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공연문화시설의 운영성과에 관한 고찰

        이병일(李炳溢),한상연(韓相璉) 한국지방자치학회 2011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3 No.4

        Recently along with the local government’s interest in culture and art, the number of municipal art center has sharply increased amounting to 190 in 2011. Many of them costed more than 10 billion won for their construction, and more than 40 additional centers are expected to be constructed in the near future. The performance of these art centers, however, is so poor with less than 40% of annual operation rate and more than 80% of budget deficit on average. Because of the low operational efficiency,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faced great challenges in dealing with art center management. To shed lights on this issu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utputs of municipal art center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se outputs. Research findings include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elderly population used as a proxy variable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three managerial output variables. This result explains the need for government policy to help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to enjoy art programs. Another important finding i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it and the managerial output variable, implying the need for effective public transportation plan connecting art centers with major residential areas.

      • KCI등재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도덕지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이병임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resilience and moral intelligence and career matur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Resilience and moral intelligence Questionnaire and Career Maturity Inventory were administered by 247 students(m=132, f=11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variance analysis was analyzed between resilience and career maturity to find out their rel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verall resilience and its sub factors: control, positiveness, sociality, and resilience. Second, in the results of variance analysis of moral intelligence and career maturity, there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oral intelligence and its sub factors: sympathy, self-control, conscience, kindness, fairness, respect, tolerance, and moral intelligence. Finally, the study suggested educational efforts such as the ways to improve resilience and moral intelligence at school and in various educational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N=247)으로 회복탄력성 및 도덕지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분석은 요인별 신뢰도, 기술통계 그리고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의 평균을 살펴보면 회복탄력성은 긍정성과 사회성(M=3.72) 그리고 통제성(M=3.57) 순서로 나타났고 도덕지능은 공정성(M=3.81)이 가장 높았고 자제력과 관용(M=3.51)이 낮게 나타났다. 진로성숙도는 준비성 평균(M=4.13)이 가장 높았고 확신성 평균(M=3.62)이 가장 낮게 제시되었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수준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변량분석 결과는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 그리고 회복탄력성 전체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셋째, 도덕지능의 수준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변량분석 결과는 도덕지능의 하위변인인 공감, 자제력, 양심, 친절, 공정성, 존중, 관용 그리고 도덕지능전체에서 진로성숙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논의 및 제언에서는 학교현장에서 회복탄력성과 도덕지능을 향상 시킬 수 방안 제시 및 교육방법 그리고 다양한 교육적 노력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정서지능과 유머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이병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1

        The study was investigated with three objectives in mind: (1)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emotional intelligence, humor and crea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2) to examine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nfluenced on creative personality. (3) to examine that humor influenced on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motional intelligence and humor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eative personality. (2) The emotional intelligence explained about 20% of the variance in creative personality. (3) The humor explained about 16% of the variance in creative personality. Finally, it should be studied continuously to analysis values which affect on colleg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It is expectable to conduct some future research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more deepl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유머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정서지능, 유머, 창의적 인성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 소재한 4개 대학의 학생들 308명이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과 유머 그리고 창의적 인성은 대부분의 요인들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지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약 2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 하위요인 중 정서활용이 창의적 인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머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약 1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 하위요인 중 유머생성이 창의적 인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정서지능과 유머를 고려한 교수방법 및 다양한 평가 방법에 대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언급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 및 문화 다양성의식이 교직인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효능감의 매개효과

        이병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3

        This research focused on stud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efficacy on pre early-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human rights and cultural diversity, and teacher personality. Eighty-eight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ity N and J,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teen participants (15.9%) have not had any experience on human rights education, while 74 participants (84.1%) had. Twenty two participants (25%) said they have not had an experience with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hile 66 participants (74%) had. Study methods include, first, Pearson correlation, where we calculated the variables. Second, Sobel test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efficacy between human rights and cultural diversity awareness and teacher personality.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human rights awareness, cultural diversity awareness, social efficacy, and teacher personality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 relation to the human rights awareness and teacher personality and to the cultural awareness and teacher personality, social efficacy has partial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human rights and cultural diversity awareness should be included into the curriculum to improve future pre-school teacher students' teacher personality. We also recommend that future studies need to be done to explor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team collaborating activities or activity-focused teaching methods that can improve students' social efficacy, which is a necessary skil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o generalize its results as the survey questions were done with students from specific geographical regions.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with students from more various region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 및 문화 다양성의식과 교직인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N시와 J시 소재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88명이었다. 학생들의 인권교육 경험은 ‘없다’ 14명(15.9%), ‘있다’ 74명(84.1%)으로 응답하였다. 다문화교육 경험은 ‘없다’ 22명(25%), ‘있다’ 66명(74%)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구하기 위해 적률상관관계를 실행하였다. 둘째, 인권의식 및 문화 다양성의식과 교직인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구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의식, 문화 다양성의식, 사회적 효능감과 교직인성 변인들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인권의식과 교직인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고 문화 다양성의식과 교직인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효능감 역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인권의식과 문화 다양성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교육과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자질인 사회적 효능감은 학생활동 중심의 교육방법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응답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추후에는 다양한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문화정책의 변화 추이와 내용에 관한 분석 : 문화예산을 중심으로

        이병량(李秉亮) 한국정책과학학회 200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8 No.3

        이 논문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정책연구의 과학적 이론화를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준비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현실적으로 정부가 어떻게 문화의 영역에 정책을 통해 개입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야 한다고 보고, 정부의 문화예산 분석을 통해 그 해답을 찾으려 시도하였다. 분석의 결과 한국의 문화정책은 공보와 방송을 핵심 문화정책으로 하고, 부수적으로 문화재를 유지ㆍ관리하는 수준에서 출발하여, 그 대상영역을 체육, 청소년, 관광 등으로 확대하였고, 최근에는 문화의 경제적 가치에 주목하여 문화와 관광의 산업화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두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은 정부의 문화정책이 그 특징을 한두 가지로 요약 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다기한 형태를 지니고 있음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화정책의 내용적 특성은 문화정책연구가 앞으로 도전해야할 영역들이 광범위함을 시사해주는 한편으로 문화영역에 대한 정부의 개입 방식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도 문화라는 총체적인 대상이 아닌 구체적인 정책 영역에 대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점도 알려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