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과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지리 답사

        이건학 국토지리학회 2014 국토지리학회지 Vol.48 No.2

        지리학에서 야외 답사는 지리학의 이론적, 추상적 개념을 직접 관찰을 통해 구체화하고 지역의 실제 현상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연구 방법이다. 최근 급격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인프라 시설의 확충은 전통적인 답사 방법들에 대한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기반의 지리공간기술들은 여러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각종 지리 조사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지리 답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최신의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지리 답사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지리 답사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지리공간기술들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답사 단계별 활동에 따른 스마트 지리 답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대학 학부생의 실제 답사에 적용하여 그 효과와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스마트 답사 가이드라인을 실제 지리학과 학술 답사에 적용한 결과, 스마트 답사에 폭넓게 사용된 트랙로깅, 지오태링, 지오블로깅, 파노라마 사진 등의 지리공간기술들은 다양한 답사 활동들의 목적에 맞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고, 답사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A geographic fieldwork is an effective research method to make concrete theoretic and abstract concepts of geography and to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geographic phenomena in regions. More recent advance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expande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suggest the possibility of new development for the traditional fieldwork method. In particular, geospatial technologies in a mobile environment are likely to be utilized for the geographic fieldwork that requires various field activities by moving around several geographic sit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the possibility of the smart geographic fieldwork by utilizing smartphones and geospatial technologies. To do this, we examine several geospatial technologies available to the geographic fieldwork and suggest the guideline for the smart geographic fieldwork according to the general fieldwork process. Further, we discuss the pros and cons of the smart fieldwork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college-level fieldwork. The results of empirical application showed that the geospatial technologies such as tracklogging, geotagging, geoblogging, and panorama pictures are helpful to achieve various objectives of research activities and to increase fieldwork participant’s satisfaction.

      • KCI등재

        지리변수 기반 기계학습을 이용한 산지 소유역 유기층 토양 영양분의 공간적 분포 예측

        정관용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3

        산지토양 내 유기층은 가장 큰 영양분 저장소이자 토양 관리에서 중요한 대상이다. 본 연구는 지리변수 기반 기계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산지토양 유기층 영양분의 공간적 분포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90개의 유기층 토양 시료를강원도 소양강 일대 소유역에서 채취하였다. 토양예측 모형으로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를 사용하였다. 지리변수로 지리좌표(XY)와 중앙점에서 유클리드 거리(CD), 표본 위치에서 유클리드 거리(EBD)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지리변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환경변수만 사용했을 때, 각 지리변수와 함께 사용했을 때(환경변수+XY, 환경변수+CD, 환경변수+EBD), 모든 지리변수와 환경변수를 사용했을 때(환경변수+XY+CD+EBD), 마지막으로 지리변수만 사용했을 때(XY+CD+EBD) 등 총 6가지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로 황을 제외하고 모든 영양분에 대해 환경변수와 지리변수를함께 고려했을 때 모형의 예측력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반대로 지리변수만을 고려했을 때 낮은 예측력을 보였다. 다양한 지리변수 중에서 모든 토양 영양분에 대해서 예측력이 높았던 단일한 지리변수는 없었다. 선택된 중요한 변수를 살펴보면 고도, 사면곡면률, 계곡깊이, 사면유역지수 등으로 지형변수가 산지토양 유기층 영양분의 공간적 분포에 주로 영향을 주었다고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산지 토양 생태계를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로 향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rganic soil layer in the mountainous area is one of the largest nutrient sinks and an important target in soil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rganic layer nutrients in mountainous soils using the geographical variable-based machine learning model. A total of 90 organic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ubwatershed area of the Soyang River in Gangwon Province. Random forest was used as a soil prediction model. Geographical coordinates (XY), euclidean distance to the center (CD), and euclidean distances from observation locations (Euclidean Buffer Distance, EBD) were used as geographical variables.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various geographical variables, we compare the results of using only environment variables (EV), when used with each geographical variable (EV+XY, EV+CD, EV+EBD), when using all geographical variables and environment variables (EV+XY, EV+CD, EV+EBD), and finally when using only geographical variables (XY+CD+EBD). As a result, the predictive power of the models was high for all of the nutrients except for sulfur when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variables were considered together. On the other hand, low prediction power was obtained when only geographical variables were considered. Among the various geographical variables, there was no single geographical variable that was highly predictive for all soil nutrients. For the selected important variables, the topographic variables such as elevation, surface curvature, valley depth, and catchment area mainly affec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organic layer nutrients in the mountainous are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spati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d managing the mountain soil ecosystem in the future.

      • KCI등재

        창조국토시대

        권용우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2

        When we define that “Land democratization” is “the fruition of growing by land policy distribute to ordinary people everywhere to live in the fair division of the phenomenon,” creative land is the reality of democratic homeland as if the ordinary people can feel quality of happiness in bodily sensation. Sustainabl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along with the citizens, while creating a balanced development devise land policies in the era of great significance that looks likely to feature. Since 2010, a growing maturity in the country,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ge with a diagnosis that is moving towards. In the age of maturity and the distribution of common citizens’ participa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is made by a consensus of the policy is maximized. I suggest that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non -Seoul metropolitan region take charge of their roles to create the entire country and make balanced development in the age of creative homeland, and propose that land, marine, environment and land-related multiple components that could be co-exist with the times should be mega harmony as well. As previously stated, these contents represent new balanced growth and broadly mega harmony in the age of creative homeland that lead to “homeland 4.0 Step.” ‘국토정책으로 이룩된 성장의 과실이 국토 각처에 사는 보통사람들에게 적정하게 배분되는 현상’을 ‘국토민주화’로 정의한다면, 보통 사람이 행복의 질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창조국토야말로 국토민주화의 실체라고 볼 수 있다.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이며, 시민들과 함께 하면서, 균형 발전을 꾀하는 시대에서는 창조국토정책이 큰 의미를 지니게 된다. 2010년 이후 우리나라는 성장에서 성숙으로, 개발과 분배를 함께 도모하는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성숙과 분배의 시대에서는 보통시민들의 참여와 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 정책의 공감대가 극대화된다. 창조국토시대에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각자의 역할을 맡아 국가전체에 도움을 주는 新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국토·해양·환경 등 국토관련 여러 구성 요소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大 공존시대가 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리고 창조국토시대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新 균형과 大 공존 시대로 표상화 되어 ‘국토 4.0 단계’를 이끌 것이라고 정리한다.

      • KCI등재

        선진국 지리학사를 통해 본 지리교육의 중요성

        이자원,김은혜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3

        Geographers study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enomena, processes and features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humans and their environment. As space and region provide a background for a variety of topics such as economy, health, climate, plants and animals, geography is highly interdisciplinary. We can educate our next generation to be able to realize the values of the national land and understand how to love our land, preserve our environment, and make our community better with geographical concept. We researched and fou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geography through the case study of advanced nations in some countires in Europe, US, and Japan. Furthermore, we analyzed of compulsory education for some case nations comparing with our educational system to emphasis on education of geography within the school system. 지리학은 지표상의 인간과 관련된 공간상의 제 현상과 삶의 과정 및 이와 연관된 환경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리학의 주제인 지표상의 공간과 지역은 경제와 인간의 질적 삶, 기후 및 자연의 생성 등 지표 상 제 현상의 장소적 배경이 된다. 지리교육을 통하여 땅과 인간에 관한 현상 및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국토의 소중함을 인식하는 교육은 우리의 터전을 가꾸기 위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선진국의 지리학사를 통하여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역할을 살펴보고, 각국의 지리교육과정을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지리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지리학의 계열 혼란에 따른 문제 분석

        김영민,노시학 국토지리학회 2004 국토지리학회지 Vol.38 No.4

        Problems due to some mismatches between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 and geography track in college a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take geography courses in high school are disadvantag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for the geography department of some universities where the geography department belongs to science division. Mos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geography choose social science track in the high school because geography is under social science track in high school curriculum. Some geography departments which belong to science division in university, however, disadvantage the students who took geography courses in the high school in the proces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ecause of the mismatch between geography track in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division to which the geography department belongs. Even though this is not the case of all the geography departments in Korean universities, if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geography courses in the high school are systematically disadvantaged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of some major geography departments in Korean universities, it will result in a very negative impact for the future of geography in general. 본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개편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지리과목 소속 영역과 국내 일부 대학의 지리학과 소속 계열간의 불일치로 인하여 대학입시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고등학교 교과과정에는 지리교과가 인문·사회계열에 소속되어 있는 반면 국내 일부 주요 대학의 지리학과는자연계열에 소속됨으로써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따라 지리교과가 속한 사회탐구 영역을 수강한 학생들이 대학입학과정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차교육과정개편에 따른 수학능력시험 응시과목, 수학능력시험 점수반영 그리고 학교생활기록부 성적 반영 등 고등학교 학생들의 대학 입시에 관한 모든 분야에서고등학교 때 지리교과를 수강한 학생들이 자연계에 지리학과가 개설된 대학의 지리학과를 지원할 경우 이들에게 오히려 불이익과 제약이 부가되는 매우 왜곡된 입시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지리교과를 선호해서 고등학교 때 지리교과를 수강한 것이 국내 일부 대학의 지리학과를 지원하는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매우 바람직하지 못한 입시체계는 비록 일부 대학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지리학계의 전반적인 위상을 고려할 때 앞으로 지리학의 장기적인 발전과정에 매우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 KCI등재

        국토교육 시범학교 운영 성과 및 과제

        이종용,안종천 국토지리학회 2006 국토지리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이루어져왔던 국토교육과 관련하여 1년간의 시범학교 운영을 통해 국토교육의 추진성과를 알아보고 향후 국토교육의 발전적인 추진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국토관련 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정부에서 운영 중인 ‘우리국토바로알기 사업’프로그램의 운영과정과 그 일환으로 운영되는 국토교육 시범학교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국토교육에 따른 학생들의 의식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국토바로알기 여건 조성, 창의적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 교재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 그리고 국토사랑의 날, 국토순례와 같은 체험학습 등의 운영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국토교육을 통해 국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국토사랑의식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의 국토사랑의식이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앞으로 국토교육과 관련한 교과서의 개발, 다양한 국토관련 정보의 제공과 학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way for improving the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To find out the progressive way, existing problems of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was examined closely. Then we looked a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oject, run by government, called ?To know rightly about our national terri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model school.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analyse the change of students? consciousness about the national territory after attending the education program.According to the research, many educational operation was done, for example, fostering the environment to know rightly about our home land, lessons based on various teaching material, and field studying like national territorial loving day, territorial pilgrimage. Through the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students had exact understanding of their home country and more cultivated awareness of the national home land with love.A number of things are needed to mention to extend citizen?s awareness of their home country with love. These are following ; developing the text books on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providing the diversified information about our home country, and also providing the atmosphere for learning.

      • KCI등재

        프랑스 지리학의 발달과정과 연구경향

        문남철 국토지리학회 2005 국토지리학회지 Vol.39 No.4

        19C 말 Vidal을 중심으로 경험적 지역연구의 학문적 체계를 발전시켜온 프랑스 지리학은 2차대전 이전까지 세계 지리학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획득하였으나, 2차 대전 이후 사회와 사상의 변화와 더불어 새로이 나타난 지리적 사고와 방법론, 그리고 연구주제의 수용을 기피함으로써 내적 위기를 맞이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초 이후 프랑스 지리학은 새로운 지리적 사고와 방법론의 추구, 연구주제의 확대 등 재구조화와 부활의 과정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1970년 중반 이후 프랑스 지리학은 이론적 차원에서 개념적, 방법론적 기반을 확대하고, 사회적 측면에서 본질적 접근을 통해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추구함으로써 프랑스 사회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인간성에 바탕을 둔 프랑스의 전통적인 인간지리학은 실증주의와 구조주의의 퇴조와 더불어 새로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논제에 관한 개념적 사고를 Vidal의 지리적 사고에서 추구하고 있다. French geography developed the experimental regional geography with Paul Vidal de la Blache after 1987. It gained a world-wide reputation until before the Second World War. But French geography was in internal crisis because of the shirk of adoption of new geographical methods and subjects of study after the World War II. However, French geography was restored by the pursuit of the new geographical conceptions, methods and subjects of study after the end of 1960?s. And as a pursuit of solution about social problems after the half of 1970 s, French geography holds the firm place in the France society. French humanistic geography is also rising again with a decline of positivism and structuralism. French geographers trace the conceptual thinking of humanistic geography from Vidal s geographical thought.

      • KCI등재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R&D 체계 연구: 기술로드맵 작성을 중심으로

        박지만,배상근,김병국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1

        This study investigates R&D system of the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KLSP) and key factors on the uti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directions of technology roadmapping. KLSP has produced large amounts of practical outcomes for the intelligent land by collaborative 5 core research projects.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 in technology roadmapping and practical using of national R&D to respond to uncertain environment and exploration of intelligent land technology development.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oadmap,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to build R&D system and temporal relationship of technological module for KLS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strategies of KLSP, generate indoor-outdoor spatial GIS for digital culture, integrated platforms of urban geospatial services, integrated monitoring of climate, and spatial decision making for public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R&D체계를 연구하고, 기술로드맵을 작성하여 실용화·사업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 사업은 5개의 핵심주관기관과 협력적인 작업을 통해 대량의 실용적 성과물들을 적용한 지능형국토를 지향점으로 하고 있다. 현재 국가R&D에서 기술로드맵의 작성과 활용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지능형국토정보 분야에서 체계적인 조사 분석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사업에 적합한 기술로드맵작성을 통해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R&D체계를 분석하고, 요소기술들의 시계열적인 연관관계룰 밝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결과, 전략적 연구분야는 기후환경 모니터링, 통합도시공간정보서비스, 시민참여형 공간의사결정시스템, 디지털문화형성을 위한 실내외공간정보서비스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공동육아 탐구활동을 통한 유아 지리교육

        오충원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4

        Geographic literacy is main point in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ffect of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in cooperative childcare’s inquiry activities. The issue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import in cooperative childcare as well as traditional preschool system. Secondly, eco-nature experience activities such as Nadri resulted in to the young children’s geographic life vigorously. Thirdly, reading and making map activity is most useful learning tool of construction Geographic literacy. It is need to more study in Cartography and Geography to support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유아 지리교육은 아이들에게 지리적 개념(geographic literacy)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리학적인 관점에서 공동육아 탐구활동을 통한 유아 지리교육의 의미와 효과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유아 지리교육이 제도적인 교육 뿐 아니라 공동육아와 같은 대안 교육체제에서도 유용한 교육 내용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생태적 관점에서 생태 나들이와 같은 탐구활동이 유용한 유아 지리학습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도 보기 및 만들기가 유아 지리 교육에서 지리적 개념을 정립하는데 유용한 학습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일반적인 유아지리 교육에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학 및 지리학에서 유아 지리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지리교육의 내용구조와 수업방법

        김회목,김영성 국토지리학회 2006 국토지리학회지 Vol.40 No.2

        이 글은 초·중등학교의 지리교육내용의 구조를 밝히고 그에 알맞은 수업방법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서 학교현장에서의 지리교육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지리교육 내용의 구조는 지리학의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글은 지리학을 공간과학, 환경과학, 지역과학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지리학의 공간과학적인 속성 면에서 지리교육용 지리학 기본개념을 추출하였고, 주요한 환경 요소는 지리교육 내용의 소재를 이루며, 각 지역들은 지리 학습에서 대소 단위들을 이룬다고 보았다. 지리교육용 지리학의 기본개념으로는 축척, 위치, 분포, 이동, 지역, 공간, 관계, 변천, 종합, 환경, 지도화 등 11개를 추출하였다. 각 단원의 학습에서 지역별 학습요소를 통해 지리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함으로써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인간생활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일이 지리수업의 핵심이므로 지리수업 방법은 당연히 지리학적인 내용특성에 적합한 방법이어야 한다. 이것은 원칙적으로 지리학의 탐구방법과 다름이 없음을 의미 한다. 다만,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적절한 교사의 지도가 필요하므로 탐구식 방법을 기본으로 다양한 수업방법이 등장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increase the efficiency of geograph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y exploring appropriate instruction methods devised to fit with the contents structure of geography education. The structure of geography education substances can be traced to the structure of geography as a discipline. The approach of this study, therefore, is derived from the aspects of geography as spatial, environmental, and regional science. Basic concepts for geography education are drawn from the composition of geography as spatial science. This perspective indicates that the subject matters of geography education consist of major environmental elements, and that each region plays a role of a unit in geography learning. Basic concepts chosen for geography education include the concepts of scale, location, distribution, movement, region, space, interaction, transition, synthesis, environment, and mapping. The core of geography education is to enable students to comprehend the life of the human being synthetically via leading them to learn essential basic concepts of geography on the basis of physical as well as human characteristics of regions shown in each unit of a textbook. This coincides with the methods of geographical analysis. Instruction methods, however, can vary in terms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levels of learning ability. Teachers should be able to adopt proper education methods consistent with inquiry-based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