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신경초종 2예 - 궤양을 동반한 1예와 동반하지 않은 1예 -

        김표준,광하,강진,박태익,신동훈,전태용,송근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5 No.4

        A Schwannoma is a benign tumor that originates from Schwann cells in the gastric wall. The tumor is mainly asymptomatic but sometimes can cause bleeding of the upper GI tract. We encountered a Schwannoma that was identified by gastroscopy as a submucosal mass that might be malignant. Therefore, surgery was considered as the primary treatment. The Schwannoma was confirmed retrospectively by a pathologic examination after excising the mass. This case report is a comparative study into Schwanoma with and without central ulceration. Pathologically, atypia of the cell was discovered in the case accompanied by an ulcer, which is a secondary phenomenon caused by the degeneration that does not indicate the malignanc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243-249) 위 신경초종은 위장관벽의 신경집 세포에서 기원하는 양성 종양으로, 임상적으로 대부분 무증상이나 상부위장관 출혈을 동반하기도 한다. 상부 내시경검사에서 점막하종양의 형태로 보이고, 점막하종양의 경우 악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술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위신경초종의 경우 절제 후 병리소견을 통해 후향적으로 확진된다. 본 증례는 상부 내시경검사로 위궤양을 동반한 경우와 동반하지 않은 위 신경초종에 대한 예로, 병리학적으로 궤양을 동반한 증례에서 세포의 이형성이 있었지만, 악성화되고 있는 신경초종 세포라기보다는 변성에 의한 이차적인 현상이다.

      • KCI등재

        담도 주위 낭종 1예

        김표준,강대환,정우진,일두,엄재섭,최철웅,송근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6

        Hepatic peribiliary cysts are characterized by multiple tiny cysts of peribiliary glands located in the hilum of the large portal tracts. A 54-year-old man was diagnosed as multiple peribiliary cysts by a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m. A course of observation was taken, since surgery due to misdiagnosis of peribiliary cysts as a malignancy is a possibility. The present case highlights the need for precise diagnosis and observation of peribiliary cysts. 담도 주위 낭종은 간문과 주담관에 위치한 담도 주위 샘(peribiliary gland)들의 낭성 확장으로 유래한다고 알려졌으며,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이러한 낭종은 보통은 무증상이며, 때로는 담도 폐쇄를 동반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방사선학적 영상으로 진단된 담도 주위 낭종을 경험하였으며, 1년 경과 관찰 중 담도 질환과 관련된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환자를 간내 담도암으로 진단하여 수술을 시행하기도 하는데, 임상적으로 이러한 오진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확한 진단과 세심한 경과 관찰은 필수적이다.

      • KCI등재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의 스텐트 삽입에 있어 Soehendra Stent Retriever의 유용성

        김표준,강대환,형욱,최철웅,윤기태,용욱,조몽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5

        Background/Aims: Endoscopic biliary drainage is widely used for the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For the advanced stricture, the general treatments such as a dilating or balloon catheter can not fully expand a duct. The authors used a Soehendra Stent Retriever for these cases, and we evaluated the value of using this instrument for treating these patients. Methods: From July 2006 to Jun 2008, we studied 12 patients with mailignant biliary obstruction (Klatskin’s tumor=10, Gall bladder cancer=2) and who were failed at having a stent inserted with such general treatment such as using a dilating or balloon catheter (M:F=7:5, age=69.1 years old). For the bilateral biliary drainage of the duct, the “stent in stent” method was used and 12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Soehendra Stent Retriever with clockwise rotation, as well as going forward to expand the target area of the intrahepatic bile duct obstruction and insert a metal stent. Results: Ten patients among the 12 who were treated by a Soehendra Stent Retriever achieved successful insertion of a stent (technical success, 83.3%), and all 12 patients showed improvement of their jaundice. Conclusions: To insert bilateral stents for the advanced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expanding the strictured area with a Soehendra Stent Retriever can improve the success of inserting a stent. 목적: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의 고식적 치료로 내시경적 담도 배액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도의 담도 협착의 경우는 확장도관이나 풍선도관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담도 확장이 어려워 스텐트 삽입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일반적인 내시경적 방법으로 스텐트 삽입이 불가능 했던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 환자에서 Soehendra Stent Retriever를 사용하여 담도 확장 및 스텐트 삽입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67명의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 환자 중 확장도관이나 풍선도관으로 담도 확장이 어려운 12명(간문부 담도암=10명, 담낭암=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여=7:5, 평균 연령=69.1세). 양측 담도 배액을 위하여 “stent in stent”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ERCP 카테터나 스텐트가 유도 철선을 따라 협착부를 통과하지 못한 12명의 환자에서 Soehendra Stent Retriever를 사용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진시켜 원하는 간내 담도 협착 부위를 확장시킨 다음 금속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결과: Soehendra Stent Retriever를 사용한 12명의 환자 중 10명에서 스텐트 삽입(기술적 성공률, 83.3%)에 성공하였고, 이들 모두에서 황달의 호전을 보였다. 시술 후 발열과 췌장염이 있었지만 보존 치료로 호전되었으며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고도의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 환자에서 양측성 스텐트 삽입시 Soehendra Stent Retriever를 사용하여 협착 부위를 확장할 경우 스텐트 삽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Nafamostat Mesilate 전처치를 시행한 환자에서의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후 급성췌장염의 위험인자

        일두,강대환,박진현,배정호,김표준,용욱,최철웅,엄재섭,이선미,태오,광하,송근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4

        목적: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은 췌장 및 담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시술에 따른 췌장 손상을 비롯한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중 특히 ERCP 후 급성 췌장염은 때때로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어 임상에서 예방을 위한 전처치와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nafamostat mesilate를 예방으로 사용하여 ERCP를 시행한 환자에서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과 급성 췌장염의 발생률을 알아보고 발생에 관련된 요인들을 전향 분석하여 위험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ERCP를 시행 받은 2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에게 예방 목적으로 투여한 nafamostat mesilate의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과 급성 췌장염의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환자와 시술에 관련된 인자들에 대하여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여 ERCP 후 급성 췌장염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Nafamostat를 투여 받은 총 247명의 환자 중 고아밀라제혈증이 24명(9.7%), ERCP 후 급성 췌장염이 9명(3.6%)에서 발생하였다.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에서는 20분이 넘는 시술 시간, 4회 이상의 췌관 삽관 횟수, 이전 ERCP 후 급성 췌장염의 병력, 총담관 담석이 없는 경우 등이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 ERCP 후 급성 췌장염에서는 60세 미만의 나이, 20분이 넘는 시술시간, 4회 이상의 췌관 삽관 횟수, 총담관 담석이 없는 경우 등이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p<0.05). 의미 있게 나타났던 변수들에 대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4회 이상의 췌관 삽관 횟수가 고아밀라제혈증(p=0.038, OR 5.165, 95% CI 1.093∼24.412)과 ERCP 후 급성췌장염(p=0.002, OR 33.122, 95% CI 3.526∼311.138)에서 모두 통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ERCP의 전처치로 nafamostat를 사용한 경우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은 9.7%, 급성 췌장염은 3.6%에서 발생하였다. ERCP 후 고아밀라제혈증과 급성 췌장염의 발생은 4회 이상의 췌관 삽관 횟수가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갑작스러운 삼킴 곤란을 동반한 식도 중복 낭종 1예

        박태익 ( Tae Ik Park ),김표준 ( Pyo Jun Kim ),광하 ( Gwang Ha Kim ),강대환 ( Dae Hwan Kang ),송근암 ( Geun Am Song ),영규 ( Young Kyu Kim ),이호석 ( Ho Seok I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4

        저자들은 내원 2일 전 갑자기 발생한 삼킴 곤란, 흉부 불쾌감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출혈이 합병된 식도 중복 낭종을 진단하고, 성공적인 절제술 후 특별한 부작용 없이 회복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sophageal duplication is a rare congenital disorder. Although infrequent,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bleeding, and perforation have been reported. Surgical resection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esophageal duplication cysts. We report the case of a 45-year-old female with an esophageal duplication cyst that presented with dysphagia,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Korean J Med 75:444-448, 2008)

      • KCI등재

        풍선폐쇄법을 통한 간내담관의 선택적 삽관에 성공한 증례 1예

        용욱,강대환,동욱,최철웅,김표준,정경식,정우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1

        Selective cannulation into the intrahepatic duct during ERCP can occasionally be difficult and time-consuming depending on the GI tract anatomy and the presence of biliary tree anomalies or pathology. A variety of techniques or devices have been used to enhance the success rate of selective cannulation in these situations. The balloon occluded method for selective cannulation of the LHD (left hepatic duct) with using an inflated balloon catheter to occlude the RHD (right hepatic duct) has also been reported. We report here a case of successful selective cannulation of the RHD with using an inflated balloon catheter to occlude the LHD in a patient who had a GB cancer with liver metastasis. After this maneuver, a guidewire is advanced; it deflects off the inflated balloon and then proceeds to the RHD.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ERCP)에서 간내담관으로의 선택적 삽관(selective cannulation)은 위장관 및 담관의 해부학적 구조, 담관 질환에 따라 상당히 어렵고 시간을 요할 수 있다. 다양한 유도철선과 카테터의 삽입 및 유두 괄약근 절개도(sphicterotome)를 통해 선택적인 삽관에 성공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간내담관에 풍선 확장을 시행하여 폐쇄하는 풍선 폐쇄법(balloon occluded method)을 이용하여 좌측의 간내담관에 유도철선의 유치를 성공한 예가 보고 되었다. 저자들은 담낭암 및 간전이 환자에서 양측 간내담관의 확장소견을 보여 좌측의 간내담관의 삽관 및 스텐트 삽입에 성공한 뒤, 우측 간내 담관에 기존의 방법으로 삽관을 시도하여 실패한 환자에서 좌측을 풍선확장으로 폐쇄하고 이후 우측 간내담관으로의 삽관에 성공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