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험자본-노동 보완성과 노동시장 인구구조 변화가 한국경제 성장과 분배에 미친 효과

        정혁,강창희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22 한국경제의 분석 Vol.28 No.3

        We estimate a structural macroeconomic model postulating the complementarity between labor and ‘experience capital,’ human capital formed by the effective work experience during the labor market life cycle,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urvey (KLIPS). We verify the strong presence of such complementarity and show that the economic growth and inequality are tightly linked during the process of demographic changes of the labor market via the experience capital-labor complementarity. In macroeconomic or microeconomics models where production functions or earnings functions omit this complementarity mechanism, the effects of the demographic changes are reflected in labor productivity and TFP as well as in earnings inequality driven by skill-biased technical changes (SBTC). Thus, we show that the TFP growth and earnings inequality dynamics are in fact driven by a common force of demographic changes rather than the genuine technical changes. We also show the presence of the heterogeniety in the life-cycle age profiles for the effective units of labor and experience capital across gender and education groups. Grounded by these features of experience capital-labor complementarity and the heterogeneous life-cycle age profiles, this paper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conomic growth and inequality of Korea. We find that the experience capital stock relative to labor declined for the 1998-2014 period, which contributed to reducing the aggregate labor income and labor productivity and also to increasing earnings inequality. Our estimation results suggest that low effective units of labor and experience capital of female workers, rigid entry-exit-reentry processes of the labor market, and aging are behind such a decline of the Korean experience capit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motion of the effective units of female labor and experience capital, a balance between employment flexibility and security in the labor market, the reformulation of school curriculum and workplace re-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capital formation are not merely labor and education policies but also the macroeconomic growth and distribution policies.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미시자료를 사용하여 노동시장 생애주기 직무경험을 통해 형성된 인적자본, 즉 ‘경험자본’과 노동 투입 간에 보완관계를 상정하는 거시경제 모형을 구조적으로 추정한다. 이 추정으로부터 경험자본과 노동 간에 강한 보완성이 존재함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 보완성 기제에 의해 성장과 분배 동학이 노동시장 인구구조 변화를 매개로 상호 연계되어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보완성 기제가 상정되지 않은 기존 거시경제 모형에서는 인구구조 변화 효과가 노동생산성, TFP, 숙련기술편향 기술변화(SBTC)에 의한 소득불평등 변화로 나타난다. 이는 기존 문헌의 TFP와 SBTC에 의한 소득불평등 변화가 인구구조 변화를 통한 경험자본 변화라는 공통 요인에 의해 추동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노동과 경험자본의 유효단위가 노동시장 생애주기 동안 연령에 따라 변하며 이 연령 프로파일이 노동자의 성별과 학력별로 상이함을 보인다. 이러한 경험자본-노동 보완성 개념과 이질적 노동시장 생애주기 연령 프로파일 분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한국경제의 성장과 소득불평등 동학에 관한 새로운 이해와 정책함의를 제시한다. 1998~2014년 기간 한국경제의 노동 대비 경험자본은 감소했으며, 이는 총 노동소득과 노동생산성을 감소시켰고 소득불평등을 증가시켰다. 한국경제의 노동시장 인구구조 변화가 경험자본을 감소시킨 배경에는 여성 노동의 생애주기 유효 노동과 경험자본 형성의 낮은 효과성, 노동시장 진입·퇴출·재진입의 경직성, 노동시장 고령화 등의 요인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의 노동시장 생애주기 노동 참여 및 노동과 경험자본 질적 제고, 노동시장 진입·퇴출·재진입의 유연성과 고용안정의 균형, 학교와 직장의 재교육 활성화 등은 단지 노동 및 교육정책에 그치지 않고 경험자본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거시경제 성장과 분배 모두를 개선하는 정책임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부모권력구조에 대한 아동기 경험이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hildhood Experience of Parental Power Structure

        김광응,유미숙,조유진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아시아여성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부모권력구조에 대한 아동기 경험이 성역할 정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대생 425명을 대상으로 부모권력구조에 대한 아동기 경험과 성역할 정체감을 측정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권력구조 각 하위요인(가족행사 · 친족관련 권력,자녀교육 권력, 가정경제 권력)에 대해 부우위형과 모우위형의 부모권력을 경험한 여대생은 성역할 정체감 분포에서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반면 부모권력구조 척도의 전체점수를 합산하여 부우위형과 모우위형으로 부모권력을 구분했을 때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 분포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기존 부모권력 측정도구의 문제점을 지적한 연구자의 비판에 타당성을 더해주는 결과이다. 둘째,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권력구조 하위요인 모두를 동시에 고려한 다반응 로짓분석 결과 부모권력구조 하위요인 중 자녀교육 권력과 가정경제 권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교육 권력에서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사결정 정도가 높을 때 여대생들의 양성성과 남성성 성역할 정체감 발달 확률이 높은 반면, 가정경제 권력에서는 어머니의 참여와 의사결정 정도가 높을 때 여대생들이 남성성 성역할 정체감을 발달시킬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행사 · 친족 관련 권력은 다른 하위요인의 영향을 제거했을 때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ex-role identiti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lated to their childhood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structur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425 female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childhood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structure and their sex-role identities. Parental power structure consisted of three subfactors: parental power on family events/relative-related, child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It was found tha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formed different sex-role identity dimensions when their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hierarchy were measured individually in subfactors. However, they did not show differences when their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hierarchy were measured as the sum of subfactor scores. This supports the authors' conviction that previous measures are problematic in identifying relationships of parental power structure and children's sex-role identity. In particular, multi-response logit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of all the subfactors of parental power structure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childhood experiences of parental power hierarchy on child education, and on home economy were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ex-role identities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That is,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fathers had power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decision-making, were likely to develop their androgyny and masculinity. On the other hand, those whose mothers had power in home economy were likely to develop masculinity. Furthermore, family events and relative-related parental power were not found to be related to the sex-role ident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when the impacts of other subfactors were eliminated. It is posited that equal or balanced exertion of parental power is critical in the development of adptive and flexible sex-role identity in their children.

      • KCI등재

        구조적 실재론의 인식론적 함축

        강형구 대한철학회 2023 哲學硏究 Vol.167 No.-

        In this paper, I aim to critically examine Laidman's position, which seeks to strengthen the standpoint of structural realism from an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to an ontological structural realism. In my opinion, the attempt to strengthen structural realism to the ontological dimension cannot be philosophically justified, as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itself can remain a sufficiently robust realism. In response to this, one might argue that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structive empiricism. Indeed, Van Frassen attempted to demonstrate in his 2006 paper that even from the perspective of empiricism, the concept of “structure” as posited by structural realism can be incorporated. However, such attempts by constructive empiricism to incorporate structural realism are bound to fail for two reasons. First, constructive empiricism still cannot evade the demand of the “no miracle argument,” whereas structural realism does not face this problem. Second, based on historical case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serves as a crucial element in the advancement of fundamental science, while constructive empiricism fails to fulfill such a function. Therefore, epistemological structural realism is clearly distinct from constructive empiricism, and it can be considered a metaphysical research program that possesses relative superiority compared to constructive empiricism. 본 논문을 통해 나는, 인식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에서 존재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으로까지 구조적 실재론의 입장을 강화시키려는 래디먼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내가 생각할 때 구조적 실재론을 존재론적 차원까지 강화시키는 시도는 철학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으며, 인식론적 차원의 구조적 실재론은 그 자체로 충분히 강력한 실재론으로 남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인식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은 구성적 경험론과 사실상 별 차이가 없는 것 아닌가 하는 반론이 제기될 수 있고, 실제로 반 프라센은 2006년에 발표된 그의 논문에서 경험주의의 입장에서도 구조적 실재론이 말하는 ‘구조’의 개념을 포섭할 수 있음을 보이려 했다. 하지만 구조적 실재론을 포섭하려는 이와 같은 구성적 경험론의 시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에서 실패할 수밖에 없다. 첫째, 구성적 경험론은 여전히 ‘기적을 거부하는 논증(No Miracle Argument)’의 요구를 회피할 수 없는 반면 구조적 실재론은 그렇지 않다. 둘째, 과학사적 사례 연구에 의하면, 인식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은 기초적인 과학의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기능하는 반면 구성적 경험론은 그러한 기능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인식론적인 구조적 실재론은 반실재론적 입장에 위치한 구성적 경험론과는 분명하게 구분되며, 이는 구성적 경험론에 비해 상대적인 우월성을 지니는 형이상학적 연구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자의 다문화경험, 다문화태도, 공감능력, 다문화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와 직접‧매개효과 분석

        김영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multicultural attitude, empathic ability and multicultural behavior intention of youth leaders. To this end, eight hypotheses were set such as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H.1), the direct effects of multicultural experience toward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behavior intention(H.2,3), the direct effects of multicultural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behavior(H.4), mediating effects of empathic ability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or multicultural behavior intention(H.5,6),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ttitude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behavioral intention(H.7), the difference between mediating effects of empathic ability and multicultural attitude(H.8).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measuring tool. Surve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youth leaders working at youth facilities. 190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and 184 data except 6 outliers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AMOS 20.0 to accept descriptive statistics, and to confirm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the confirmed structural model. As a final result, H.3 was rejected and all others were adop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ulticultural behavior intention can be enhanced by multicultural experi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mpathic ability as parameters. Specifically, multicultural experience or multicultural attitude can enhance multicultural behavior intention, and multicultural experience shows that there is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multicultural attitudes when trying to promote multicultural behavior intention. When trying to improve multicultural attitude, empathic ability also appear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among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ic ability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ttitude was gre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great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policies aimed at promoting the multicultural behavior intention of youth leaders. In the future, it will need to be actively used in policies and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 competency of youth leader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자의 다문화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경험, 다문화태도, 공감능력의 구조적 관계와 구조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주요변인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적 관계 모형의 적합성(가설 1), 다문화경험가 다문화태도 및 다문화행동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가설 2, 3), 다문화태도의 다문화행동의도에 대한 직접효과(가설 4), 다문화경험과 다문화태도 및 다문화행동의도 사이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가설 5, 6), 다문화경험과 다문화행동의도 간 다문화태도의 매개효과(가설 7), 공감능력과 다문화태도의 매개효과 차이(가설 8)와 같은 8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청소년시설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자를 임의표집과 눈덩이표집을 혼합하여 선정하여 190명의 응답자료를 수집하였다. 6명의 이상치를 제외한 184명의 결과치를 SPSS 23.0과 AMOS 20.0을 통해 기술통계량, 측정모델, 연구모델을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가설 3은 기각되었고 나머지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문화경험을 독립변수, 다문화태도와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하여 청소년지도자의 다문화행동의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다문화경험 또는 다문화태도를 통해 다문화행동의도를 증진시킬 수 있고, 다문화경험을 통해 다문화행동의도를 증진시키고자 할 때 공감능력 및 다문화태도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태도를 증진시키고자 할 때 공감능력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공감능력 및 다문화태도의 매개효과 중 다문화태도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 결과는 청소년지도자의 다문화행동의도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교육과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향후 청소년지도자의 다문화역량 관련 정책과 교육에서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여성경찰관의 직무수행 중 불인정 경험 및 구조적 차별 경험이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민경,김세령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한국경찰연구 Vol.19 No.2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experiencing nonrecognition by fellow male police officers on their duties and experiencing structural discrimination 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mong female police officers. As a token group in a male-centered institution based on traditional police stereotypes and gender roles, female police officers have often experienced structural discrimination such as work assignment and promotion opportunities on a structural level, as well as individual discrimination of nonrecognition from male colleagues regarding job performance. While 69.4 percent of 484 female police officers included in the analysis answered they had experienced nonrecognition on duty, indicating that female police officers frequently experience neglect and discrimination in the organization, thos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turned out to be major factors in lowering their organizational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confirms that nonrecognition by male teammates and structural discrimination have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In conclusion, this study urges caution on police culture of ‘hegemonic masculinity’ that still quite many male police officers openly express distrust on female colleagues and regard the biological sex of women and professionalism as incompatible. 이 연구는 2014년 국가인권위원회의 「경찰․소방․교정직 여성공무원 성차별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이차자료를 활용하여 순찰, 범인검거, 주취자 보호 등 직무수행 중 동료 남성경찰관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개인적 차별 경험과 구조적 차별 경험이 여성경찰관의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통적 경찰활동과 성역할에 기반한 남성중심 조직 내 소수그룹으로서 여성경찰관은 업무배치, 승진기회 등 구조적 차원에서 차별을 경험하는 동시에 직무수행과 관련하여서도 남성경찰관들로부터 동료로서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불인정 차별을 수시로 경험하고 있다. 분석에 포함된 여성경찰관(484명) 중 69.4%가 직무수행 중 무시당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는 등 여성경찰관들은 직무수행 중 동료로부터의 불인정과 같은 개인적 차별과 구조적 차별을 빈번하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러한 차별 경험은 여성경찰관의 조직만족을 낮추는 주요 영향요인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직무수행 중 불인정 경험이 있는 여성경찰관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직만족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게 예측되는 가운데, 구조적 차별 경험이 강해질수록 조직만족 예측값이 낮아지는 정도가 한층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로부터의 불인정 경험과 구조적 차별 경험이 조직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한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여전히 많은 남성경찰관이 여성경찰관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것을 공공연하게 표현하고 여성이라는 생물학적인 성과 직업인으로서의 전문성이 병립할 수 없다고 여기는 ‘지배적 남성성’의 경찰 조직문화에 대한 변화를 촉구한다.

      • KCI우수등재

        관광객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나는 관광경험 구조의 이해: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접근

        한석호,윤지환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mon and connotation structure of the autobiographical memory formed by tourism experience.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contents of common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the retrospective of tourism experience was summarized in an intensive structure. Specifically, the autobiographical memory in the pre-trip stage was structured into three categories('Travel planning', 'Self-directed planning', and 'Expectation and anxiety'). The on-site stage was structured into a single category(‘Unusual experiences’). Lastly, the post-trip stage’s autobiographical memory was structured into three categories(‘Discovering new meanings’, ‘Positively distorted emotions’, and ‘Savoring memories’). The tourism experience shown in autobiographical memory is derived from experiences that have given subjective meanings according to cognitive and affective self-consciousness. It may include past experience or unconsciously, automatically, or reflexively by certain external conditions or stimulation. In particular, prior knowledge and external stimulation accumulated from past experience acted as crucial influence factors of tourist behavior and decision-making, and the process of such selection was also a part of the autobiographical memory.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autobiographical memory could be reconstructed and distorted by various factors. Our findings may help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mechanism in tourist autobiographical memory, and devise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evoking and promoting memory. 이 연구는 관광객의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나는 관광경험 구조에 대한 탐색과 함께 회고 내용에서 드러나는 관광객의 행동 기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Collaizzi(1978)가 제안한 기술적 현상학 중 경험적 현상학적 심리학적 체험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관광경험에 대한 자전적 기억을 여행 전, 여행 중, 여행 후 단계에서 7개 범주, 13개 주제묶음, 29개 주제로 구조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여행 전 자전적 기억은 ‘여행 계획 구상’, ‘주도적 계획 수립’, ‘여행 전 기대와 불안’의 3개 범주로 구조화되었으며, 여행 중 단계는 ‘비일상적 경험’으로, 마지막 여행 후 단계의 기억은 ‘새로운 의미 발견’, ‘감정의 긍정적 왜곡’, ‘기억의 저장 및 향유’의 3개 범주로 구조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합된 결과를 통해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난 관광경험은 개인이 인지적, 정서적으로 자기의식에 따라 주관적인 의미를 부여한 경험 또는 과거 경험이나 외부의 특정한 조건이나 자극에 의해 무의식적, 자동적, 반사적으로 행해진 경험 등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과거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사전지식이나 외부의 자극은 관광객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자전적 기억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재구성 및 왜곡될 수 있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관련 연구자 및 실무자들에게 관광객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난 의사결정 구조나 작용 원리와 같은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기억의 환기 및 촉진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원가족경험과 결혼만족 관계에 미치는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오종현 ( Jong Hyun Oh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원가족경험과 결혼만족 관계에서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매개효과와 이것의 기혼남녀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기혼남녀 764명을 대상으로 원가족경험, 자기분화, 자아존중감, 결혼만족 척도로 구성된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가족경험은 자기분화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자기분화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둘째, 기혼남녀의 집단에 따라 원가족경험이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한 결혼만족에 미친 영향력의 차이에서 자아존중감에 대한 원가족경험의 직접효과는 남편이 아내에 비해 더 컸고, 원가족경험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에 미치는 매개효과 역시 남편이 아내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가족경험이 결혼만족에 이르는 경로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자기분화는 결혼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은 물론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s. The subjects were 764 married mem and women. the scales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Marrital Satisfaction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of- origin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through differentiation of self; and it also does on marital satisfaction via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Also, differentiation of self has positiv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Second, gender differences of effects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on marital satisfaction via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were revealed; husbands have greater direct effects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 on self-esteem than wives; and they also have greater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ces in family of origin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i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ffect marital satisfaction via mediators-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rather directly. Also, differentiation of self not only directly affect marital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via self-esteem. Lastly, the limitations and the succeeding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흡연 경험과 관련요인 분석: 가족구조, 가정 내 간접흡연 경험, 친한 친구 흡연 중심으로

        조규희,목형균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3

        Background: Adolescence life-style affects adulthood health behaviors. Unhealthy behaviors such as smoking tend to be learned from surrounding people like family members or friends. Also,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smoking such as secondhand smoke at home or peer smoking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healthy behavior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 among family structure,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adolescent smoking experiences. Metho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8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 analyzed 60,040 participants. Study variables included family structure, secondhand smoke at home, peer smoking and life time smoking experience. For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Among boys, family structure (living with both parents reference groug vs. step parents: OR: 1.60, 95% CI: 1.04-2.50), secondhand smoke at home (No reference group vs. Yes: OR: 1.29, 95% CI: 1.19-1.38), and peer smoking (No reference group vs. Yes: OR: 3.60, 95% CI: 3.32-3.80) were associated with lifetime smoking experience. Among girls, family structure (living with both parents reference group vs living without both parents: OR: 1.60, 95% CI: 1.10-2.24), secondhand smoke at home (No reference group vs Yes: OR: 1.28, 95% CI: 1.15-1.42), and peer smoking (No reference group vs Yes: OR: 6.60, 95% CI: 5.87-7.43) were associated with lifetime smoking experience. Conclusion: Study variables would be a risk factor of adolescent smok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se findings. 연구배경: 청소년기의 건강행태는 성인기의 건강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친다. 흡연과 같은 불건강행태는 가족구성원, 친구, 선생님 등 주변관계에서 습득될 수 있다. 가정 내 간접흡연 경험, 친한 친구의 흡연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주된 흡연 건강위험요인 중 하나이다. 연구목적: 가족구조, 가정 내 간접흡연 경험, 친한 친구의 흡연, 청소년 흡연 경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한다. 연구방법: 연구자료는 제14차(2018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60,040명 이었으며, 연구변수로 가족구조, 가정 내 간접흡연 경험, 친한 친구 흡연 여부, 평생 흡연 경험을 사용하였다. 흡연경험과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의 경우, 계부모와 거주하는 경우가 양부모와 거주하는 경우에 비해 교차비가 높았으며(교차비: 1.61, 신뢰구간: 1.04, 2.47), 가정 내 간접흡연 경험이 있는 경우가 흡연 가능성이 높았고(교차비: 1.28, 신뢰구간: 1.19, 1.38), 친한 친구가 흡연하는 경우 교차비가 높았다(교차비: 3.59, 신뢰구간: 3.32, 3.89). 여학생의 경우, 부모와 함께 거주하지 않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교차비가 높았고(교차비: 1.57, 신뢰구간: 1.11, 2.24), 가정 내 간접흡연 경험이 있으면 흡연 가능성이 높았으며(교차비: 1.28, 신뢰구간: 1.15, 1.42), 친한 친구 중에 흡연하는 친구가 있으면 교차비가 높았다(교차비: 6.61, 신뢰구간: 5.87, 7.43). 결론: 양부모와 거주하지 않고, 가정 내 간접흡연자가 있고, 친한 친구가 흡연을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흡연을 할 가능성이 높았다. 건강증진프로그램과 금연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환경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기획해야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분석 연구 -학급 내 발표 상황에서 생성된 담화를 중심으로-

        서현석 ( Hyun Seok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를 분석하고, 양적·질적인 면에서 해석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연구자는 경험적 내러티브가 지니는 초등교육, 국어 교육, 인성 교육적 측면에서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서울, 경기, 대구 등 세 개 지역의 5,6학년이 생성한 내러티브 담화를 수집하였다. 최종 선정된 104개의 담화를 분석한 결과, 학급 내 발표 상황에서 5·6학년 학습자의 경험적 내러티브 평균 발화 시간은 36.87(초)이 었으며, 내러티브 당 에피소드는 평균 1.9개, 평균 2.34개의 문장과 4.26개의 C-unit을 포함하였다. 경험적 내러티브 구조의 발달 수준은 평균 3.84(SD=1.791)로 분석되었다.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를 서현석 외(2013)에서 분석한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에서 좀 더 많은 부가 관계의 말하기 양상이 포착되었다. 이는 인과관계를 효과적으로 구사하여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능숙한 화자의 말하기로 볼 수 없는 것이다. 둘째, 5·6학년 학습자의 경험적 내러티브의 구조 발달 수준은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구조의 발달 수준(평균 5.39 /SD=1.743)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늘어나는 학습량을 일정한 수업 시간 내에 다루어야 하기에 좀 더 교사 중심적인 수업이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5·6학년 학생들은 진정한 자기표현이 기회 대신에 자신의 경험과 멀어지는 추상적인 학습 내용에 집중하게 되어 오히려 1·2학 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구조 발달 수준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personal narrative discourse of elementary fifth and sixth graders and seeking educative implication by interpre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ide. To achiev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 considers personal narrative’s meaning on aspect of elementary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Researcher also analyzes 104 narrative discourses generated from elementary fifth and sixth graders of Seoul, Gyeonggi, Daegu. The analysis shows that at presenting context in class, the average speaking time of the learner’s personal narrative is 36.87 seconds and the average number of the stories per one narrative is 1.9. It also includes 2.34 sentences and 4.26 C-units on average.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of personal narrative structure is 3.84(SD = 1.791) on average. Researcher compares the fifth and sixth grader’s personal narrative discourse with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analyzed by Seo, Hyun-Seok et al(2013). First of all, in the fifth and sixth grader’s personal narrative, more modes of telling with additive relation are detected. This is rather far from telling of skillful narrator that constructs narrative by expressing causal relation efficiently. Secondly, the fifth and sixth learner’s level of development of personal narrative structure is analyzed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learner’s(5.39 on average /SD=1.743). This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grade students move, the more teacher-centered class is. Because more quantity of learning must be treated in fixed class hour. In other words, the fifth and sixth students concentrate abstract learning contents instead of true self-expression. This rather influences the result that the fifth and sixth learner’s level of personal narrative fulfillment is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learner``s.

      • KCI등재

        교과교육학 :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경험 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

        김영은 ( Young E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3

        기존의 다문화청소년들의 학교교육경험에 대한 연구들은 양적으로 부족할 뿐만 아니라, 주로 적 응과 동화에 초점을 두고 개인적 특성이나 가정적 변인에 그 원인을 찾는 문화 중심적이고 미시적 인 관점을 많이 취하였다. 그러나 미시적인 관점뿐 아니라 인종, 성, 계층, 문화 등과 관련된 불평 등한 사회구조를 인식하는 거시적 관점에서의 분석을 통해 현 공동체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드러내 고 바람직한 대안을 제안하기 위한 노력도 요구된다. 이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청소년들의 학교생활경험에서 드러나는 개인적, 가정적 측면에서의 이해를 넘어 한국의 다문화 학교 환경에 대한 사회구조적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경험 연구를 수합하여 연구 관심에 알맞은 논문을 추출한 후에 주로 논의되는 주제인 정체성 형성, 사회적·문화적 자본의 영향, 집단 간 이질성, 교육기회의 평등 등을 다문화교육의 사회구조 적 패러다임에 따라 분석적으로 재해석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경험에 대한 기존 연구물 은 주로 개인적·성격적 측면, 문화결핍 패러다임, 보수적 다문화주의 측면에서 접근되고 있기 때 문에 사회구조적 측면에서의 논의와 재해석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보면,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경험은 차별과 불평등이 발생하는 구조적 기제 속에서 해석해야 하고, 문화결핍이 아니라 문화차이적 시각에서 교육기회의 평등을 추구해야 하며, 서로 단일하게 볼 수 없 는 다양한 다문화집단의 경험에 기초하여 다문화교육을 시도해야 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how multicultural students attending secondary schools make sense of schooling experiences in Korea, by integrating the results and findings of the existing empirical studies about students` experiences in school. Referring to the strategy of thematic analysis, this study includes all relevant studies for the purpose of interpretations from the researcher`s theoretical frameworks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structural paradigm focusing on sociocultural and structural foundations of the society. Through students` own voices represented in empirical studies, this study attempts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the macro-structural perspective affecting students`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social identity formations in relatio to class, race, ethnicity, culture, and gender. In addition, their schooling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aspect of sociocultural and ideological constructions as well as the personal and familial aspect. For example, their frequent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mong peer groups cannot be minimized to the personal issue of friend relationships. Therefor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should divert its current attention from the issue of culture to race, ethnicity, class, and gender relations from the macro-structural paradigm such as critical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serve for multicultural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equal opportunity, which contributes to extend the multicultural issue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