Shin Sung-Ky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7

        촘스키는 언어는 진화에 의해서 기인 됐고 특히 일회성 돌연변이나 작은 돌연변이에 의해 기인됐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돌연변이에 의한 주장은 지금까지 100여년에 걸친 돌연변이에 대한 연구결과와 상반되는 것이다. 양 (2010)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돌연변이는 변화가 있더라도 종족의 경계를 뛰어넘지 못했으며, 대부분의 돌연변이가 생물체에 유익하기 보다는 해로운 것이고, 자연 상태에 있어서는 거의 희귀한 것이며, 무엇보다도 어떤 생물체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곧 원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강력한 복구장치가 작동된다. 더 나아가서, 신 (2009:314-315)이 인용한바 같이, 돌연변이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유전자, 호르몬, 기관, 체계, 변종을 만들어 내지 않는다. 이러한 발견들은 인간의 언어능력이 돌연변이에 기인된다는 촘스키의 주장에 의혹이 제기되는 것이다. 베히 (1996)의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기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여러 잘 조화된 상호관련 부분들로 구성되어, 이 부분 중에 어떤 것이라도 제거하면 제 기능을 못하는 체계--와 덤스키 (1999)의 특수 복잡 정보에 근거한 지적설계이론은 단세포인 박테리아 편모, 딱따구리, 폭탄먼지벌레의 상호관련이 있는 미묘하고 복잡한 체계를 우연한 진화 산물이 아닌 지적 설계의 결과로 가정할 때 더욱 분명하고 체계 있게 설명된다. 이는 보통 동물에는 없는 자음, 모음 발음체계와 두뇌에 내재화된 언어원리(들)에 의해 이루어진 인간 언어도 마찬가지 이다. 촘스키의 좁은 의미의 언어능력(FLN)은 촘스키가 늘 주장해 왔던 설명적 충족성 뿐만 아니라 기술적 충족성도 만족시켜주지 못한다. 그의 새로운 언어능력은 반복성의 연산 작용만이 참다운 의미에서 언어능력이라고 제시하기 때문에, 세계의 다양한 모든 언어를 기술하기에는 너무 빈약하여 어떤 언어 이론도 반드시 충족시켜야 된다고 자신이 주장해왔던 기술적 충족성 기준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반복성의 연산 작용에 근거한 그의 언어능력은 수는 제한되지만 상당한 수의 원어원리들과 매개변항 들로만 설명될 수 있는 세계 언어들을 기술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단지 반복성의 연산 작용에 근거한 그의 언어능력은 6900개에 이르는 전 세계 언어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어렵고, 이러한 언어들 중에 어떠한 언어도 아이들은 언어적 환경만 주어지면 쉽게 습득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가 어렵다. 또한 성인들의 외국어 습득과정을 설명하기 어렵다. 언어능력이 단지 반복성의 연산 작용이라면 성인들도 외국어를 습득하는 것이 어렵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엄청난 과업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의 새로운 언어능력은 그가 어떠한 언어이론도 반드시 충족시켜야 된다고 주장했던 설명적 충족성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촘스키의 최소주의는 진화론에 근거한 Parker (2006)같은 언어학자들에 의해서 공격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더하고 있다.

      • SCOPUSKCI등재

        한국의 젊은 여성유방암 환자에서 BRCA 배선유전자 돌연변이는 예후인자인가?

        최두호,이민혁,Choi Doo Ho,Lee Min Hyuk,Haffty Bruce G.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적: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에서 유방암 유전자 (BRCA)가 예후인자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학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가족력과 관계없이 40세 이하의 환자를 선택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18~40세이었고 중앙값은 34.5세이었다.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림프구를 모아 DNA를 추출하였으며 BRCA1과 BRCA2의 모든 염기 중에서 기능과 관계 있는 부위의 DNA를 직접염기서열 결정방식으로 검사하였다. 조직표본 검사가 가능한 환자는 면역화학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60명의 환자 중에서 유방암 발생과 직접 관계가 있는 돌연변이가 11개(18.3%) 있었고(BRCA1 6명, BRCA2 5명), 의미를 알기가 곤란한 돌연변이가 7개 있었으며 반 수 이상의 돌연변이는 이제까지 보고되지 않은 것이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돌연변이 환자는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가족력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방암 유전자 돌연변이 환자는 한 명도 치료의 실패가 없었으며 한 면에서 반대측 유방암이 발생하였다. 7년 무병 생존율은 돌연변이 환자에서 50%, 돌연변이와 관계가 없는 환자에서 79%이었고 차이는 없었다. BRCA 관련 종양에서 에스트로젠, 프로제스테론 수용체 음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조직학적 분화도가 낮았으나 예후는 비교대상에 비해 나쁘지 않았다. 결론: 한국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는 예후가 인자가 있어도 재발률이 낮았으며 유전자 돌연변이 이환율이 높았으나 암의 발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더 많은 환자 집단과 오랜 추적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re were prognostic differences between BRCA related and BRCA non-related Korean patients with early-onset breast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women who had developed breast cancers before the age of 40, and who were treated at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studied independently of their family histories. The age range was 18 to 40 with a median of 34.5 years. Lymphocyte specimens from peripheral blood were studied for the heterozygous mutations of BRCA1 and BRCA2 using direct sequencing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was peformed on the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that were available. Results: Eleven deleterious mutations (18.3%, 6 in BRCA1 and 5 in BRCA2) and 7 missense mutations of unknown significance (11.7%), were found among the 60 patients. More than half of the mutation were novel, and were not reported in the database. Most of the BRCA-associated patients had no history of breast cancer. No treatment related failures were observed in the BRCA carriers, with the exception of one patient that had experienced a new primary tumor of the contralateral breast. The seven year relapse free survival rate were 50 and 79% In the BRCA carrier and BRCA negative patients, respectively. Although the express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were less common, and histological features more aggressive, in the BRCA associated tumors, the outcome of the patients with BRCA mutations was not poorer than that on the patients without deleterious mutations. Conclusion.: Despite the BRCA mutation carriers having adverse prognostic features, the recurrence rat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in the BRCA non-carrying Korean patients wi4h early-onset breast carcinomas. In addition, although the prevalence of the BRCA mutation in Korean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in white patients, the penetrance of the cancer seemed to be relatively low in Korean women carrying BRCA mutations. A large population based study of the BRCA mutation, with a long-term follow-up of the study patients will be required to confirm these results.

      • KCI등재후보

        망막모세포종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RB1 유전자 돌연변이

        박준성(Jun-Sung Park),추영애(Young-Ae Choo),김대광(Dae-Kwang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4

        망막모세포종은 RB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눈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우리나라와 서구에서의 발병율은 서로 비 슷하다. 망막모세포종은 비유전성과 유전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유전성인 경우에는 이차 종양으로 뼈근육종이 동반된 다. 유전성 망막모세포종의 약 10~12%는 종양이 한쪽 눈에 생기거나, 먼저 한쪽 눈에 발병한 다음 양쪽 눈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망막모세포종에서 유전성과 비유전성의 구분과 적절한 치료와 추적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RB 유 전자의 돌연변이 검사법이 필요하다. PCR-SSCP 방법을 이용하여 엑손 8, 10, 11, 14~20, 22 및 23 부분에 대한 RB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한쪽 눈에 생기고 가족력이 없는 5명의 망막모세포종 환자의 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돌연변이를 조사 하였다. 엑손 8부분에서 SSCP 띠의 이동 변화가 3예에서 관찰되었으며 염기서열분석 결과 251 코돈에서 CGA → TGA (arginine → 종결코돈)의 점돌연변이가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의 보고에는 아직 엑손 8에서 CGA→TGA 돌연변이는 검출되 지 않았으나, 국내의 망막모세포종의 발병율이 서구와 비슷하게 나타나므로 향후 더욱 더 많은 사례를 조사하면 외국의 논문 결과와 같이 엑손 8에서 많은 돌연변이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나아가서 우리나라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망 막모세포종 뿐만 아니라 유전성 망막모세포종을 지닌 환자와 그 자녀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RB1 유전자의 이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tinoblastoma, a child tumor of the eye, is caused by two mutational events at the retinoblastoma gene (RB1). Retinoblastoma occurs in both hereditary and nonhereditary forms, and this distinc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most patients with isolated unilateral retinoblastoma, tumor development is initiated by somatic inactivation of both alleles of the RB1 gene. Some of patients with hereditary retinoblastoma initially present with unilateral disease, and up to 10% to 12% of these patients only express unilateral disease. Germline mutation in RB1 gene confer hereditary predisposition to retinoblastom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germline mutations in RB1 gene in Korean retinoblastoma patients. Samples of peripheral blood were obtained from 5 patients with isolated unilateral tumors. To detect genetic alteration in RB1 gene, exon 8, 10, 11, 14~20, 22 and 23 were investigated by PCR-SSCP. Bandshifts on SSCP were found in three out of 5 patients at exon 8. There were same point mutations from CGA (arginine) to TGA (stop codon) at codon 251 in exon 8 of RB1 gene. This point mutation has not been found in Korean patient with retinoblastma. But it is common mutation on the Western reports and Korea’s annual incidence of this tumor is similar in proportion to that of the West. Therefore, if a lot of patients are investigated to elucidate RB1 mutation this point mutation will be found. Identification of the germline mutation in RB1 gene would help to improve the presymptomatic diagnosis and clinical management to retinoblastoma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