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독립선언서와 행복추구권

        이영효 ( Young Hyo Lee ) 한국미국사학회 2017 미국사연구 Vol.46 No.-

        18세기에 유럽뿐 아니라 아메리카 영국식민지에서도 행복은 윤리와 정치의 영역에서 의심할 바 없는 중요 개념이었다. 미국독립선언문은 로크의 자연권 및 저항권 개념에 토대하여 식민지의 독립을 선언한 문서이며, 동시에 ‘행복’을 양도할 수 없는 권리이자 정부의 목적으로 공포한 세계 최초의 건국헌장이고 국가 공문서이다. 행복추구의 권리는 이미 버지니아 권리장전에 명시된 후 독립선언문으로 이어진 것인데, 제퍼슨의 행복 개념은 로크의 ‘사적 행복’보다 허치슨의 ‘공적 행복’에 근접했던 것으로 보인다. 로크의 ‘행복추구’는 본질적으로 개인의 영역이었고 재산의 습득과 보유를 통한 물질적 독립을 수단으로 했다. 로크가 말하는 행복 추구에는 공공 윤리에서 도출되는 자기희생이나 공동체에 대한 헌신의 개념이 없으며 사회적 행복 개념이 부재했다. 반면 제퍼슨은 로크가 정부의 목적을 재산권 보호라고 정의한 것과 달리 인민다수의 행복을 정부의 목적으로 정의했다. 이는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공리 원칙에 따라 정부는 인민의 자유와 행복의 보루가 되어야 한다는 ‘정부의 행복이론’을 반영한 것이었다. 인민의 공적 행복은 통치의 합법성을 가늠하는 정치적 척도였다. 즉 제퍼슨에게 행복추구권은 개인의 천부권이자 동시에 사회와 정부의 목적인 공공의 행복 추구를 의미했다. 그런데 독립선언문은 당시의 다른 권리 선언문들과 달리 유일하게 재산권을 천부권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로크는 생명, 자유, 재산 중에서 재산권을 최우선 권리로 보고, 인간이 재산과 독립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와 계약을 맺었으며 재산권이 정부에 선행하는 권리라고 정의했다. 그러나 제퍼슨에게 재산권은 생득적 권리가 아니라 계약 이후에 만들어지는 사회적 산물 즉 실정법상의 권리였다. 따라서 재산의 권리는 자유, 생명의 권리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것이었다. 제퍼슨이 독립선언문에서 재산권을 빼고 대신 행복추구권을 자연권으로 명시한 것은 정부가 개인의 재산권 보호보다 다수 국민의 최대행복을 달성하는 더 광범위한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제퍼슨은 신생국가의 방향이 ‘자유의 정치(politics of liberty)’와 함께 공적 행복을 추구하는 ‘미덕의 정치(politics of virtue)’로 나아가기를 희망했던 것 같다. 인민의 ‘자유와 행복’은 제퍼슨이 추구한 핵심 정치이념이었지만, 적어도 독립선언문에 담긴 제퍼슨의 생각은 개인의 자유와 재산권을 중시했던 로크식 자유주의보다는 공공의 선(善), 인민의 최대행복을 지향하는 허치슨의 공화주의 이념에 더 맞닿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 concept of happiness in ethics and politics was important in Europe and in the British colony in America.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declared the independence of colonies, based on Locke’s theory of government and natural rights. Also it was the first national charter and official document which declared the right of pursuing happiness as an inalienable right. The right of pursuing happiness was manifested in Virginia Declaration of Rights and reappeared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concept of happiness by Thomas Jefferson was similar to Hutcheson’s public happiness rather than Locke’s private happiness. Locke described much of individual happiness which could be achieved through material independence of property acquisition and retention. There was no concept of self-sacrifice or commitment for public welfare which can be drawn from public ethics. While Locke defined the purpose of government as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Jefferson defined it as the greatest happiness of people. Jefferson’s idea was based on the utility principle of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of people’ and ‘happiness theory of government’ which states the government as the bulwark of people’s liberty and happiness. Public happiness is the political measure of validity of government. To Jefferson, the right of pursuing happiness was natural right of an individual and also meant achieving public happiness as the purpose of society and government. Unlike other declaration documents at that tim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excluded property right from natural rights. Locke put the property right as the foremost right among life, liberty, and property. He argued that people made a contract with government to protect their independence and property thus property right precedes government. But Jefferson defined property right not as an inherent right but as a social product and a right of positive law. The intention of Jefferson who replaced property right with the right of pursuing happiness seems that he asked the government to perform wider duty of achieving the greatest happiness of multitude rather than limiting to protect individual property right. Jefferson hoped a new republic to head towards ‘politics of virtue’ for public happiness with ‘politics of liberty’. People’s liberty and happiness was the essential political idea of Jefferson, but at least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is philosophy was closer to Hutcheson republicanism of public happiness rather than Lockean liberalism of individual liberty and property right.

      • KCI등재

        명품의 로고 현저성 - 보이고 싶은 사람 vs. 감추고 싶은 사람 -

        윤성욱 ( Yoon Sung-wook ),김혜란 ( Kim Hye-ra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명품을 소비하고 선택할 때, 명품브랜드의 로고 현저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절변수인 공적자기의식, 개성추구성향, 브랜드지식의 조절효과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명품의 로고 현저성(높음/낮음), 공적자기의식(높음/낮음), 개성추구성향(높음/낮음), 브랜드지식(높음/낮음)으로 구성된 집단 간 실험설계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명품브랜드의 로고 현저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공적자기의식, 개성추구성향, 브랜드지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각 각의 조절역할을 하는 변수들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로고 현저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공적자기의식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개성추구성향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지식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도 유의한 결과가 나와 가설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의 요약과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 기여와 시사점들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함께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luxury brand on the purchase intention when the consumers select and consume luxury product. It was intend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such situation according to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propensity of pursuing the personality and the brand knowledge, which are the moderating variable. To do that, the experimental design between the groups composed of luxury brand prominence (high/low), public self-consciousness (high/low), propensity of pursuing the personality (high/low) and the brand knowledge (high/low) was performed with th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Busan region. I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having mediating effec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propensity of pursuing the personality and the brand knowledge according to the logo prominence of luxury br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the logo promin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has different influence if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is high or low. The propensity of pursuing the personality also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brand knowledge was selected because i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n it is high or low. This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contribution an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together with the limitation of research.

      • KCI등재

        정치적 이슈에 관한 TV 시청이 사적/공적 의견 표명에 미치는 영향

        허윤철 ( Yun Cheol Heo ),임영호 ( Yung Ho Im ),조윤용 ( Yoon Y. Cho ) 방송문화진흥회 2019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20 No.2

        이 연구는 2016년 사드 배치 이슈와 관련한 정보추구적 TV 시청이 수용자들의 주관적 정치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정치적 이슈에 관한 사적 의견 표명과 공적의견 표명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이슈와 관련된 정보추구적 TV 시청은 주관적 정치지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주관적 정치지식은 사적 의견 표명과 공적 의견 표명에 대한 태도에 모두 긍정적 효과를 미쳤다. 또한 주관적 정치지식이 높아질수록 사적 의견 표명과 공적 의견 표명에 대한 태도의 격차가 커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수용자의 주관적 정치지식이 공적 의견 표명보다 사적 의견표명에 대한 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information-seeking television viewing, regarding the issue of the US deployment of THAAD missiles in Korean territory, affects citizens’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and then influences their attitudes toward opinion expression both on the private and public level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information-seeking television viewing exerts positive impact on the subjective knowledge. Also,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has positive impact on the opinion expression both on the private and public levels. The attitudes of audience tend to be relatively more positive to the private opinion expression than public one. As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increas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ttitudes to the private and public expression strengthens accordingly. In other words,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has stronger influences on the private expression than on the public on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lso explored.

      • KCI등재

        명품의 모방 브랜드, 약인가? 독인가?: 소비자 특성 및 제품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청림(Lee, Cheong-Lim)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2

        최근 명품열풍으로 의류나 장식품, 화장품 등을 비롯한 패션 미용품 시장으로 모방제품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모방브랜드는 불법 복제품과는 달리 명품을 그대로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명품의 외형이나 테마 등을 모방하고 있다. 독립적인 브랜드를 갖고 있는 제품이긴 하지만, 해당 명품브랜드를 인지하고 있거나 소지하고 있는 고객입장에서는 명품을 모방한 제품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식을 줄 수 있으며, 더 고급인 제품을 모방했다는 사실은 모방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명품브랜드의 모방이 명품브랜드(피모 방브랜드)와 모방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모방정보 노출 전과 후에 명품브랜드와 모방브랜 드의 태도를 각각 측정하여 모방사실 인지로 인한 태도변화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모방정보는 명품브랜드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모방브랜드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과시추구 소비자의 경우 모방정보에 노출이 되면, 모방브랜드 뿐만 아니라 모방을 당한 명품브랜드의 태도도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행추구 소비자의 경우 명품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변하지 않지만, 모방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모방정보 노출에 따른 브랜드 태도 변화가 제품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유형을 사적소비 제품과 공적소비제품으로 구분하였으며, 실증분석결과 제품유형에 관계없이 모방사실을 알게 되면, 모방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명품을 모방하는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방브랜드는 기업에게 약이 아니라 독이 된다는 사실을 시사해주고 있다. 특히 명품구매의향이 높은 과시추구 소비자들은 모방브랜드보다 명품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기업의 모방이 명품브랜드의 이미지에 타격을 가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방은 제품유형에 관계없이 모방한 기업의 브랜드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기업들은 유념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imitation and counterfeiting is a major issue for luxury brands. In addition to illegal counterfeits and fakes, luxury brands are confronted to products that look similar to their own items. These me-too brands, unlike illegal counterfeits, do not simply counterfeit a luxury product but imitates the exterior, themes, etc. Me-too product, although having a distinctive brand, can give the impression that it is nothing more than a luxury goods-imitating product. And the fact of imitating a luxury product can affect the brand attitude or intent to purchase of me-too brand. So, this research has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 of luxury brand imitation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luxury brand (imitated brand) and the me-too brand(imitating brand). The results show that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 has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me-too brand but in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luxury brand. The effect of consumer typ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snob consumers, that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 has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luxury brand and me-too brand. However, in the case of bandwagon consumers,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 has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me-too brand but in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luxury brand. In additio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ffect of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 on the change of brand attitude by product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product type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due to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generally have negative attitude for a me-too brand, which implies that a me-too brand is not a panacea but poison to companies. In particular, for snob consumers who have stronger intent to purchase luxury goods, there is negative e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 luxury brand. It means that imitated luxury brand can be hurt their brand image to their target consumers.

      • KCI등재

        '지금 여기에서’ 생산연구라는 주제와 문제의식을 복기하기: 저널리즘과 비판적 생산연구와의 결합을 중심으로

        이기형,황경아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0 No.-

        For almost two decades, production studies has been actively pursued in South Korean media fields mainly by a number of cultural studies practitioners. This collective work is an alternative form of intellectual-critical research through which like-minded scholars come to chart new ways of illuminating the inner culture, values, and embodied labor in media cum cultural institutions. By articulating textual analysis, ethnographic work, archival research, theoretical resources, and in-depth interviews, cultural studies scholars attempt to track down key micro dynamics as well as crucial institutional conventions and norms which formatively shape cultural contents and work-related values from an alternative perspective.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4 types of projects undertaken by fellow cultural studies scholars whose research collectively presents significant insights and crucial intellectual contribution for articulating journalism and critical production analysi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정책(文化政策)이 행복(幸福)에 미치는 영향(影響)

        이륜희 ( Lee Yun H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인간이라면 누구나 염원하는 행복이란 무엇을 말함인가라는 논제에 대한 고찰을 시작으로 가치 있는 삶,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라는 화두에 대해 시종일관 생각해야 했다. 우리사회는 인간의 내면세계인 道德과 自由보다는 오히려 物質과 富나 心理 狀態 등 외부적인 자극에 의해 행복이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행복은 개인적 문제가 아닌 사회전체의 문제로 직결되어 있음도 알게 되었다. 국가나 사회 체제가 개인의 행복 증진에 기여해야 한다는 논리가 엄청난 설득력을 가지고 부각되고 있다. 개인의 행복과 공공의 행복, 개인의 욕구충족 너머에 또 다른 행복의 가능성을 인간의 존재 그 자체에서 찾았다. 영국의 레스터大學이 조사한 국민행복지수에 의하면, 미국은 1인당 GDP가 46,208달러(2007년)로 세계1위이지만 국민행복지수 순위는 23위에 머물고, 부탄은 1인당 GDP가 1,200달러의 가난한 나라임에도 국민행복지수는 8위로 주목받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2004년 이후 주 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였다. 그 이후 사회 구성원들은 일이외의 영역이 오히려 삶의 보람과 기쁨을 증진시켜주는 요소임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일과 여가의 조화가 실현되는 사회가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도덕은 삶을 사는 최상의 방식과 어떻게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대우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을 의미 한다. 행복은 사적인 것인가? 그리하여 그것은 엄숙한 공적인 의무에 위배되는 것인가? 욕구충족과 정체성, 행복과 도덕적 의무 등 행복의 본질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나아가 문화정책이 행복에 개입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thesis attempted to inquire the meaning of happiness which human beings have continuously pursued for themselves and the effects of the cultural policy which authorities concerned have promoted to extend feelings of satisfaction of the people. Men have focused their attentions of finding the ways to the true and decent life for how to live and how to attain. It is known that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on the top class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 is 23rd grade in the global index of sense of happiness, while Bhutanese people is 8th in the index though its GDP is on the lowest level. Sense of self-sufficiency leads to the ways to the refreshing happiness. I tried to trace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conception on eudaemonism including individual happiness and public welfare. Main point is that the justice of individual behaviors must be related to the public goods.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should be achieved under the control of moral legality.

      • KCI등재

        文化政策이 幸福에 미치는 影響

        이윤희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This thesis attempted to inquire the meaning of happiness which human beings have continuously pursued for themselves and the effects of the cultural policy which authorities concerned have promoted to extend feelings of satisfaction of the people. Men have focused their attentions of finding the ways to the true and decent life for how to live and how to attain. It is known that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on the top class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 is 23rd grade in the global index of sense of happiness, while Bhutanese people is 8th in the index though its GDP is on the lowest level. Sense of self-sufficiency leads to the ways to the refreshing happiness. I tried to trace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conception on eudaemonism including individual happiness and public welfare. Main point is that the justice of individual behaviors must be related to the public goods.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should be achieved under the control of moral legality. 인간이라면 누구나 염원하는 행복이란 무엇을 말함인가라는 논제에 대한 고찰을 시작으로 가치 있는 삶,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라는 화두에 대해 시종일관 생각해야 했다. 우리사회는 인간의 내면세계인 道德과 自由보다는 오히려 物質과 富나 心理 狀態 등 외부적인 자극에 의해 행복이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행복은 개인적 문제가 아닌 사회전체의 문제로 직결되어 있음도 알게 되었다. 국가나 사회 체제가 개인의 행복 증진에 기여해야 한다는 논리가 엄청난 설득력을 가지고 부각되고 있다. 개인의 행복과 공공의 행복, 개인의 욕구충족 너머에 또 다른 행복의 가능성을 인간의 존재 그 자체에서 찾았다. 영국의 레스터大學이 조사한 국민행복지수에 의하면, 미국은 1인당 GDP가 46,208달러(2007년)로 세계1위이지만 국민행복지수 순위는 23위에 머물고, 부탄은 1인당 GDP가 1,200달러의 가난한 나라임에도 국민행복지수는 8위로 주목받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2004년 이후 주 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였다. 그 이후 사회 구성원들은 일이외의 영역이 오히려 삶의 보람과 기쁨을 증진시켜주는 요소임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일과 여가의 조화가 실현되는 사회가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도덕은 삶을 사는 최상의 방식과 어떻게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대우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을 의미 한다. 행복은 사적인 것인가? 그리하여 그것은 엄숙한 공적인 의무에 위배되는 것인가? 욕구충족과 정체성, 행복과 도덕적 의무 등 행복의 본질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나아가 문화정책이 행복에 개입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인터넷 토론 공론장의 분화

        박근영,최윤정,이종혁 한국언론학회 2013 한국언론학보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을 토론 공간과 주제의 성격에 따라 유형화하고, 서로 다른 유형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 데에 있다. 토론 참여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허위 공중, 잠재적 공중, 이슈 공중, 전통적 공중 등 4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 가운데 사적 토론방에서 사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잠재적 공중이 공적 토론을 시도하는 이슈 공중으로, 더 나아가 공적 토론방에 참여하는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따라서 토론 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치적 특성, 토론방 이용 동기, 토론방 이용 정도,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의 변인들을 사용해 유형 집단 간 차이를 예측해 보았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잠재적 공중과 이슈 공중 간에는 정치 관심도, 의견 교류 동기, 친밀감, 공동체의식 등이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들 요인들이 강화되어야 잠재적 공중에서 이슈 공중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슈 공중이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하는 데에는 정치 강도와 정보추구 동기가 강화되어야 하는 반면, 오락추구 동기와 토론방 이용 횟수는 감소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돌봄노동의 의미와 특성

        홍세영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1

        The present study illustrated the experiences of workers in long-term care setting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formal long-term care services.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metho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9 subject, 24 sub-subject and 29 meaning units. This result is follow. First, the formal longterm care labour define as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ervice. Heart work, agency work and Pride of work by analysis suggested that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ervice is more important than the technical service in long term setting. It acts on the Health of the elderly considerly. The Second, It substitutes informal care. The formal long term care is fulfilled on role of family, friends and last lifetime partner. Thirds, it is the work of the partnership of female and male. In long term care setting, there are divided from them. The formal elderly care need men according to heavy physical labor or sexual dementia patients. Women is required Bathing, changing their diapers. Last, it is humane valuable work. This labour is based on the spirits of dedication and commitment. This cause helps the staff in long term care setting in the maintaining providing the service. And they experience their inner world.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공적 노인 봄 노동의 의미와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질적연구로 지오르기(Giorgi) 분석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의미단위 총 39개, 하위구성요소 24개, 구성요소 9개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공적 노인돌봄 노동은 정서적․심리적 서비스 일, 비공식 돌봄 노동 대체하는 일, 여성과 남성의 협동적인 일, 가치추구의 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돌봄 노동이 여성적인 일, 감정노동, 성별화된 노동, 수발 부담 등 부정적인 측면에서 논의된 것과 다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노인 돌봄노동이 사회화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공적 돌봄 노동의 성격을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