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서의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3∼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가은 ( Kim Kaeun ),소경희 ( So Kyungh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1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교육과정에 다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현행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고찰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다문화교육의 내용 요소가 무엇이며 이러한 내용이 어떤 수준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둔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다문화교육 내용은 `다문화 인식`, `다문화 관련 쟁점`, `다문화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 제공되고 있으나, 많은 내용이 `다문화 인식` 측면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교육 내용은 대부분이 `다원적` 수준에 머물고 있는 형편으로, `비판적` 및 `실천적` 수준의 접근은 발견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이 갖는 문제로서, 문화의 다양성을 다루는 맥락의 협소성, 평등이나 인권 존중과 같은 내용의 부재, 비판적 및 실천적 수준의 심화된 교육내용의 부족 등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Korean national curriculum has attempted to reflect the multicultural contents in curriculum since `2007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consider how Korea`s elementary textbooks deal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evel of them in textbooks. As a result, multicultural education of Korea`s textbooks presents three aspects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issue`, and `multicultural attitude`, but most of them concentrate o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ost of contents remain in the `plural level` so that `critical level` or `practical level` is not found in textbooks. On the basis of result, researchers discuss the limitation of context of cultural diversity, the absence of content about equality or human right, and the lack of deepen contents of critical or practical level.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박인숙,김정신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2

        최근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문화교육을 둘러싼 주요쟁점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서구사회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교사교육, 교육과정개발, 교수방법, 문화교육 등을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집약되고 있다. 특히 유아기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자세, 관점 등을 형성하는데 있어 민감한 영향력을 받는 시 기이다. 타인을 탐색하는데 인종, 민족성, 사회적 계층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편견과 고정관념은 이 후 유아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아기 다문화교육은 매 우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다문화교육 실천의지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통합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이 해를 돕고 동시에 다문화교사교육 관련 교육과정운영 및 연구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효과를 미치는 요인으로 다문화소양, 다 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 치는가?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 과를 미치는가? 연구수행을 위해 적용된 연구도구로서 다문화 소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 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문화적 맥락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고 존 중하는 정서적 준비상태로 Mitchell(2009)의 연구도구가 채택되었다. 또한 다문화교육내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nnett(2007)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설문지가 채택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일반내용 지식과 교과교육지식의 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Guyton과 Wesche(2005)의 일반생활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으로 구성된 설문지 를, 다문화교육 실천의지는 윤현숙(2008). 이명희, 홍순옥(2009)의 다문화교육 실천에 관한 설문지를 적 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 화 교수효능감, 다문화교육 실천의지 척도 250부를 배부하여 23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과 AMOS 19.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그 문화와 교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즐기려는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갈등상황이 발생해 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천의지를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이 다문화교 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 적 환경 속에서 문화적 차이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는 정서가 준비되면 교사가 다 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을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증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학습자료 등을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클수록 다문화적 상황을 긍정적으 로 인정하고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실천의지를 가지게 되며 유아들에게도 적합한 다문화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문화의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다문화교육의 실용성이 부각되고 있어 다문화 교육은 유아기부터 체계적 으로 실시될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의지 및 자질을 확인하는 일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도출해낸 결론은 다름 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실천의지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소양을 고양시 키기 위한 노력이 가장 절실하다는 결론이 본 연구에서도 밝혀졌듯이 교사들은 이를 위해 다문화상황을 인지하도록 노력하고 타인의 생각이나 견해에 대해 의식적으로 개방하며 타문화의 관점을 정확하게 인 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교사는 학습자의 배경에 민감해야하고 이러한 다양성이 교육과정이나 교실수 업에서 문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자신의 학급을 보다 통합적으로 만들고 다양한 배경의 학생 들에게 다문화소양과 교수의 실천의지를 육성하는 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는 자신이 담당하게 될 다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에 대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올바른 개념을 쌓음으로서 이해하려고 시도하며 그들의 학습과 생활에 대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긍정적 태도는 다문화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사 는 유아를 문화적 존재로 인정하고 그들이 가진 서로 다른 문화를 민감하게 인식함으로써 유아들이 이 를 학습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교수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해야 하며, 또래집단 속에서 서로 다른 문화 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배경’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인들 즉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육 실천의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시대에 요구 되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대한 이론적․실제적인 이해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교 사교육과정에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major issues surrou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bout the mulcultural approach to, have been issuing. Especially, in Western society that emphasizes the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 training is required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This study attempts to incorporate integrative analysis, which clarifie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235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hus,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Secon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Thir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 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econ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For date collection 250 copi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al related variables scale were widely distributed targeting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23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variables,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namely,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b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offer basic data to the specific and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the teacher curriculum for pre-and in-service teachers. In our society, cultural diversity and practicality become commonplace, multicultural education is able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when conducted systematically from infa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desirable in order to confirm a commitment to multiculturalism, and the qualities of the subject of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this end, this paper did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efforts to promote literac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most urg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urns as teachers for multicultural situation trying to think of others and other open consciously or opin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ccurately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e. In other words, teachers should be sensitive to the learner's background, and the recognition that this diversity can be questioned in the curriculum or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ir classroom to create a more integrated and professor of multicultural literacy to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to foster a commitment to accountability will need to perform.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himself will be responsible for infants with a variety of backgrounds, constantly tries to study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s laying on their learning and life needs to b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hird, the teacher's positive attitud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is keenly aware of the different cultures, and they have recognized the cultural presence of the infant so that they can learn it effectively planning and teaching activities should practice and understand the different cultural values in you will need to create that can be one of the 'background' In summary, this study was able to verify the proposed variables,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ffecting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ese specific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order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and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is required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김정신 ( Jungshin Kim ),박인숙 ( Insook Park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2

        최근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문화교육을 둘러싼 주요쟁점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서구사회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교사교육, 교육과정개발, 교수방법, 문화교육 등을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집약되고 있다. 특히 유아기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자세, 관점 등을 형성하는데 있어 민감한 영향력을 받는 시기이다. 타인을 탐색하는데 인종, 민족성, 사회적 계층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편견과 고정관념은 이 후 유아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아기 다문화교육은 매우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다문화교육 실천의지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통합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 동시에 다문화교사교육 관련 교육과정운영 및 연구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효과를 미치는 요인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연구수행을 위해 적용된 연구도구로서 다문화 소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문화적 맥락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정서적 준비상태로 Mitchell(2009)의 연구도구가 채택되었다. 또한 다문화교육내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nnett(2007)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설문지가 채택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일반내용 지식과 교과교육지식의 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Guyton과 Wesche(2005)의 일반생활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다문화교육 실천의지는 윤현숙(2008). 이명희, 홍순옥(2009)의 다문화교육 실천에 관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 다문화교육 실천의지 척도 250부를 배부하여 23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과 AMOS 19.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그 문화와 교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즐기려는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갈등상황이 발생해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천의지를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이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문화적 차이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는 정서가 준비되면 교사가 다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을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증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학습자료 등을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클수록 다문화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정하고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실천의지를 가지게 되며 유아들에게도 적합한 다문화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문화의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다문화교육의 실용성이 부각되고 있어 다문화 교육은 유아기부터 체계적으로 실시될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의지 및 자질을 확인하는 일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도출해낸 결론은 다름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실천의지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소양을 고양시키기 위한 노력이 가장 절실하다는 결론이 본 연구에서도 밝혀졌듯이 교사들은 이를 위해 다문화상황을 인지하도록 노력하고 타인의 생각이나 견해에 대해 의식적으로 개방하며 타문화의 관점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교사는 학습자의 배경에 민감해야하고 이러한 다양성이 교육과정이나 교실수업에서 문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자신의 학급을 보다 통합적으로 만들고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에게 다문화소양과 교수의 실천의지를 육성하는 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는 자신이 담당하게 될 다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에 대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올바른 개념을 쌓음으로서 이해하려고 시도하며 그들의 학습과 생활에 대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긍정적 태도는 다문화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사는 유아를 문화적 존재로 인정하고 그들이 가진 서로 다른 문화를 민감하게 인식함으로써 유아들이 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교수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해야 하며, 또래집단 속에서 서로 다른 문화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배경’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인들 즉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시대에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대한 이론적·실제적인 이해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교사교육과정에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major issues surrou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bout the mulcultural approach to, have been issuing. Especially, in Western society that emphasizes the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 training is required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This study attempts to incorporate integrative analysis, which clarifie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235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hus,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Secon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Thir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 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econ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For date collection 250 copi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al related variables scale were widely distributed targeting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23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variables,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namely,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b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offer basic data to the specific and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the teacher curriculum for pre-and in-service teachers. In our society, cultural diversity and practicality become commonplace, multicultural education is able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when conducted systematically from infa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desirable in order to confirm a commitment to multiculturalism, and the qualities of the subject of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this end, this paper did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efforts to promote literac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most urg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urns as teachers for multicultural situation trying to think of others and other open consciously or opin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ccurately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e. In other words, teachers should be sensitive to the learner``s background, and the recognition that this diversity can be questioned in the curriculum or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ir classroom to create a more integrated and professor of multicultural literacy to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to foster a commitment to accountability will need to perform.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himself will be responsible for infants with a variety of backgrounds, constantly tries to study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s laying on their learning and life needs to b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hird, the teacher``s positive attitud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is keenly aware of the different cultures, and they have recognized the cultural presence of the infant so that they can learn it effectively planning and teaching activities should practice and understand the different cultural values in you will need to create that can be one of the ``background`` In summary, this study was able to verify the proposed variables,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ffecting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ese specific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order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and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is required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 KCI등재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다문화교육내용 분석 및 활용

        심미영,조연경,곽승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from 「Child Care Center Program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Age 5」, and examine how these contents are understood and used in the child-care field. First, in order to analyz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Child Care Center Program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Age 5」, four handbook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2, were analyzed by six frames of reference such as 「culture」,「diversity」,「identity」,「equality」,「anti-bias」, and 「collabo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 total of 1,105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me, sub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ypes of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Korea in the world', 'Transportation and safety', and 'Winter and play' pres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in terms of theme. As for sub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highest proportions of contents were collaboration, followed by identity and diversity. Above all things, as for frames of reference to sub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ore frequent presented contents were 'interaction and cooperation' of「collaboration」, 'building on self-identity' of「identity」, while there were little contents with「anti-bias」. As for types of activities, the most frequent activity was free choice activity, followed by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y, outdoor activity, while art, language, math and science areas pres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in terms of free choice activity. Next, as for result of in-depth interview with six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teacher's experiences,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from 「Child Care Center Program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Age 5」 were currently being used as 'multicultural education as special day, special activities', 'multicultural education to fit together as a whol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o break through NURI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보육현장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고 있는지를 탐색해보는 것이다. 먼저,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해「문화」,「다양성」,「정체성」,「평등」,「반편견」,「협력」의 6가지 분석 준거로 보건복지부에서 2012년도 발행한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 4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문제에 따라 총 1,105개 활동에 대해 첫째, 생활 주제 및 다문화교육의 하위내용별로 둘째, 활동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 주제에서는 ‘세계 속의 우리나라’, ‘교통과 안전’, ‘겨울과 놀이’에서 다문화교육내용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교육의 6가지 내용 중 「협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체성」, 「다양성」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다문화교육내용의 하위내용 준거별 빈도는 「협력」에서 ‘상호작용 및 협동’, 「정체성」에서 ‘자아 정체성 형성하기’가 많이 나타난 반면「반편견」에 관한 내용은 거의 미비하게 나타났다. 둘째, 활동 유형에서는 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 활동, 실외활동의 순으로 나타났고, 자유선택활동에서는 미술, 언어, 수·과학영역에서 다문화교육내용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에서 다문화교육내용 활용에 대한 교사의 경험을 6명의 교사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한 결과, ‘특별한 날, 특별한 체험활동으로서의 다문화교육’, ‘나, 너 우리로 어우러지는 다문화교육’, ‘누리과정의 틀을 벗고 나아가는 다문화교육’이라는 의미로 활용되고 있었다.

      • 다문화국어교육을 지원하는 교수내용지식

        한명숙 공주교육대학교 2011 公州敎大論叢 Vol.46 No.2

        해마다 다문화가정이 증가하면서 다문화어린이의 초등학교 입학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런데 다문화학생 중에는 한국어와 한글 사용이 능숙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 국어교육의 과제가 무거워지고 있다. 학교와 교사가 이들을 위한 다문화국어교육을 담당해야 하니 교사의 역할과 능력이 더욱 중요해졌다. 다문화학생의 국어교육이나 언어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교사는 관련된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s of Knowledge)에 능통해야 한다. 그 지식은 다문화학생의 이중언어와 한국어 발달, 언어의 도구성과 언어 습득, 한국어의 독자성과 한글의 문자 체계, 언어교육을 위한 교수법과 전략 등의 범주로 구성된다. 각 범주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그 세부 내용이 초등학교 교사와 예비교사에게 지원될 때 다문화국어교육은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Nowadays,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re increasing gradually, including marriage-immigrant families, immigrant families, bicultural families, North Korean families and so on. So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 is drastically increasing in elementary school. They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and learning in their class. Therefore some teachers should teach Korean and Hanguel to multicultural students. In order to educate multicultural students, the teachers must have good knowledge. It is the PCK(Pedagogical Contents of Knowledge) that is called by educational experts. I have organized the PCK to help the teachers teaching Korean and Hanguel to multicultural students efficiently. If the teachers know these knowledge, they can teach multicultural students who have trouble with communicating and learning in their class better than before. The below table shows my PCK.

      • KCI등재후보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내용 분석 연구

        송현정 ( Hyun Jung Song ) 영주어문학회 2014 영주어문 Vol.28 No.-

        우리나라의 다문화 학생 비율이 0.86%에 이르는 다문화 사회에서 국어교육의 변화가 요구되고, 다문화 사회로 변화해 가는 속도를 고려할 때 다문화 사회 국어교육의 방향을 규명하고 이론적·제도적 내실을 기하는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따라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내용에 대하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급변하는 다문화 시대의 사회적 변화와 교육적 변화를 얼마나,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최근 교육과정인 2011 국어과 교육과정 고등학교급 수준을 중심으로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고 2009 교육과정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 관련 국어교육의 주요 내용은 다원적 가지, 다양성 인정, 소통과 배려 등이다.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과목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문화적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과목별 균형이나 조화가 유기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문화 관련 국어교육의 추구하는 인간상과 목표에서 민족주의적 표현을 지양하고 국제적이고 다원적인 사회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국어과 선택과목별로 직접·간접적으로 진술하고 있는데, 2011 교육과정의 경우 다문화 관련 내용과 표현이 다소 간접적으로 진술되어 있고, 2009 교육과정에서는 내용과 표현이 모두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진술되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다문화 가정 학생과 일반 학생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관점의 강조,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과목이나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다문화 관련 요인의 자연스러운 내재화, 국어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및 교육과정 진술상의 점진적 변화, 학년 간 위계성과 계열성을 고려하여 국어과 영역별 교육 내용에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반영한 내용 추가, 소통과 협력의 도구로서의 국어 기능 강조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analyze Korean educational contents in multi-cultural society. For this purpose, we studi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aradigm in Korea and analyzed Korean curriculum. Korean Education Contents in Multi-Cultural Society is pluralistic value, variety,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and so on. We found that a desirable human character and goal of Korean education has changed from emphasis on nationalism to focus on a global and pluralistic society. And Korean Education Contents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ot made up organically between subjects because they have goal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pending on characteristic of subjects. We figured out that 2011 Korean curriculum explains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directly and 2009’s shows them directly and concretely. With these research findings, we suggest that it needs to emphases educational perspective for multiculutral students and non-multicutural students’s interaction, to internaliz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curriculum naturally, to change educational expression toward multicultural goals and contents in Korean curriculum gradually, to add new information included goal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consider Korean language ability as tools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 KCI등재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과 「2009년 개정 초등 1.2학년군 교과」에 반영된 다문화교육내용 비교분석

        이경원 ( Gyeong Won Lee ),김순자 ( Soon Ja Kim ),김명지 ( Myung Ji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4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과 「2009년 개정 초등 1ㆍ2학년군 교과」에 반영된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보육현장과 초등교육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연계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해보는 것이다. 먼저,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문화」, 「다양성」, 「정체성」, 「평등」, 「반편견」, 「협력」의 6가지 분석 준거로 보건복지부에서 2012년도 발행한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 4권과 「2009년 개정 초등 1ㆍ2학년군의 국어, 수학, 통합 교과」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문제에 따라 누리과정을 다문화교육의 하위내용별로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교육의 6가지 내용 중 「협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체성」, 「다양성」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다문화교육내용의 하위내용 준거별 빈도는 「협력」에서 ``상호작용 및 협동``, 「정체성」에서 ``자아 정체성 형성하기``가 많이 나타난 반면, 「반편견」에 관한 내용은 미비하게 나타났다. 「2009년 개정 초등 1ㆍ2학년군의 국어, 수학, 통합 교과」의 내용 을 분석한 결과 첫째, 2009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군에서는 「정체성」, 「협력」, 「다양성」의 순으로 강조되어 자아 정체감 형성이 먼저 이루어진 뒤에 다른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여 편견을 고려하려는 의도를 알 수 있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의 연계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면 특정 다문화 교육 내용이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으므로 다문화 교육 내용의 하위 준거인 「문화」와 「평등」, 「반편견」의 내용이 좀 더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from 「Child Care Center Program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Age 5」,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ith the First and Second-grader`s Textbooks」 and examine how these contents are related in child care center and elementary school field. First, in order to analyz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Child Care Center Program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Age 5」, 4 handbook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2 and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ith the First and Second-grader`s Korean language, Math Textbooks and integration subjects」 were analyzed by 6 frames of reference such as "culture", "diversity", "identity", "equality", "anti-bias" and "collabo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otal 1,105 activities in Nuri course were analyzed by sub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ife theme.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Korea in the world``, ``transportation and safety``, and ``winter and play`` in life theme pres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 lot. Also, as for sub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highest proportions of contents was collaboration, and followed by identity, diversity. Above all things, as for frames of reference to sub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ore frequent presented contents were the interaction and cooperation of "collaboration", building on self- identity of "identity", while there were little contents with "anti- bias". The result of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ith the First and Second-grader`s Korean language, Math textbooks and integration subjects, first reveled that self- identity is made according to the order of identity, collaboration and diversity, that the process of the acknowledge the diversity of different cultures and the overcome of prejudice are showed next. Therefore, the content of muticultural education considering anti-bias should be reflected more in curriculum in that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and respect region, ethnic group, race, gender, social class, ideology, and various occupations better when they from the infancy realize bias, criticize it and know how to deal with it.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태도에 대한 관련변인들 간 구조분석

        박인숙(Park, I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련변인인 다문화소양, 다문화 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어떤 경로를 통해 다문화 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들 변인들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 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소양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서울, 경기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190명을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9.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매개로 다문화교육태도에 의미있는 영향을 보였으며, 이들 매개변인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다문화교육내용보다 다 문화교육태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incorporate integrative analysis, which clarifie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220 early childhood teacher 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hus,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is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significa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 s multicultural literacy, teaching efficacy,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s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 s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content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 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next step was to verify the more definite mediating effect among variables and for this, a Sobel test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 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Second, teacher 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 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In conclusion, the variables,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namely,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b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 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 KCI등재

        유아교사 다문화소양과 다문화교육태도와의 관계: 다문화교육내용과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인숙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attempts to incorporate integrative analysis, which clarifie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220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hus,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is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significa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teaching efficacy,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s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content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 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next step was to verify the more definite mediating effect among variables and for this, a Sobel test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Secon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In conclusion, the variables,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namely,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b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 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설정하고 이들 변인들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 안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 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소양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서울, 경기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의 자료수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19.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다문화교육태도에 가장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박물관의 역할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의 전시와 연계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최문성 ( Moon Seong Choi ),김순자 ( Sun Za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9

        교육은 형식적인 학교교육과 비형식적인 교육을 통해 통합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이행됨에 따라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는「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통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요소 반영"할 것을 권고한 이후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개념을 범교과 주제에 포함시켰으며,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는 "다문화교육 기반 구축", "교사 연수 등 다문화교육 저변 확대"를 통해 다각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졌다. 그 동안 시행된 이러한 다문화교육이 많은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온 것도 사실이나 학교교육이 지닌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의 평생교육기관인 박물관과연계할 것이 강조되고 있다. 학교교육과 연계된 박물관을 통한 다문화교육은 "다문화 체험"을 통해 인간과 문화를 체험하고 다문화사회에 요구되는 더불어 더 잘 살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는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더불어 더잘 살 수 있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박물관교육의 역할에 관해 탐색 해보는 것이다. 먼저,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의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에 반영된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해「문화」,「다양성」,「정체성」,「평등」,「반편견」,「협력」의 6가지 분석 준거로 분석할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2장에서는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박물관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제 3장에서는 지구촌 민속교육박물관의 전시와 연계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제 4장에서는 3장의 분석.논의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박물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교육을 위한 박물관연계교육프로그램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을것이다. Integrated education is happening through formal school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Although that implem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has many positive effects until now,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museum, the loc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to compensate the limitations of schoo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museum connected with school education can give the opportunityof an experience of human being and culture through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improve attitude and ability of living a better life together, which are required in multi-cultural society. Thus, this study analyzed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Folk Education Museum of Global Village」, which can be described as multi-cultural museum, and explores on the role of museum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f living a better life together. First of all, we will analyzed criterions of 「culture」, 「diversity」, 「identity」, 「equality」, 「anti-prejudice」, and「cooperation」for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reflected in the exhibition of Folk Education Museum of Global Village and education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discusses the transition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need to museum-associated education. Chapter 3 analyzes and debates the exhibition of Folk Education Museum of Global Village and museum -associated - education program. Chapter 4 presents the role of desirable muse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analyzes and discussion in chapter 3.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 able to give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museum-associated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