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주교육대학교 남녀 대학생 인지적?정의적 학습유형 특성

        김은정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2 敎育論叢 Vol.49 No.1

        본 연구에서는 공주교대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학습양식 구성요소별 학습유형 분포를 조사하여, 그들의 학습 특성과 남녀 학 생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1년도 공주교육대학교 1~3학년 431명의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용 인지적?정의 적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DOW 10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및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공주교대 학생들은 인지적으로는 정보인식에서 ‘논리형’, 정보처리에서 ‘통합형’, 정보저장?인출에서 ‘심층형’의 특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정의적으로는 혼자 독립적으로 학습하는 ‘혼자형’의 특성을 더 많이 가지고, 수업참여형태에서 활동적으 로 참여하는 ‘실험형’의 특성을 가진다. 둘째, 남녀 학생 간에 인지적 학습양식 구성요소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정의적 학습양식 구성요소 중 ‘참여태도’와 ‘참여정 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남학생은 ‘참여태도’에서 ‘실험형’의 특성을 더 강하게 나타낸 반면, ‘참여정도’에서 ‘회피형’의 특 성을 가진다. 여학생은 ‘참여정도’에서 ‘참여형’의 특성을 가진다. 여학생이 ‘수업적응’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과 관련지 어 생각할 때, 남학생에게 ‘참여형’의 특성을 갖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다.

      • 특수교육대상자 공주교육대학교 입학 대비 연구

        김윤옥,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2007 특수교육대상자 공주교육대학교 입학 대비 연구 Vol.1 No.

        본 연구의 추진 목적은 우리대학교에서 2008학년도 신입생 모집에서 장애학생을 특별전형으로 모집하기로 교수회의에서 결정한 바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장애학생 입학을 대비하는 각종 준비여건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특수교육대상자 대 학입학 현황과 지원을 살펴보면서, 국내의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 전형 현황을 분석 하여 우리대학교에 필요한 특별전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국내외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현황과 지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내외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셋째, 우리대학교에 필요한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 방안, 교수-학습 지원방안, 학사운영개정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비롯하여 각 대학교의 특별 전형 실태에 대한 조사를 공문, 논문, 인터넷 정보검색 등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위한 공 문발송은 국립 사범대와 교대를 중심으로 보내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우리대학교에 맞는 특별전형 및 교수-학습 지원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의 연구내용 요약으로서, 미국의 종합대학교나 전문대학은 1973년 제정된 재활법 504조항과 1990년에 공포된 장애인법을 최대로 준수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장애대학생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대학교에서 이를 위해 ‘학생지원서비스(Student support Service)'라는 명칭 또는 유사한 명칭의 대학 부설기관에서 장애대학생을 그 대학에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 (물리적 접근성 보장)과 프로그램 및 학습지원을 마련 하여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의 종류는 관계치 않고 그 학생의 능력이 지원서비스를 받아 서 그 프로그램을 수학할 수 있는지를 바탕으로 적격성을 판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리고 수업의 학습을 위한 지원서비스는 1990년에 공포된 장애인법에 명시된 서비스를 대부분 제공하고 있었다. 두 번째의 연구내용 요약으로서, 한국의 경우는 1995년부터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실시하기 시작하여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 수는 1995년 8개 대학교 113명으로부터 2006년에는 73개 대학에서 419명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들은 대학의 지원서비스에 불만족을 토로하고 있는데, 주로 편의시설 미비와 학습지원 미흡이 그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도부터 교육대학교에서도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으며, 교육인적자원부는 2008학년도부터 모든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교가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을 받아들이도록 독려하고 있다.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을 위한 편의시설 및 학습지원을 가장 잘하고 있는 대학은 서울대학교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지원은 수강신청, 수업 참여, 평가 등의 과정에 이르는 일련의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수강신청 우선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둘째, 장애학생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도우미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셋째, 교•강사를 위한 장애학생 안내문을 발송하고 있다.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사전에 파악하여 장애학생이 요구하는 교수-학습 지원 요청을 교•강사에게 권고하는 안내문을 발송함으로써, 수업준비, 운영(강의자료 사전 제공, 확대 인쇄물 제공, 리포트 제출 시한의 융통성, 시험시간 연장 등) 및 평가 등에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중앙도서관의 도서배달 서비스와 우선석(열람실 좌석 30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다섯째,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기자재 및 프로그램을 장애학생지원센터에 비치하고 있다. 여섯째, 장학금 지급으로서 2003학년도 입학한 모든 장애학생에게 등록금 전액을 장학금으로 지급하였으며, 2004학년 입학생부터는 장애학생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학문에 증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편의시설지원으로서는 장애학생의 이동을 지원 할 수 있는 차량을 운행하고 있으며, 학내 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개•보수로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대학 내에서 장애학생의 원활 한 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하여, 첫째, 기숙사 및 가족 생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장애학생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 1회 상담시간이 제공되고 있다. 셋째, 장애학생과의 심층면담도 실시하고 있다. 한편, 교육대학교 장애인 학생 특별전형 방법 중 특이 사항으로서는 장애학생이 초등학교 교 사로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적격자’인가를 파악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 방법은 어느 교대를 불문하고 불분명하면서도 객관적이지 못한 방법으로 ‘특별전형위원회’의 임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문제시 되고 있다. 2005년도부터 장애학생을 선발하기 시작한 각 교육대학교는 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 육과정 개정 및 운영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 이는 장애학생의 학업수학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굳이 교육과정을 수정하여야 한다면, 대학의 목적 유지를 위한 대학의 권리와 기회균등이라는 장애학생 권리 간의 균형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의 제4 조(차별의 금지)에서 대학의 입학 전형 절차에서 별도의 면접이나 신체검사를 요구하는 등의 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2002년 이후 장애학생 특별전형을 하는 대학들은 선정심사 절차를 생략하고 면접에서 장애에 따른 지원사항 등 에 대한 조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있다. 세번째의 연구내용 요약으로서, 우리대학교 장애학생 선발방법은 입시요강에 장애유형 및 등급을 명시하기 보다는 “초등 교사직 수행 가능성 및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설문조사”(가칭)를 원서접수 시에 첨부하여 받아서 장애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원서접수 후, 장애유형과 장애등급은 초등학교 교사로서 어떤 장애학생들이 전문성 수행에 적격한지를 다각적으로 논의한 연후에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교육과정 운영과 마찬가지로 대학의 목적 유지를 위한 대학의 권리와 기회균등이라는 장애학생 권리 간의 균형을 고려하여야 하며, 장애학생의 학업수학을 위해 어떤 교수-학습 지원이 제공되었을 때 그 권리들이 충돌하지 않을 수 있는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장애학생 특별전형 위원회는 장애학생 지원을 위하여 특수교육대상자 지원 위원회로 바뀌어야 하며, 장애학생을 지원하도록 한다. 위원의 구성은 교육지원처장,학생지원처장,특수교육전공교수,체육과교수,음악과교수, 미술과교수, 교육상담전공 교수 등 7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별전형 절차는 ①원서 접수, ②서류심사, ③논술/면접시험, ④최종 합격자 발표 등 일반전형의 절차와 같이 실시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우리대학교에 수학할 장애학생들의 학업지원을 위해 학사운영규정을 마련한다면, 먼저 장애학생의 권리와 의무, 대학의 권리와 의무를 고려해야 하겠다. 학생의 권리는. 교육과정/프로그램 참여 및 수혜에 대한 기회균등, 정당한 편의제공과 교육에 대한 기회균등, 장애 관련 모든 정보에 대한 적절한 기밀 보장, 대안적 형태의 정보 제공 등이다. 학생의 책임은 교육과정 준수사항 준수 및 대학정책과 절차 준수,편의제공 조정이 필요할 때 장애학생으로 신분 밝히기, 필요시 정보, 지원, 조언 구하기, 자신의 장애에 대한 적절한 문서 제출, 편의제공 및 서비스확보를 위해 공포된 절차 따르기 등이다. 한편, 대학의 권리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요청된 지식 및 기술 수립, 편의제공 지원 요청에 대한 적절한 증빙서 요청, 증빙서 없는 편의제공 조정 요청 거부, 효과적인 정당한 편의제공 중 선택하기, 부당한 편의제공이나 교육과정 또는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사항 수정 또는 면제 거부 등이다. 대학의 책임은 대안적 형태의 정보 제공, 교육과정 또는 프로그램을 최대한 통합교육 하도록 적절한 환경으로 하기, 장애에 의거하지 않고 학생의 능력에 따라 평가하기, 정당한 편의제공 제공, 법에 의해 요청되지 않는 한 장에 관련 모든 정보에 대한 적절한 기밀보장 등이다. 장애학생을 위한 편의제공에 있어서 필요한 사항들을 점검해보면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사항들이 학사운영규정에 명시되어야 한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수강신청 우선제도를 실시하고, 수강신청은 1주일 전에 먼저 실시하며, 강의실은 장애학생이 접근 이용이 한 곳에서 개설된 과목을 수강할 수 있도록 배정하여야 하겠다. 둘째, 장애학생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도우미제도를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교•강사를 위한 장애학생 안내문을 발송하여야 한다.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사전에 파악하여 장애학생이 요구하는 교수-학습 지원 요청을 교•강사에게 권고하는 안내문을 발송함으로써, 수업준비, 운영(강의자료 사전 제공, 확대 인쇄물 제공, 리포트 제출 시한의 융통성, 시험시간 연장 등) 및 평가 등에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중앙도서관의 도서배달 서비스와 우선석(열람실 좌석 30석) 제도를 시행하여야 한다. 다섯째,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기자재 및 프로그램을 장애학생지원센터에 비치하여야 한다. 여섯째, 장학금 지급으로서 2008학년 입학생부터 장애학생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일곱째, 각 건물마다 장애학생이 접근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사항들을 학사운영규정에 반영되어야 하겠다.

      • 公州教育大學校32年 (1962〜1994)

        황규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4 公州敎大論叢 Vol.30 No.-

        공주교육대학교 개교 이래 32년간에 변화 발전해온 파란만장한 영고성쇠의 사건 사실들 을 간추려 본다. (1) 교육대학(2년제, 4년제나) 개교 하기 전에 한 일중 특기할 사항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연구활동이었다. 1년 이상에 걸쳐 연구하여 제정했다. (2) 공주교육대학교 개교 이래 입학 지원자가 모집정원에 미달하여 2차모집(1962)을 한 일이 한번 있었다. 또한 입학지원자중 합격권내의 여학생이 너무 적어 특별전형으로 여학 생수를 늘린때(1962)도 있었다. 그러나 여학생의 입학율이 남학생보다 매년 늘어나 1980 년부터는 81%로 늘더니,1994년 신입생 모집부터는 남녀의 한 성이 70%를 초과할 수 없 다는 규정을 접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분명 여성 파워 시대임을 심각하게 하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3) 개교하던 첫해의 1학년 학급수는 5개학급이고, 교수는 10名으로 한 학급에 교수 2 명씩 지도교수를 임명(다음해 부터는 1명 씩 배당했지만) 했다. 또한 개교하던 1962년에는 공주사범학교 졸업반인 마지막 3학년이 있어 같은 건물을 쓰고 있었다. 그러나 대학생들 은 청소도 하지 않을 뿐더러 신을 신고 교실에 드나들고 하여 사범학교 학생들의 불만이 대단하였다. 할수 없이 지도교수들이 대학생들 교실 청소를 해 주기로 하고 몇일을 하고 있으니 대학생들이 자진하여 청소를 하게 되었다. 공주교육대학 초창기의 해프닝의 하나 다. (4) 우리나라의 초등교사 양성은 계획 양성 체제였다. 즉 초등교사의 수요에 맞추어 교 사양성을 했다. 그러므로 수요에 맞추어 공급하려니 공주교육대학의 재학생은 고무줄 같 이 줄었다 늘었다 했다. 이것으로 인한 대학의 사건 사례가 많았다. 한 사례는 학교의 연 혁사례로 삼고 싶다. 첫번째의 사건은 1960년 후반의 일이다. 1966년부터 초등교원의 부 족현상이 급격하게 나타나 보수교육(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초등교사 임용을 위한 초 등교사 교육)을 하게 되더니 급기야는 단기양성소(대학졸업자,고등학교 졸업자 입학)를 설립하여 초등교사의 대량생산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 부터는 교사 과잉상 태가 되어 임용적체 현상이 나타났다. 드디어 1976년에는 모집정원이 160명,1977년에는 120명으로 줄어 들었다. 전교생 1,040명에서 240명으로 줄어들었으니 교수들은 수업부담 기준양이 부족했다. 교수들은 자진해서 할 일을 찾아나섰다. 충청남도 교육청(당시는 교 육위원회)에 나가 일선학교의 장학지도를 하기도 하고 공주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대 학,주부대학 등 시민대학을 개설 운영하기도 했다. (5) 공주교육대학교의 창설 당시인 1962년은 공주시내 건물들이 일제시대의 유물인 양 녹아난 빨간색의 함석지붕의 집들이었고,도로는 모두 비포장 도로였기 때문에 간혹 버스 라도 지나가면 먼지가 날려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은 당시의 서울거리 못지않게 현대식 양옥 건물에 깨끗한 포장도로로 격조 높은 문화도시로 변모하였다. 이러 한 공주시의 변화와 함께 공주교육대학도 1962년(32년)의 옛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1962년 개교 당시의 공주교육대학의 모습은 단 한군데 있다. 즉 승명관(講義 가棟) 하 나 뿐이다. 부속국민학교의 옛 모습도 하나도 없다. 또 하나 찾아 본다면 운동장과 교문 (校門)자리다. 옛날 교문은 지금의 체육관 앞 은행나무 있는 큰 도로변이다. 참으로 옛날 은 좋았고 역사는 흐르는가 보다.

      • 공주교대 9개 핵심역량 함양 정도 분석을 통한 교과․비교과 교육과정 개선: 1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권성룡(Sung-yong Kwon),김혜원(Hye-Won Kim)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敎育論叢 Vol.60 No.1

        본 논문에서는 공주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9개 핵심역량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신입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핵심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한 공주교육대학교의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 강점역량은 ‘예비교사로서의 신념적 가치’, ‘상호존중적 공동체성’, ‘아동에 대한 관심’으로, 약점역량은 ‘학습관련 자기관리’, ‘조절적 자기관리’, ‘성향적 창의’로 조사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핵심역량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미적 판단역량, 공동체역량, 의사소통역량, 가치설정역량에서 여학생의 핵심역량 평균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셋째, 입학전형에 따른 핵심역량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특수역량군에 속하는 가치설정역량, 교직전문성역량, 아동이해역량과 일반역량군에 속하는 공동체역량에서 수시로 입학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평균이 정시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높았다. 넷째, 입학년도에 따른 핵심역량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특수역량군에 속하는 가치설정역량, 교직전문성역량, 아동이해역량과 일반역량군에 속하는 의사소통역량에서 2021년도에 입학한 학생들보다 2022년도에 입학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평균이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역량함양을 위한 교과 및 비교과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9 core competencies for first-year students at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reshmen's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is, we tried to look into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 effectively cultivate core competenc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ngths of freshmen are 'value of belief as a pre-service teacher', 'community of mutual respect', and 'interest in children', and the weaknesses are 'learning-related self-management', 'self-regulatory management', and 'Dispositional creativi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core competencies by gender, the average core competencies of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aesthetic judgment competency, community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value setting competenc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admissions, in value setting competency, professional teaching competency, and child understanding competency belonging to special competency cluster, and community competency belonging to general competency cluster, the average of core competency of students who were admitted early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entered on a regular basi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year of admission, the core competency average of students who entered in 2022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entered in 2021 in value setting competency, professional teaching competency and child understanding competency belonging to the special competency cluster,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belonging to the general competency cluste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course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core competency development was suggested.

      • 신임교사의 현장 적응에 대한 평가 연구 - 공주교육대학교 출신교사 중심으로 -

        한규정, 김형균, 권성룡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본교 출신 교사들의 현장에서의 교육수 행과 본교에 대한 교육계의 의견을 토대로 다가올 새로운 세기의 보다 나은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위상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는데 있다. 표집은 연구의 목적과 효율성을 위해서 임의 표집방법으로 대전, 충남지역 교사로 하 였다. 질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관한 문항 4개, 본교 졸업생들의 교육 수행에 대 한 선택형문항 문항 12개, 본교에 대한 의견을 묻는 문항 3개(선택형 1개, 자유반응형 2 개), 총 1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E-mail과 Fax를 이용 하였다. 설문지는 대전, 충남 지역 초등학교에 각각 439부, 129부씩 배부하여 96부, 33부ᄅ 씩 회수되었다. 이중 응답이 불성실한 것을 제외하고 총 108부가 연구에 이용되었다. 질문지의 각 문항별로 반응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필요에 따라 성별, 연령별, 담 당업무별, 학교 苷별 등에 따라 반응의 경향을 비교하였고, 통계처리는 백분율, X2 검 증을 SPSS WIN-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자유 반응형 문 항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교 출신의 신임교사들이 학교 교육활동 전반에 대해 대체적으로 좋은 평가 를 받고 있다. 그러나 생활지도능력, 사무수행능력, 특별활동지도능력 등에 대해서는 타 항목 보다 /보통이다'는 반응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교 출신의 강점인 /안간관계와 협력이 잘되는 것'은 약점으로 지적된 학연에 치우친다/와 연결되는 결과 이므로 강점을 강화하되, 지나친 학연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셋째, 반응에 응답한 교사들은 교대 교육과정이 현장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기를 원 하고 있다. 즉 현장과 접목할 수 있는 것과 예 • 체능, 영어 심화와 관련된 교육과정이 강화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ducational performances of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curriculum(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case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survey were used. A questionnaire which was 19 question items concerning personal and educational performances, suggestions for university were made. Thi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68 school in Daejeon and Chungcheong Nam-Do. Finally well answered data 108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the 108 persons who responded to the mail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s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program techniques of frequencies, chi-squar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educational performance by the Graduates of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mostly high. But the ability level of career guidance, office management, special program activities were comparatively lower.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 공주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한규정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8 公州敎大論叢 Vol.45 No.1

        This study is about measurement th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e modified ISST(ICT Skill Standard for Teacher) based on the ISST which Korean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developed on 2004. The modified ISST consists of 50 items and I polled more than 120 Gongju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to find their abilitie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ind most students have the abilities on collecting information to use their lesson and teaching. Second, most students have also the abilities of word-processing but have difficulties on developing multimedia data as animations, movies, sound and pictures. Third, they have a thorough knowledg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using chatting, mail and bulletin board on web. Fourth, most students have a weakness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Information ethics and securitie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of reinforcement on the education of multimedia development and information ethics.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로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한 교사 ICT 활용 능력 기준인 ISST의 정보수집, 정보분석 및 가공, 정보전달 및 교류, 정보윤리 및 보안등에 대한 영역을 예비교사들의 수준에 맞게 세분화한 50개 항목으로 수정 개발하였다. 그리고 공주교육대학교 3학년생 120명을 대상으로 컴퓨터활용능력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응답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정보수집 능력분야에서 학생들은 대부분 교수학습에 필요한 학습 자료를 다운노드 받는 등의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둘째 워드프로세서 자료의 작성 및 편집에서의 처리능력도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자료의 제작 분야에서는 다른 분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그 역량이 부족하며, 셋째 정보전달 교류영역에서는 학습에 필요한 학습 자료를 잘 활용하고 있었고, 넷째 정보윤리 보안 영역에서는 지적재산권보호 등에는 소홀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우리대학의 컴퓨터관련 교육 과정 중 멀티미디어 자료제작교육과 정보윤리교육 분야의 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브루넬 대학의 영재교육

        김경호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과학교육연구 Vol.26 No.-

        Through the observation on the Brunei Able Children's Education Centre implications for able students' education for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professional instructors should be educated for able student. Secondly, degree course should be opened for making human power with both theory and practicing for school. Thirdly, Korean origin able studen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 초등 수학 영재 선발 방식의 내실화를 위한 연구 -수학적 내용 영역과 사고 영역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중심으로-

        임문규, 권성룡, 강흥규, 조영미, 김혜숙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8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8 No.1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실시된 영재 선발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공주교육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수학 영재 선발에 내실을 기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재 선발에 사용된 수학 문항들을 크게 수학 내용 영역 측면과 수학적 사고 측면으로 구 분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2005 년과 2006년에 실시된 영재 선쌀 평가 결과였다. 분석 결과로, 먼저 합격자 집단과 불 합격자 집단 사이에 표준화 점수 차이가 가장 많이 나거나 적게 나는, 수학 내용 영역 과 수학적 사고 영역을 알아보았으며, 둘째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전형 단계에서 합 격에 영향을 미치는 수학 내용 영역과 수학적 사고 영역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는 내실 있는 영재선발을 위한 문항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way of selecting the mathematics-gifted students i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that purpose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s through the statistics methods. And for the analysis we classified the mathematics items according to the content domains and several mathematical think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obtained the followings. First, we could find the mathematics content domains and mathematical thinking on which the gap between the passers and failures was the largest and the smallest. Second, we could recognize the content domains and mathematical thinking which were related to the pass of the examinations.

      • 공주교육대학교 출신 신규교사의 교육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 조사

        권성룡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1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 출신 신규교사의 본교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 해서 실시되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전과 충남지역에 소재한 568개 초등학 교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138부를 회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본교의 교육과정(교양교육과정, 전문교육과정, 심화교육과정, 교육실습)이 전문성을 갖춘 초등교사양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주교육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이(대학교육을 받은 사람으로서 교양과 식견을 갖추게 하는 등) 초등교사의 기본적인 자질함양에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한 반응이 전체의 34%였다. 둘째, 공주교육대 학교의 전문교육과정 이 초등교사의 전문성신장에 기 여 하는가라는 질 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한 사람은 전체의 47.8%였다. 셋째/ 전문교육과정 중 심화교육과정은 특정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한 사람은 전 체의 36.2%였다. 넷째, 교육대학의 교육실습은 교육대학생들이 초등교사로서의 학습 및 생활지도 능력 과 직무 수행능력을 개발하는데, 그리고 초등학교 현장에 적응하는데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79.7%가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섯째 , 공주교육대학교의 발전방안으로는 초등현장과 실질적으로 연계된 교육과정을 운영, 보다 우수한 교수진을 확보, 사명감 있는 초등교사양성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 램 강화, 전문성을 갖춘 초등교원양성이라는 특수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운영, 대학의 지 역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문화적 경험 제공 등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new teachers graduated from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n the curriculum of GNUE. For convenience’s sake, the subjects were restricted to new teachers worked for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and have been teaching less than 5 years.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gathered through survey,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 First,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was 34%. Second,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major course was 47.8%. Third,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advanced course was 36.2%. Fourth,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al practice was 79.8%.

      • 온라인 국제교육실습의 성과와 전망 -공주교육대학교 사례중심으로

        문경숙(Kyung-Suk Moon)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敎育論叢 Vol.60 No.3

        해외 파견 교생실습인 국제교육실습은 각 대학교의 추진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선진국의 앞선 교육현장을 참관 학습할 수도 있고 우리나라와 비슷한 이웃나라와 교류증진 차원에서 추진할 수도 있으며 외국 실습생을 우리가 받아들일 수도 있다. 교육대학의 경우에도 어떤 형태와 방법으로 실습을 추진하는 것이 좋을지 표준 모델이 없다. 본고에서는 공주교육대학교와 미국 텍사스 주 앤젤로 주립대학교(Angelo State University, 이하 ASU)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해외교생실습 추진배경과 모델의 변경과정을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해외실습교육에 관심 있는 대학가에 조금이라도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 시도된 공주교대의 온라인 해외교생실습의 성과는 무엇보다도 코로나19로 인해 영구중단 위기에 처했던 해외교생실습 사업이 되살아나 새로운 활로를 찾게 된 것이며 더 나아가 해외교생실습은 앞으로 코로나와 같은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매년 추진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게 된 것이라고 그 성과를 평가 할 수 있겠다. 온라인 해외교생실습 교육은 특별한 이론이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안정된 온라인 줌 확보와 실습생들의 단체 활동 의식을 유도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에 따른 모델만 잘 개발하면 어느 대학 어느 담당 교수든 해외실습을 부담 없이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당국이 실습종목별 및 실습기간별로 최선의 다양한 모델을 개발해서 제시한다면 해외 교생실습교육이 보다 넓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goals of each university. You can observe and study school education site of advanced countries, promote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of the same level, or accept foreign trainees. Even in the case of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re is no standard model for what form and method should be promoted. In this study, the main focus is on the background of th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currently promoted by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gelo State University of Education(ASU) in Texas, U.S.,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odel in detail, hoping to serve as a reference for universities interested in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education. In particular, the achievement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onlin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which is the first precedent in Republic of Korea, is above all that the partnership between G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ASU and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which were in danger of permanent suspension due to COVID-19, revived and found a new way out. Regardless of the situation, it can be said that it has laid the groundwork for continuation every year in the future. Onlin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education does not require special theories or skills. The key is securing a stable online zoom and inducing students to have a senses of group activity. If the model is well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any university or any professor in charge will be able to carry out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practice without any burden. I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develop and present the best various models for each practice item and practice period,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education is expected to spread more wid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