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물관리의 전환적 혁신을 위한 그린뉴딜 정책 및 사업 기획 연구

        한혜진,황보은,현윤정,김지성,이상은,이은희,조원주 한국환경연구원 2021 수시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배경 및 목적 ❏ 배경 ㅇ 2019년 유럽의 그린딜 발표에 이어 미국 민주당에서는 그린뉴딜 결의안을 제출하였고 우리나라에서도 2020년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함 ㅇ 그러나 한국판 그린뉴딜 정책은 단기적인 경기부양 성격의 그린 리커버리형 사업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그린뉴딜을 통한 물관리 부문의 패러다임 전환·임무지향적 혁신비전 설정 및 정책 목표 구체화가 미흡한 실정임 ㅇ 따라서 물관리 그린뉴딜 세부사업 내용을 검토·평가하고 정책·사업의 문제점 파악 및 개선점 도출을 통해 기존 사업 및 정책 개선을 지원하고,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 제시하는 비전, 목표, 혁신·부문 전략 등과의 정합성 및 연계 검토가 필요함 ❏ 목적 ㅇ 지속가능한 물관리로 전환적 혁신을 이루기 위한 그린뉴딜 비전 체계 및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단기, 중·장기 물 관련 그린뉴딜 과제를 발굴해야 함 Ⅱ. 지속가능성 전환 이론과 그린뉴딜 1. 그린뉴딜 및 지속가능성 전환 이론 ❏ 그린뉴딜 정의 ㅇ 중·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systemic transition)을 목표로 하는 정책 패키지(재정+금융+제도) ❏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 ㅇ 개념: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사회를 목표로 하는 과학기술, 사회, 경제 및 정치의 장기적이고, 다층적이며, 사회문제의 근본적인 해결 지향적 체계 전환 과정 ㅇ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 과정: 새로운 시스템의 맹아 탐색 → 확대·확산 → 새로운 시스템으로 재편 2. 한국판 그린뉴딜 정책과 지속가능성 전환 ❏ 지속가능성 경로의 물관리 좌표 설정 ㅇ ‘기후위기’ 적응 관점: 기후위기에 따른 물관리(홍수, 가뭄) 취약성 증가 ㅇ ‘기후위기’ 완화 관점: 물이용 시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기후위기 조장 ㅇ ‘자원 이용 효율성’ 관점: 높은 취수율 및 지역 간 분쟁 심화로 인한 수자원 이용 지속가능성의 불확실성 ㅇ ‘환경 및 보건 건강성’ 관점: 인간중심과 개발중심으로 인한 유역 자연성 훼손, 수질관리 사각지대 지속적 발생 ㅇ ‘재정적’ 관점: 기반시설의 노후화와 경직성 예산 지출 증가, 비용부담체계 일관성 및 합리성 부족으로 인한 물관리 재원 부족 ❏ 현재 물관리 체계는 기후위기, 자원이용 효율성, 환경 및 보건 건강성, 재정 및 운영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하지 않으므로 물관리의 전환적 혁신 필요 Ⅲ. 지속가능성 전환을 고려한 국내 물관리 그린뉴딜 사업 및 체계 분석 1. 물관리 부문 그린뉴딜 현황 ❏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2020.7) ㅇ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 안전망 강화를 주요정책으로 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총 사업비 160조 원(국비 114.1조 원)을 투자하여 일자리 190.1만 개를 창출할 계획임 ㅇ 그린뉴딜은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과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혁신 생태계 구축을 핵심 내용으로 함 ❏ 한국판 뉴딜 내 물관리 그린뉴딜 현황 ㅇ 물 관련 그린뉴딜 과제: 깨끗하고 안전한 물관리체계 구축, 녹색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녹색산단 조성 일부 2. 지속가능성 전환 기반 물관리 그린뉴딜 정책평가 분석 ❏ 물관리 부문 해당 정책 및 사업을 통해 전환하고자 하는 미래상, 비전,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가? ㅇ 물관리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① 인공시설 위주의 물관리에 의한 자연성 훼손, ② 탄소유발 등 과다한 물 사용을 유발하는 공급 위주 물관리, ③ 공편익 등 비용효과성을 고려하지 않는 물관리, ④ 물순환을 고려하지 않는 분절적이며 파편적인 물관리 등 기존 레짐의 경로의존성을 해결하기 위한 목표, 전략 및 사업은 미흡함 ㅇ 물관리 그린뉴딜의 목표인 “깨끗하고 안전한 물관리 체계”는 인간중심의 기존 물관리 레짐의 목표를 여전히 견지하고 있으며, 중·장기적 전환의 비전으로 평가하기에는 ’65년 『수자원종합개발 10개년 계획』부터 지속적으로 표명해 온 비전이라는 측면을 고려해야 함 ㅇ 현재 물관리 그린뉴딜사업은 다편익, 다기능의 비용효과를 고려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설계하기보다 개별 전환목표에 따른 독립적인 전환경로를 고려하여 사업을 설계함에 따라 미흡한 부분이 존재 ❏ 그린뉴딜의 사업이나 제도개혁에 대한 국민, 지자체 등 전환 수용성과 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및 조정하기 위한 거버넌스 체계가 존재하는가? ㅇ 그린뉴딜 관련 포럼 및 토론회 등이 개최되었으나 관-학이 정기적 소통하는 메커니즘은 공식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물관리 부문의 지역과 국민까지 이어지는 그린뉴딜 거버넌스 체계도 매우 미흡한 상태임 - 「물관리기본법」에 따른 국가/유역 물관리위원회는 물관리 거버넌스의 중심이지만, 범부처 물관리 그린뉴딜을 총괄하고 심의·의결하는 기능은 아직 존재하지 않음 ㅇ 물관리 부문의 그린뉴딜 사업들은 중앙부처의 개별 과단위에서 기획되고 개발되어 부처, 국, 과 단위의 긴밀한 소통이 미흡하고, TF 중심으로 그린뉴딜 거버넌스를 형성하며 개별 그린뉴딜 사업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고 조정하는 직제는 현재 존재하지 않음 ❏ 지속가능 전환을 가능하도록 하는 혁신적(radical innovation) 기술을 수반하는가? ㅇ 현행 물관리 그린뉴딜은 4차 산업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 솔루션, 스마트 서비스 등이 포함될 예정이지만 혁신적인 기술을 촉진하고 확산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제도의 구축은 미비한 편임 Ⅳ. 지속가능한 물관리 전환을 위한 그린뉴딜 기본구상 1. 지속가능한 물관리 전환을 위한 그린뉴딜 기본구상 ❏ 물부문 그린뉴딜 비전(vision) 및 2050 장기목표 설정 ㅇ 비전: 기후변화에 의한 물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물순환 체계 구축 - 전환비전 1. 인간 중심의 물관리 → 자연과 인간의 공생으로 전환 - 전환비전 2. 기후변화 대응체계 내 적응 중심의 물관리 → 완화와 적응의 공편익 추구 - 전환비전 3. 공급 중심의 물관리 → 수요관리중심 정책으로 전환 - 전환비전 4. 중앙집중형 대규모 그레이 인프라 중심 → 물관리 인프라를 녹색·디지털·분산화로 전환 - 전환비전 5. 중앙정부 중심의 물관리 → 지역 및 거버넌스 기반 물관리로 전환 - 전환비전 6. 개별적 물관리 → 통합물관리 및 넥서스 기반 물관리 ㅇ 2050년 그린뉴딜 장기목표: 물부문 탄소중립의 공헌 및 물중립 달성 2. 넷제로워터 사업 ❏ 개념 및 유형 ㅇ 개념: 인간활동에 의한 물 소비량과 오염을 최대한 줄이고,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물사용을 지향하는 물관리 대책들에 대한 합리적인 투자를 통해 물사용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하여 실질적 영향을 제로화하는 것 ㅇ 주요 전략: ① 물수요 및 수자원이용효율화 관리, ② 대체수자원대책(빗물이용, 물재 이용, 중수도 등), ③ 분산형 하·폐수 처리기술, ④ 그린인프라/자연기반해법 대책, ⑤ 지하수충전 대책, ⑥ 홍수총량제 관리 등 ㅇ 사업 유형: ‘넷제로워터’ 빌딩, ‘넷제로워터’ 도시(물순환도시), ‘넷제로워터’ 산업 및 제품 ❏ 넷제로워터 빌딩 구축 사업 ㅇ 사업목적: 건물의 물수요 최소화, 대체 수자원 사용 최대화, 오염배출 최소화 ㅇ 사업대상: 공공건축물, 공공임대주택, 신규 민간주택 조성, 민간상업시설(도서, 농촌형) ㅇ 우선순위: 가뭄취약지역, 대규모 용수 사용, 미급수지역, 노후 리모델링 대상 사업 등 ㅇ 재원: 시범사업-국고 및 지자체 보조금으로 운영, 민간 신규 주택, 민간사업 시설의 경우 정책형 뉴딜펀드 투자 활용 3. 물-에너지-식량-토지 넥서스 관리 ❏ WEFL(Water-Energy-Food-Land) Nexus 개념 ㅇ 물과 에너지, 식량 자원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토지이용을 포함하는 통합관리 기술 ❏ 넥서스 기반 물관리 추진사업 ㅇ 물-에너지 넥서스 사업 - 다수의 수력발전댐과 기존 댐의 통합관리를 통해 수력발전과 더불어 수자원 관리의 효율성 증대 - 댐 수면을 이용한 수상태양광발전, 지하수를 이용한 시설 원예의 냉난방 시스템 공급사업 및 댐 호소수, 광역원수 등 수열에너지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사업 등 ㅇ 물-식량 넥서스 사업 - 농업용수 절감을 위한 SRI(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기법 적용 ㅇ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사업 - 실증마을 구축사업: 생활에 필요한 물과 에너지를 지역 내에서 확보하고, 식량 생산 시 물 소비를 최소화하는 시스템 구축 4. 지하수 부문 그린뉴딜 사업 ❏ 그린뉴딜과 지하수 ㅇ 그린뉴딜 정책에서 지하수와 관련하여 가치 및 활용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원, 양질의 수자원, 국토생태계 유지의 세 가지 기능이 강조되어야 함 ㅇ 관리 차원에서는 스마트지하수 관리, 통합수자원 관리, 기후변화 대응 등 측면의 면밀한 검토 필요 ❏ 지하수 관련 그린뉴딜 사업 검토 ㅇ 신재생에너지 측면의 지열냉난방 활성화 - 지열냉난방 시설 고도화를 위한 관련 기술개발 활성화, 공공건물/신축건물 건설 시 지열냉난방 시설 도입 의무화, 녹색 도시 인프라 구축 사업 구성 시 지열냉난방 시설 도입, 지열냉난방 시설 이용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ㅇ 지하수자원 이용 효율 고도화 - ICT와 AI 기술 기반의 지하수 환경 실시간 감시 및 모니터링, 지하수 이용 최적 개발량 산정 시스템 등 개발 5. 하천정비 그린뉴딜 사업 ❏ 하천정비사업은 상습적으로 범람해 인간이 활용하기 힘든 지역을 안전한 주거와 경제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추진되었으나 물환경 훼손, 경관가치 감소, 하류 홍수량 집중 등 환경 측면의 부작용을 초래함에 따라 새로운 방식의 하천정비사업이 필요성이 대두됨 ❏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사업 ㅇ 하천환경과 홍수관리를 결합한 하천정비사업 발굴 및 추진 - 하천정비사업 범위를 홍수방어에 국한하지 않고 그린뉴딜과 같이 사업의 편익범위를 확대할 경우 생태가치 보전·복구, 오염물질 자연 정화, 농업 생산성 증대 등 추가 이점이 크기 때문에 사업의 타당성 확보 가능 - 정부 중장기 연구개발사업을 통한 시범사업과 이를 통한 체계적인 기술 노하우 확보 및 사업추진모형 개발 필요 6. 농업·농촌 그린뉴딜 사업 ❏ 농업·농촌의 가치에 대한 인식변화로 농업환경정책은 농업환경자원을 관리하는 농업인에게 일반 국민들이 사회적 투자 차원에서 반대급부를 지급하는 환경 책무 방식(Environmental Stewardship)으로 전환되고 있음 ❏ 농업·농촌 그린뉴딜 사업 ㅇ 농업환경자원 관리정보 DB 구축 - 농업환경자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초 공간단위인 농업환경 표준유역 단위로 개별 농가의 농업환경자원 정보를 집계하여 농가와 국가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필요 ㅇ 농촌용수 통합물관리 구축 - 현재의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계획을 통합물관리 정책 방향과 목표에 부합하도록 새롭게 수립하고, 이를 위해 농촌용수 수급 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신규 그린뉴딜 사업 필요 - 농촌용수에 대한 전략 계획이 부재한 상황에서 실행 계획 수준의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계획을 통합물관리 정책 목표에 부합하게 수립하기 위해서는 농어촌용수구역 총 511개소에 대한 이용계획 수립과 물 수급 평가 필요 Ⅴ. 물관리 그린뉴딜 이행기반 구축 방안 1. 물관리 그린뉴딜 법률 정비 방안 ❏ 물관리 그린뉴딜 관련 법률 체계 ㅇ 지속가능발전을 정의하는 「지속가능발전법」을 기초로 하여 그린뉴딜을 총괄하는 그린뉴딜 기본법(가칭)과 물관리를 총괄하는 「물관리기본법」을 중심으로 하여 체계 구성 ❏ 물관리 그린뉴딜 관련 법률 정비 방안 ㅇ 「지속가능발전법」 - 사회 시스템 구조의 재편을 통한 뉴딜사업성과 달성을 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법」에 “공정전환” 정의에 대한 명시 필요 ㅇ “그린뉴딜 기본법”(신규 제정) - 기후위기 대응 물관리로서 제60조에 깨끗하고 안전한 물관리를 포함한 녹색사회로의 전환과 관련된 이행 목표 및 전략이 있으나, 물중립 달성과 관련된 규정은 미흡하므로 물관리 그린뉴딜 이행전략 및 평가 등을 규정할 필요가 있음 ㅇ 「물관리기본법」 개정 및 “물순환법” 제정 - 「물관리기본법」 개정: 물관리 그린뉴딜의 물중립을 통한 물순환 체계 구축의 핵심과제 및 기본원칙이 되는 물중립의 기본개념 및 정책방향을 국가 물관리기본원칙에 포함 필요 - “물순환법” 제정: 물중립 이행계획 수립 및 시행, 제도 및 시책 등에 관한 물중립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신규 법령 제정 2. 물관리 그린뉴딜 재정체계 구축 방안 ❏ 기후위기대응기금 활용 ㅇ 그린뉴딜 기본법안에 따라 그린뉴딜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21년부터 5년 동안 최대 12조원 규모의 기후위기대응기금’ 조성 예정 - 법률안 제65조 기금의 용도에 “물관리”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60조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물 관리’가 규정되어 있으므로 기후위기대응기금을 활용하여 지자체의 물관리 그린뉴딜 프로젝트나 관련 기업 등에 지원 가능 ❏ 수계관리기금 용도 확대 ㅇ 물관리 그린뉴딜 사업은 직접적인 수질개선 사업에 해당 되므로 수계관리기기금을 유역단위 물관리 그린뉴딜 사업의 재원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물순환에 영향을 주는 사업은 간접적으로 수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물순환의 영향을 저감하는 사업(물중립 사업)”을 「수계법 시행령」에 추가하여 지원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음 ❏ 민간주도 녹색금융 활용 ㅇ 국민참여형 뉴딜펀드 - 민관 역할 분담과 국민과의 성과 공유를 기본방향으로 ① 정책형 뉴딜펀드 신설, ② 뉴딜 인프라펀드 육성, ③ 민간 뉴딜펀드 활성화 세 축으로 설계 ㅇ 제3자 재원조달 녹색금융 모형(WASCO 금융) - 에너지 고효율화나 재생에너지 사업의 자본조달 방안으로 활용되는 제3자 재원조달(TPF: Third-party Financing)을 물절약(물중립) 그린뉴딜 사업에 도입 - 이는 WASCO 사업(물절약전문업) 초기투자 비용을 민간 금융이나 투자 기관, 지자체와 같은 제3자로부터 조달하는 것으로 조달주체에 따라 ① 성과보증계약모형, ② 성과배분계약모형, ③ 성과보증·배분계약모형으로 구분 ㅇ 정책형 뉴딜펀드의 물중립 지향 기업 유인을 위한 투자기준 마련 - 물관리 그린뉴딜 관련 기업의 투자 유치를 위해 녹색채권 지침서, “기후기술 분류체계”의 기후기술이나 “녹색금융 분류체계”1)의 기술목록에 물 분야 경제활동에 대한 기술적 기준 마련 3. 유역 기반 그린뉴딜 거버넌스 구축 방안 ❏ 유역 물순환 관리 거버넌스(가칭 ‘물순환관리투자협약’2)) 구축 - 유역의 물순환 평가를 통해 물순환 우선관리 유역을 지정하고, 우선관리 유역 내 관할 지자체(들)가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해 “물순환관리투자협약”을 체결하여 유역 물순환 관리 거버넌스 구축 ❏ 국가·유역물관리위원회 중심 다부처 물중립 사업의 거버넌스 구축 ㅇ 다각적 측면에서 물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국가 또는 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다부처 물중립 사업을 선정, 심의, 관리하는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함 - 「물관리기본법」 제22조(국가물관리위원회의 기능)에 물중립이행 사업의 선정, 평가 등을 심의·의결하는 기능 추가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The 2020 Digital New Deal, Green New Deal, and Safety Net Reinforcement were the main conten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 However, the Korean version of the Green New Deal policy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a project of the green-recovery type with a character of short-term economic stimulus, and in the mid- to long-term, 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paradigm shift in the water management sector through the Green New Deal, setting a mission-oriented, innovative vision, and making concrete policy goals. ❏ Accordingly, we plan to establish a set of objectives to implement the Green New Deal and set the policy direction to achieve transformational innovation in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and to discover short-, mid-, and long-term water-related Green New Deal tasks to achieve this. Ⅱ. Analysis of the Green New Deal Projects and their Structures in the Field of Water Management in Korea in Consideration of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 ❏ In the water management sector, are the future vision, objective, and goals for the transformation which are to be achieved through the relevant policies and projects set? ㅇ The goal of the Green New Deal in the water management, establishing a clean and safe water management system, still maintains the goal of the existing water management regime which is human-centered to a certain extent. As it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entire environment, there are some insufficient parts. ❏ Is there a governance system in place to identify and adjust citizens’ and local governments’ acceptance of the transition in terms of Green New Deal projects and institutional reforms and their impact? ㅇ Not only is the Green New Deal governance system in the water management sector which incorporates the local areas and the citizens very insufficient, but also Green New Deal projects in the water management sector are planned and developed by individual departments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makes close communication between bureaus and departments difficult. Also, there is currently no system to collectively manage and coordinate individual Green New Deal projects. ❏ Does it involve projects of radical innovation and financial bases that enable a sustainable transition? ㅇ Although the technology in the current Green New Deal water management sector is mostly based on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stablishment of systems and institutions to promote and spread innovative technologies is insufficient. Also there is a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the Green New Deal and the Green New Deal projects in the water management sector for establishing a clean and safe water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tilize the existing implementation system and infrastructure. 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promote these projects individually by means of independent laws and institutions. Ⅲ. Basic Green New Deal Plans for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 in the Water Management Sector ❏ Green New Deal vision in the water sector and 2050 long-term goal setting ㅇ Vision: Overcoming the water crisi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water circulation system ㅇ Green New Deal long-term goal for 2050: Contribute to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the water sector and achieve water neutrality ❏ Project planning ㅇ Net-zero Water Project: Net-zero Water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ㅇ Nexus-based water management promotion project: Water-Energy Nexus Project, Water-Energy-Food Nexus Project ㅇ Green New Deal project in the groundwater sector: Promotion of geothermal cooling and heating in terms of renewabl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in using groundwater resources ㅇ Nature-friendly river maintenance project plan: Active planning and promotion of river maintenance projects that take into account both river environments and flood management ㅇ Green New Deal projects in the agriculture and rural sectors: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for the manage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resource information, integrated water management project for rural areas

      • KCI등재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그린에너지 소양에 미치는 영향

        이영기,최경민,손장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raise future environmental tal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on the green energy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0 students in 4 classes of 5th grade in M ​​elementary school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100 students in 4 classes of 5th grade in J elementary school, Gyeongsa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green energy literacy. Second,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was effective in helping to understand the overall green energy including the cognitive domain such as issues,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using situation of green energy. Third, the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energ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definition and functional area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inding way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t was found that exploring and experiencing various activities has a beneficial effect on students. Fourth, the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improved the attitude field. It was effective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green energy and having an attitude of practicing it. The green energy programs has been proven to cultivate green energy literacy to raise future environmental tal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o that green energy education can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and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for each grade group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stag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환경인재 육성을 위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그린에너지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경상북도 G시 M초등학교 5학년 4개 반 100명이며, 비교집단은 경상북도 C군의 J초등학교 5학년 4개 반 100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은 그린에너지 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은 인지적 영역인 에너지 문제와 쟁점, 그린에너지의 종류와 특성, 그린에너지 이용 상황 등을 포함, 그린에너지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은 정의・기능적 영역에서 그린에너지와 환경보호와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활동과 체험 등이 보다 효과적이었다. 넷째,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은 태도 영역에서 그린에너지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태도를 가지게 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결과적으로 그린에너지 프로그램은 그린에너지 소양을 함양시켜서 미래 환경인재 육성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그린에너지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학생의 발달 단계와 특성, 수준을 고려하여 학년군별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이 개발・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IPA 기법 기반 그린리모델링 중점 강화 업무 도출에 관한 연구

        권영인,황두원,정성호,이기석,박종일,최윤기,Kwon, Young-In,Hwang, Doo-Won,Jung, Sung-Ho,Lee, Ki-Seok,Park, Jong-Il,Choi, Yoon-Ki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7 No.2

        지구환경문제가 부각되면서 정부에서는 국내 건축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20년까지 26.9%로 설정하고 제도적 유도장치 마련 등 에너지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국가차원에서 그린리모델링을 장려하고 가이드라인 및 지침을 수립하기 위해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그린리모델링의 업무 및 프로세스 정립과 관련한 연구는 초기단계의 연구로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직접 적용 가능한 연구는 부족하고, 가이드라인 및 지침 수립 또한 미흡하기 때문에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린리모델링 프로세스 및 업무를 도출하고 그 중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중점 강화 업무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고찰을 통해 그린리모델링 업무 분석과 실무자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그린리모델링 업무를 도출하고 IPA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그린리모델링 업무 중 우선적으로 강화해야하는 중점 강화 업무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그린리모델링 업무 및 중점 강화 업무는 향후 그린리모델링 사업 진행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중점 강화 업무의 우선적이고 전략적인 강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그린리모델링 시장의 활성화에 대비한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issue of global environment, Korea government sets the specific goal to reduce CO2 emission by 26.9% in construction industry up to 2020. Korea government is encouraging Greenremodeling and progressing the pilot to establish the guideline and instruc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the study on establishing process, tasks of Greenremodeling, and Greenremodeling guidelines and instructions are also insufficient, so the vitalization of Greenremodeling is difficul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ducting Greenremodeling process and the critical enhancement task of Greenremodeling. For that, deducting the Greenremodeling tasks through analyzing of previous research and taking counsel from experts, and drawing the critical enhancement tasks of Greenremodeling using IPA method. From now on, It is conducted in Greenremodeling business and expected to contribute Greenremodeling market.

      • 그린 컴퓨팅 실현을 위한 그린 IDC 표준과 인증제 추진방안

        나연묵,목형수 에스케이텔레콤 (주) 2011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21 No.3

        데이터 센터의 수요와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데이터 센터의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국가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IDC에 비해 에너지 효율을 대폭 개선시킨 새로운 형태의 IDC인 그린IDC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 동향을 인프라 측면과 소프트웨어 측면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그리고 그린 IDC와 관련된주요 표준 기관들과 이들의 표준 추진 동향을 소개한다. 또한 그린 IDC의 확산을 위한 인증제 추진 방안과 이러한 인증제 도입을 위해 고려해야할 주요 이슈를 제안한다. 국내의 그린 IDC 인증 제도는 TGG와 Energy Star의 PUE를중심으로 시작해서 단계적으로 평가 항목을 보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그린 IDC 테스트베드 구축을 시작으로 관련기술 개발, 표준화, 인증제 추진을 통해 정부, 지자체, 공공 기관, 민간 기관에 단계적으로 그린 IDC를 보급 확산할 예정이다. 그린 IDC의 실현과 확산은 클라우드 컴퓨팅, 그린 홈, 그린 빌딩, 그린 제조업, 스마트 그리드 등의 녹색 산업실현에도 큰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한반도 「그린 데탕트」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추장민,정성운,정소라,박선규 한국환경연구원 2013 수시연구보고서 Vol.20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의 「그린 데탕트」 추진여건 및 활용자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반도 「그린 데탕트」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제2장에서 ‘그린’과 ‘데탕트’의 복합어인 「그린 데탕트」 개념에 대해 ‘환경문제와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그리고 자원개발로 초래된 관련 당사국 간의 대립과 긴장을 완화하여 분쟁을 방지하고 공동대응을 통해 위기를 경감하여 평화와 상생을 추구하는 정책’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 정의에 근거하여 한반도 「그린 데탕트」의 개념을 ‘남한과 북한, 동북아의 주요 당사국들이 한반도와 역내의 환경문제와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에 공동대응하고 환경친화적인 개발과 산업 육성을 통해 한반도 환경공동체를 건설하여 남북한간 대립과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상생·통일을 지향하는 안보정책이자 통일정책’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그린 데탕트」의 정책적 범위를 전통적인 환경문제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green)’ 분야와 환경 친화적인 개발과 기존산업의 ‘녹색화 (greening)’ 분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이러한 개념정의 및 범위설정에 기초하여 한반도 「그린 데탕트」의 정책적 의의를 안보와 통일정책의 확장 및 환경/기후 정책과 안보/통일 정책의 융합, 한민족 공동체 복원의 기반 조성, 북한의 산림복구 등 한반도 국토환경 복원, 한반도 차원의 기후변화 공동대응 및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능력 강화, 한반도 환경자원의 공동 관리 및 이용, 비전통적 안보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동북아 평화협력 기여 및 환경재난 공동대응 등 여섯 가지로 규명하여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제3장에서 본 연구는 「그린 데탕트」와 관련이 있는 국제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반도 「그린 데탕트」 추진방안을 모색하는데 참고할 만한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국제사례는 유럽의 월경성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에 관한 협약(CLRTAP), 나일강, 다뉴브강 등 국제공유하천의 분쟁과 협력 사례, 그리고 독일과 유럽의 그린벨트 사례이다. 이러한 국제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은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북한이 오염피해자인 이슈 또는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이슈 발굴; 둘째, 촉진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믿을 만한 소위 ‘북한 친구들’을 찾아내고 그들에게 역할부여 및 상호 공통인식 형성; 셋째, 환경과 기후변화 이슈를 포함한 포괄적인 안보 및 경제협력체 구축; 넷째, 경제발전 프로그램과 결합하여 단계적인 협력프로그램 또는 프로젝트 개발; 다섯째, 국제적 이슈 또는 다자간 이슈로 확대 발전시키는 국제화 전략 필요; 여섯째, 중립적인 사업실행 조직(Do Tank) 발굴; 일곱째, 장기적으로 협상의 공간, 협력의 울타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내 국제조직 발굴 및 활용 등이다. 본 연구의 제4장에서는 한반도 「그린 데탕트」 추진여건(SWOT) 과 활용자원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그린’과 관련한 협력사업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협력사업은 일부의 성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핵실험 등에 따른 남북 및 북미 관계의 악화 등 원인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안정성과 지속성이 없으며, 중간에 중단되거나 무산되는 한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한, 북한 및 국제사회 차원에서 정책추진 여건에 대한 SWOT 분석, 그리고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이 취할 가능성이 있는 한반도 「그린 데탕트」에 대한 입장 예측 등을 통해 한반도 「그린 데탕트」 정책은 촉진 요인과 제약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안으로서 정책추진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촉진 요인과 제약 요인이 병존하는 한반도 「그린 데탕트」 정책을 추진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국제기구, 지역협력체, 제3국의 조직, 국내소재 국제조직 등 조직과 국외 재원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제5장에서 한반도 「그린 데탕트」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 비전과 목표, 추진원칙 및 기본방향, 4대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그리고 추진기반 구축 방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한반도 「그린 데탕트」의 비전을 ‘평화롭고 안전하며 지속가 능한 한반도 구현’으로 제시하고, 남북한 신뢰구축으로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공존을 실현하여 통일기반 조성, 북한의 국토환경복원을 통한 한반도 차원의 지속가능한 생존공간 확보,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전에 기여의 세 가지 실현목표를 설정하였다. 위와 같은 비전과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한반도 「그린 데탕트」의 다섯 가지 추진원칙으로서 수용성, 효과성, 연계성, 국제성, 지속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추진원칙 하에 한반도 「그린 데탕트」추진의 기본방향으로 남북한 신뢰구축과 한반도 긴장완화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 남북채널과 국제채널의 2개 트랙(Two Track)의 균형 접근, 북한의 수용성 및 남한과 국제사회의 협력수요에 근거하여 단계적 추진, 정책융합/패키지/지역 특화 사업을 통한 성공사례 창출, 남북 고위급 회담을 통한 정치적 추진력 확보 등 다섯가지를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한반도 「그린 데탕트」의 4대 추진전략과 남북관계를 조정기, 개선기, 평화공존기의 3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 주요사업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4대 추진전략은 첫째, 북한의 낙후된 상하수도 시설 등 환경인프라 구축; 둘째, 피폐화된 북한의 산림과 토양 등의 국토환경 복원; 셋째, 북한의 CDM사업 등 분야에 협력하여 기후변화의 완화와 대응; 마지막으로 북한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녹색경제의 발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전략의 추진기반 조성방안으로서 통합적인 실행기구 설치, 법적·제도적 장치마련, 두뇌집단(Think Tank)과 실행집단(Do Tank)의 네트워크 구축, 국민의 동의와 지지 확보, 국제기구 및 주요국들과의 긴밀한 협력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한반도 「그린 데탕트」 정책은 하나의 정부에서 완료할 수 없는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한반도 통일정책이다. 따라서 현 정부에서 달성해야 할 정책목표를 분명히 하고 실효성 있는 사업을 개발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현 정부의 성과에 기초해서 차기 정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한반도 환경공동체를 건설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Korean Peninsula Green Detente Strategy through analyzing conditions and resources for its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It defines the concept of Korean Peninsula Green Detente as in 'a set of security and unification policies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will ease the tens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through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organization in which all the stakeholder states in the Northeast Asia collaborate to tackle the climate change and natural disasters and develop environmentally sustainable industry'. The Korean Peninsula Green Detente intends to achieve the followings; first, broadening the scope of the conventional security and unification policy; second,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unification; third, recovering the North Korean environment; fourth,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the North and South to tackle the climate change; fifth, improving the skills of management and use of environmental resources; sixth, contributing to peaceful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 through non-conventional security approach. Policy implications inferred from three case studies - the Convention on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ion, issues of the Nile and Danube international rivers, and the Green Belt of Germany and Europe - are as follows; first, discovering the issues where North Korea can be advantageous and yield benefits; second, finding out and networking with 'friends of North Korea', whom the North can put trust in as an interlocutor; third, creating a regional organization; fourth, developing phased programs or projects; fifth, internationalizing or multi-nationalizing the originally bilateral issues; sixth, discovering 'Do Tanks', neutral organizations for action; seventh, using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as a catalyst for negotiation and collaboration. Implementing the Korean Peninsula Green Detente policy in the peninsula will not always be effective as a SWOT analysis shows, but both advantages and constraints are mutually inherited. The study has further analyzed the anticipated stances of the six talk participating states -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and Japan. On the tentative conclusion that the Korean Peninsula Green Detente policy will be in demand, the study has examined a list of regional, internation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o implement the policy. On the second half of the study has delved into precepts, approaches and strategies for Korean Peninsula Green Detente. The precepts for policy options are that the policies should be acceptable on all parties involved(acceptability); effective in realizing the ultimate goals(effectiveness); coherent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agendas(coherency); internationalized so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an enforce North Korea to adhere to international norms(internationalization); lastly, sustainable and maintainable in implementing in the mid and long terms(sustainability). Suggested strategies are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forest and soil restoration, aid of CDM projects, and development of green growth in North Korea. In order to propel the policy integration, followings are strongly recommended: estasblishing a steering committee organization, setting up a legislative and regulatory framework, building a network between 'Think Tank' and 'Do Tank', formulating policies that will gain support from people, and forging a mor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stakeholder states in the Korean peninsula. In conclusion, the Korean Peninsula Green Detente has to be designed with a long-term perspective. The imperatives of the incumbent administration are to pragmatically scale up the goals and strategies, and develop and implement the projects efficient for its limited term.

      • KCI등재

        연구분야 별‘그린(Green)용어’사용의 동향 분석 - 1990~2019년 석·박사 학위논문연구를 중심으로 -

        송윤희,이진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long with ongoing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been one of the essential issues for modern people today since industrialization. In 2019, the era of environment-essential has arrived instead of environment-friendly. Against this social background, green now contains an overall collection of nature-friendly meanings beyond the meaning of the color green. As a precedent research for the investigator’s study on green design, this research set out to arrange the uses and concepts of green by the area, analyze the trends of each period, and figure out its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scope encompasses dissertations between the 1990s when the term green was first used and April, 2019. As for analysis methods, the investigator sorted out and analyzed the concepts of “green” used in various ways by the year, area, and interrelation including the green design area based on the interrelation theory as well as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by the year show that researches on green tended to increase when social environment issues, international environment norms, or economic treaties emerged, which suggests that there was ongoing interest in the environment worldwide and that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y and the environment. Secondly, the analysis results by the area show that the biggest number of researches worked on profit making in addition to improved images related to marketing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reas. In the design-related research areas, there was a gradually growing trend of considering nature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sign rather than design for the enhanced images of products, goods, or corporations according to the expanding concept of green design in spaces and places in the aspect of marketing. The domain of green design also expand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cope of green design research expanded gradually from researches on profit-seeking green according to image changes in the past to researches on more sustainable green based on interrela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The study sorted out the meanings of “green” used in each of the research areas and expects its findings to be used as basic data in “green”-related researches, planning to continue the research efforts in the future. 산업화 이래로 환경에 관련된 지속적 관심과 더불어 연구는 오늘날 현대인에게 필수불가결한 쟁점 중 하나이며2019년 친환경이 아닌 필(必)환경시대가 도래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으로 현재 그린은 색을 의미하는 범위를 넘어서, 자연친화적인 의미 모두를 총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본고의 그린디자인분야 연구 과정 중 선행 연구로써, 분야별 그린의 사용과 개념을 정리하고 시대별 동향을 분석하여 특성을 파악함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로는 처음 그린의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1990년대부터 2019년 4월까지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의 방법은 인간, 환경의 관계성과 더불어 상호관계이론을 토대로, 그린디자인 연구 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그린’의 개념을 연도별, 분야별, 상호관계 관점으로 정리, 조사한다. 그 결과 첫째, 연도별 분석에서는 사회적 환경이슈, 혹은 국제적 환경규범, 경제 협정이 출범한 시기에 그린에 대한 연구도 상승하는 추이를 보였다. 이는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이며, 경제와 환경의 관계성을 나타냈다. 둘째 분야별 분석으로는 인문사회분야로 마케팅과 관련하여 이미지 제고와 더불어 이익창출을위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여 졌다. 디자인 관련 연구 분야의 결과로는 그린디자인의 개념의 마케팅적 측면에서 공간, 장소로 확대됨에 따라 제품과, 상품 혹은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디자인에서 점차 환경을 고려하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중요성 인지와 더불어 그린디자인의 영역이 넓어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 과거 이미지 변화에 따른 수익성 목적의 그린연구에서 점차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지속가능한 그린 연구로 그 범위가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분야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린’의 의미를 정리함으로써 ‘그린’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연구를 계속 이어나가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그린벨트에 관한 연구동향

        권용우,변병설,박성혜,나혜영 국토지리학회 2004 국토지리학회지 Vol.38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 regarding the Green Belt. That is to evaluateand understand the disputes over the Green Belt after the plan to reduce the Green Belt was announced, and toestablish a clear and effective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 Research on the Green Belt can largely be categorizedinto two perspectives. One is the perspective of cost vs. profit analysis, and the other is the perspective ofinstitutions and regulations. Research on costs were mainly focused on the inefficiencies of the Green Belt andstrove for its cancellation. Research on profitability were mainly focused on its utility and preservation. Research oninstitutions and regulations were focused on case stud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conservation programsfor the Green Belt. Additionally, many other recent studies have been done looking at Green Belt reduction vs.conservation districts. These studies show tha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the land purchase plan of the GreenBelt district with special regard for the property rights of the residents. 본 연구는 그린벨트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1999년의 그린벨트 축소조정방안이 발표된 이후 더 한층 활발해진 그린벨트 관련 논의를 정리해보고 향후 그린벨트 연구 방향을 설정해보고자 한다. 그린벨트에 관한 연구는 크게 그린벨트의 비용과 편익을 분석한 연구와 그린벨트 제도 및 정책에 관한 연구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린벨트의 비용에 관한 연구는 주로 그린벨트의 비효율성을 들어 해제론에 초점이 되어 있으며, 편익을 분석한 연구는 그린벨트의 효용성을 강조하며 보전론을 제시하고 있다. 제도와 정책적인 측면에서 그린벨트를 다룬 연구들은 사례연구와 제도개선, 그리고 토지매입에 의한 그린벨트 보존방안 등이 있다. 최근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그린벨트 해제지역과 접경지역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그린벨트를 보존하면서 그린벨트 거주민들의 재산권을 보장해 줄 수 있는 토지 매입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그린마케팅 사례 연구

        김형길(Kim, Hyoung Gil),김정희(Kim, Jung 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2

        최근 다양한 환경문제들이 부각됨에 따라, 기업은 자연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고, 새로이 직면하게 되는 환경문제들을 경쟁적 강점으로 전환하기 위해 환경경영체제의 구축 및 그린마케팅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린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그린 마케팅의 성공적인 도입사례를 분석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린마케팅 이론을 정립하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친환경문화 창조 및 사회적 책임 실행에 의한 그린마케팅 도입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친환경 공정 및 제품 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생산 공정 및 기술 혁신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친환경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제품생산 및 마케팅활동에 반영하여 시장에 알리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그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그린마케팅전략이 단기적으로 비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케팅관리자는 장기적인 목적과 비전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 내부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친환경 문화를 창조하여 발전시켜야 한다. 그린마케팅의 실천과정에 변화에 대한 기업구성원의 저항가능성을 고려하여 조직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가 되어야 하며, 경영자의 강력한 리더십과 친환경문화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기업의 그린마케팅활동의 효과적 도입을 위해, 사회적 책임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업은 이익 극대화만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제도적 압력을 반영해야 한다. 이러한 외부의 제도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은 제품과 정책을 친환경화하고, 이러한 사실을 적절하고 입증가능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알려야 한다. 넷째, 그린마케팅 실천에 부합하는 새로운 마케팅성과 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기업은 그린마케팅 실천 결과가 단순한 친환경 활동의 실천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은 장기적으로 자사의 자원과 역량을 결집하여 지속적으로 경쟁적 강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결과에 대한 피드백과 성과가 평가되어야 한다. 그린마케팅의 실천에 부합하는 새로운 마케팅성과 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린마케팅은 자원과 제품, 제품과 소비자 사이를 연결하여 녹색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므로, 이에 부합하는 새로운 마케팅성과 측정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단기적인 경제적 지표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비경제적 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창의성의 개발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Recently, as variety of environmental problems are emerging,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introduction of the green marketing is required for businesses in order to switch the newly faced environmental issues to competitive strengths and to efficiently manage the natural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c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green marketing at the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Development Corp(JPDC) in order to find ways to practice the strategic green marketing. For this purpose, the green marketing theory was established and introduction cas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eco-friendly culture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JPDC.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porate, in order to build its eco-friendly image, is required to develop a product that is eco-friendly to meet the needs of the customers and the production process and technology innovation should be the premise. In addition, customers' eco-friendly needs should be identified and effective green communication strategy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reflect the idea to produce and marketing activities to be informed in the market. Second, because of the green marketing strategy is likely to cause costs in the short term, the marketing manager should have long-term purpose and vision. In order to do that, the corporate must develop and create eco-friendly culture that is sustain ability-oriented internally. Organization members should be motivated,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o the changes of the practice of green marketing. An interest in eco-friendly culture and strong leadership is required from the Executive Officer,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green marketing in long-term strategic approach. Third,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supported in order to introduce corporate's green marketing activities effectively. Therefore, corporate is not only to pursue profit maximization, but to reflect the institutional issues externally. In order to overcome the external institutional issues, corporate's products and policies should be eco-friendly and notify the fact to the customers by using appropriate and verifiable information. Fourth, a new marketing performance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hat meets the green marketing practices. Simple practices of eco-friendly activities do not optimize the results of a corporate's practice of green marketing. In the long term, feedback on the results and the performance should be assessed in order to take advantage continuously to utilize the competitive strengths by mobilizing its resources and capabilities. Accordingly, a new marketing performance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o conform the practice of green marketing. Green marketing promotes the gr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by connecting the resources to products and products to consumer, therefore a new marketing performance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hat corresponds to this relationship. In particular, not just the short term economic indicators but the long term non-economic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as well. For this purpose,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a new perspective approach to environment is needed.

      • 소비자의 그린 지각이 그린 신뢰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문선정,이수형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

        본 연구는 마케팅 연구에서 주로 다뤄져왔던 핵심 개념들을 그린 마케팅과 결합하여 환경적 측면에서 새롭게 재정의하였으며, 그린마케팅 전략개발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의 그린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지각된 그린 가치와 지각된 그린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이러한 그린 지각이 그린 신뢰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더불어, 그린 신뢰와 그린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함께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 브랜드이미지는 그린 가치를 높게, 그린 위험은 낮게 지각하도록 영향을 미쳤다. 이는 그린 브랜드이미지가 제품의 환경성 평가에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됨을 의미하였다. 둘째, 그린 브랜드이미지와 지각된 그린 가치는 그린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지각된 그린 위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린 신뢰는 그린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소비자효과성지각과 타인에 대한 믿음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낮은 소비자에 비해 그린 구매를 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린 구매의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환경에 관련된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그린 구매의도를 유도하기 위한 기업의 마케터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그린광고가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메시지 효과에 관련하여

        조국행 대한경영정보학회 2009 경영과 정보연구 Vol.28 No.1

        요즈음 환경에 대한 교육적 의미와 그린제품의 보다 많은 확산과 환경보호의 차원에서 그린광고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고 전략상의 문제로서 특히 그린광고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을 북돋우고 그린제품 구매자뿐만 아니라 비그린제품 구매자의 그린제품 구매를 유도한다는 차원에서 그린광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린광고가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특히 메시지구조(결론생략/제시)측면과 관여를 고려한 상황에서 그린광고가 어떠한 메시지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때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그린/비그린제품 광고가 소비자의 인지/감정/행도에 대한 태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그린/비그린제품 광고의 경우 메시지구조(결론생략/제시)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어떠한 메시지구조를 취할 때 광고의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그린/비그린제품 광고의 관여(고/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떠한 메시지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살펴본다. 즉, 수많은 광고에 노출되고 있는 소비자들이 그린광고에 대해서는 어떠한 시각을 갖고 있으며 그린광고의 형태에 메시지의 결론을 제시해서 설득적인 의도를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메시지의 결론을 생략해서 설득적인 의도를 숨기고 소비자들이 스스로 추론하고 정보탐색을 하도록 하는 메시지구조가 그린광고의 형태에 효과적인지를 밝혀서 앞으로의 그린광고의 제작 및 메시지구조 측면에 있어서 그린광고의 효과와 개선에 도움을 주고 그럼으로써 많은 그린제품 확산에도 기여하고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