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발급성췌장염 및 특발급성췌장염의 원인 평가

        한지민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1

        재발급성췌장염(recurrent acute pancreatitis, RAP)은 두 차례 이상 급성 췌장염이 발생한 경우 진단할 수 있다. 급성 췌장염 환자의 약 20%는 한 차례 이상 재발을 겪는다. 특발급성췌장염(idiopathic acute pancreatitis, IAP)은 RAP의 10% 정도를 차지하며 자세한 검사에도 불구하고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이다. Toxic-metabolic, idiopathic, genetic, autoimmune, recurrent and severe acute pancreatitis, obstructive (TIGAR-O) 분류는 만성 췌장염의 원인 및 위험인자를 정리한 것으로 RAP의 원인 및 위험인자를 정리하는 데도 사용하고 있다. RAP 또는 IAP의 원인규명을 하기 위한 평가방법으로는 자세한 병력 청취, 혈액 검사, 영상 검사, 유전자 검사, 담즙결정분석, 내시경초음파, 내시경 역행 담췌관 조영술, 오디괄약근 계측 검사 등이 있다. 본 종설에서는 각 평가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보고자 한다.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RAP) is defined as two or more true episodes of acute pancreatitis and about 20% of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experience at least one episode of recurrence. In about 10% of RAP, no definite etiology is found despite extensive evaluation. This entity is called idiopathic acute pancreatitis (IAP). Toxicmetabolic, idiopathic, genetic, autoimmune, recurrent and severe acute pancreatitis, obstructive (TIGAR-O) classification is commonly us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RAP. Modalities employed to find causes of RAP and IAP include meticulous history taking, blood tests, diagnostic imaging, genetic testing, bile crystal analysis, endoscopic ultrasonography,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with/ without sphincter of Oddi manometry. Each modality is briefly reviewed in this review.

      • KCI등재

        급성 췌장염 진료 권고안: 급성 췌장염의 진단

        고동희,김종혁,이진,최호순 대한췌담도학회 2013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8 No.2

        급성 췌장염의 진단에 대해서는 최근 생화학 검사의 발 달과 영상의학의 발달로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일반적으 로 인정받는 기준은 1)상복부의 급성 복통과 압통, 2)혈액 췌장 효소 수치의 상승(아밀라아제 그리고/또는 리파아제 ≥ 정상상한치의 3배), 3)복부 초음파나 복부 CT, 복부 MRI에서 급성 췌장염의 소견 위의 세가지 중에 2가지 이 상이면서 다른 췌장 질환이나 급성 복통을 질환을 감별된 다면 급성 췌장염으로 진단 할 수 있다. 급성 췌장염을 진 단하는데 있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화학적 검사는 혈청 아밀라아제이지만, 혈청 리파아제검사가 혈청 아밀라 아제검사보다 특이도와 민감도가 높아 더 급성췌장염의 진 단에 유용하다. 복부 CT는 급성 췌장염을 확진 하는데 있 어 가장 좋은 검사로 다른 복부 질환들을 감별할 수 있고, 췌장염의 중증도를 결정하고, 합병증을 확인 할 수 있는 영상 검사이다. 급성 췌장염으로 진단되면 앞으로 치료 계 획의 수립과 재발 방지를 위해 가능한 빨리 원인에 대한 평가를 시작하여야 한다. 일차적으로 환자의 과거력과 가 족력을 확인하고 간기능검사, 칼슘, 중성지방 등의 혈액검 사와 복부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담석성 췌장염 이 강력히 의심되는 환자에서 담도염이 있거나, 담도폐쇄 가 지속되는 경우 조기에 ERCP를 시행한다. 경증의 담석 성 췌장염환자에서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하면 같은 입원기 간 내에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고, 중증의 췌장염의 경우에는 염증반응이 충분히 해소되고 임상적으로 호전된 후 시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There is general acceptance that a diagnosis of acute pancreatitis requires two of the following three features: 1) abdominal pain characteristic of acute pancreatitis, 2) serum amylase and/or lipase ≥3 times the upper limit of normal, and 3) characteristic findings of acute pancreatitis on ultrasonography, CT or MRI. Other pancreatic diseases and acute abdomen have been ruled out are diagnosed. In pancreatic enzymes, serum lipase may be preferable because it is thought to be more sensitive and specific than serum amylase in the diagnosis of acute pancreatitis. Contrast-enhanced CT scan is the best imaging technique to exclude conditions that masquerade as acute pancreatitis, to diagnose the severity of acute pancreatitis, and to identify complications of pancreatitis. After the diagnosis of acute pancreatitis has been made, its etiology should be made clear to decide treatment policy of acute pancreatitis or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pancreatitis. The etiology of acute pancreatitis in an emergency situation should be assessed by clinical history, laboratory tests such as serum liver function tests, measurement of serum calcium and serum triglycerides and ultrasonography. A differentiation of gallstone-induced acute pancreatitis should be given top priority in its etiologic diagnosis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decision of treatment policy. Early ERCP should be performed in patients with gallstone pancreatitis if a complication of cholangitis and a prolonged passage disorder of the biliary tract are suspected. Cholecystectomy should be considered after recovery from an attack of gallstone pancreatitis during the same hospital stay. In severe gallstone-induced acute pancreatitis, cholecystectomy should be delayed until there is sufficient resolut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clinical recovery.

      • KCI등재

        Nafamostat Mesilate 전처치를 시행한 환자에서의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후 급성췌장염의 위험인자

        김일두,강대환,박진현,배정호,김표준,김용욱,최철웅,엄재섭,이선미,김태오,김광하,송근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4

        목적: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은 췌장 및 담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시술에 따른 췌장 손상을 비롯한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중 특히 ERCP 후 급성 췌장염은 때때로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어 임상에서 예방을 위한 전처치와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nafamostat mesilate를 예방으로 사용하여 ERCP를 시행한 환자에서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과 급성 췌장염의 발생률을 알아보고 발생에 관련된 요인들을 전향 분석하여 위험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ERCP를 시행 받은 2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에게 예방 목적으로 투여한 nafamostat mesilate의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과 급성 췌장염의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환자와 시술에 관련된 인자들에 대하여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여 ERCP 후 급성 췌장염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Nafamostat를 투여 받은 총 247명의 환자 중 고아밀라제혈증이 24명(9.7%), ERCP 후 급성 췌장염이 9명(3.6%)에서 발생하였다.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에서는 20분이 넘는 시술 시간, 4회 이상의 췌관 삽관 횟수, 이전 ERCP 후 급성 췌장염의 병력, 총담관 담석이 없는 경우 등이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 ERCP 후 급성 췌장염에서는 60세 미만의 나이, 20분이 넘는 시술시간, 4회 이상의 췌관 삽관 횟수, 총담관 담석이 없는 경우 등이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p<0.05). 의미 있게 나타났던 변수들에 대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4회 이상의 췌관 삽관 횟수가 고아밀라제혈증(p=0.038, OR 5.165, 95% CI 1.093∼24.412)과 ERCP 후 급성췌장염(p=0.002, OR 33.122, 95% CI 3.526∼311.138)에서 모두 통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ERCP의 전처치로 nafamostat를 사용한 경우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은 9.7%, 급성 췌장염은 3.6%에서 발생하였다.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과 급성 췌장염의 발생은 4회 이상의 췌관 삽관 횟수가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집-급성 췌장염의 최신 지견 : 급성 췌장염의 병태생리

        오탁근 ( Tak Geun Oh ),방승민 ( Seungmin Bang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5 No.2

        여러 가지 원인이 급성 췌장염을 일으키나 각각의 요인들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급성 췌장염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급성 췌장염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표적인 원인 인자로는 만성 알코올 남용과 담석을 꼽을 수 있으며 그 밖에 CFTR mutation과 연관된 가족성 췌장염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심한 형태인 괴사성 췌장염에 관해서는 췌장효소의 활성화, 췌장 미세혈관의 손상, 염증인자의 분비가 췌장의 손상과 괴사를 악화시키며 심한 췌장 손상을 받은 일부 환자에서는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까지 진행될 수 있는데 이는 염증소견을 보이는 췌장에서 분비된 활성화된 췌장효소와 사이토카인이 전신으로 순환하면서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보상화된 항염증 반응이 전신성 염증반응과 균형을 이루면서 회복이 되지만 이와 같은 균형이 깨지면 심한 장기 부전으로 인해 사망으로까지 이를 수 있다. 또한, 급성 췌장염의 경과 중 장내 세균의 전좌(translocation)로 인하여 심한 급성 췌장염 환자의 30%에서 췌장과 췌장주위에 세균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췌장염의 초기 과정에서는 선방 세포 내의 trypsinogen의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나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전신적 염증 반응의 경우는 독립적인 인자들이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메커니즘 연구 및 그에 맞는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급성 췌장염은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질환으로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급성 췌장염의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중요하다. Acute pancreatitis is an inflammatory disease that is caused by various etiologies including gallstone, alcohol or hypertriglyceridemia. Although most cases of acute pancreatitis show self-limiting course, severe cases are still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The pathogenic mechanisms of acute pancreatitis are not fully understood. However, it is a central dogma that premature intracellular activation of trypsinogen is the earliest pathologic event. Even though it remains unknown how intracellular trypsinogen activation can be caused by such diverse etiologies, this initial insult in pancreatic acinar cells lead to local inflammatory complications and a systemic response or death. Pathophysiologic mechanisms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acute pancreatitis include microcirculatory injury, chemoattraction of inflammatory cells,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bacterial translocation to pancreas and systemic circulation. Recently, several interesting transgenic mice model experiments shed a light in trypsin independent mechanism of local and systemic inflammation for progression of acute pancreatitis.(Korean J Med 2013;85:111-115)

      • KCI등재후보

        Cerulein 유발 급성 췌장염에 대한 nafamostat mesilate의 예방 효과

        이준규 ( Jun Kyu Lee ),박주경 ( Joo Kyoung Park ),이상협 ( Sang Hyub Lee ),윤원재 ( Won Jae Yoon ),류지곤 ( Ji Kon Ryu ),김용태 ( Yong Tae Kim ),정현채 ( Hyun Chae Jung ),윤용범 ( Yong Bum Yoon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4

        목적: 급성 췌장염의 동물 모델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단백 분해 효소 억제제들의 예방 효과가 입증되어 있으나 질병 발생 이후에야 약물이 투여되는 실제 임상 상황에서는 단백 분해 효소 억제제들의 급성 췌장염 대한 치료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자는 대부분의 동물실험에서 췌장염 유발 전에 투여되었으며, 유발 전과 후에 각각 투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한 실험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약물의 투여 시점이 급성췌장염의 예방 혹은 치료 효과에 중요하다는 가설을 세우고 단백 분해 효소 억제제인 nafamostat mesilate (NM)을 췌장염 유도 전후에 각각 생쥐에 투여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생쥐에서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kinin) 유사 물질인 cerulein을 반복적으로 복강내 투여하여 급성췌장염을 유발시키면서 투여 전후에 각각 NM를 정맥내 주사하고 혈청 아밀라제 및 리파아제, 췌장 조직내 MPO (myeloperoxidase) 활성도, 조직학적 변화 등을 측정하여 각군에 있어서 염증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간 군에 있어서 p38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와 그의 활성형인 phosphor-p38 MAPK, 그리고 IL-6(interleukin-6)의 췌장 조직 내에서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Cerulein의 반복적인 복강내 투여를 통해 급성췌장염이 성공적으로 유발되었다. NM을 췌장염 유발 전에 투여할 경우 예방 효과가 있었던 반면, 유발 후에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그 효과가 확실하지 않았다. 급성췌장염이 발생한 군에서는 p38 MAPK에 비하여 phosphor-p38 MAPK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던 반면, 각 군 간에 있어서 IL-6의 발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NM을 급성췌장염 발생 이후 치료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그 효과는 확실하지 않으나, 내시경적역행성 담췌관조영술과 같이 급성췌장염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 예방을 위해 미리 투여하는 것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Many protease inhibitors show a protective effect for acute pancreatitis as seen in animal models. In previous studies, the protease inhibitors were administered before induction of pancreatitis, and there are few published reports examining effects when these agents were administered after induction of pancreatitis. The timing of drug administration may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ineffectiveness of prote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Herein, we assessed the protective effect of nafamostat mesilate (NM), a potent protease inhibitor, in a mouse model of cerulean-induced pancreatiti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administering the drug before and after the induction of pancreatitis. Methods: Cerulein, a cholecystokinin analogue, was injected into mice intraperitoneally to induce pancreatitis. The mice received intravenous NM administration before and after the induction of pancreatitis. The serum concentration of amylase and lipase was measured, histological changes were measured, and the tissue expression of myeloperoxidase was measured to assess the degree of inflammation. Expression of p38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o-p38 MAPK, and IL-6 (interleukin-6) in tissue was evaluated. Results: Acute pancreatitis was induced successfully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erulein. Acute pancreatitis could be prevented when NM was administered before the induction of pancreatits. However, the effect was not guaranteed when given after the induction of pancreatitis. For a group of mice with induced pancreatitis, tissue expression of phospho-p38 MAPK was prominent and there was no marked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IL-6 between groups with or without induced pancreatitits. Conclusions: Although the efficacy of NM for treatment of acute pancreatitis is doubtful, pretreatment with NM for an expected condition like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might be helpful for the prevention of pancreatitis. (Korean J Med 72:340-351, 2007)

      • KCI등재후보

        경증 급성췌장염 환자의 장투과성의 변화

        김정욱 ( Jeong Wook Kim ),전우규 ( Woo Kyu Jeon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1

        목적: 장투과성의 증가는 중증의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잘 알려져 있지만 경증의 급성췌장염 환자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장관장벽손상을 측정하는 장투과성 검사는 임상에서 시행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증의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장투과성의 변화와 췌장염 환자에서 장투과성 변화와 관계있는 임상인자를 알아보았다. 방법: 건강대조군 14명, 양성질환에 의한 경증의 급성췌장염 환자 41명에서 장투과성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질환군간 차이와 각종 임상양상과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장투과성 검사는 51Cr-EDTA (51Cr-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을 이용하여 24시간 소변에서의 회수율로 측정하였다. 결과: 장투과성은 장상대조군보다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높았으나(p<0.001) 알코올에 의한 췌장염, 담석에 의한 췌장염 및 특발성 췌장염 사이에 장투과성은 차이가 없었다. 급성기 염증반응, 담관 폐색, 간기능 및 신기능과 연관된 항목들과 혈액응고 인자, 혈색소 및 칼슘와 같이 췌장염 환자에서 변화가 관찰되는 항목에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췌장염 환자의 예후 평가에 사용되는 지표들과 장투과성 사이의 연관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경증의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질환의 원인과 상관없이 장투과성이 증가하였으며, 장투과성의 변화를 예측 할 수 있는 임상적인 인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Background: Many studies in severe acute pancreatitis have demonstrated an increase in intestinal permeability, but not in mild acute pancreatitis. The current methods to measure intestinal permeability need much time and also laborious work.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changes of intestinal permeability in patients with mild acute pancreatis and clinical predictive factor for the intestinal permeability in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Methods: The intestinal permeability were measured in 14 normal heathy controls, 41 patients with mild acute pancreatitis (alcoholic 14, biliary 12, idiopathic 15) by measuring 24 hour urine excretion of 51Cr-EDTA (51Cr-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for evaluation of the gut barrier dysfunction. We compared the intestinal permeability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Results: The intestinal perme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mild acute pancreatitis (6.01±4.11%, p<0.001) versus control subjects (1.86±0.5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stinal permeability among the patients with alcoholic, biliary and idiopathic pancreatitis. The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intestinal permeabilit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mild acute pancreatitis. Conclusions: The intestinal permeability is increased in patients with mild acute pancreatitis regardless of etiology of pancreatitis. The predictive factor for gut barrier dysfunction is not detected in patients with mild acute pancreatitis.(Korean J Med 71:38-44, 2006)

      • KCI등재

        중증 급성췌장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이범재 ( Beom Jae Lee ),김창덕 ( Chang Duck Kim ),정성우 ( Sung Woo Jung ),권용대 ( Yong Dae Kwon ),김용식 ( Yong Sik Kim ),임형준 ( Hyung Joon Yim ),진윤태 ( Yoon Tae Jeen ),이홍식 ( Hong Sik Lee ),김재선 ( Jae Sun Kim ),전훈재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1 No.1

        목적: 급성췌장염은 완전한 회복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급성췌장염의 10-20%가 괴사췌장염을 동반하는 중증 급성췌장염으로 발전하고, 중증 췌장염 환자에서 10-30%의 사망률이 보고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규명하고자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의 임상 특징, 발병 원인, 사망률, 기존 예후 인자의 사망 예측도 및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급성췌장염을 진단 받은 환자 527명 중 아틀란타 분류 기준을 만족시키는 109명의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지 검토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나이, 성별, 발병 원인, BMI, 수정 Glasgow 점수, APACHE II 점수, APACHE III, Balthazar CT 중증도 지표 및 다른 검사실 소견 등을 조사하여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중증 췌장염 환자의 사망률은 20.2%였으며(22명), 사망자 중 7일 내에 사망자는 10명으로 초기 사망률은 45%였다. 발병 원인으로 사망자중 알코올이 원인이었던 경우가 22명 중 12예로 가장 많았으며 담석이 원인이 된 경우는 없었다. 다 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있어 혈중 크레아티닌, Balthazar CT 지표 및 수정 칼슘의 농도는 독립적인 예후 인자이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에서 계산된 회귀계수를 이용하여 다음의 로지스틱 모델을 구성하였다. R=2.512 loge (creatinine mg/dL)+1.729 loge (CT index)-4.780 loge (corrected calcium mg/dL). 로지스틱 모델의 AUC는 0.877이었고, 경계 값 >0에서 사망예측의 민감도는 83.3%, 특이도는 89.5%이었다. 결론: 새롭게 고안된 로지스틱 모델에 의한 위험지수는 증증 급성췌장염의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이다. Background/Aims: Severe acute pancreatitis occurs in about 20% of the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and can be associated with multiorgan failure and local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predicted severe acute pancreatitis, overall mortality rates are about 15-30%.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correlated with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Methods: We reviewed five hundread and seventy two consecutive cases of acute pancreatiti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5. Of them, 109 patients who fulfilled the criteria of Atlanta classification for severe acute pancreatitis were enrolled. Data were collected by chart reviews including age, gender, etiology, body mass index (BMI), modified Glasgow score, APACHE II score, APACHE III score, Balthazar CT index, and other laboratory parameters performed within 48 hours after the initial admission. Results: Severe acute pancreatitis was most commonly caused by alcohol. Overall mortality rate was 20.2% in severe acute pancreatitis and 10 (45%) deaths occurred within the first week.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serum creatinine, corrected calcium concentrations, and CT index as predictors of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The risk score (R) was calculated by combining 3 prognostic values with regression coefficients; R=2.512 loge (creatinine mg/dL)+1.729 loge (CT index)-4.780 loge (corrected calcium mg/dL). The AUC for this score was 0.877 and a cutoff level of 0 was determined to predict the mortality with 83.3% sensitivity and 89.5% specificity. Conclusions: The newly designed risk score comprising 3 parameters can be used as the significant early predictor for hospital mortality in severe acute pancreatitis.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25-33)

      • KCI등재

        특집-급성 췌장염의 최신 지견 : 급성 췌장염의 중증도 평가

        천영국 ( Young Koog Cheon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5 No.2

        급성 췌장염의 중증에 대한 위험인자들로는 고령, 비만, 그리고 장기부전이다. 입원 당시 경미한 경우와 중증 급성췌장염과 감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검사들에는 APACHE-II 점수가 8점 이상, 혈청 헤마토크리트(< 44는 경미한 췌장염을 의미)가 있다. APACHE-II 점수가 입원 후 첫 48시간 이내에 계속 증가하는 것은 중증급성 췌장염으로의 발전을 의미한다. 첫 72시간 이내에 CRP가 150 mg/dL 이상인 것은 췌장괴사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중증급성 췌장염에 대한 중요한 지표는 장기부전(특히 다기관 장기부전)과 췌장괴사이다. 조영증강 CT는 간질성 췌장염과 괴사성 췌장염을 구분하는데 가장 유용한 검사로서 특이 발병 후 2-3일 뒤 가장 유용하다. 괴사성 췌장염과 동반된 지속성 다기관 장기 부전의 사망률은 36% 이상으로 높다. 그러므로 지속되는 장기부전이 있거나 심한췌장염을 의미하는 징후 즉, 소변감소, 지속성빈맥, 그리고 힘든 호흡증 등이 있다면 중환자실로 전원하여 집중적 치료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의 중증도 파악 및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Older age (> 55), obesity (BMI > 30), organ failure at admission, and pleural effusion and/or infiltrates are risk factors for severity that should be noted at admission. Tests at admission that are also helpful in distinguishing mild from severe acute pancreatitis include APACHE-II score ≥ 8 and serum hematocrit (a value < 44 strongly suggests mild acute pancreatitis). An APACHE-II score that continues to increase for the first 48 h strongl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severe acute pancreatitis. In general, an APACHE-II score that increases during the first 48 h is strongly suggestive of the development of severe pancreatitis. Contrast-enhanced CT scan is the best available test to distinguish interstitial from necrotizing pancreatitis, particularly after 2-3 days of illness. Mortality of sustained multisystem organ failure in association with necrotizing pancreatitis is generally > 36%. Transfer to an intensive care unit is recommended if there is sustained organ failure or if there are other indications that the pancreatitis is severe including oliguria, persistent tachycardia, and labored respiration. The early severity assessment is very important to appropriate treatment of acute pancreatitis. (Korean J Med 2013;85:116-121)

      • KCI등재

        급성췌장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급성신부전의 복막투석 치료경험 1예

        서혜진 ( Hye Jin Seo ),최희정 ( Hee Jeong Choi ),장예수 ( Ye Soo Jang ),윤영득 ( Young Deuk Youn ),김현수 ( Hyun Soo Kim ),이덕현 ( Duk Hyun Lee ),김성호 ( Sung Ho Kim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4

        복막투석은 급성 괴사성 췌장염에 병발한 급성신부전 치료에 요독 물질뿐 아니라 독성 염증 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그 유용성이 크지만 감염 위험성 등의 단점과 함께 최근 혈액투석이나 지속적 신대체요법의 발달 등으로 거의 이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나 혈액투석을 할 수 없거나 복강 세척, 복수 배액이 필요한 환자에서는 아직도 유용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 복막투석으로 급성신부전과 췌장염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41세의 남자로 급성췌장염으로 보존적 치료 중 핍뇨성 급성신부전이 병발하였다. 투석 치료를 고려하던 중 복강 내 괴사성 염증의 세척 및 배액과 요독 제거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혈액투석 보다는 복막투석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어 복막투석을 시행하였다. 급성 복막투석용 도관 대신 띠가 달린 Tenckhoff 도관을 수술적 방법으로 삽입하였고, 3시간 간격으로 1 L씩 하루 8차례 복막투석을 지속하였다. 복막투석을 지속하면서 점진적인 소변량 증가와 함께 복통감소, 핍뇨의 호전 및 신기능이 회복되었다. 또한 복수 및 흉수의 소실과 췌장 주위의 체액 저류 등 췌장염도 호전되었다. 급성췌장염에 합병된 급성신부전의 치료에서 복막투석은 불안정한 생체징후를 보이는 환자, 출혈성 경향으로 혈액투석이나 지속적 신대체요법을 하기 곤란한 경우 등에서 여전히 유용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ortality of acute pancreatitis complicated by acute renal failure (ARF) remains high. Among several therapeutic modalities, peritoneal dialysis (PD) has advantages due to its ability to remove toxic materials in the peritoneal exudate as well as urotoxic substances in the blood. We report successful treatment with PD in a patient with acute pancreatitis and ARF. A 41-year-old heavy drinker was admitted due to acute pancreatitis complicated by ARF. A therapeutic plan of PD was designed. A Tenckhoff PD catheter was used, considering its lower potential for infec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catheters. The frequency of PD was set at 8 times per day, considering the catabolic state in pancreatitis. The clinical symptoms and biochemical parameters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conclusion, PD is one of the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for treating ARF in patients with pancreatitis.(Korean J Med 74:430-434, 200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