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권명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in institu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the elderly care will help maintain independent living based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is study, in order to cognition and depression are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fe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carried out using a questionnaire to 100 people the elderly in institution, SPSS version 22. 0 were analyzed us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differences appeared with age (p = .006),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ve (r = .31, p = .001), factors significant impac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ge (p = .007), gender (p = .028), education (p = .042) and depression (p = .026) were predictive power was 23.2%. The results take into accoun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ognitive fun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institution and the need for developing programs that reflect these factors. 전 세계적으로 노인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은 신체 기능감소와 만성질환으로 활동의 장애를 경험한다. 특히 시설입소노인의 경우 지역사회 노인에 비해 시설의 환경 특성과 더 많은 만성질환을 보유하여 일상생활활동은 더 어렵다. 본 연구는 시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노인 간호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일상생활활동을 전제로 한 독립적인 생활 유지를 돕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의 주요 영향 요인인 우울과 인지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설노인 100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해 시행하였고, SPSS version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상생활활동은 나이(p=.006)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우울과 인지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1, p=.001). 일상생활활동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연령(p=.007), 성별(p=.028), 학력(p=.042)과 우울(p=.026)이었으며 설명력은 23.2%이었다. 본 연구결과 시설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상생활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 특성과 정서, 인지기능을 고려해야 하며 이러한 요인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이직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감정노동과 주관적 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권명진 대한산업경영학회 2019 산업융합연구 Vol.17 No.1

        간호사의 잦은 이직은 의료계의 큰 어려움 중 하나로, 본 연구는 이직간호사의 사회적지지, 감정노동과 주관 적 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이직간호사 70명으로, 자료 수집은 2018년 11월 1일부터 11월 10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 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회복탄력성은 업무만족과 주관적 건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회복탄력성은 사회적지지, 주관적 건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5). 3)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준 요인은 업무만족과 사회적 지지로 그 설명력은 44.1%로 나타났다(F=9.93, p<.001).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 이직을 감소시키고 임상에의 적응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직간호사의 회복탄력성 향상 중재 시 이러한 영향요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e frequent turnover of nurses is one of the great difficulties of the medical prof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labor and subjective health on resilience of turnover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 turnover nurses and collected data from November 1-10,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The significance level was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ealth. 2)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health (p <.05). 3) Factors influencing recovery elasticity were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4.1% (F = 9.93, p <.001).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nurses to reduce job turnover and increase the adaptability to the clin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se influential factors in improving the resilience of transition nurses.

      • KCI등재

        경제활동여부에 따른 노인의 융합적 삶의 질 영향 요인

        권명진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는 경제활동여부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65세 이상 노인 5,991명이다. 본 연구의 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적⦁심리적 요인 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성별, 연령, 외래이용횟수, 관절염,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 스트레스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34.2%이었다(p <.001).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성별, 연령, 입원 횟수, 고혈압, 관절염, 청각장애, 저작불편감,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과 스트레스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35.5%이었다 (p <.001).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삶의 질 중재 시 경제활동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활동여부에 따른 노인 삶의 질 향상 중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91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among subjects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variables of this study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plex sample analysis of the IBM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economic activity were gender, age, outpatient use frequency, arthritis, activity restrictions, subjective health, and stress,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4.2% (p <.001).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out economic activity were sex, age, number of hospitalizations, high blood pressure, arthritis, hearing impairment, masticatory discomfort, activity restriction, subjective health and stress,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5.5% (p <.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ies in the intervention of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Interven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y.

      • KCI등재

        경제활동 여부에 따른 노인 우울의 영향 요인

        권명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Korean elderly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gram to reduce depression.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2013-2017 data of the 6-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it included 6,826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ho answered economic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x2-test, t-test and regression of SPSS 25.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the economically active elderly wer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amount of alcohol consumed at one time, and suicidal thoughts and 24.4% of the explanatory power(p <.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ho were not economically active were the number of household, personal income, education level, the amount of alcohol consumed at one time, stress, subjective health and suicide ideation,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4.5%(p <.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depression program for the elderly. 본 연구목적은 경제활동 여부에 따른 한국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7기 2013-2017년 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로 본 연구대상은 경제활동 여부에 답한 65세 이상 노인 6,826명이다. 연구방법 중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의 x2-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준 요인은 가구원 수, 한 번에 마시는 음주량, 자살생각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24.4%이었다(p<.001). 경제활동을 안 하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준 요인은 가구원 수, 개인소득, 교육수준, 한 번에 마시는 음주량,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과 자살생각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설명력은 34.5%이었다(p<.001). 본 연구결과 경제활동여부에 따라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우울 감소 프로그램 적용 시 이러한 부분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환자가 인지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별 스트레스, 간호서비스 만족과 간호사에 대한 신뢰

        권명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atient 's stress,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nd trust in nurses depending on the type of nurse's communication. Verb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do not always coincide, and depending on the importance and degree of coincidence, there may be various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fluence transmitted to the opponen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65 patients and measured by using communication, stress, satisfaction of nursing service, confidence instrument for nurses.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r clusters were determined within the possible number of cluster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ndardized variabl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each cluster.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of each group,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ervice and trust of n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a nurse's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nurse. 본 연구는 환자가 인지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별 환자의 스트레스, 간호서비스 만족, 간호사에 대한 신뢰의 차이와 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어어적 의사소통은 늘 일치하는 것이 아니고 그 비중과 일치정도에 따라 상대에게 전달되는 영향정도는 다양한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1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스트레스, 간호서비스 만족, 간호사에 대한 신뢰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가능한 군집 수 범위 내에서 4개의 군집이 결정되었으며, 이들 각 군집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각 그룹별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간호서비스 만족과 간호사에 대한 신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각 그룹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들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환자와 간호사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 KCI등재

        행복,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권명진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는 근로자의 행복,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9월 15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자는 근로자 10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로자의 삶의 질은 성별, 주관적 건강, 출퇴근 시 교통수단, 출퇴근 시 소요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2) 근로자의 삶의 질은 행복,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피로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 <.05). 3) 근로자 삶의 질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 행복, 피로와 자기효능감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80.4%로 나타났다.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 시 그 영향요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er's happiness, fatigue and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5 to 30, 2018, and the subjects were 102 work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orkers'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ubjective health, transportation to and from work, and time spent to commute (p <.05). 2) Workers'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and self-efficacy and negatively with fatigue (p <.05). 3)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worker's quality of life were gender, happiness, fatigue and self-efficacy,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80.4%. In order to lead a satisfactory life,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fluences need to be reflected in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workers.

      • KCI등재

        성인의 스트레스 원인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권명진,송영신,김선애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by stress causes. Data from the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total subjects was 2,939. Data were analyzed by complex sample frequency, percentage, x2-test and regression by SPSS 25.0. As a result, in the economic problem group, gender, occupat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ight change, smok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body image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for depression, and explanatory power was 28.7% (F = 8.23, p < .001). In the parent, child, and spouse problem group, ag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ight chang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was 33.1% (F = 6.92, p <.001). In the self and family health problem group, gend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ight change, smoking,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was 29.6% (F = 5.74, p < .001). Through the results,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stress cause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an individualized intervention strategy. 본 연구는 성인의 스트레스 원인에 따른 우울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제7기 3차년도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대상자는 2,939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빈도와 백분율, x2-test,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 원인 중 경제문제군에서는 성별, 직업, 건강관련 삶의 질, 체중 변화, 흡연, 주관적 건강과 주관적 체형인지가 우울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설명력은 28.7%이었다(F=8.23, p<.001). 부모, 자녀, 배우자 문제군에서는 나이, 건강관련 삶의 질, 체중 변화와 주관적 건강이 우울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33.1%(F=6.92, p<.001), 본인과 가족 건강문제군에서는 성별, 건강관련 삶의 질, 체중변화, 흡연, 주관적 건강이 우울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29.6%로 나타났다(F=5.74, p<.001). 본 연구 결과의 각 스트레스 원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영향요인들은 스트레스 원인에 따른 개별화된 중재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Stressed Adults by Age

        권명진,김선애,Kwon, Myoungjin,Kim, Sun Ae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in stressed adults by age.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vering 3,333 adults aged 20 to 59 years who were highly aware of stres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The study found that in the case of people in their 20s, education 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besity, weight change, smoking, and subjective body type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60.3%. In the case of people in their 30s, gender, household income level, living with spouse, economic activi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od intake, obesity, alcohol consumption, smoking, and subjective health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0.3%. For people in their 40s, household income level, living with spouse, economic activi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moking, aerobic exercise, and subjective health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4.4%. For people in their 50s, gender, education level, income, economic activi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rotein intake, fat intake,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weight control, aerobic exercise, subjective health, and subjective body type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2.3%. Therefore, as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stressed adults differ by a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vention strategy for each age when trying to lower depression in stressed adults.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자료를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20-50대 성인 3,333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는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20대의 경우 학력, 건강 관련 삶의 질, 비만, 체중변화, 흡연, 주관적 체형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0.3%였다. 30대의 경우 성별, 가구소득 수준, 배우자와 동거, 경제활동, 건강 관련 삶의 질, 음식섭취량, 비만, 음주, 흡연, 주관적 건강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0.3%이었다. 40대는 가구소득 수준, 배우자 동거, 경제활동여부, 건강 관련 삶의 질, 흡연, 유산소 운동, 주관적 건강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이 34.4%이었다. 50대에서는 성별, 학력, 소득, 경제활동, 건강 관련 삶의 질, 단백질 섭취, 지방 섭취, 고혈압, 당뇨병, 체중조절, 유산소운동, 주관적 건강, 주관적 체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2.3%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연령별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므로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의 우울을 낮추고자 할때 연령별 중재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에 대한 융합적 고찰

        권명진,김선애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9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onvergence variables that affect wage workers and self-employes’ quality of life . The 2013-2017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data were used. This study found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of wage workers were age, economic status, number of family members, marital status, feeling of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us (F = 5.06, p <.001.). Factors that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of self-employed were age, frequency of lunch, frequency of drinking, strength exercise day, BMI, Subjective body shape perception,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 = 8.60, p <.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workers, their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본 연구는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변수들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16,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임금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나이, 경제수준, 가구원 수, 배우자와 동거여부, 2주간 우울감, 주관적 건강이었고 그 설명력은 22%이었다(F=5.06, p<.001.). 자영업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나이, 주당 점심식사 횟수, 음주빈도, 주당 근력운동 일 수, BMI, 주관적 체형인식,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22.8%이었다(F=8.60, 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고자 할 때 일반적 특성, 즉 개인적 특성과 신체적, 심리적 요인에 대한 사전 사정이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