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자체 가뭄 대응력 강화를 위한 기존 지하수 관정 활용 방안

        현윤정,차은지,정우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1 환경포럼 Vol.255 No.-

        최근 상시화되고 있는 가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약한 가뭄 단계에서부터 물 부족 관심 단계 지역을 중심으로 가뭄에 대비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을 추진 중이다. 특히 유역 내에서 지표수원이 부족하여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서 타 유역으로부터의 운반급수를 최소화하며 가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량 확보가 안정적이고 접근성이 용이한 지하수의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가뭄 때마다 비상조치로 지하수를 이용하기 위해 신규 지하수 관정을 설치하고 있다. 이때 신규 지하수 관정의 개발은 충분한 사전조사 없이 급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시급한 가뭄 해소에 이용된 이후 부적합한 위치 선정이나 미흡한 사후관리 등으로 지하수 관정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매년 또는 수년 단위로 신규 관정을 반복적으로 개발하는 상황이다. 이렇듯 체계적이지 못한 신규 관정의 개발 및 관리는 예산, 인력, 행정력 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안정적인 가뭄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일부 도서 및 산간 지역에 지하수 자원 확보시설을 이용하여 대규모 수원을 개발하는 대책들도 추진 중이나, 전국적으로 분산되어 상시로 발생하는 가뭄 상황을 고려했을 때 전국에 편재하는 기존 지하수 관정을 적절히 활용하면 선제적이면서도 적시적인 가뭄대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가뭄의 단계별 대응 매뉴얼을 보면 가뭄의 선제적 대응주체는 지자체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자체 담당자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해 가뭄 시 기존 지하수 관정의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관련 법제도 및 행정 사항 등을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지하수 관정의 활용을 제고하여 지자체의 가뭄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도심지역 대심도 지하공간 개발의 지반환경영향 및 정책 제언

        현윤정,김윤승,이하정,이주연 한국환경연구원 2013 수시연구보고서 Vol.2013 No.-

        한정된 지상 공간을 대신하여 도시 재정비, 교통량 제어, 기후변화 대응, 가용용지확보 및 민원문제 해결 등의 공공 목적을 이유로 지하공간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서울을 비롯한 경기도 및 부산에서도 대심도 지하공간을 이용한 도로 및 철도 건설과 빗물 배수관 사업을 추진·계획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공간의 개발과 이용은 기반암과 지하수계와 같은 지반환경에 직·간접적인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합리적인 개발·이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국내 현행법상 도시계획 관련 법·제도는 지하공간에 대한 정의조차 명시하고 있지 않으며, 지하보다는 지상 공간 위주이고, 관련 기준 및 지침은 개별 시설물을 중심으로 한 기술적인 요소에 국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지하공간 활용의 대상인 지반환경에 개발과 이용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및 그 중요성 인식 또한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와 사례조사, 전문가 활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공간의 개념을 설명하고 서울시를 중심으로 지하공간 개발·이용의 현황 및 계획을 조사했으며, 이러한 개발이 지반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국내외 지하공간 관련 법·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도심지역 대심도 지하공간의 개발·이용에 따라 지하수위 변화, 유출지하수 발생에 의한 순환 체계 교란, 지반 변형, 지하수 수질 변화 및 오염 확산, 환원성 지층 산화로 인한 지하수 수질 저하 등의 환경문제가 우려되었다. 그러나 이에 관한 자료 및 조사가 매우 부족하므로 대심도 지하공간 개발과 관련하여 이해 당사자들 간의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 영향에 관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정확한 지반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지하공간 활용 정보가 먼저 파악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지하공간 활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구축, 통합적인 지하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구축, 지하수법 정비, 대심 도 개발 관련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개선, 사후관리제도의 강화, 환경문제 갈등 완화를 위한 위해성 소통 방안 도입 등과 같은 제도적 개선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As an alternative to limited surface spaces, underground space (US) developments have been increasingly undertaken for the purposes of urban renewal (regeneration), traffic control, climate change response, usable land extension, the resolution of civil complaints, etc. Particularly in Seoul, Korea, deep underground spaces have been utilized for urban subway systems to relieve traffic congestions or are planned to be used for underground rainwater reservoirs to control urban floods. Howeve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eep underground spaces can cause significant damages to the geo-environment such as geomaterials or groundwater systems. Yet, the current urban planning law regulates surface spaces and surface/near surface facilities only. In addition, urban planners`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impacts of deep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s is generally low. This study aims to bring attention to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deep groundwater space developments and utilization. In this study, we provide the concept of (deep) underground space and analyze trends i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n Seoul. Then, we review and summarize environmental impacts from deep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s. Environmental problems that deep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s can create include: underground water level changes; drying up of urban streams; interference of groundwater circulation resulting from groundwater discharges; ground deformation; degradation of groundwater quality; the spread of pollutants; and acid rock drainage (ARD), etc. Lastly, we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eep underground spaces in the following areas: 1) the creation of institutional strategies, 2) the construction of an integra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spaces databases, 3) the overhaul of the Groundwater Act, 4) the revamping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s for deep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nd 5) the introduction of a post-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Further, we propose that risk communication plans should be put in place to mitigate environmental conflicts which can arise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eep underground spaces.

      • 기후위기 시대 영농형태 변화에 따른 농업용 지하수 관리전략 연구

        현윤정,차은지,이규상,정아영 한국환경연구원 2021 수시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A decrease and aging in the farm household population, improvement in national income, and changes in dietary life over the past 50 years has caused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field crop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 trees, along with an increase in the area of cultivated facilities. Recently, smart agriculture has received attention for year-round productivity and quality improvement of field crops, leading to changes in farming patterns along with facility cultivation. □ The changes in farming patterns has requested clean water for agricultural use throughout the year, then uses of clean and thermally-stable groundwater have been increasing. Simultaneously, the concern about agricultural damage due to groundwater depletion and deterioration of groundwater quality is growing.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ssues of groundwater for agricultural use and to come up with a r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for agricultural groundwater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national water management principles such as water cycle soundness, water demand management, an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 This work aims to diagnose agricultural groundwater issues due to changes in farming patterns through statistical data analysis, previous research review, field case analysis and inquiry, interviews with residents and public officials, and collecting expert opinions. Then we present agricultural groundwater management strategies and policy tasks for solving the issues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Ⅱ. Changes in Farming Patterns of South Korea □ Statistical data analyses show that changes in cultivated crops and conversion of paddy fields, such as increasing field farming instead of decreasing paddy farming for the past 10 years (2010-2019) due to various social,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reasons. It also show that the area of open-air cultiv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 area of facility cultivation is increasing. The cultivation type appears to be relevant to the crop species, so it is analyzed that fruit cultivation in facilities is increasing while cultivation of special crops in the open field is increasing. □ For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shift in the appropriate cultivation zone due to climate change, it is expected that the facility cultivation method that can control the growth environment throughout the year will be expanded for crop production throughout the year. Ⅲ. Agricultural Groundwater for Cultivation Patterns 1. General status of agricultural groundwater □ Of the total agricultural water use in Korea, the use of groundwater for agricultural purposes was 510 million m3/year (as of 2018), accounting for 9.8%. About 49.0% of the total groundwater wells and about 51.9% of the total groundwater use amount is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s. □ As of 2018, 90.4% of the total agricultural groundwater wells(790,198 wells) were reported, and only 1.5% (11,699 wells) were permitted with licences. In all cities and provinces except for Jeju Island, average daily groundwater use amount of the reporting facilities is very small and less than 10 m3/day·site. Groundwater wells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in accordance with 「Rural Development Act」. Most of them are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in accordance with 「Rural Development Act」 is a facility for supplying water for rice paddy farming, and is classified into reservoirs, pumping stations, drainage stations, blowing weirs, collecting culverts, groundwater wells, and others (e.g. seawalls). The number of groundwater wells is 26,840, which is 36.5% of the total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Rural Groundwater Management Observation Network, as of 2018, 14.4% were found to exceed the nitrate nitrogen groundwater quality standard. The deterioration of agricultural groundwater can be caused by insufficient management of pollutants in rural areas. 2. Agricultural groundwater uses for cultivation patterns □ Characteristics of cultivation sites and groundwater uses - Spatial characteristics of cultivation sites of Jinju-si show that the areas where farmland has been consolidated or arranged sites are generally clustered over a certain size, and are mainly developed in the low-lying areas near rivers or in the downstream areas of lak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eld areas, most of the fields were not arranged and distributed in mountainous areas. In the case of field areas where some fields were rearranged, they were distributed in the lowlands around rivers, - In areas where facility cultivation is clustered, groundwater development and use facilities are also densely distributed, whereas paddy fields or fields without arable land are generally distributed sporadically in mountainous areas, and groundwater facilities are also distributed similar to the distribution of farmland similar to the facility cultivation areas □ Groundwater use in water film cultivation facilities - For water film cultivation, the average daily use of groundwater per facility was reported as 64±11 m3/day, and the average groundwater consumption per well was 126±50 m3/day. Assuming that the water film operation period is 120 days during winter, the annual groundwater use for water film cultivation facilities is 573 million m3, accounting for 32.8% of the groundwater use for agriculture and fishery Ⅳ. On-Site Agricultural Groundwater Issues □ Big data analysis, field case review, field inquiry, and interviews with residents and public officials, and collecting expert opinions were done in order to derive on-site agricultural groundwater issues. □ Three major on-site issues are derived as follows. Firstly, the development of groundwater wells with a pumping rate of less than 150 ㎥/day increases for field farming and facility cultivation water supply. Secondly, the groundwater demand increases for high income crops. Thirdly, the concern about groundwater depletion for water film cultivation during winter. Ⅵ. Agricultural Groundwater Management Strategies and Tasks In Response to Issues □ This study suggests four strategies for agricultural groundwater management and several tasks for each strategy. [Strategy 1] Establishment of a groundwater use basis considering surface water based on water demand □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a demand-tailored surface watergroundwater complex model for riverside fields or facility complexes □ Promotion of public water supply for small-scale grouped groundwater well fields, facility cultivation, and smart farms (tentatively called ‘water supply project for areas with poor water supply’ or ‘field base maintenance reinforcement project’) □ Establishment of a watershed-level groundwater use and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e lack of soil moisture (agricultural drought) and river maintenance flow (environmental drought) [Strategy 2] Reinforcement of public manageme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wells and improvement of efficiency □ Implementation of the permit system for groundwater development and use facilities in fields or facility complexe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 Establishment of underground water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use such as water film facilities and geothermal heat □ Establishment of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to promote the linked use of groundwater wells □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operative governance for efficient use and management of collective-type groundwater wells [Strategy 3] Co-Benefit groundwater management through the Water-Energy-Food nexus access □ Improving the legal system and promoting technology demonstration projects to promote the installation of artificial groundwater cultivation facilities in water film facilities □ Promotion of promotion of suppl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geothermal heat, etc.) □ Pollution source management for the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high-quality agricultural groundwater □ Water-energy-food (agricultural) nexus policy model development and pilot project (tentative name 'Low Carbon Green Agricultural Complex') promotion [Strategy 4] Advanceme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information □ Measurement of actual agricultural groundwater usage using smart technology □ Full investigation of the usable capacity of the clustered groundwater facilities □ Information diversification for agricultural groundwater management

      • KCI등재

        통합 물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패러다임 전환과 정책방향

        현윤정,한혜진,Hyun, Yunjung,Han, Hye Ji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1 지하수토양환경 Vol.26 No.6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new paradigm for groundwater management which is compatible with integrated water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Three key roles of groundwater are defined for addressing water cycle distortion, high water stress, water quality degradation, aquatic ecosystems deterioration, and water-related hazards. Firstly, groundwat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ibuting soundness of water cycle as a component of water cycle. Secondly, it is a local water resource to ensure water supply sustainability. Thirdly, groundwater is an essential water resource for drought and emergencies. In order to support the groundwater roles, we propose a paradigm shift for groundwater management and policy directions towards integrated water management. The new paradigm consists of managements for sound water cycle on a watershed scale and groundwater environment(quantity, quality, and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s) managements for both human and nature. A prospective management also constitutes the new paradigm.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four policy directions in groundwater management. The policies emphasize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management of groundwater environment(quantity, quality, and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s), management of groundwater uses for water sustainability and security, and enhancement of groundwater publicity.

      • 오염지하수 관리 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현윤정,김윤승,안정이,이주연 한국환경연구원 2012 수시연구보고서 Vol.2012 No.-

        지하수는 산업화, 인구증가 등으로 개발·이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지표수에 비해 기후변화 등 외부요인에 대한 안정성이 큰 자원으로서 앞으로 지하수 이용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어 지하수 관리·보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하수는 일단 오염이 되면 매질 내에서 이동성을 가지므로 대수층 내 오염되지 않았던 영역까지 오염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지표수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확산 범위가 커지므로 사전예방적인 차원에서의 관리와 함께 사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오염지하수 관리와 관련된 법·제도, 관리체계 및 인력 등의 현황을 고찰하고 외국의 오염지하수 관리제도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오염지하수를 합리적·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1) 국내 지하수 오염 현황 먼저 우리나라의 지하수 오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하수법 상의 지하수 수질검사와 지하수 수질측정망을 통한 국내의 전반적인 지하수 오염 현황을 분석하고 일부 지역에서 실시된 지하수 정밀조사에 대한 사항을 살펴보았다. 2) 국내 오염지하수 관리 현황 분석 다음으로 국내 오염지하수 관리와 관련된 법·제도와 관리체계 및 인력 현황을 검토,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현행 지하수법에 명시되어 있는 오염지하수에 대한 사후조치는 (1) 지하수 수질검사결과에 따른 사후조치, (2) 지하수 수질측정망 결과에 따른 사후조치, (3) 오염지하수의 원상복구, (4) 오염지하수의 정화로 구분할 수 있다. 지하수 수질검사 결과에 따른 사후조치는 ‘지하수 수질기준 부적합 항목별 관리지침’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지하수 용도에 따라 오염물질별로 처리 절차를 달리하고 있다. 최종조치는 비음용의 경우, 염소이온과 수소이온 초과 시에는 이용중지를 권고하게 되어 있고 질산성질소와 그외 특정 유해물질의 경우는 수질개선 등의 조치명령이다. 음용수의 경우, 건강상 유해물질 초과 시 용도변경과 원상복구 등의 조치가 최종조치 명령이다. 여기에 부득이한 경우, 정수처리 후 음용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어 실제로는 수질기준 초과 시 용도변경을 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하수 수질측정망의 경우, 검사결과에 따른 사후조치는 행정조치 대상이 아니다. 또한 지하수법에서 수질불량으로 지하수를 개발·이용할 수 없는 경우는 해당 시설 및 토지를 원상복구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지하수법상 지하수오염유발시설의 설치자나 관리자에게 정화 명령을 내리도록 정하고 있다. 하지만 지하수의 정화는 토양정화사업의 부대사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지하수만 대상으로 단독정화가 이루어진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지하수는 다부처가 다수의 법에 의해 관리를 하고 있는데 지하수 오염조사 및 오염지하수 관리 등의 지하수 수질보전 및 관리, 정화 등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는 환경부의 상·하수도국 토양지하수과에서 관할하고 있다. 지하수법에 따른 지하수 업무 분장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지하수 관련 업무가 기초지방자치단체장에게 위임되어 있다. 관리인력 현황 조사 결과, 지자체 내 지하수 업무 전담조직을 갖춘 광역시·도는 서울과 제주특별자치도 2개이며 기초지방자치단체는 35개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지하수 담당 인력의 수와 경력을 조사해본 결과, 대다수 지자체의 지하수 담당 인력은 1명이었으며 6개월에서 2년 미만의 지하수 담당 경력을 가진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지하수만 전담하는 실무자는 전체 지하수 담당 인력의 약 38%(404명 중 153명)였다. 3) 외국 오염지하수 관리제도 분석 및 시사점 미국의 오염지하수 관리제도를 살펴본 결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지하수 정화계획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조사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가 잘 구축되어 정책 활용에 핵심적 자료로 이용되고 있었다. 또한 현재 운영 중인 시설에만 지하수오염 범위로 규제할 수 있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RCRA와 CERCLA에 의해 오염부지의 대부분을 정화대상에 포함되도록 하여 관리하고 있었다. 재원 부분에 있어서는 국가적차원의 정화기금을 마련하여 국고지원금으로 대부분의 정화를 수행하여 해결하고 있었다. 지하수 오염에 대한 효율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해 필요시 지하수 전문인력 조직을 따로 구성하여 이들의 자문 의견을 수집하고 정부기관의 프로그램 관리자들의 의사결정에 활용하도록 하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분변성 오염원과 같은 지하수 특정오염원에 대한 집중관리를 위해 급수 시스템의 오염취약성을 조사하고 위해도에 따라 주기적으로 의무적인 조사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4) 오염지하수 관리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수질개선 또는 정화 명령 등의 적극적인 사후관리에 대한 행정적인 조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법적 근거의 강화가 시급하다. 현행법 상에 지하수 오염에 대한 법적정의를 명확히 하고 지하수 오염을 포괄할 수 있는 오염 범위 및 정화 대상 등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토양오염을 동반하는 지하수 오염일 경우만 정화 명령을 내릴 수 있는 한정된 오염 범위는 토양오염과 상관없는 지하수 오염의 경우도 포함할 수 있도록 확대·보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수질불량의 판별이 모호하게 설명되어 있는 부분을 명확한 수질기준을 제시하여 수질불량으로 인한 원상복구 조치에 대한 규정을 수정·보완해야 할 것이다. 토양정화와 지하수 정화가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를 고려해볼 때, 토양환경보전법 상에 토양오염과 연계된 지하수 오염과 관련된 사항을 포함시켜 지하수정화의 법적 근거를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오염지하수 관리에 대한 의사결정 시스템이 필요하다. 지자체 공무원들이 오염지하수에 대한 행정적인 조치를 원활히 취할 수 있도록 지하수 전문가, 담당기관, 이해관계자,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의사결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후조치에 대한 현실적인 정책반영을 돕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는 오염지하수의 합리적인 사후조치 결정을 위해 지역의 지하수 이용가치 평가에 따른 지하수 관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소극적 조치와 적극적 조치 같은 차등화된 사후조치를 규정하는 관리등급제를 마련하여 등급별로 차등화된 관리가 필요하다. 그밖에 지하수 오염에 관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데이터 축적과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 지자체 실무자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오염원인자 판별이 어려운 지하수 오염특성에 따라 지하수 정화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며 정부 산하에 지하수 정화를 위한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중앙정부 주도의 관리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With increasing expectations on the critical role of groundwate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its proper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groundwater is grow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regulatory systems related to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in Korea and provide strategies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atu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contaminated groundwater based on the nationwide wellhead quality monitoring results and also presented an overview of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groundwater. (2) Current management practice of contaminated groundwater in Korea Under the Groundwater Law, once contamination is detected in a groundwater well and its use permit is suspended, there are various administrative order options available including to take prevent measures against further contamination and improve the water quality to switch to a new use class for which the quality standards to meet are more lenient (i.e., higher concentrations), or to close the wellhead. Decommissioning and use change are most popular mainly for their relative simplicity both for owner implementation as well as for agency oversight. Most local governments manage groundwater quality with a very limited number of staff, usually just one person with maximum 2~3 years of experience due frequent job circulation. As a result, they often lack the capacity and expertise needed for proper administr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3) Review of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in the U.S. We reviewed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of the United States. Keeping a longer-term perspective, the U.S. system focuses on making the groundwater remediation programs to be firmly based on the relevant data- and knowledge-bases. Historic groundwater contaminations are regulated by such programs, unlike in Korea, where regulatory efforts are limited only to the currently operating facilities. They are also heavily subsidized by national funds set aside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ites. Also, an advisory board of groundwater experts has been providing consulting in regards to the remediation programs. (4) Institutional support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 In order to initiate more rigorous contaminated groundwater regulation, firstly, it is of the foremost importance to provide clear, yet broader definition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the law. At the same time, ambiguities related with the quality standards and discordances with associated laws should be clarified. Secondly, government officers need to be provided with a decision support system. Thirdly, it is necessary to put a policy priority on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and design a management scheme based on a raking system. Lastly, an information systems support and a routine staff training programs are also necessary to effectively manage groundwater quality data. Considering the resource-intensiv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remediation,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rovide support both financially and through expert advisors group.

      • SDG6 이행 제고를 위한 지하수 분야의 국제동향 및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

        현윤정,김수홍,이정호,차은지 한국환경연구원 2023 환경포럼 Vol.269 No.0

        기후변화, 도시화, 산업화 등 다양한 사회·경제·환경적 여건 변화로 우리 사회의 물 위협 요소가 증가하면서 지구상 가용 담수량의 약 99%에 해당하는 지하수의 자원·환경적 가치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UN-Water는 2022년 세계 물의 날(World Water Day)의 주제를 ‘지하수: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GROUNDWATER: Making the Invisible Visible)'로 선정하고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제협력에 지하수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2022년에는 UN-Water를 중심으로 지하수에 대한 여러 국제회의 및 행사가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2022년 12월 7-8일에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유엔 물 서밋은 ‘지하수'를 주제로 하는 최고의 고위급 국제행사로서 그간의 국제회의·행사에서 도출된 지하수 관련 국제 이슈와 SDG6 이행 가속화를 위한 지하수 분야의 기여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본고에서는 물 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인 SDG6(물과 위생)의 이행제고를 위한 지하수 분야의 국제적 논의 동향과 협의 사항을 2022년 유엔 지하수 서밋(UN-Water Summit on Groundwater)의 의제와 주요 결과를 통해 살펴보았다. 유엔 지하수 서밋에서는 지하수가 SDG6 외에도 다양한 부문의 SDG와 관련이 있는 부문 교차적인 기초적 관리 요소임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곧 유엔 SDGs 이행을 제고하기 위해 지하수 인식 개선 및 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확대, 지하수 자원과 거버년스의 모니터링 및 자료 수집과 공유, SDGs 이행을 위한 지하수의 혁신적 관리 등에 국제사회의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으로 ICT 기반의 지하수 디지털화를 통한 혁신적 관리선도, 저개발국 및 개발도상국의 지하수 관리 기술 및 정책 지원, 아태지역 협력을 통한 지하수 거버년스 구축 등 세 가지의 대응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