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한국전쟁 정전 정책 고찰: 한국군 증강 정책을 중심으로

        손경호 한국미국사학회 2012 미국사연구 Vol.36 No.-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reality of U.S. policies for the ROK at the moment of armistice of the Korean War. The U.S. government had been reluctant to strengthen ROK forces due to urgent needs for current operations in 1950. By the way, the change of policy goal of the Korean war since the intervention of China caused the improvement of ROK Army. The initial movement was made by Commander of the 8th Army, Lt. General Van Fleet who was eager to strengthen ROK armed forces based on his concept to hide indigenous forces to replace U.S. soldiers. Improvement of the ROK Army got momentum since the launch of 20 Division Plan. Aggressive pursuit of U.S. government to double the ROK divisions to 20 was supported by President Eisenhower who promised to his voters to bring back their sons and husbands from Korea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1952.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ROK forces had been changed dramat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New Look. Eisenhower began to understand the ROK as an available military source that can be used for the new strategy. In the frame of New Look, allies were required to offer ground forces to cooperate with U.S. air and naval power.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the ROK forces, Eisenhower dispatched a special envoy, Dr. Tasca to get proper assesment of Korean economic situation and devise methods to strengthen ROK forces. The influence of the U.S. policy over South Korea was great. With vivid memoryof the war and the threat from North Korea, South Koreans had maintained a big army. The ROK government was able to keep the large army due to U.S. aids designed by Dr. Tasca. As a result, the ROK society could be regarded as a ‘great army society’ which had many soldiers in active duty in contrast to its small population. 이 연구는 한국전쟁 정전에 관한 미국의 정책과 그 정책이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미 정부는 전쟁 초반부 반격 및 북진을 위한 현행 작전의 여러 급한필요들로 인하여 한국군 증강에 대하여 무관심하였지만 한국전쟁에 중국군이참전하면서 정전으로 전쟁 목표가 변경되자 한국군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방침을 변경하였다. 한국군 증강은 제8군 사령관인 밴 플리트 중장의 주도하에 시작되었다. 그는 미국 병사들 대신 현지 한국군을 강화시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한국군 증강은 20개 사단 계획이 시행되면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이 계획을 지지하였는데 그는 1952년의 선거에서 유권자들에게미국의 젊은이들을 전장에서 돌아오게 하겠다고 약속하였었다. 한국군 증강은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뉴룩(New Look) 정책에 의하여 다른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아이젠하워는 한국을 미국이 활용할 수 있는 지역 내 군사력으로 이해하기 시작하였다. 뉴룩에서는 동맹국들에게 미국의 해ㆍ공군 전력에 협조하여 지상군 전력을 제공하도록 요구하였는데 아시아에서 한국이 미국의 중요한 군사동맹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이다. 아이젠하워는 이를 위하여타스카(Tasca) 사절단을 보내어 한국 경제의 현실을 진단하고 한국군 육성을 위한 적절한 방법을 모색해 보도록 하였다. 미국의 한국군 증강 정책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쟁에 대한 생생한 기억과 북한의 침략 위협에 한국인들은 대규모 군대를 유지하였는데 특별히 미국의 지원으로 인하여 한국사회는 대군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후 한국사회는 인구 규모에 비해 큰 군대를 유지하는 대군(大軍)사회의 특성을 지니게되었다.

      • KCI등재

        해방 전후 아더 번스(Arthur C. Bunce)의 활동과 미국의 대한정책

        안종철 ( Jong Chol An ) 한국미국사학회 2010 미국사연구 Vol.31 No.-

        본 논문은 해방 후 미군정과 한국전쟁 직전 대한민국에서 미국 측 경제책임자로 일했던 아더 번스에 대해 다룬다. 번스는 1928년 캐나다 YMCA에서 한국으로 파견되어 6년 동안 함흥을 중심으로 농촌사업에 종사하면서 한국의 농촌과 경제상황에 대해 인식을 얻게 되었다. 이후 그는 미국으로 돌아가 미국 중서부의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농업경제학을 공부하고 미국시민이 되어서 연방준비은행에서 일하게 되었다. 그는 해방 직전에 태평양문제연구회가 발간하는 저널에 한국문제에 관해 발표한 선구적인 글들에서 한국의 토지개혁과 공업발전을 주장했다. 해방이후 1946년 2월 한국의 미국무부 사절단의 단장으로서 번스는 존 하지의 미군정과 미국무부를 매개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는 미소공동위원회의 미국 측 자문위원으로서 활동하면서 중간파 육성, 미국의 원조, 그리고 산업개발에 착수할 것 등을 미 국무부에 강력히 주문했다. 그는 그것이 공산주의를 억제하는 효율적인 정책이라고 굳게 믿었다. 그러나 그는 하지와 이승만의 견제를 받으면서 자신의 구상을 충분히 실행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워싱턴을 꾸준히 설득하면서 미 국무부의 한국문제에 대한 관심을 끌어내면서 한국에 대한 경제지원을 약속받았다. 특히 그는 미국 경제협조처의 한국단장으로서 한국에 대한 미국의 경제지원과 경제부흥을 위해 일정한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활동은 한국전쟁의 발발로 사실상 종결되게 되었고 한국의 경제부흥에 대한 그의 구상은 1950년대 후반까지 연기되게 되었다. 그의 사례는 식민지에서 해방, 대한민국 건국에 이르는 시기에 미국과 한국의 만남의 인적 측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Arthur C. Bunce who, though now almost forgotten, was in charge of Korean economy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nd the early period of the Republic of Korea. Bunce obtained very sympathetic understanding of Korean rural situation and of Korean peasant’s poverty while working in Hamheung, Northeast Korea as a Canadian YMCA member for six years since 1928. Having returned to the US, he studied agricultural economy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and obtained Ph. D. degree. He began to work at the Federal Reserve Board after being naturalized into US citizen. He published two articles in the Journal published by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IPR) at the end of the World War II in that he argued that Korea needs land reform and industralization. The argument was very prescient for the future of Korea.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in February 1946, he became chief economic advisor to John R. Hodge, commander in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while leading State Department officials in South Korea. His role was to mediate between the USAMGIK and the State Department. Bunce was chief advisor to American part in US-USSR Joint Commission as well. With this position, he tried to persuade the State Department to support the Left-Right coalition movement, American economic aid, and Korean economic development, etc. He firmly believed that his ideas would effectively frustrate communist’s schemes in North and South Korea. Unfortunately, he was checked by Hodge and later Syngman Rhee, the limit that he was not able to fully overcome. Overall, however, with his persuasion of State Department officials, Bunce arouse the importance of Korea in the coming Cold War confrontation and succeeded in securing economic aid from the US government. Moreover, he became chief in Korean Section of the Economic Cooperation Adminstration (ECA), the position that enabled the Republic of Korea to pacify economic inflation and to deal with full economic recovery just before the Korean War. Ill-fated, his role ended de facto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so that the economic rehabilitation was postponed until the end of 1950s. The case of Bunce reveals one of human dimensions of the Korean-American relations from the end of colonial period and the beginning of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대학의 미국사 교육의 현황과 제언

        김정은 ( Kim Jeong-eun ) 한국미국사학회 2023 미국사연구 Vol.57 No.-

        한국미국사학회는 1989년 시작한 이래 미국사 연구와 미국사 교육에 앞장서 왔다. 본 논문은 현재 각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사 교육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가 앞으로 미국사 교육에 대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2023년부터 1월 31일부터 2월 6일까지 한국미국사학회 학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최근 3년(2020년~2023년 2월)을 기준으로 하여 각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학원 수업, 학부전공수업, 그리고 교양수업의 현황을 각각 설문했다. 오래전부터 역사교육학자들은 강의식 수업을 비판하며 그에 대한 대안으로 내러티브 수업방식을 강조해왔다. 현실적으로 서양사와 미국사에 대한 역사적인 기본 지식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대학에 들어오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토론 수업과 내러티브 중심의 수업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어려운 일일 것이다. 대신 강의식 수업의 단점을 보완하고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학습이 익숙한 Z세대 학생들을 위해 수업시간에 동영상과 사진 등 다양한 수업 자료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새로운 시대에 대한 학습을 진행할 때 그 시대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제시하고 그 시대의 중요한 개념을 세세히 설명해주는 방식을 통해 수업의 이해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한편, 미국사 수업 진행 과정에서 강의자는 역사 내러티브 템플릿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내러티브 템플릿의 방식으로 학생들이 역사를 이해할 때는 노예해방, 여성, 노동자, 소수인종,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확대 과정을 배우면서 지속적인 팽창과 자유이데올로기의 확립과 같은 기존의 템플릿에서 벗어나는 사건을 접하게 되면 학생들은 이를 단순화 시켜 ‘자유와 진보의 역사’라는 템플릿에 끼워 맞춰 이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역사교육방법론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미국사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역사적 지식을 단순화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역사 내러티브 템플릿이 가지는 문제점을 학생들에게 주지시키고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최근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이 늘면서 학생들은 수많은 정보를 접하게 되고 학생들은 이러한 정보들 속에서 비판적 사고와 판단력을 가지고 정보를 해석하고 평가해야 한다. 비판적 사고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토론과 글쓰기 훈련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나 학생의 수가 많아 실제 수업에서 토론을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 팀즈나 구글 클래스, 줌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토론 수업을 대체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쓰기 훈련에서는 그 시대를 이해하기 위해 특정 인물이 되어 글을 쓰게 하는 방법과 특정주제를 두고 찬성과 반대의 글 모두를 다 써보게 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교육 방식으로는 학생들의 온전한 이해를 돕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학생들의 역사 이해의 폭을 넓히는 방법으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VR과 같은 기술들을 수업에 연계시키는 방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학생들에게 더 나은 역사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The Korean Society of American History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American history research and American history education since its inception in 1989.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American history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American history education. From January 31, 2023 to February 6, 2023,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f American History were surveyed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graduate classes, undergraduate majors, and general education classes at their respective universities based on the last three years (2020 to February 2023). History educators have long criticized lecture-based teaching and emphasized narrative pedagogy as an alternative. Realistically, it would be difficult to teach debate and narrative-oriented classes to college students who attend college without any basic historical knowledge of Western and American history. Instead, we will ne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lectures and utilize a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such as videos and photos, in class for Gen Z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learning through digital media. Furthermore, when learning about a new era, it is necessary to present keywords that represent the era and explain important concepts in detail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lesson. On the other hand, when teaching American history, instructors should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historical narrative templates and work to overcome them. However, history pedagogues have pointed out that when students understand history through the narrative template; and when they encounter events that deviate from the existing template, such as the emancipation of slaves, expansion of the rights of women, laborers, racial minorities, and Native Americans, and continued expansion and establishment of liberal ideologies, they tend to simplify them and fit them into the history of freedom and progress template. Therefore, in order to recognize this problem and prevent students from simplifying historical knowledge in U.S. history classes,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aware of the problems with historical narrative template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think critically.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use of digital media, students are exposed to a lot of information, and they need to use critical thinking and judgment to interpret and evaluate this information. The best way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is to engage students in discussions and writing exercises, but if the number of students makes it difficult to hold discussions in class, you may want to consider using applications, such as Teams, Google Classes, or Zoom, to replace class discussions. When it comes to writing, you may want to consider having students write as a charac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time period, or have them write both pro and con arguments on a particular topic. Finally, since narrative pedagogy can only take students so far, you should consider incorporating digital, media, content, and VR technologies into your lessons t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history. With these various methods,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provide better history lessons to students.

      • KCI등재

        미국에서의 한국전쟁 기억하기: 기억의 정치화

        하성호 ( Ha Songho ) 한국미국사학회 2023 미국사연구 Vol.57 No.-

        이 논문은 미국에서 한국전쟁이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글이다. 그 방법으로서 역사가들의 책과 논문, 그리고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대학교 교과서 6종류와 가장 잘 알려진 한국전쟁에 관한 4개의 기록영화를 분석하였다. 저자가 이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미국에서의 한국전쟁의 기억은 미국/남한을 한 축으로 하고 소련/중국/북한을 다른 축으로 하는 적대적 관계에 의하여 정치화되었다는 것이다. 이 관계가 근본적으로 적대적인 한 미국 내에서의 한국전쟁의 기억과 연구는 전쟁의 기원과 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한국전쟁이 종전된 것이 아니라 휴전으로 중단된 것이고, 이론적으로는 언제든지 재개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군사적 집단은 한국전쟁 발발의 책임을 상대편으로 넘기는데 집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미국학자들은 한국전쟁의 원인은 공산주의 세력을 아시아로 확장하기 위하여 소련, 중국, 그리고 북한이 합작하여 남한을 침공한 것이고, 미국의 참전은 공산주의 세력의 확장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윌리엄 스툭(William Stueck) 이 이러한 주장을 펼치는 대표적인 학자이다. 이러한 적대적인 해석이 대학교 교과서와 기록영화들에도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부분의 교과서와 기록영화들 역시 전쟁의 원인과 발발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그런데 2019년에 PBS를 통해 방송된 기록 영화 “한국: 끝나지 않은 전쟁(Korea: The Never Ending War)”는 전쟁의 원인과 발발보다는 한국전쟁이 끝난 후 남한과 북한의 계속된 적대적 정책과 특히 1990년대 이후의 북한의 핵프로그램 개발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 기록영화는 1990년 초반 이후의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군사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북한이 1990년 초반부터 핵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해서 그 무기체계를 다양화하고 고도화시켜 왔는데 그 결과 두 개의 군사집단의 대결이 어떤 면에서는 의미가 없는 상태에 이르지 않았는가 하는 추측을 할 수 있다. 즉, 북한의 핵능력이 고도화되어서 실제로 미국 본토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한반도에서 과연 전쟁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가 하는 회의감이 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군사적 변화는 한국전쟁연구의 무게중심을 전쟁의 원인과 발발이 아니라 전쟁 포로, 휴전 협정의 과정,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인한 국제관계의 변화 등과 같은 다른 주제로 옮겨가리라고 전망할 수 있다. 2015년 이후 그러한 변화가 어느 정도 보이는데 특히 모니카김(Monica Kim)의 책 『한국전쟁의 심문실: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The Interrogation Rooms of the Korean War: The Untold Story)』(2019)는 좋은 예이다. 이러한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적·군사적 환경 의 변화에 기인한 한국전쟁 연구의 방향 전환은 한국전쟁의 기억의 변화도 유도하리라고 전망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the Korean War is remembered in the United States by analyzing historiography, college textbooks, and documentary films. Specifically, it argues that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has been highly politicized because of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South Korea and North Korea/Russia/China. While the relationship has remained fundamentally hostile since the 1950s,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in the United States has mainly focused on the causes and outbreak of the war. This wa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military reality that the Korean War was suspended in 1953 with a truce rather than a peace treaty. Thus, the opposing sides have continued to justify their actions before and during the war by assigning responsibility for its outbreak to the opposite side. Most American scholars have argued that the war was caused by the coordinated efforts of Russia, China, and North Korea to spread communism into Asia, and justified US involvement in the war as an effort to defend the free world from communist expansionism. William Stueck is currently the most outspoken proponent of this argument. This hostile interpretation underlies the narratives in many college textbooks and documentary films about the Korean War. Most of them, like historian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auses and outbreak of the war. However, the recent documentary film titled “Korea: The Never Ending War” (PBS, 2019) suggests that this hostile interpretation might be challenged. Rather than examining the causes of the Korean War, the film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Korean War is not over, and how, in response,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nuclear program. The film’s focus reflects a changed political and military reality after the 1990s. Indeed,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development since the 1990s makes the assumption of a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ides somewhat irrelevant. The 1953 Korean Armistice Agreement that suspended the Korean War suggested that the war could resume at any time. Realistical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agine that a war could break out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when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y has achieved such deadly and sophisticated levels as to threaten the U.S. mainland. This military and political reality necessitates a shift in the focus of the research on the Korean War, from its causes and outbreak to other topics, such as the war’s consequences for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prisoners of war (POWs), the process of the truce treaty, and other topics. This shift is somewhat reflected in new scholarship since 2015, which includes Monica Kim’s study on POWs that was published in 2019. Furthermore, this change in scholarship on the Korean War would reorient the much-politicized memory of the Korean War.

      • KCI등재

        한국전쟁기 미국 정부의 자국민 소개계획

        박영실 한국미국사학회 2020 미국사연구 Vol.52 No.-

        이 연구는 한국전쟁 발발 직후 6월 26일부터 약 60여 시간 동안 미국 정부가 한국내 거주하고 있던 미국 민간인, 정부기관 관계자 1,500여 명과 주한 외국인들을 일본 등 다른지역으로 소개(疏開)한 과정을 확인하였다. 이 작전은 ‘주한미군사고문단-주한미사절단의 미국인 소개계획 (KMAG-AMIK Plan for the Evacuation of American Nationals, Short Title: AKE-50)’으로 한국전쟁 발발 전 준비되었지만 워싱턴으로부터 승인받지 못하고, ‘New Draft Plan (AKE-50)’으로 실행되었다. 이 작전은 주한 미국 대사이자 주한미사절단(American Mission in Korea: AMIK) 단장인 존 무초(John J. Muccio)가 책임자였고, 주한미군사고문단(Korean Military Advisory Group: KMAG), 합동행정국(Joint Administrative Services: JAS)도 작전에 참여하였다. 미국은 한국 정부가 수립되기 전인 1947년부터 한반도 긴급사태 발생 시 미국 민간인 여성들과 부양가족들에 대한 소개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그리고 1949년 6월 주한미군이 철수한 후 한반도 내의 내전 및 소련과의 단기전도 고려하면서 해상과 공중수송 등 다양한 방법을 준비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전쟁 발발 전인 1950년 6월 1일 기준 미국인들의 거주 지역, 이름, 소속, 연령이 포함된 명단을 작성한 상태였다. 미국인들의 소개작업은 5가지로 진행되었는데 첫째, 서울지역의 미국인들은 6월 26일 인천으로 이동한 후 선박을 이용하여 일본으로 갔다. 둘째, 여성들과 잔류해야 할 필수인원이 아닌 남성들은 27일 오전 김포공항에서 공수작전으로 일본으로 이동하였다. 셋째, 무초 대사와 함께 한국에 잔류하기로 한 인원들 외에는 27일 오후 김포공항에서 공수작전으로 일본으로 이동하였다. 넷째, 6월 27일 수원에서 시행된 공수작전은 주한미군사고문단 요원들과 경제협조처 요원들로 이들은 한국의 남부 지역에서 소개된 요원들이었다. 다섯째, 부산에서 수상선박과 공수작전으로 소개된 인원들도 있었다. 이렇게 소개된 사람들이 일본에 도착한 후 그 과정의 문제점을 제기하기는 했지만, 전반적으로 오랜기간 동안 작전을 준비해왔던 미국의 소개작전은 성공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미국 정부의 재외국민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국가와 국민의 관계에서 자국민을 보호할 국가 역할의 중요성을 한국전쟁기 미국 정부의 자국민 소개계획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onfirmed how the U.S. government evacuate 1,500 U.S. civilians, government officials and foreigners in Korea to other regions, including Japan, for about 60 hours from June 26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is operation was prepared with “KMAG-AMIK Plan for the Evacuation of American Nationals (Short Title–AKE-50)”, but it was not approved by Washington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the result it was carried out with ‘New Draft Plan(AKE-50)’. John J. Muccio,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and head of the AMIK(American Mission in Korea), was in charge of this operation, and KMAG(Korean Military Advisory Group) and JAS(Joint Administrative Services) als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The U.S. government has been working on an evacuation plan for U.S. civilian women and dependents in case of an emergency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1947, befo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And after the withdrawal of U.S. troops from South Korea in June 1949, U.S. was preparing various methods, including water and air transport, considering civil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hort of war with the Soviet Union. Also, the U.S. had drawn up a list of Americans on the Korean Peninsula, as of June 1st, 1950, prior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t included the residence, name, organization and age of Americans. There were five evacuative method of Americans: First, Americans in Seoul moved to Incheon on June 26 and then to Japan by surface vessel. Second, women and non-essential men moved to air lift operations from Gimpo Airport to Japan on the morning of the 27th. Third, Except for those who decided to stay with Muccio, they move to air lift operations in Gimpo Airport to Japan on the afternoon of the 27th. Fourth, the June 27 air lift operation in Suwon was carried out KMAG and AMIK agents, they were evacua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Fifth, there were evacuated in Pusan using surface vessels and air lift. These people raised the problem of the process after arriving in Japan, however the long-time preparing U.S. evacuation operation was a success,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U.S. government’s perception of citizens residing abroa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nation to protect its peop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people was confirmed through the U.S. government’s plan to evacuate its citizens during the Korean War.

      • KCI등재

        1910년에서 1930년까지 미국과 한국에서의 “베이비 쇼(Baby Show)”에 관한 소고

        이현주 ( Hyon Ju Lee ) 한국미국사학회 2017 미국사연구 Vol.46 No.-

        본고는 20세기 초반 미국과 식민지 한국에서 동시에 전파되었던 “베이비 쇼”에 대한 연구사 정리 논문이다. 1915년, 아동위생과(The Child Hygiene Division)가 신설되었으며, 같은 해, 미국 아동국(The U.S. Children’s Bureau)은 아동 복지 증진을 위한 전국적인 “우량아(Better Baby)” 캠페인을 처음으로 실시했다. 아동의 건강과 복리 증진을 향한 노력은 태평양 건너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국에서도 동시에 나타났다. 한국주재 미국인 선교사들이 우량아 캠페인 및 베이비 쇼를 한국에서도 전파했고, 그들의 노력은 1930년 말에서 1940년 일본이 강제적으로 그들을 추방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베이비 쇼가 미국 본토에서만 유행했던 현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한국에서의 베이비 쇼에 대한 연구는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정치, 문화, 과학, 사회적 분야에 걸친 다양한 분석들을 통해 미국에서의 베이비 쇼의 역사적 의미가 연구되어 온 반면 한국의 케이스에 대한 연구는 일부 학자들만이 주목했을 뿐이었다. 이에, 본고는 분절적으로 연구되어 온 한국과 미국의 베이비 쇼에 대한 연구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베이비 쇼에 관련된 미국과 한국의 연구사를 함께 정리함에 있어 본 연구는 현 연구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이 분야에 관련된 앞으로의 연구 향방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한다. 본고는 베이비 쇼를 다른 지역에서의 동시대 현상으로 보면서, 두 지역 간의 기원적 연관성과 상이한 발전 양상에 주목한다. 아동의 건강과 육아에 대한 관심의 기원을 19세기 말 신제국주의의 발달로부터 소급해 찾아야 함과 동시에, 제국주의라는 틀 안에서 국내외에서의 아동 건강과 육아의 문제를 함께 살펴 볼 필요가 있음을 본고는 제안한다. 한편, 본고는 종교적 영역을 넘어, 미국의 혁신주의 이상 및 과학 이론의 전파자로서 미국인 선교사의 역할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미국 측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는 젠더의 문제가 한국의 연구에서도 중요한 분석의 틀로 이용될 가치가 있음을 피력한다. In 1915, the Division of Child Hygiene was established, and that same year, the US Children’s Bureau launched its first national campaign for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the “Better Baby” campaign. Parallel interest in children’s health and well-being manifested in Japanese-occupied Korea in the mid-1910s. Foreign Christian missionaries, the majority of whom were Americans, initiated a Better Baby movement in colonial Korea and promoted “baby show” until coercively expell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the late 1930s to 1940. This article examines the parallel histories of these contests, or baby shows, in early twentieth century United States and colonial Korea. The historiography of the baby show in each region has developed asymmetrically. Understanding of the American side of the story has deepened with the accumulation of various analyses encompassing the political, cultural, scientific, and social dimensions of the rise in state and popular interest in children’s health. Meanwhile, except for recognition by a few Korean scholars, the case in colonial Korea has been largely neglect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ose the chasm between these disparate historiographies. Furthermore, this work concerns both the connected origin and the divergent growth and demise of the baby show in the two geographies. Focusing on the conceptual connection between the remote locales, this article suggests to see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missionaries as an important medium of secular progressive ideals and modern science (including eugenics) from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it argues for the necessity of exploring the history of baby show with the frame of the rise of new imperialism and increasing imperial interest in children’s health and motherhood, which was a world-wide phenomenon since late 19th century. Also, gender perspective, which many American scholars proved its importance to examine this part of history, has not been adopted into the study of Korean cases.

      • KCI등재

        전후 한국 영화에 등장하는 주한 미군의 이미지: 「지옥화」(1958)에서부터 「수취인불명」(2001)까지

        고동연 한국미국사학회 2009 미국사연구 Vol.30 No.-

        과연 영화 속 미군들의 이미지가 친미, 숭미, 반미 등 한미 관계의 다양한 국면들을 어떻게 반영하여 왔는가? 특히 연구에서 다루어지게 될 한국 영화에 등장하는 미군들의 이미지가 주한 미군과 양공주간의 일방적인 대결구도, 즉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로부터 어떻게 탈피하여 왔는가? 위의 질문들에 답하고자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2000년대에 만들어진 세 편의 한국 영화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첫 번째 영화는 한국 전쟁 직후 미군의 군사력과 원조 물자에 연명하였던 시절에 만들어진 신상옥의 「지옥화」(1958), 두 번째 영화는 장길수의 「은마는 돌아오지 않는다」(1991)이다. 특히 검열제도가 느슨해진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에 만들어진 장길수의 영화는 이제까지 반미적이고 국가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여겨져 왔던 소재들을 다룬 획기적인 작품이다. 이 시기에는 주로 남북한의 대결구도를 새롭게 해석한 반 이데올로기적인 영화들이 등장하였는데, 미군들은 전후 한국 영화에서 처음으로 한국의 통일을 저해하는 일종의 침략자로 그려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반하여 가장 독창적이고 때로는 논란을 일으키는 감독 중의 하나인 김기덕의 「수취인불명」(2001)은 등장인물 제임스를 통하여 비판적이고 전혀 새로운 미군에 대한 해석을 선보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역사적, 이데올로기적인 배경에서 등장한 영화 속 미군과 양공주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냉전 시대, 검열의 역사, 민족적 순혈주의, 그리고 반미 감정을 부추기거나 깊게 맞물려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 혼혈아 문제 등 전후 한국 사회의 주요한 역사적 리얼리티를 함께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차별받고 타자로만 여겨져 온 미군과 양공주의 대결 구도를 새롭게 해석하고 오히려 미군과 양공주간의 상호협력 관계, 그리고 그들이 한국 사회의 변방에서 살아가는 모습에 주목하고자 한다. 「수취인불명」에서도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난 바와 같이 전후 한국 영화 속에 등장하는 미군의 이미지를 통하여 친미와 반미의 논란으로부터 벗어나서 미군과 미국을 바라보는 새로운 영화적 담론을 만들어 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How have the figures of American military men in Korea emerged and been transformed throughout the history of postwar Korean cinema? How have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American GIs manifested the ever-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be more specific, how have the figures of American GIs in Korean films manifested changing perception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Korean military prostitute (called “Yanggongju”) and the American GI, cast in the conventional dichotomy as victim and aggressor, respectively? This study will look at three Korean films from the 1950s to the 21st century. The first is the 1958 film 「The Flower in Hell」, directed by Sangok Shin at a time when the Koreans relied heavily on American military power and economic aid for their basic sustenance during the immediate postwar period. The second film, directed by Gilsu Chang’s 「The Silver Stallion Will Never Return」(1991), offers evidence of less restrictive measures of government censors in response to materials or themes deemed to be anti-American and, therefore, detrimental to the national sentiment or national security. The period of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saw a surge of anti-ideological films that dealt with the divide between the north and south. These films increasingly portrayed the American GI as an unmistakable intruder in Korea’s unification. The final film is 「Address Unknown」(2001) by Kiduk Kim,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directors in Korea, and Kim offers a much more critical and creative interpretation of the American GI in the character of James. Through a close reading of American GI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Yanggongju” in these three films, which were made during different historical and ideological moments in Korea, I will revisit historical realities of Korea during the postwar years, such as cold war anxiety, the history of censorship, a return to pure-blood Nationalism, and the increasing visibility of the racially mixed offspring of American GIs and Yanggongjus that have consistently determined and intermingled with anti-American sentiment. In so doing, I will seek to reconfigure the rather depreciated and generalized perceptions of American GIs and Korean prostitutes as aggressors and victims and to provide the alternative readings of their collaborative relationship and shared marginal and awkward position in both Korean and American societies.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develop discourses on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American GIs beyond the division of pro- American and anti-American sentiment in the history of postwar Korean cinema, as most effectively captured in 「Address Uknown」.

      • KCI등재

        1945-1948년 미군의 대한 석유 정책과 “쓰리 시스터즈(Three Sisters)”

        권오수 ( Ohsoo Kwon ) 한국미국사학회 2018 미국사연구 Vol.47 No.-

        미국 정부와 석유 회사는 국제 석유 시장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매우 밀접한 관계를 형성해 왔다. 이러한 관계는 2차 대전 직후 미군이 점령하고 직접 통치한 한국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미군은 연합군최고사령관 총사령부의 통제 아래 한국을 미국 석유 회사가 생산한 석유 제품을 판매할 석유 시장으로 개편하였다. 미군이 이러한 정책을 취한 것은 동북아시아 정유 산업에 대한 전략적 이해와 함께, 미국 석유 회사가 운영하는 해외 정유 산업을 보호하고자 한 것이었다. 미군은 또한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한국에서 강제로 철수된 외국 석유 회사(“쓰리 시스터즈”)가 한국에 다시 진출하고, 한국 석유 시장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2차 대전 직후 미태평양사령부의 계획에 따라 외국 석유 회사는 석유고문단으로 한국에 다시 진출하였고, 미군정이 설립한 유일한 석유 통제 기관인 석유배급회사를 직접 운영하였다. 석유 회사는 미군정과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석유배급회사를 운영하였으나, 운영상 기본적인 인식의 차이는 분명했다. 석유 회사는 석유배급회사를 상업적 사업으로 인식하고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하였다. 반면, 미군정은 점령지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석유 제품을 공급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였고, 석유배급회사를 운영하는 데 있어 경제적 고려는 없었다. 미군정의 석유 정책으로 인해 석유배급회사는 석유 회사의 의도대로 운영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유 회사는 미군의 통제 아래 석유배급회사를 운영하였다. 석유 회사의 궁극적인 목적은 향후 한국에 직접 석유 제품을 공급하고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The U.S. government and oil companies have formed a close relationship in order to secure and maintain control over the world oil market. This relationship went on the same in Korea, which was occupied and controlled directly by the U.S. military immediately after World War Ⅱ. The U.S. military reorganized Korea into an oil market to sell petroleum products produced by U.S. oil companies under the control of GHQ, SCAP. The reason GHQ, SCAP took this policy was to protect the oversea refining industry operated by U.S. oil companies as well as its strategic understanding for the oil refining industry in Northeast Asia. The U.S. military also provided a base for foreign oil companies - “Three Sisters” forced to withdraw from Korea due to the Pacific War, to re-enter Korea and intervene directly in the Korean oil market. Three Sisters returned to Korea as the Petroleum Advisory Group under the plan of CINCAFPAC in the early days of occupation and they operated the Petroleum Distributing Agency established by USAMGIK. USAMGIK and oil companies operated PDA in close relationship. Howeve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basic awareness in operation. Oil companies wanted to operate PDA as a commercial business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On the other hand, USAMGIK prioritized the supply of minimum petroleum products to maintain occupied area, and they did not consider the economic considerations in operating PDA. Because of USAMGIK oil policy, PDA was not operated as intended by oil companies. Nonetheless, oil companies operated PDA under USAMGIK control.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oil companies was to make profits by supplying direct petroleum products to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베트남 전쟁과 물건의 기억: 임흥순의 ‘귀국박스’ 아카이브전들과 작업 (2008-2009)

        고동연 한국미국사학회 2012 미국사연구 Vol.35 No.-

        이완 월터스(Ian Walters)는 1997년 베트남 전쟁에 참여한 미군병사들이 소지하였던 지포 라이터에 관한 연구에서 특정한 물질문화가 역사적 배경과 시점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되고 다양한 의미를 부여 받게 되는 과정을 설명한 바 있다. 전쟁 당시 전장에 배치된 미군 병사들의 심리적인 압박감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표출하는 수단이었던 지포 라이터는 1975년 전쟁이 종료되고 베트남이 서방 세계에 개방되면서 관광객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소장품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이후 베트남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지포 라이터는 개인의 소장품일 뿐 아니라 중요한 역사적, 물질문화사적인 연구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 또한 ‘공식’적인 전쟁의 역사 대신에 잘 알려지지 않은, 혹은 잊혀진 개인사와 물질문화의 관점에서 베트남에 참전한 한국군인들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1964년부터 1973년까지 한국 정부는 미국 다음으로 많은 5만 명에 달하는 병력을 베트남 전쟁에 투입하였고, 베트남 파병은 1960년대 말 한국의 주요 기업들과 함께 주요한 외화벌이의 수단이었다. 이와 같은 역사적 배경 때문에 베트남 전쟁과 연관된 국내의 담론들은 파병의 정당성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데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는 거대 담론에 의하여 간과되어온 참전 군인들의 개인사를 고찰하기 위하여 한국 군인들이 귀국할 당시 자신들의 소지품을 담아서 국내에 보냈던 귀국박스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왜냐하면 귀국박스는 1989년 해외여행 전면 자율화 이전에 한국인들이 단체로 외국의 문물과 대중소비문화를 받아들였던 역사적 사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기획한 일민미술관에서의 전시 「여의도비행장에서 인천공항까지」(2011)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물건을 대여한 참전 군인들을 만나본 결과 귀국박스에 담기고 이제까지 보존되어온 물건들은 그들이 개인적으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을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주요한 문화적 사료라고 할 수 있다. 이이서 연구의 후반부는 2008년부터 귀국박스의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개인전을 개최하여온 임흥순 작가의 작업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임흥순은 귀국박스에 담겨져 있었던 참전 군인들의 사진, 편지, 훈장과 각종 물건에 대한 사연들을 아카이브 형식으로 나열한 「귀국박스」(2008)와 「월남에서 온 편지」(2009)의 전시들을 기획한 바 있다. 이들 전시에서 작가는 이제까지 베트남 참전 군인들의 사회적 의의가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점에 착안하여 사진 속 이미지가 희미해지는 「귀국박스: 무명용사 기념비」(2008)나 귀국박스 속의 외제 물건들로 한 밑천을 삼고자 하였던 참전 군인들의 수기를 담은 「전쟁구술사진」(2009) 연작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연구자는 임흥순이 과거 전쟁의 기억을 되살리기 위하여 인덱스(Index) 기법을 사용하는 과정에도 주목하고자 한다. 인덱스는 상징이나 아이콘과는 달리 지시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물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상징체계이다. 따라서 미술사에서 인덱스 수법은 사라져가는 기억을 되살리고 이에 대한 관람객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데에 있어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 파병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을 제공하고, 나아가서 과거 전쟁으로부터 파생된 물건과 물건에 대한 기억들을 현재의 시점에서 예술가가 새롭게 인 ... The Zippo lighter used by American military in Vietnam between 1967 and 1974 call for a revised approach toward the studies of material culture; its meaning is in a consistent state of flux, contrary to the traditional archeological explanation of an artifact as a conveyor of particular historical significance inherited from the past. As Ian Walters, the author of “Vietnam Zippos”(1997), argue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different personal and collective meanings attached to these lighters depending on where these objects have been situated and recovered - either in the middle of warfare, or in the hands of businessman as a collector’s item. This essay will use the example of material culture, especially personal belonging sent via “homecoming boxes(Guiguk Box)” of Korean soldiers as one way of investigating transient and ever-changing meanings of objects and material culture during the Vietnam war. Instead of ferreting out authentic meanings of these objects, this essay, however, use these artifacts or the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these objects as initiators of open and alternative historical knowledges and interpre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ed: rather than utilizing information from the history of war strategies and political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Vietnam war, this essay will concentrate on the daily lives, well-beings and even emotional states of ordinary Korean soldiers, who fought on the battlefield of Vietnam. As the Korean installation artist, Heung-Soon Lim has pointed out, the official discourse of the Vietnam War has overly been constrained within the grand history of warfares during the cold war.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stories about American PXs and black market to reconstruct the lives of Korean soldiers serving in Vietnam. Secondly, this essay will highlight the extremely greedy and materialistic nature of the Vietnam War. The American Government poured on unpreceded scale of materialistic resources in the Vietnam War to improve the situation of the American military - constructing huge recreation centers and American PXs on site. By observing consumer culture brought to Vietnam and the black market in Vietnam, I will look at how consumer culture was used by Korea soldiers to explain their limited perspective of everyday products; as Japanese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were pouring in the black market at Danang and Nha Terang in southern Vietnam. At the same time, most of ordinary Korean soldiers were not able to fully enjoy American and Japanese consumer and material culture as there had been limited venues and money to purchase these products. Most of small consumer goods stored inside “homecoming box” were sold out to illegal smuggler and merchants at the port as soon as they return from Vietnam. Finally, throughout this two exhibitions of <Homecoming Box> in 2008 and <The Letters from Vietnam> in 2009, the artist Heung-Soon Lim strived to recover material culture of Korean soldiers in Vietnam, in late 1960s and early 1970s. He juxtaposed official renditions of anti-communist ethos on the one hand, and writing and photographs of soldiers. The contents inside the <Homecoming Box> continuously attested their ambiguous position between the Vietnam, the colonized citizens, and American soldiers and consumerism. Furthermore, Lim has also used the method of indexicality as he engraved a Korean soldiers’s testimony related to the memory of consumer products, which can be also interpreted as indicating their unfulfilled hope for economic prosperity. This indexical sign enables the artist to demonstrate his way of bringing up memories of forgotten and marginalized soldiers of the Vietnam War in Korea. His interpretation of material culture enjoyed by Korean soldiers will demonstrate the way in which artistic intervention can open up a new theoretical framework of looking at past objects in the field of archeology, art history, and cultural studies.

      • KCI등재

        한국에서의 미국영어 교육의 변천과정 조망

        황영순 ( Youngsoon Hwang ) 한국미국사학회 2014 미국사연구 Vol.40 No.-

        한국의 영어교육은 미국과의 통상조약이 1882년에 체결되고 1883년 동문학에서 최초로 시작된 이후, 1886년 주한 미국공사관과 미국국방성의 협력을 받아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인 육영공원이 설립되고 미국에서 직접 교관을 초빙하여 영어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계속해서 미국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 사립학교가 설립되어 한국의 영어교육이 주도되었다. 19세기 후반 봉건시대의 구문화 위에 새롭고 이질적인 문화를 건설하려는 변혁에 있어 직접적인 자극이 된 것은 일본을 거쳐서 도래한 서구문화였고 그 선봉에 미국이 있었다. 그리고 8·15광복 직후 제1차 중등교육과정이 공포되기 전까지 미군정의 통치를 받게 되어 미군정청 학무국에서 교수요목을 제정한 교수요목시대에 영어교육이 다시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정부수립 후 지금까지 지향해온 교육은 미국영어 교육이었다. 한국의 영어교육 130년의 역사에서 미국의 역할과 영향이 얼마나 지대하였는지는 영어교육의 변천과정을 조망해 보면 이렇듯 여실히 드러난다. 미국의 역사는 자유를 멀리 확장해온 역사라고 했는데 덧붙이자면 영어확장의 역사 또한 그러하다. 경계가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계속 움직여가는 프론티어 정신으로 전 세계 어느 곳이든 영어를 가르치지 않는 고등교육기관은 찾기 어렵게 되었다. 이렇게 미국의 역사는 자유를 멀리 확장해온 역사이자 영어확장의 역사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개항이후 지속된 한미관계사의 한 측면에서 한국 영어교육사에 자리 잡은 미국의 역할과 영향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한국에서의 영어교육 변천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해보는 한편 앞으로의 영어교육의 이념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얻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의 미국영어교육은 구한말과 일본 침략기를 거쳐 미군정하의 교수요목 시기와 이후 대한민국의 독립적인 교육과정 시기를 맞게 되며 영어과 교육과정이 수립되고 발전한 내용이 제1차 교육과정시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시기까지 이어진다. 이 영어교육 과정을 돌아본 목적은 궁극적으로는 학습자에게 문화적 인식과 함께 높은 사회언어학적 능력을 앞으로 어떻게 키워줄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한국의 영어교육 과정을 돌이켜 보면 시대의 변천, 국제적인 정세, 미국의 영향력, 사회상황의 변화, 그리고 국력의 증강에 따른 국가적 정책 등으로 그 열의, 방법, 정책의 면에서 이에 상응하는 변화를 겪어왔다. 그러나 영어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그 결과에 대한 비판은 항상 있어왔는데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의 EFL 상황에 적합한 영어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부족에서 기인 된 것이며 이를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교육과정 제정에서 누락된 결과라고 본다. 앞으로 교육과정을 제정할 때는 사회 전체 구성원간의 합의나 정부의 영어교육에 대한 의지 및 재정적인 지원 등 여러 면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하겠으나 이제는 단순히 영어 교육의 현실적인 문제를 시정하는 데 그치지 말고 적극적으로 미래를 예견하는 교육적 대응과 구체적인 방안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교육이 일천한 역사를 가졌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아니라 오히려 앞으로 더 많은 연구 과제를 가지고 있다는 긍정적 측면을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연구를 발전시켜 나아가야 하겠다. This paper talks about what role the US has had through the American English learning/teaching, and how it contributed to the settlement and the development of proficiency of American English in Korea. It has been aiming for American English up to the present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right from the beginning; there were American teachers, special guest teachers for teaching English at the first modern school of Korea, and American missionaries who established very first private schools and taught Korean students American English through English in a small group using American school textbooks.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formulated the first plans for English education at Korean school before Korean government formation after liberation. Most of English educators and education policy decision makers of Korea adopted theories and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led by American scholars. This way English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riven by American ways all the time. It also survey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merican English teaching in Korea. It is divisible into three distinct periods; Dawning -the late period of Chosun(1883-1910), downturn -Japanese colonial era(1911-1945), development process -since 1945. This may help us to be equipped with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main issues in American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its implication for the language/culture education. English became the language of the global communication. Nowadays, English is not only the mother tongue of North Americans and English people, but has also become an international language or a Lingua Franca that most people in the world use for communication. The new paradigm of English education must combine global outlook with our local conditions. It would help students develop cross-cultural awareness. It is about time English education in Korea must take new pedagogical approaches into account and develop glocalized pedagogy, which bring a socioculturally situated perspective to the current pedag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