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1920-30년대 관광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박암종 ( Park Arm J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특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획일적이며 창의성이 부족한 관광문화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관광산업은 한 가지만 갖춰진다고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라 분야별로 짜임새 있게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가능하다. 관광을 활성화 시키는 주요한 관광인프라 요소는 교통, 숙박,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에 추가로 관광문화상품 같은 살거리가 빠질 수 없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지난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관광문화상품 속에 담긴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해 관광문화상품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연구방법은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 할 수 있는 객관적 분석틀 모형을 만들고 이에 대입하여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우리나라의 근대디자인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근현대디자인박물관의 소장품 중 1920-30년대에 생산된 관광문화상품 중에서 그룹을 지울수 있는 문화상품군(文化商品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쇄 및 후 가공의 마무리 수준이 매우 높다. 둘째, 한국적 전통소재와 지역적 특징을 잘 살려 타 지역과 차별화 하였다. 셋째, 신선한 아이디어를 돋보이는 자연친화적인 상품이 많다. 넷째, 장정이나 패키지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썼으며 사용설명문이 첨부돼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우리나라 관광문화상품디자인에 자극제가 되어 참신한 관광문화상품들이 생산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sign features shown on our modern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enhance the quality of our uniform and less creative contemporar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tourism industry can hardly be invigorated with a single solution; a well-organized promotion policy is required. The major essential infra elements for invigoration of tourism are transport, hotels, must-eat, must-see, must-enjoy, and tourism cultural commodities. All in all, in order to invigorate the tourism industry, it is deemed necessary to identify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by, help develop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o this end, this study produced an objective analysis model conduciv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however, limited to the modern design works produced during 1920's ~ 1930' and collected by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Design Museum reputed for its largest design collections in Korea; among them, the tourism culture commodity group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was sampl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ished quality after printing is very high; Secondly, the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well highlighted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Thirdly, man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feature fresh ideas, being environmental-friendly; Fourthly, much efforts were made for marks or package designs, with the background and brochure attached.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stimulate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that fresh tourism culture commodities would be produced actively.

      • KCI등재

        회원기고 : 자수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명준 ( Myung Joon Kim ),김현욱 ( Hyun Wook Kim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8 No.-

        문화상품이란 자국의 문화·역사적 요소 및 자원에 현재의 시대적 조건에 맞는 심미적 요소와 첨단 산업기술을 복합적으로 투입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동시에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응집된 상품을 뜻하며, 고부가가치 창조형 산업이면서 자국 문화의 고유성 및 특성을 세계의 보편문화와 조화롭게 결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의 전문성 및 창의력이 상품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작용하는 지식창조형 산업이다. 따라서 그 어느 산업보다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 및 고도의 문화 창조능력이 요구되는 21세기 유망 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상품에 대해 국가정부 차원에서의 인식 수준은 높으나 민간 자본의 유입과 협력관 계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반 구축은 미흡하다. 또한 서구의 상품 아이템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상품 개발이 추진 되고 있으며, 수공예적인 유사예술상품 및 지역토산품, 관광기념품 중심으로 상품이 개발되는 등 유용성과 경제성 중심의 신상품 개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통 자수는 우리의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차별성 있는 문화로 산업화하지 못한다면 국제경쟁력 시대에 대응하지 못하고 상실될 수도 있다. 중국과 영국의 도자기, 일본의 칠기 등과 같이 우리의 전통 자수도 우리 시대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으로 생산하여 발전될 수 있도록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Cultural Goods is a complex creating economical added value combining country`s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 with aesthetic element and industrial technology. Cultural Goods is not only a high value creative industry, but also a knowledge-creative industry creating new value combining country`s own cultural identity and uniqueness to the world. Therefore it`s a twenty-first century`s promising growth requiring cutting edge software technology and high-degree cultural creative ability than any other industries. Korea has a high level in national governmental cognition to cultural goods, but establishing foundation to private capital`s inflow and fostering of conciliation is insufficient. Product developments are being also promoted in the stage of imitating western items, and new-product development in financial-centrical aspect is very short due to product development focusing on handicrafted similar works of art, regional local products, tourism souvenirs.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is our valuable cultural heritage projecting our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Without being industrialized with differentiated culture, it could be lost without counteracting to international competitive period. We have to develop our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as Cultural Goods fit to our period like ceramics of China and England, wooden lacquerware of Japan, etc.So we have to study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can be produced and developed as globally excellent Cultural Goods.

      • KCI등재

        몽골 울란바토르 도시 랜드마크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간체첵 ( Ganzurkh Gantsetseg ),윤수인 ( Yoon Su In ),박혜신 ( Park Hae Shi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최근 몽골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으며 문화상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 도시의 정체성을 담은 랜드마크를 활용한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에서 랜드마크와 문화상품의 정의하고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첫째, 몽골 문화상품 중심으로 한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둘째, 몽골 문화상품의 종류는 주로 문방 소품, 장식품, 패션액세서리들이 주를 이루었고, 부엌 소품, 생활 소품 같은 경우에는 사례가 미비하였다. 그러나 한국 문화상품은 부엌 및 생활소품을 포함한 사례와 종류가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작품 제작은 설문조사를 통해 울란바토르 랜드마크 2개를 도출하여 트렌드 및 컬러를 반영하였고, 선행연구에서 국내에 가장 많은 문화상품사례 종류인 문방 소품과 생활 소품을 선택하여 2세트의 디자인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상징성이나, 인지도 등에 적합한 몽골 울란바토르의 랜드마크를 수집 할 수 있었고, 이국적 정서를 그리워하는 국내인들을 위한 디자인 시안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어질 후속 연구에서는 디자인 시안으로 제시된 것들이 실제 시제품으로 제작되어 소비자조사를 통한 발전 발향이 논의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몽골을 소재로 디자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선행연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number of tourists to Mongolia is increasing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cultural products are also increasing.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develop Mongolian cultural products by using landmarks those represent the identity of Ulaanbaatar, the capital city of Mongolia. First of all, after defining landmarks and cultural products i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alyzing previous studies, first,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made on Mongolian cultural products. Second, the main cultural products of Mongolia were only stationery items, decorations, and fashion accessories however kitchen and lifestyle items were limited. Whereas Korean cultural products have various typ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kitchen and lifestyle products. Furthermore, two sets of design have developed on two landmarks of Ulaanbaatar which were selected through a survey, reflected trends and colors, and products are stationery and lifestyle items which are most common types of cultural products in Korea identified by the previous studies. Through this study, it was able to collect landmarks of Ulaanbaatar, Mongolia and learn about symbolism and significance of each landmark and could derive various designs for those who are missing spirit of Mongolia. During follow up study, we hope that draft designs will be produced in prototypes in a market and developed through consumer surveys, helpful for researchers who are studying design about Mongolia.

      • KCI등재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한 가구디자인 사례연구

        정광호 ( Jung Kwang H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라이프 스타일에 기반 한 독특함과 고유의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은 차별화 된 매력과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현재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경쟁력의 요소로 반영한 디자인으로 세계로 진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 디자인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가구 디자인 사례 연구를 통해 한국 가구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생각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통계승, 일상생활, 라이프 스타일 등 일본 디자인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별도로 무지에 대해서는 개념과 철학을 기반으로 리서치 하였다. 그 결과 무지는 일본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을 기반으로 디자인을 구현 하였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를 위해 기준을 정하고 8개의 가구 디자인을 선정하여 각각의 특징과 공통점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일본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을 공통적으로 적용 한 디자인을 구현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심지어 작은 가구 회사조차도 일부는 전통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디자인을 구현 하였다. 이번 연구의 주제인 일본 가구 디자인 사례연구 결과가 한국 가구 산업과 디자인 관계자들에게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국 문화를 바탕으로 한국적인 독창성을 반영한 디자인 개발을 추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esign reflecting uniqueness and identity based on lifestyle has differentiated charm and competitiveness. Japan is currently advancing into the world with designs that reflect its own cultural identity as a factor of competitiveness. This study attempted to think about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furniture design through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esign and case studies of furniture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esign, such as inheritance of tradition, everyday life, and lifestyle. Separately, Muji was studied focusing on concept and philosophy. As a result, Muji implemented a design based on the basic Japanese culture and lifestyle. For the study, the standard was set and eight furniture designs were se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mmon points of each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espite the different designs, they implemented a design that applied Japanese culture and lifestyle in common. Even small furniture companies often implemented modern designs based on tradition.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on Japanese furniture desig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Korean furniture industry and design officials. In addition, I expect that this research can pursue the development of design reflecting the Koran originality, based on the culture of Korea.

      • KCI등재

        어린이 인지감각 활용의 어덜키즈 화장품패키지디자인 연구

        표연희 ( Pyo Yeon Hee ),정연자 ( Jung Yeon Ja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오늘날의 어덜키즈 문화는 계속해서 확산되어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 전용 화장품 브랜드, 어린이들만을 위한 문화 행사 등 어린이들만의 고유문화를 형성해 나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 감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린이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어덜키즈를 위한 시각적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는 뷰티상품 문화 형성에 있어서 패키지디자인을 통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의 표현이며 어른의 화장문화에 대한 무조건적 수용에서 벗어나 어린이만을 위한 상품문화 형성의 기반을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인지감각을 반영한 어덜키즈 화장품 패키지디자인 도출을 위한 개발제안을 목적으로 하며 어린이 공간 및 사물 디자인에 활용된 디자인을 분석하여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어린이 공간으로는 어린이놀이터, 어린이 감각발달센터, 어린이 치유 및 상담공간을 중심으로 형태 및 색채를 도출하였으며 어린이 장난감 패키지디자인 및 어린이 선호 캐릭터 디자인의 형태와 색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형용사이미지스케일에 적용하여 어린이 인지감각을 반영한 디자인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오늘날 상품시장에서 패키지디자인은 브랜드이미지와 더불어 소비자의 소비심리를 자극하여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어린이라는 소비자 특성에 따라 캐릭터 중심의 패키지디자인에서 나아가 어린이의 흥미와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이 이뤄져야 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화장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덜키즈 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에 있어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oday's kids' culture continues to spread, creating children's unique culture such as children's cosmetics brand for children and cultural events for children onl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have a visual design for childhood children who can stimulate children's sens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children's emotions. This is the expression of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the package design in the formation of the beauty product culture and it is possible to form the foundation of the product culture for the children only from the unconditional acceptance of the adult makeup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children's cosmetic package design reflecting children's sense of cognition. Children's playground, children's sensory development center, children's healing and counseling space were extracted from the form and color, and the shapes and colors of children's toy package design and children's preferred character design were analyzed. Also, we applied this to adjective image scale and examined the design image reflecting children's sense. Today, package design in the commodity market is getting more important because it stimulates consumers' consumer sentiment along with brand image.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package design that can stimulate the interest and sense of the child in addition to the character-based package design accor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children. Based on this research, basic materials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tilized as.

      • KCI등재후보

        한국 조형적 특성이 문화상품에 미치는 영향 -의복에 적용된 전통문양 중심으로-

        김진경 ( Jin Kyung Kim ),나경훈 ( Kyung Hoon Na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9 No.-

        현대 조형예술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속도와 범위가 확장되고,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생활문화에 조형미를 접목하는 흐름으로 이어져 여러 나라에서 자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의복은 세계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문화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의복에 적용된 우리의 전통문양에는 민족의 혼이 담긴 연원이 깃들어 있고 자연에 순응하며 섬세하고 고상하게 우리 전통의 아름다움을 내포하고 있다. 문화상품이 상업화되면서 의복의 상품화와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문헌들을 참고하여 의복에 적용한 대표적인 전통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사례를 통해 검증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한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의복과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이 결합됐을 때 그 시너지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의복이란 상품을 통해 정체성을 바로 찾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나라의 위상을 전 세계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충분한 매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의 고유문화나 전통성이 소멸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 심미성만을 목적에 두고 의복이라는 상품을 생산하는 것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이 점차 소멸되어 가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개성 있고 창의적이며 누구든 공감할 수 있는 특별한 전통의복을 개발하여 그 뿌리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고유의 전통문양에 뚜렷한 상징과 정체성, 가치를 담아 재탄생 된 의복은 한국 고유의 전통성을 잃지 않고 상품의 가치를 높에 만들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점점 장인이라는 전통 계승자들의 부재는 우리 민족의 혼을 사라지게 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산·학간의 협력을 통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리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는 젊은 인재의 양성에도 소홀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젊은 인재들은 전통의상디자이너들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 전통문양이라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창조하고 기능적인 형태와 색체, 그리고 전통문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한국의 전통의복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Modern plastic art is expanding its scale and speed as time passes. This change has led to a trend where a lot of countries develop their own cultural products which can take a role of increasing added value. Clothes is one of the culture that could reflect country`s characteristics no matter which country, Our traditional patterns applied to theses clothes have the root of our spirit and connotate the beauty of our tradition delicately and elegantly while being in sympathy with nature, As cultural products becomes commercialized, various accesses have been tried to research the commercialization and value of clothes. We will apprehend pla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atterns and find the ways to improve by taking a look at examples. Synergy effect can be bigger when the clothes that show country`s characteristic and Korea`s traditional patters combine. Clothes let us to find our identity, Futhermore, It could be the vector which delivers the status of the nation. Producing clothes thinking only its aesthetic perspective could lead to a situation where our traditional spirit disappear, That is why we should develop unique and creative traditional clothes that anyone can understand. If clothes have traditional patterns with its symbol, identity and value, it will let us conserve our tradition and increase the value of products. Decreasing number of master craftsmen can be overcome b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this will lead to continuation of out tradition. Working hard to training the upcoming generation is important. These people will make effort to develop clothes with traditional patterns by interchanging opinions with traditional clothes designers.

      • KCI등재

        전통 등화 기구를 응용한 조명디자인 연구 -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

        김대건 ( Kim Dae Gu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전통 등화 기구 중 조선시대의 촛대를 전통적 소재로 활용하여 조선시대 등화 기구의 시대적 배경으로부터 나타나는 외형적 형태의 특징을 미니멀리즘의 조형요소와 접목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조명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우리나라의 전통 등화 기구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청동 제작 기술이 매우 발달한 고려시대와 철을 단련하여 일상생활에 유용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게 된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전통 등기가 등장하게 된다. 조선시대의 등기는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등기로부터 나타나는 불교의 영향과 귀족적이며 화려한 특징과 달리 다양한 계층의 사용으로 인해 간편하고 실용적인 측면의 특징을 보인다. 조선시대 등화기구 중 촛대에는 이전 시대에 나타나지 않았던 기능적, 구조적인 요소가 접목되어 실용성을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촛대가 가지는 구성요소 중 기능적, 구조적 특징은 특정목적이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사용되며 실용성을 겸비한 확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이에 본 연구자는 조선시대의 촛대를 미니멀리즘의 단순성, 명료성, 공간성 등의 개념과 접목하여 현대적 조형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전통등화 기구의 역사와 발달을 통해 조선시대 촛대의 형성과정을 파악하고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조선촛대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구조를 미니멀리즘의 요소와 접목시켜 디자인 전개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의 촛대를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미니멀리즘이 조형적 특징 중 단순성, 명료성, 공간성과 접목하여 현대적 조명으로 디자인, 제작하였다. 이후 전통 등화 기구를 연구, 분석하여 다양한 조명디자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The traditional lamp device has developed as the traditional lighting of the n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times. The discovery of fire in prehistoric times was used for heating and cooking purposes and is the beginning of artificial lighting instead of the natural sunlight. Afterwards, lamps using oil from animals or plants as fuel appeared, followed by the appearance of candlesticks as wax candles using bee wax were used. It is assumed that the history of Korea’s traditional lighting device has begun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Various traditional lamps appeared during the Koryo Dynasty, when the bronze production technology was highly developed, and the Joseon Dynasty, when iron was tempered to make and use useful tools for everyday life. Unlike the Koryo Dynasty, which formed an aristocratic and glamorous culture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the simple and practical lamp devices were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artistic tendencies of the Joseon Dynasty diverge from the glamorous culture centered on aristocrats and represent the social features that prioritized the harmony of moderation in terms of ascetic ethics of Confucian thinking and simple and credible aspects. This artistic tendency was determined to be similar to minimalism, which began with the exploration of the root of objects with minimal expression by eliminating unnecessary elements. This is the study on the lighting design applying traditional lamp device and the development of lighting devices that identifies the features of traditional lamp devices and applies the formative elements of minimalism.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ndlesticks and minimalism in the Joseon Dynasty, the modern use of traditional materials in the field of lighting design was derived, an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various lighting designs using traditional materials is expected to continue.

      • KCI등재

        사용자 인식에 따른 바이오 의약품 패키지 디자인 개선 연구

        김나영 ( Kim Na Yo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바이오 의약품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은 기존 오리지널 의약품과 같은 효능을 보이면서,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아 시장잠재력이 크다.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은 점차 개발됨에 따라, 기존의 제품과는 차별화되며, 환자나 간호사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구조가 단순하며, 제품 오남용을 막을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패키지 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의약품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를 중심으로 전문의약품의 중요한 기재사항을 분석을 통해, 패키지 디자인의 기재 해야 하는 허가사항 중 가장 중요한 요소를 추출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오남용을 막기 위한 브랜드명, 성분명, 함량, 제형, 주사 투약방법, 포장 단위를 중심으로 국내 출시된 바이오의약품의 패키지 디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허가받은 바이오의약품 패키지를 분석한 결과, 시각·정보 전달, 구조 및 형태 면에서 국외사례보다 패키지 디자인에서 미흡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바이오시밀러의 디자인 적합성에 문제점을 느끼고, 현재의 의약품 디자인과 국내외 바이오의약품의 분석과 유럽과 미국에 허가된 패키지 디자인의 분석을 통해 보완 방향에 관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의 표현 방향은 추후 패키지 디자인 개발 시 방향성 수립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Research on biopharmaceutical in the overall drug market is increasing. Biosimilar show the same efficacy as existing original biopharmaceutical, so they are inexpensive in terms of price, and thus have great market potential. Biosimilar drugs as a variety of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it is necessary to design direction of biopharmaceutical package that is different from existing products and is easy to use by patients and nurses, and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prevent abuse of produ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ortant items of specialty drugs centering on the biologics and rheumatoid arthritis drugs, we extract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be designed on the package design. Based on the results, we try to analyze the package design of biopharmaceutical & Biosimilar are launched in Korea, focusing on brand name, ingredient name, content, dosage, injection method and package unit to prevent abuse. Analysis on biopharmaceutical packages in Korea reveal that package design is insufficient in terms of visual and information, structure and form compared with the case of product which is approved from EMA & FDA. As the development of bio product becomes more active, this study is needed the sense of concern about the design direction of biosimilar. In order to solve the insufficient design factor, we focused on case studies of package design in domestic biopharmaceutical and approved package designs in Europe and the 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sual aspect of the biopharmaceutical package design of domestic and global biopharmaceutical derived from this study tha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future package design development.

      • KCI등재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감성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김장석 ( Kim Jang Seok ),강나래 ( Kang Na Ra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전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Carbon Neutral)을 목표로 그린딜(Green Deal)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정부가 나서서 내연기관자동차 규제를 강화하고 친환경 자동차 산업 육성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 구매 시 다양한 혜택이 부각되며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전기차 수요와 함께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다양한 디자인의 전기차 충전기가 개발되고 있지만 디자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차 충전기를 이해하고, 충전 인프라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 50개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14쌍의 형용사 어휘를 설정하고 7단계 SD법으로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여, 전기차 충전기 디자인의 평가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활동성, 역량성, 평가성, 색채의 4가지 축으로 분류되었으며, 활동성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디자인의 평가에서 가시적이고 유연한 형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제품 외형에 직선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곡선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화로운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좌·우 대칭 형태의 디자인이 효과적이며, 마지막으로 따뜻한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고채도 난색 계열 색상과 중성색의 GY계열의 유채색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유형별로는 벽부형 제품이 주거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기차 충전기디자인의 감성분석을 통하여 미래 디자인 방향을 예측하고 정량적인 디자인지표를 제시했다. 또 한 소비자의 요구와 감성을 충족시키는 가정용 충전기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mplementing the Green Deal policy aimed at Carbon Neutral. In response, the government strengthens the regulation 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and strategically fostering the eco-friendly automobile industry. Various benefits have been highlighted while purchasing the eco-friendly cars which interests and demands are rapid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se increasing demands, the construc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has been accelerated. At present, various designs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are developed, but their design research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concentrated on understand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s and has figured out the current state of charging infrastructures. In addition, 14 pairs of adjective vocabularies for 50 images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were established and the video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seven-stage SD metho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valua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ic vehicle charger design. Experiments show that four axes were classified as the activity, the competency, the evaluation, and the color with representing the greatest impact on activity. The evalu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design for households represent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curve than to use straight lines in order to express visible and flexible shapes. To create harmonious shapes, the left and right symmetry design is effective and, finally, it is effective to apply high and neutral GY colors for expressing a warm feeling. By the type of the installation, wall-mounted products are found to be suitable for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predicts the future design directions and provides the quantitative design indicator through the emotional analysi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design. It is also meaningful to provide the design directions for home chargers which meet the consumers’ needs and sensibilities.

      • KCI등재

        범죄예방디자인(CPTED)의 감성 손 글씨 콘텐츠 활용 연구

        윤경숙 ( Yoon Kyung Sook ),고정훈 ( Ko Jeong H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최근 사회적 약자(특히 아동과 여성 등)를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발생하고 있어 범죄예방에 대한 공간 환경조성의 중요성이 정책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주거단지 내에 야간 범죄예방을 위한 공간의 환경조성 및 설계에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취약지역에 여성안심골목길 ‘안심등’은 단순히 어두운 골목길을 밝혀주는 일차적 목적 외에 지역문화의 거리조성으로 도시환경개선에 대한 기대치도 담고 있다. 디자인은 우리 생활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기술·문명의 밀접한 관련에서 정보의 신속하고 정확한 전달 및 제품의시각적인 면에서도 디자인은 필요하다. 또한 환경디자인은 우리들의 안전한 생활환경을 형성하는 데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팔달구 행국동 주택가 ‘안심등’에 감성 손 글씨를 중심으로 여성안심귀가를 위한 골목길 조성에 관한 국내외 사례를 연구하고 그 중요성과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첫째, 여성안심골목길 조성과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디자인(CPTED)의 ‘안심등’에 감성 손 글씨 활용을 제안한다. 둘째, ‘안심등’의 다양한 형태에 각각의 다른 글귀를 담아 지역 특성의 문화와 스토리로 관광자원으로 확대되고, 범죄로 부터 안전하여 사회적 약자(특히 아동과 여성 등)들의 삶이 질적으로 향상 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의 결과로 국내외 여성안심골목길 조성사례를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침체된 지역상권의 활성화와 원도심 골목길 개선으로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개발되기를 제안한다. As violent crimes target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especially children and women) are caused by serious social problem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spatial environment for preventing crime is highlighted strategically. As a result, interest is growing in creating and designing an environment for night crime prevention in residential areas. In a vulnerable area, female comfort streets, 'Relieved Light', include not only the primary purposes of revealing dark alleys, but also the expectations for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by creating a street of local culture. Design is a big part of our lives and needs visual design, In the close relationship of technology and civilization, designing is necessary in terms of quick and accurat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visual aspects of products. Environmental design also has a specific purpose, which has a direct relationship to form our safe living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providing emotional handwriting to residential areas in Paldal-gu, and the construction of alleys for female safe return. First,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emotional hand writing to create women's safety alleys and to reassure them about the crime prevention desig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Secondly, through various forms of aesthetic artistic expression such as relieved light, it is expanded into tourism resources to culture and story of local characteristics. And, it is pro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especially children and women), safe from crim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cultur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stagnated local commercial areas and improving the alleys in the downtown area through the examples of local and foreign Women's relief alley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