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주간 고유수용성감각 운동프로그램이 장・노년 여성의 족관절 등속성 근력 및 동적균형감각에 미치는 영향

        이동준,윤재량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장ㆍ노년 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고유수용성감각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체조성, 족관절 등속성 근력 및 동적 균형 감각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50대 이상 장·노년 여성 15명으로 고유수용성감각 운동 집단(n=7), 저항성 운동 집단(n=8)으로 진행하였다. 고유수용성감각 운동 프로그램은 보수 볼(BOSU Ball)과 워터백(Water bag)을 활용한 고유수용성감각 운동 프로그램으로, 운동구성은 사전운동 10분, 본 운동 40분, 마무리운 동 10분으로 실시하였다. 고유수용성감각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운동 프로그램 전·후 연구대상자들의 신체조성 검사, 족관절 등속성 근력 검사, 동적균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고유 수용성감각 운동 프로그램 그룹에서 우측 저측굴곡과 좌·우측 배측굴곡에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족관절 근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우측 후방 바깥쪽면 처치군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에 동적 균형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고유수용성감 각 운동은 장·노년의 낙상 예방을 위해 족관절의 근력과 동적 균형성의 효과적인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le strength in the ankle joint, and dynamic balance sense by applying a 12-week proprioceptive sensory exercise program in senior and order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senior and order women in their 50s and older, and the proprioceptive sensory exercise group(n=7) and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n=8) were conducted. The proprioceptive sensory exercise program was a proprioceptive sensory exercise program using a BOSU Ball and a water bag. To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sensory exercise, body composition tests, ankle joint isokinetic muscle strength tests, and dynamic balance tes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proprioceptive sensory exercise program group, right plantar flexion and left and right dorsiflexion showed improved post-mortem ankle muscle strength compared to before (P<0.001), and It was found that the dynamic balance was increased (P<0.05).In conclusion, proprioceptive sensory exercise is thought to be helpful in presenting an exercise program for effective improvement of ankle muscle strength and dynamic balance for the prevention of fall in senior and order women.

      • KCI등재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김경훈,장상훈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는 점진적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프로그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B 병원 재활의학과에 내원한 만성뇌졸중 환자 29명을 고유수 용성 운동프로그램 훈련군 15명과 대조군 14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훈련군은 1주일 3번, 30분씩, 총 6주간 실 시하였으며 대조군과 함께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받았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 실시 전・후에 고유수용성 감각, 버그균형척 도,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BioRescue장비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고유수용성 감각, 균형능력에서 실험 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점진적 그리고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의 융합은 만성 뇌졸 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뇌졸중 환자의 위한 지속적인 융합중재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motor program on proprioceptive and balance ability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wenty nine subjects were recruited by means of a convenience sampling from Gyeonggi-do B hospita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 proprioceptive motor program and general physical therapy(n=15), general physical therapy(n=14). The stimulation and exercises were conducted for 30 min per day, three days, per week for six weeks.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aping training using proprioceptive, berg balance scale(BBS), timed up and go test(TUG), and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BioRescue. After training, the change values of the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in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control group(p<0.05). This findings show that progressive and proprioceptive motor program training convergence can be effective for stroke patients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Continued development of convergence interventions for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in the practice are suggested.

      • KCI등재

        마찰에 의한 통증 입력이 작업자의 상지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이현숙,김성중,유재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체성감각 수용기의 활성화인 마찰에 의한 통증 입력이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 둘째, 작업수행 기술 수준에 따른 작업수행 요인 중 하나인 고유수용성 감각의 변화를 규명하는 것 이다. 연구방법 : 실험군으로 1년 간 작업 실습에 참가한 제철 산업 전공 남자 대학생 22명과 대조군으로 일반 남자 대학 생 22명을 선정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 장비 Winarm을 이용하여 주관절 굴곡 신전, 수근관절 굴곡 신전 시 관절 위치 오차를 측정하여 고유수용성 감각 정도를 구하였다. 이 후 빗질을 이용하여 마찰 통증을 발현하였고 고유수 용성 감각을 재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오차의 평균을 산출한 뒤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 주관절 굴곡, 신전과 수근관절 굴곡, 신전 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마찰에 의한 통증 입력 이후 자세 위치 오 차가 증가하였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세 위치 오차의 전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주관절의 y축 오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p<.05) 다른 변인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체성 감각인 통증의 증가는 위치조절에 필요한 고유수용성 감각 활성을 감소시키고 통증 발현 시 작업수행 기술 수준과는 상관없이 고유수용성감각 감소는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통증 을 감소시키고 고유수용성 감각을 증가시키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고유수용성감각 운동프로그램이 축구선수들의 관절위치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순철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4

        In this study, 20 healthy college soccer players were classified into the exercise group(n = 11) and control group(n = 9), and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for 6 weeks was applied to the soccer players.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joint position sense, balance and center of gravity control ability. Humac NORM was used for the ankle joint position sense, and the dynamic balance ability and center of gravity control ability were measured using the Biodex Balance System . All data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 PC 21.O statistical program and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ime and the group.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to ɑ = .05. The ankle joint position sense was found to be between time and group interaction in both dorsal, plantar, inversion and eversion. The balance ability between the 6th and 1st sta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howed between time and group interaction in medial, lateral balance ability. Center of gravity control ability showed that there was a between time, group interaction effect in the right direction.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improved college soccer players' ankle joint position sense, balance and center of gravity control ability. In the future, further study on the short and long term effects of the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should be performed. 본 연구는 대학축구선수 20명을 운동집단(n=11)과 통제집단(n=9)으로 분류하여 6주간 고유수용성감각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발목 관절위치감각, 균형능력과 중력 중심조절(Center of Gravity)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발목 관절위치감각 기능은 Humac NORM을 이용하였으며 동적 균형능력과 중력 중심조절 능력은 Biodex Balance Syste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들은 SPSS/PC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시기 간 및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 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발목관절 위치감각은 배측, 저측, 내번, 외번 모두 시기 간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6단계와 1단계 전후, 내ㆍ외측 균형능력은 시기 간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중력 중심조절은 우측방향에서 시기 간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유수용성감각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대학축구선수들의 발목 관절위치감각, 균형능력과 중력중심조절 능력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더 많은 피험자로 고유수용성감각 운동프로그램의 단기 및 장기 효과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고유수용성 감각과 신체 소유감

        윤샤론 한국인지과학회 2023 인지과학 Vol.34 No.3

        이 논문의 목적은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이 자신의 신체와 신체적 행위(physical action)에 대해 소유감(sense of ownership)을 부여하는 것을 검토하는 데 있다. 고유수용성 감각은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는 외수용기가 아닌 신체 내부의 신경조직인 내수용기에 의존하는 감각으로, 신체 부분(bodily parts)의 존재, 위치, 움직임을 아는데 있어 인식적으로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고유수용성 감각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일인칭성에 주목하여 슈메이커의 ‘오식별 오류에의 면역성Immunity to Error through Misidentification(이하 IEM)’이 고유수용성 감각에 적용할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필자는 다음 두 가지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심리철학자 마르셀이 제기하는 병리적 반증사례를 차례대로 모두 격파함으로써 두 주장을 공고히 한다. 첫째, 고유수용성 감각은 내 신체와 신체적 행위에 관한 소유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오류불가능하다. 둘째, 고유수용성 감각은 내 신체와 신체적 행위의 소유감을 위해 필수불가결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proprioception provides a sense of ownership over one’s body and physical actions. Proprioception is a sense that relies on somatic interoceptors rather than exteroceptors that receive external stimuli and has epistemic importance of knowing the presence, location, and movement of bodily parts.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Shoemaker’s principle, “Immunity to Error through Misidentification (IEM)” can be applied to proprioception by focusing on one of the intrinsic features of proprioception: First-Person Perspective. I will advocate the following two arguments by defeating each of Marcel’s pathological counter-examples in turn. Proprioception is infallible in that it provides a sense of ownership over one’s body and physical actions. Second, proprioception is indispensable for the sense of ownership of one’s body and physical actions.

      • KCI등재후보

        프로 골프 선수들과 일반인들 간의 견관절 ROM, 고유수용성 능력 및 균형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박득수,김명선,오재근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소속의 프로골프 선수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견관절 ROM, 고유수용성 능 력 및 균형능력의 비교를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최근 3개월간 근·골격계 질환이나 움직임, 가동범위에 제한 이 있는 대상자는 제외하였으며, 각 집단 모두 9명씩 선정하였다. 견관절 ROM 측정은 굴곡, 외전, 외회전, 내회전을 측 정하였으며, 고유수용성 감각의 측정은 능동·수동 관절위치감각(joint position sense) 검사를 실시하였다. 균형능력 은 지지판의 변화에 따른 피험자의 종합적인 균형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견관절 가동범위에서 굴곡, 외전, 내회전 의 가동범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외회전 가동범위에 프로골프 선수 집단이 일반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고유수용성 감각 검사에서 수동적 관절위치감각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능동적 관절위치감각 검사에서 프로골프 선수 집단이 일반인 집단보다 유의하게 오차각도가 낮게 나타났다(p<.05). 균형능력 검사에서는 프로골프 선수집단이 일반인 집단보다 전체적인 균형능력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후 프로골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중요 요인으로써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계속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shoulder range of moti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between general people and pro golfers (members of Korea Professional Golfers' Association). The subjects who have limitations in muscle, skeletal disease, movement, and range of motion during the last 3 months were exclud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9 general people and 9 pro golfers. Shoulder ROM were measured for flexion, abduction,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measurement of the proprioceptive sensory were conducted for active, passive joint position sense. The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for the total balance ability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upport plate. Pro golfer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nge of motion than general people in external rotation (p<.05). In shoulder active joint position sense (AJPS) test, pro golfers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 error angle than general people (p<.05). In balance ability test, pro golfers group showed tendency of higher scores than general people group,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This results might come from the superior motor ability of the pro golfers, however to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and prevent injury& rehabilitation, exercises to improve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ve sense should be included.

      • KCI등재

        발달지연 아동의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이 감각처리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안시내,황재호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2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herapeutic activities on sensory processing and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5-year-old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that was mediated through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herapeutic activities. The mediation done once a week for 5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12 session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reatment activities, sensory processing was evaluated using the Sensory Profile and problematic behaviors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valu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visual analysis was done using graphs. After the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reatment activity, participant 1 was clear in the following items: sensory profile, sensory processing, visual processing, vestibular sensory processing, tactile processing, multisensory processing, oral sensory processing, endurance and muscle tone control, body posture movement control, and activity level control. The difference improved from that of the doubt difference, and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 in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immaturity, attention problems, aggression, internalization problems,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in the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evaluation scale. Participant 2 showed an improvement in all items except the reaction threshold items in the sensory profile, and atrophy, depression/anxiety, social immaturity, thinking problems, attention problems, delinquency, aggression, internalization problems, and externalization in the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evaluation scale. Improved results were found on the problem scale. This study confirmed that proprioceptive sensory-based therapeutic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ensory processing and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에게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이 아동의 감각처리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발달지연은 진단받은 만 5세아동 2명으로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을 통한 중재를 하였다. 중재 시간은 회기당 50분씩 실시하였고, 중재 기간은 주 1회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중재 전과 후에는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감각처리는 감각 프로파일(Sensory Profile)과 문제행동은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로 평가를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중재 전과 후의 차이 값을산출하여 비교하였고,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 후 대상자 1은 감각프로파일에서 감각처리, 시각처리, 전정감각처리, 촉각처리, 다감각처리, 구강감각처리, 지구력 및 근긴장도 조절, 신체자세 움직임 조절, 활동 정도 조절 항목에서 명확한 차이에서의심성 차이로 개선되었고,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에서위축, 우울 및 불안,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에서 개선된 결과가 나타났다. 대상자 2는 감각 프로파일에서 반응역치 항목을 제외한 모든항목에서 개선이 되었고,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에서위축,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 문제, 비행, 공격성, 내재화 문제, 외재화 문제 척도에서 개선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및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불안정지지면 훈련을 통한 발목관절위치감각 변화와 동요면적 변화간의 상관관계

        하나라,김명철,한슬기,Ha, Na-Ra,Kim, Myung-Chul,Han, Seul-Ki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불안정지지면 훈련을 통한 발목관절위치감각의 변화와 동요면적 변화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4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불안정지지면군(n=24)과 안정지지면군(n=24)으로 나누어 동일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주 3회씩 6주 동안 실시하였다. 불안정지지면군은 균형운동 패드에서, 안정지지면군은 단단한 지면에서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 후에 발목관절위치감각의 변화와 동요면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불안정지지면군에서 발목관절위치감각 오차와 동요면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리고 불안정지지면군에서만 발목관절위치감각 오차의 변화량과 동요면적 변화량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안정지지면에서의 고유수용성감각 운동을 통해 발목관절위치감각 변화와 동요면적 변화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of ankle Joint Position Sense and Sway Area through Unstable Surface training. For the study, 48 healthy males and fema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unstable surface group(n=24) and a stable surface group(n=24). Then, they were asked to carry out the same exercise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he unstable surface group and stable surface group performed the exercise program on the balance exercise pad and on the hard ground,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unstable surface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reduced error of ankle joint position sense and sway area(p<.05). Moreo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nces of ankle joint position sense and sway area was only found in the unstable surface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anges of ankle joint position sense and sway area through proprioceptive sense training on the unstable surface.

      • KCI등재

        고유 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성인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병권,한동욱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on the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hemiplegia. In this study, total 23 subjects were enrolled in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12 of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for six weeks from August 3rd, 2009 to September 11th, 2009.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 exercise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 rank test and Repeated measurement ANOVA with SPSS 12.0 package program. Static and dynamic balance were measured by Kinestic Ability Traine(Berg Inc, USA) before and after exercise. From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both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in two group after exercise for six weeks. However, the change patterns of experimental group were greater than control group significantly. So these results show that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for six weeks is helpful to improve balance ability(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본 연구는 6주간의 고유 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성인 편마비 환자의 균형감각 기능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총 23명(실험군 12명, 대조군 11명)으로 균형능력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실험군에 대해 6주간 고유 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을 그리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능동적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 전 후 균형감각 기능에 대해 측정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고유 수용성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경우 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동요면적이 감소하여, 정적 그리고 동적 균형감각이 향상되었고, 대조군의 경우도 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 정적 균형감각이 향상되었다. 반면 두 군 간에 변화 양상을 알아본 결과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개체 간 효과 검정에서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의 동요면적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고유 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정적 동적 균형감각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감각통합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재현(Jae-Hyeon Lee),방요순(Yo-Soon Bang),주은솔(Eun-Sol Ju)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촉각중심 활동과 전정 · 고유수용성중심활동을 교대로 적용한 감각통합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후, 감각활동 간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 및 대상은 2017년 10월 24일부터 2018년 4월 3일까지 G광역시 S발달센터에 의뢰된 자폐아동 1명으로, 개별대상연구의 중재교대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는 주 1회 40분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고, 평가는 상동행동의 빈도를 위해 관찰지를 사용하였고, 중재 전 · 후로 단축감각프로파일과 아동기자폐증평정척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촉각중심 활동과 전정 · 고유수용성중심 활동을 교대로 적용한 감각통합프로그램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동행동 감소와 함께 감각정보의 분석 및 조직화, 통합하는 처리과정을 향상시키고 부적응 행동을 개선시켰다. 특히 전정 고유수용성중심 활동은 촉각중심 활동보다 상동행동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동행동을 감소시키고 감각처리과정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와 효용성을 확인하였고, 촉각중심 활동보다는 전정 고유수용성중심 활동을 상동행동의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s, which alternates between tactile and vestibular · proprioceptive sensory activities, on the stereotypic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ASD) and compared between the effects of the two sensory activiti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24, 2017 and April 3, 2018. One child with autism from S Development Center in G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of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was used. Treatments were conducted in 16 sessions comprised of one 40-minute session each week. In each session, the frequency of stereotypic behavior was recorded by observation papers. Also, Short Sensory Profile(SSP) an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CAR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show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which alternates between tactile activities and vestibular · proprioceptive activities, reduced stereotypic behavior and maladjustment behavior while improving the ability to analyze, organize, and integrate sensory information in children with ASD. In particular, vestibular · proprioceptive activities decreased the frequency of stereotypic behavior more effectively than tactile activities. This study confirms the value and effectiveness of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in reducing stereotypic behavior and improving sensory processing, and suggests that vestibular · proprioceptive activities may be more effective in treating stereotypic behavior in comparison to tactile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