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제활동 유무의 조절효과

        박가영,유수정 한국노인복지학회 2023 노인복지연구 Vol.78 No.3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근거로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그 관계에서 경제활동 유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증가를 위한복지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데이터 중 본인 응답자 7,05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우울수준은 종속변수로 디지털리터러시는 독립변수, 경제활동 유무는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SPSS 27.0과 Process macro model 1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경제활동 노인이 경제활동 노인보다 전반적 우울수준이 높았으며(=-.734, <.001),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우울 수준에 부적 영향을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00, <.001). 노인의 경제활동 유무는 디지털 리터러시와우울의 관계에서 완충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의 세기가 경제활동 노인보다 비경제활동 노인에게 더욱 큼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비경제활동 노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확대하고 경제활동 연계 및 지원을 통한 사회참여 확대 방안을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based on activity theor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y on this relationship,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policies to increase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To accomplish this, data from 7, 054 self-respondents in the 2020 Korean Elderly Survey were utilized. Depression level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digital literacy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economic activity as the moderating variab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Process Macro Model 1.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conomically inactive elderly individuals had a higher overall depression level than economically active elderly individuals(b=-734, p<.001), and the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ir depression levels(b=-.100, p<.001).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depression was verified. It means that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depression is greater on economically inactive elderly individuals than economically active elderly individuals.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o exp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economically inactive elderly individuals in the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and enhanc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rough economic activity support.

      • KCI등재

        노인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강상태의 부분매개효과 중심으로

        김미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o provide measure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y grasping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in this relationship.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840 elderly people aged 65 in the 5th (2020) of the survey on the elderl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SPSS 22.0 program. First, statistical analysis was analyzed by the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by Baron & Kenny. Results It was found that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other-oriented activities and self-oriented activities. In the effect of the elderly's economic activities on health status, work satisfac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and work satisfac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health status show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y and economic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nvironmental creation and action plans were presented to revitalize social activities and increas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건강상태가 노인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이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노인실태조사 5차(2020년)에서 65세 이상 노인 9,840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통계분석은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및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매개 효과는 Baron & Kenny의 방법을이용하였다. 결과 노인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타인지향, 자기지향)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타인지향, 자기지향)은 건강상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건강상태는 경제활동과 사회활동(타인지향, 자기지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노인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타인지향, 자기지향) 증진을 위한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 고령화시대 노인의 경제활동에 관한 연구

        이갑용 ( Kab-yong Lee ),송원호 ( Won-ho Song ),강장석 ( Jang-suk Kang ),이재희 ( Jae-hee Lee ),조용근 ( Yong-keun Cho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0 기업경영리뷰 Vol.1 No.1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2018년부터 심각한 고령사회가 되는 변화에도 불구하고 현행 경제. 사회 운영 틀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내수가 위축되거나 노동력부족 등으로 구조적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초 고령화 시대, 여러 가지 노인문제 중 노인들의 경제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한 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경제활동 간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여자노인이고, 연령은 65세~69세, 교육수준은 무학인 노인층은 노인의 가구소득, 빈곤지위, 취업여부, 종사상지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경제활동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남자노인이고 교육수준은 2년제 대학의 노인층은 노인의 경제활동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만족도, 전반적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은 경제활동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이 높은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노인의 경제활동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만족도, 전반적 만족도가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결과를 국가 고령화 정책수립시 참고한다면 노인의 자립지원 및 Active Senior상 정립으로 노후 삶의 질을 향상하고 고용 및 산업구조를 고령사회 친화적으로 전환하여 신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구축과 노후소득 보장체계를 강화하여 건강하고 보호받는 노후를 보장하는 복지국가 건설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 has already entered the aging society in 2000, but with current economic and social management, a structural stagnation such as decrease in domestic demand or lack of labor is expected to occur in 2018. The issues on old people of early aging era can be categorized into economic, healthy, leisure and social-psychologic conflicts and exclusion problems. Concentrating on economic issues, it was found that the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of old people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that amongst those features, for the group of old people of age between 65∼69 and illiteracy, the household income, poverty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profession status are highly relevant to the economic activities. The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of old people were found to diff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amongst those features, for the group of old people of the male sex and literacy of 2-year university study,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social relationship, and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are found to be highly relevant to the economic activities. The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was found to give a positive effect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is would mean that old people of high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highly recogniz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economic activities, social relationship and in overall. Referring to this result when establishing a policy, it is expected that better quality of life by independence of old people and definition of the active senior, the insurance of new motive power by conversion to senior-friendly structure for employment and industry, the base construction for better quality of life and reinforcement of insuring system for health and protection of the aged would be encountered and suggested.

      • KCI등재

        65세 이상 인구의 고용형태와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관련성

        강정희(Kang, Jeong-Hee),김철웅(Kim, Chul-Woung),서남규(Seo, Nam-Kyu)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을 알아보고, 고용형태와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 및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13년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인구 5,528명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과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은 18.9%로 유렵연합국 노인인구집단보다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이 2-3배 높았다. 그리고, 의료요구 미충족을 경험한 노인 중 의료요구 미충족을 경험한 이유가 경제적 이유라고 응답한 노인은 42.8%였으므로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은 8.1%이다. 임시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은 은퇴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보다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이 높았고(ORs=1.75), 일용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은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이 높았다(ORs=1.92). 경제활동 상태에 따른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차이는 ‘질병과 손상’을 가진 노인을 제외하고는 종사상의 지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 이유가 높은 의료비 부담이라고 응답한 경우에도 경제활동 상태에 따른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차이는 ‘질병과 손상’을 가진 노인을 제외하고는 종사상 지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다만, 경제활동자 중에서는 ‘일용직’ 노인의 경제적 이유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이 가장 높았다. 또한, 소득이 적을수록 의료요구 미충족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한국 노인의 의료 요구 미충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후소득보장제도의 개선뿐만 아니라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일자리 형태 및 임금수준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더불어 의료비를 해결할수 있는 건강보험의 보장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for elderly over the age of 65 years, as well as analyze the relevance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With regard to the study metho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targeting 5,528 subjects over the age of 65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was 18.9%, in which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 was 8.1%. The rate of unmet health needs was higher for temporary workers(ORs=1.75) than for retirement workers. However,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caused by financial reasons was higher among day workers(ORs=1.92). In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unmet healthcare needs for senior Korean patients, it is necessary to not only improve the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elderly, but also improve the occupational form and level of income of these economically active citizens, considering the increase in average life expectancy.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reinforce health insurance coverage systems for settling medical expenses.

      • KCI등재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의 효과 비교

        이보람,이정규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노인복지연구 Vol.71 No.2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We divided them into social participation and economic participation, and estimated their respective impacts up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for a national sample of 4,362 elderly respondents. The respondents are aged between 60 and 79 and obtained from the 4th year(2012)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The elderly social activities were conceptually separated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many empirical studies have produced inconsistent results on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by entangling different elements into the concept of social activity; some evidence has shown that the economic and the social participations may have different effects and mechanisms up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re is also a support for the conceptual separation at the logical and theoretical level. We established and tested an empirical model containing measures of the social and the economic participations along with socio-economic factors. Results fro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 general have confirmed that the social and the economic participations have exerted significant independent effects upon the satisfaction level of older adults, the former having a relatively larger one. Also we found the role of economic particip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when the elderly have an economic need to work. We concluded this study by suggesting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ies that aim to promote the social activities among old adults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KLoSA) 4차 자료 중 65세 이상 79세 이하의 노인 4,362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활동의 효과를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로 구분하여 확인하였다. 사회활동을 구분한 이유는 우선 선행연구들이 사회활동을 제각각으로 정의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실증적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였고, 사회활동이 영역별로 특히 사회적 영역과 경제적 영역 중 어디에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경험적 증거가 있으며 개념적으로도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를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논거가 있었기때문이다. 또한 사회적 참여와는 달리 노후의 경제적 참여가 경제적 필요성에 의해 좌우될수 있다는 것은 경제적 참여와 사회적 참여가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끼치는 방식이 각기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 참여, 경제적 참여 등의 변수들이 투입된 경험적 모형을 설정하였고 기술적 분석, t-검증,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들을 사용하여 사회활동의 효과를검토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는 공히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사회적 참여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적 참여의 경우 경제적 필요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필요가큰 경우 취업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정책적 함의와 이론적 의의들도 아울러 제시되었다.

      • KCI등재

        사회적 활동 잠재계층유형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비교

        박미진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ypes of social activities according to older adults' socioeconomic level as well as how patterns of social activities affect older adults' depressive symptoms. The analysis used data from 4,155 people in the fifth year (2015)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OLSA) data. The analytical methods used included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ere identified in the types of social activities among the poor and non-poor groups. The elderly poverty group was typified as a alumni-friendship centered group, a religion-friendship centered group, a friendship-oriented group, and a inactivity group.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non-poverty group were classified as a inactivity group, a friendshipeconomic activity group, a alumni-friendship centered group, and a complex activity group. Second, the inactivity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for both the poor and non-poor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level and typologies of social activities late in life and the typologies of social activities also affected depressive symptoms.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al work practice needs to promote the social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in povert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regarding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social activitie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사회적 활동의 유형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와 사회적 활동유형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고령화패널자료 제5차년도(2015) 4,15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은 잠재계층모형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집단과비빈곤집단의 사회적 활동유형에는 동질성과 이질성이 있었다. 빈곤노인집단은 동창친목중심집단, 종교친목중심집단, 친목중심집단, 소극활동집단으로 유형화되었고, 비빈곤노인집단은친목경제중심집단, 복합활동집단, 동창친목중심집단, 소극활동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빈곤집단과 비빈곤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활동이 적은 잠재계층집단이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사회적 활동 유형과의 관계를 보여주고, 사회적 활동유형이 우울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곤노인의 사회적 활동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노년기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개입이 우울과의 관련성을 고려한 실천적 함의와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만성질환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경제활동참여의 조절효과

        이성은(Sung Eun L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1

        건강상태는 노인들의 노년기 삶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그동안 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밝힌 여러 연구결과들이 제기되어 왔으나,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과 관련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경제활동참여가 만성질환 노인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 2008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만성질환 노인 2,14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절회귀분석결과 건강상태, 경제활동참여, 성별, 자녀수, 결혼상태, 재정만족도, 그리고 활동제한성이 만성질환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참여는 만성질환 노인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경우 참여하지 않은 노인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빠져도 생활만족도의 감소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만성질환을 가지고 노년기를 보내는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경제활동참여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만성질환 노인의 경제활동참여 및 유지를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with chronic illness. This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of 2,146 people over 65 years old with chronic illness from the second wave(Year 2008)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Hierarchical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ssess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of analyses showed that gender, number of children, marital status, financial satisfaction, and activity limitation we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interacts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ith chronic illness. Findings suggested that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has a buffering effect against health statu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practice and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경제활동여부에 따른 노인의 융합적 삶의 질 영향 요인

        권명진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는 경제활동여부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65세 이상 노인 5,991명이다. 본 연구의 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적⦁심리적 요인 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성별, 연령, 외래이용횟수, 관절염,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 스트레스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34.2%이었다(p <.001).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성별, 연령, 입원 횟수, 고혈압, 관절염, 청각장애, 저작불편감,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과 스트레스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35.5%이었다 (p <.001).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삶의 질 중재 시 경제활동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활동여부에 따른 노인 삶의 질 향상 중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91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among subjects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variables of this study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plex sample analysis of the IBM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economic activity were gender, age, outpatient use frequency, arthritis, activity restrictions, subjective health, and stress,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4.2% (p <.001).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out economic activity were sex, age, number of hospitalizations, high blood pressure, arthritis, hearing impairment, masticatory discomfort, activity restriction, subjective health and stress,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5.5% (p <.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ies in the intervention of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Interven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y.

      • KCI등재

        노인의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소득 요인 탐색: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선희,김혜정 한국정책개발학회 2022 정책개발연구 Vol.22 No.1

        노인과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 중에서도 노인 빈곤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노인들은 정규 경제 활동에 참여하기 어려운 독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 소득 외에 별다른 소득이 없다면 노인이더라도 경제 활동에 참여해야 한다. 소득은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시장 경제 사회에서의 가장 기본적인 생계 수단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다양한 소득원에 관심을 가지고 근로 소득과 연금 소득, 자산 소득, 이전 소득 등의 근로 외 소득 요인들이 노인들의 경제 활동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특히 여성 노인의 빈곤이 심각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성별에 따라 노인의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소득 요인이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근로 소득, 부동산 자산 소득, 금융 자산 소득, 공적 이전 소득 등이 노인의 경제 활동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성별에 따라 노인의 경제 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경제 활동 참여에 있어 여전히 근로 소득이 가장 주요한 요인임을 의미하며, 노인들이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사회 보장 급여로서 공적 이전 소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독거노인의 행복과 경제활동의 참여욕구에 대한 융합 연구

        이병임,김두리,임효남,김광환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D시에 거주하는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행복과 경제활동의 참여욕구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 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D시 노인복지관에 다니거나 복지관에서 봉사활동을 하는 독거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독거노인들은 복지관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기 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 자체 그리고 가족의 건강이 행복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들은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욕구의 차이가 컸다. 꼭 일을 해서 경제적인 수입을 원하는 노인,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노인, 그리고 경제 형편이 어렵 지는 않지만 소일거리로 경제활동을 원하는 노인으로 나뉜다. 경제활동에 대한 욕구는 대부분 높게 나타났지만 신체적인 한계를 고려해서 하루에 2-3시간 정도의 활동을 원했다. 소득의 경우도 소득을 간절히 원하는 경우와 현재의 생활비가 충분 하다는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경제적인 측면과 심리적인 측면의 제도적인 지원정책을 선순환적으로 마련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for economic activity and happiness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s a research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either go to the elderly community wellness center or volunteer at the center. The results were: First, it turned out that enjoying different programs and socializing with others at the community wellness center and the health of family were the factors of happiness to the elderly living alone. Second, the difference on the desire on economic activit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significant. Three groups could be categorized: the elderly who wants economic income through jobs, others who were wealthy, and others who do not struggle with their finance but wanted to continue their economic activity through part-time jobs. In average, the desire for economic activity was high but they wanted 2 – 3 hours of labor per day, considering their physical condition. In case of income, there were two groups, who desperately wants more income, and others who feel their income is sufficient. This study suggested a virtuous cycle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to the elderly living alone in econom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